맨위로가기

말라바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바족은 고대 인도 텍스트에 언급된 부족으로,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략 당시 펀자브 지역에 거주했다. 이후 라자스탄으로 이주했으며, 굽타 제국 시기에는 말와 지역에 자리 잡았다. 7세기에는 구자라트와 마디아프라데시에 존재했으며, 10세기 이후 파라마라 왕조가 말라바족으로 불리며 말와 지역을 통치했다. 말라바기는 말라바족과 관련된 시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라바족 - 아울리카라 왕조
    아울리카라 왕조는 5세기부터 6세기까지 서부 말와 지역에서 굽타 제국의 봉신으로 시작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야쇼다르마 시기에 훈족을 격파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전성기를 맞이했다.
  • 인도의 옛 공화국 - 야우데야
    야우데야는 인더스 강과 갠지스 강 사이 하리아나주 지역에서 형성된 고대 부족 국가로, 무기를 생업으로 삼았으며 마우리아 제국 붕괴 후 독립하여 주화를 발행하며 존속하다 굽타 제국 시대에 쇠퇴했다.
  • 인도의 부족 - 우타마바드라족
    우타마바드라족은 (내용 없음)이다.
  • 인도의 부족 - 사나카니카족
    4세기 중반 굽타 제국에 정복되어 복속된 사나카니카족은 굽타 제국의 봉신으로서 비디샤 인근 지역을 다스리며 굽타 제국의 영토 확장과 문화적 번영에 기여했다.
말라바족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말라바
공용 이름말라바스
공식 명칭말라바
기원전 150년경 말라바스와 남아시아의 국가들의 위치.
기원전 150년경 말라바스와 당대 남아시아의 국가들의 위치
역사
시작 연도기원전 4세기
종료 연도서기 7세기
이전 국가아반티
이전 국가서부 사트라프
계승 국가말와 왕국
계승 국가찰루키아
계승 국가발라비 왕국
계승 국가구르자라 연맹
정치
정부 형태귀족 공화국
입법부사바
현재 국가
현재 국가인도

2. 역사

말라바족은 마하바라타와 마하바시야를 포함한 여러 고대 인도 문헌에 등장한다.[1]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마드라 왕 아슈바파티의 아들 백 명은 그들의 어머니 말라비의 이름을 따서 말라바로 알려졌다.[2] 파니니는 말라바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아유다지비 상가(무기를 직업으로 사는 사람들)라고 불리는 부족 집단을 언급했고, 카시카족은 말라바족과 크슈드라카족을 이 부족 집단에 포함한다. 말라바족은 파탄잘리의 마하바시야(IV.1.68)에서도 언급된다.[3]

알렉산드로스 침공 당시, 현대 학자들은 말라바족을 말리 또는 "말로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알렉산드로스가 이들과 벌인 전쟁에 대한 기록으로 남아있다.[1][2]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가 침략했을 때 말로이는 현재 펀자브 지역의 라비체나브 합류 지점 북쪽에 거주했다.[1]

인도-그리스 왕국펀자브를 점령하면서 말라바족은 오늘날의 라자스탄주로 이주했다.[1] 이들은 말라바나가라(오늘날의 나가르 요새)에 본부를 두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에서 수천 개의 동전이 발견되었다.[1] 이 동전들은 말라바남 자야(말라바족의 승리)라는 문구를 지니고 있으며, 기원전 250년에서 서기 25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2] 라자스탄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 말라바기의 비문은 말라바의 영향력이 라자스탄의 더 넓은 지역까지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1] 후나족의 침입으로 인해 중인도/라자스탄으로 이주한 말라바족은[3] 결국 중인도의 말와 지역으로 이주했는데, 이 지역은 서기 2세기 이후에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서기 120년경 말라바족은 남쪽의 우타마바드라족 왕을 포위했지만, 우타마바드라족서사트라프에 의해 구출되었고, 말라바족은 패배했다.[9] 이 내용은 나하파나의 부왕 우샤바다타가 작성한 나시크 동굴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4세기 굽타 제국의 황제 사무드라굽타 통치 시기에 말라바족은 라자스탄과 서부 말와 지역에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0] 사무드라굽타의 알라하바드 기둥 비문에는 그에게 정복된 부족들 중 하나로 말라바족이 언급되어 있다.[5] 말와 지역을 다스리던 아울리카라족은 말라바족의 일파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말와'라는 지명이 이 지역에 적용되는 데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굽타 제국 이후의 기록은 말라바족이 오늘날의 마디아프라데시와 구자라트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6] 7세기 중국 당나라 승려 현장은 말라바(摩臘婆, 마납파)[11]를 오늘날의 구자라트에 위치한 것으로 비정하며, 케타와 아난다푸라(바드나가르)를 말라바국의 일부로 묘사하고 있다. 현장은 이 말라바 국가가 마이트라카 왕국의 일부였다고 제시한다. 바타피의 찰루키아 왕 풀라케신 2세의 7세기 아이홀 비문에도 말라바족을 무찌른 내용이 나오며, 그들이 오늘날의 구자라트에 위치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9세기 라슈트라쿠타 기록에는 그들의 황제 고빈다 3세가 라타국(구자라트 남부)에 주지사 카카를 배치하여 구르자라-프라티하라가 말라바로 진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명시되어 있다.[11]

7세기 바나바타의 《카담바리》는 오늘날 말와 동부의 비디샤를 말라바족의 수도로, 서부의 우자인을 아반티 왕국의 수도로 묘사한다. 이 말라바 왕은 605년경 푸슈야부티 왕조의 왕 라지야바르다나에게 패배했다.[1] 9세기 무슬림 역사가 알발라두리신드의 아랍 총독 주나이드가 725년경 우자인과 알말리바(말라바)를 습격했다고 기록했다.[1]

10세기 이후부터 역사 기록들은 오늘날의 말와 지역을 다스리던 파라마라족을 가리키기 위해 말라바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파라마라족은 고대 말라바족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지만, 고대 말라바족의 이름을 딴 말와 지역을 다스리기 시작하면서 말라바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 11세기경 야다바프라카샤의 《비자얀티》에서는 아반티(우자인 주변 지역)와 말라바가 동일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통용되는 '말와'라는 지명은 10세기 후반에 대중화된 것으로 보인다.[1]

2. 1. 기원전

말라바족은 마하바라타와 마하바시야를 포함한 여러 고대 인도 문헌에 언급되어 있다.[1]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사비트리의 아버지인 마드라 왕 아슈바파티의 아들 백 명은 그들의 어머니 말라비의 이름을 따서 말라바로 알려졌다고 한다.[2] 파니니는 말라바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수트라 V.3.117에서 아유다지비 상가(무기를 직업으로 사는 사람들)라고 불리는 부족 집단을 언급하고 있고, 카시카족은 말라바족과 크슈드라카족을 이 부족 집단에 포함한다. 말라바족은 또한 파탄잘리의 마하바시야(IV.1.68)에서도 언급된다.[3]

2. 2. 알렉산드로스 시대

알렉산드로스가 침공할 당시, 현대 학자들은 말라바족을 말리 또는 "말로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알렉산드로스가 이들과 벌인 전쟁에 대한 기록으로 남아있다.[1][2]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가 침략했을 때 말로이는 현재 펀자브 지역의 라비체나브 합류 지점 북쪽에 거주했다.[1]

2. 3. 남쪽으로의 이주

인도-그리스 왕국펀자브를 점령하면서 말라바족(또는 적어도 그들 중 많은 인구)은 오늘날의 라자스탄주로 이주했다.[1] 이들은 말라바나가라(오늘날의 나가르 요새)에 본부를 두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에서 수천 개의 동전이 발견되었다.[1] 이 동전들은 말라바남 자야(말라바족의 승리)라는 문구를 지니고 있으며, 기원전 250년에서 서기 25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2] 라자스탄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 말라바기의 비문은 말라바의 영향력이 라자스탄의 더 넓은 지역까지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1]

또한 원래 펀자브 지역에 거주하던 말라바족은 후나족의 침입으로 인해 중인도/라자스탄으로 이주했다.[3]

말라바족은 결국 중인도의 말와 지역으로 이주했는데, 이 지역은 서기 2세기 이후에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2. 4. 서사트라프와의 갈등

서기 120년경 말라바족은 남쪽의 우타마바드라족 왕을 포위했지만, 우타마바드라족서사트라프에 의해 구출되었고, 말라바족은 패배했다.[9] 이 내용은 나하파나의 부왕 우샤바다타가 작성한 나시크 동굴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 uttamabhadra-pariśaraṇa-kāle varṣā-kāle malayeṣu parigṛhīteṣu ...|... 그리고 주의 명으로, 말라야족에게 장마철을 맞아 포위당한 우타마바드라 족장을 풀어주러 갔는데, 말라야족은 굉음만 내며 도망쳤으며, (내가 접근할 때) 그들은 모두 우타마바드라족 전사들의 포로가 되었다.|sa

아울리카라의 지배자이자 쿠마라굽타 1세와 동시대 인물인 말라바족의 분파 비슈바바르만의 강가다르 석비, 423년.

2. 5. 굽타 제국과의 갈등

4세기 굽타 제국의 황제 사무드라굽타 통치 시기에 말라바족은 라자스탄과 서부 말와 지역에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0] 사무드라굽타의 알라하바드 기둥 비문에는 그에게 정복된 부족들 중 하나로 말라바족이 언급되어 있다.[5]

사무드라굽타의 알라하바드 기둥 비문 제22-23행(서기 350-375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0] [5]

  • '''(22–23행)''' "(사무드라굽타, 그의) 강력한 통치는 사마타타, 다바카, 카마루파, 네팔, 카르트리푸라 등의 변경 통치자들이 복종하고, 말라바족, 아르주나야나족, 야우데야족, 마드라카족, 아비라족, 프라르주나족, 사나카니카족, 카카족, 카라파리카족 및 기타 (부족)들이 모든 공물을 바치고, 명령을 집행하고, (그의 궁정을) 방문함으로써 촉진되었다."


말와 지역을 다스리던 아울리카라족은 말라바족의 일파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말와'라는 지명이 이 지역에 적용되는 데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2. 6. 굽타 이후 시대

굽타 제국 이후의 기록은 말라바족이 오늘날의 마디아프라데시와 구자라트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6] 말라바족은 ''마하바라타''와 ''마하바샤''를 포함한 여러 고대 인도 문헌에 언급된다.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마드라 왕 아슈바파티의 딸 사비트리의 백 명의 아들은 어머니 말라비의 이름을 따서 "말라바"로 알려졌다. 파니니는 말라바족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지만, "무기를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을 뜻하는 부족 집단을 언급했으며, ''카시카''는 말라바족과 크슈드라카족을 이 부족 집단에 포함시킨다. 파탄잘리의 ''마하바샤''(IV.1.68)에도 말라바족이 언급되어 있다.

2. 6. 1. 구자라트의 말라바족

7세기 중국 당나라 승려 현장은 말라바(摩臘婆, 마납파)[11]를 오늘날의 구자라트에 위치한 것으로 비정하며, 케타와 아난다푸라(바드나가르)를 말라바국의 일부로 묘사하고 있다. 현장은 이 말라바 국가가 마이트라카 왕국의 일부였다고 제시한다. 그는 바나바타처럼 우자이니를 별개의 영토로 묘사하지만, 바나바타와는 달리 우자이니의 서쪽에 말라바를 비정시킨다. 바타피의 찰루키아 왕 풀라케신 2세의 7세기 아이홀 비문에도 말라바족을 무찌른 내용이 나오며, 그들이 오늘날의 구자라트에 위치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9세기 라슈트라쿠타 기록에는 그들의 황제 고빈다 3세가 라타국(구자라트 남부)에 주지사 카카를 배치하여 구르자라-프라티하라가 말라바로 진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명시되어 있다.[11]

2. 6. 2. 마디아프라데시의 말라바족

굽타 제국 이후의 기록에는 말라바족의 영토와 우자인 주변 지역이 구분되어 나타난다. 7세기 바나바타의 《카담바리》는 오늘날 말와 동부의 비디샤를 말라바족의 수도로, 서부의 우자인을 아반티 왕국의 수도로 묘사한다. 이 말라바 왕은 605년경 푸슈야부티 왕조의 왕 라지야바르다나에게 패배했는데, 이는 바나바타의 《하르샤차리타》와 푸슈야부티 비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1] 말라바와 우자인 지역의 구분은 9세기 무슬림 역사가 알발라두리의 저술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신드의 아랍 총독 주나이드가 725년경 우자인과 알말리바(말라바)를 습격했다고 기록했다.[1]

10세기 이후부터 역사 기록들은 오늘날의 말와 지역을 다스리던 파라마라족을 가리키기 위해 말라바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파라마라족은 고대 말라바족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지만, 고대 말라바족의 이름을 딴 말와 지역을 다스리기 시작하면서 말라바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 11세기경 야다바프라카샤의 《비자얀티》에서는 아반티(우자인 주변 지역)와 말라바가 동일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통용되는 '말와'라는 지명은 10세기 후반에 대중화된 것으로 보인다.[1]

3. 말라바기

나중에 비크라마 삼바트로 알려지게 된 이 시대는 말라바족과 연관되어 있다. 처음에는 크리타기로 언급되었고 그 다음에는 말라바기로 언급되었다.[1] 아마도 이 시대는 서기 898년 차하마나 통치자 찬다마하세나의 돌푸르 석각에서 처음으로 비크라마기로 언급되었을 것이다.[1]

4. 역대 통치자


  • 소마: 루드라세나 1세가 사망한 후 우자이니의 사카족으로부터 말라바족의 독립을 다시 주장했다.[1]
  • 비슈바바르만: 서기 423년경.
  • 반두바르만: 비슈바바르만의 아들이자 쿠마라굽타의 봉신.

참조

[1]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 서적 Alexander the Great: Lessons from History's Undefeated General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0-04-13
[3] 서적 Discover Punjab: Attractions of Punjab Golden Point Pvt Lmt.
[4] 간행물 Epigraphia Indica Vol.8 https://archive.org/[...]
[5] 서적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 Vol. 3 https://archive.org/[...] 1888
[6]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7] 논문 Mo-la-p'o, 摩 臘 婆 https://www.jstor.or[...] 1906
[8] 서적 Discover Punjab: Attractions of Punjab Golden Point Pvt Lmt.
[9] 간행물 Epigraphia Indica Vol.8 https://archive.org/[...]
[10] 서적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 Vol. 3 https://archive.org/[...] 1888
[11] 저널 https://www.jsto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