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마라굽타 1세는 굽타 제국의 황제 찬드라굽타 2세의 아들로, 서기 415년경에 왕위에 올라 '마하라자디라자' 등의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광대한 영토를 유지하며 통치했으며, 마디아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등지에서 발견된 비문과 동전을 통해 그의 치세를 확인할 수 있다. 쿠마라굽타 1세는 다양한 종류의 동전을 발행하여, 군사적 업적과 종교적 신념을 드러냈으며, 시바교, 비슈누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번성했다. 그의 통치 말년에는 푸시야미트라스 또는 훈족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들 스칸다굽타와의 왕위 계승 분쟁 가능성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5세기 인도의 군주 - 찬드라굽타 2세 찬드라굽타 2세는 굽타 왕조의 강력한 통치자로서 군사적 성공과 외교적 수완, 문화적 융성을 통해 굽타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5세기 인도의 군주 - 나라심하굽타 나라심하굽타는 쇠퇴기의 굽타 왕조를 유지하며 훈족의 침입에 맞서 북인도 평원에서 몰아내는 데 기여하고 불교를 장려했으며, 아들 쿠마라굽타 3세가 왕위를 이었다.
굽타 황제 - 찬드라굽타 2세 찬드라굽타 2세는 굽타 왕조의 강력한 통치자로서 군사적 성공과 외교적 수완, 문화적 융성을 통해 굽타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굽타 황제 - 나라심하굽타 나라심하굽타는 쇠퇴기의 굽타 왕조를 유지하며 훈족의 침입에 맞서 북인도 평원에서 몰아내는 데 기여하고 불교를 장려했으며, 아들 쿠마라굽타 3세가 왕위를 이었다.
쿠마라굽타 1세는 굽타 제국의 황제 찬드라굽타 2세와 왕비 드루바데비의 아들이었다.[1] 찬드라굽타 2세의 마지막 비문은 412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쿠마라굽타 1세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415년경(굽타 시대 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따라서 쿠마라굽타 1세는 415년 또는 그 직전에 왕위에 올랐다.[2]
쿠마라굽타 1세는 '마하라자디라자', '파라마-바타라카', '파라마드바이타'라는 칭호를 사용했다.[3] 그는 또한 마헨드라디티야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그의 동전에는 슈리-마헨드라, 마헨드라-심하, 아슈바메다-마헨드라 등 이 이름의 여러 변형이 사용되었다.[4] 불교 경전에 언급된 왕의 이름인 샤크라디티야 역시 쿠마라굽타 1세의 칭호였을 수 있다.(#종교 항목 참조).[5]
2. 1. 초기 생애
쿠마라굽타는 굽타 제국의 황제 찬드라굽타 2세와 왕비 드루바데비의 아들이었다.[1] 찬드라굽타 2세의 마지막 비문은 412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쿠마라굽타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415년경(굽타 시대 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따라서 쿠마라굽타는 415년 또는 그 직전에 왕위에 올랐음에 틀림없다.[2]
2. 2. 통치
쿠마라굽타 1세는 아버지 찬드라굽타 2세와 할아버지 사무드라굽타의 정복으로 세워진 거대한 제국을 물려받았다. 군사적 업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마디아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웨스트 벵골, 방글라데시에서 발견된 비문과 구자라트에서 발견된 아들의 비문, 서부 인도에서 발견된 가루다가 새겨진 동전, 갠지스 계곡에서 발견된 공작이 새겨진 동전 등으로 미루어 보아, 광대한 영토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2] 비록 그의 치세가 군사적으로 평탄했다 하더라도, 비문과 화폐 증거를 통해 거대한 제국에서 안정적인 정부를 유지했던 강력한 통치자였음이 분명하다.[3]
쿠마라굽타의 치세에 전쟁과 혼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전쟁의 신 카르티케야를 숭배했으며, 그의 금화는 고대 왕들이 주권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했던 아슈바메다 의식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2] 그러나 그가 실제로 군사적 정복을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이 의식의 수행이 어떠한 정복을 의미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4][2]
쿠마라굽타 1세의 일부 동전에는 그가 코뿔소 사냥꾼으로 묘사되어 있다. 테즈 람 샤르마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이를 오늘날 아삼 주의 카마루파 왕에 대한 쿠마라굽타 1세의 승리를 보여주는 증거로 보았는데, 인도코뿔소는 아삼 주에서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쿠마라굽타 1세의 동전 중에는 그를 호랑이 사냥꾼으로 묘사한 것도 있는데, 역사가 H. C. 레이차우드리는 이것이 호랑이가 많이 서식하는 나르마다 강 남쪽 지역에 대한 그의 침입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역사가 S. R. 고얄은 이러한 두 가지 동전 기반 이론을 모두 공상적인 것으로 일축했다.
2. 2. 1. 남서부 정복 가능성
쿠마라굽타의 동전은 현재의 마하라슈트라 주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굽타 제국의 핵심 영토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아찰푸르에서 발견된 13개의 동전과 사타라 구의 삼안드에서 발견된 1,395개의 은화가 여기에 포함된다.[1] 남 구자라트에서 발견된 쿠마라굽타의 동전은 이 지역을 통치했던 트라이쿠타 왕조가 발행한 동전과 유사하다. 이로 인해 쿠마라굽타가 트라이쿠타를 물리쳤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
2. 2. 2. 다샤푸라 합병 가능성
서기 423년 만다사우르 비문은 -varman으로 끝나는 왕조를 언급하는데, 이들은 아마도 다샤푸라(현재의 만다사우르)를 수도로 삼았을 것이다. 이 비문은 이 왕들 중 한 명인 나라-varman을 아울리카라라고 묘사하는데, 이는 이 왕조의 이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문은 현재 구자라트의 라타 지역에서 다샤푸라로 이주한 비단 직조공 길드가 "쿠마라굽타가 온 세상을 통치하는 동안" 태양 신전을 건립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신전은 서기 436년경 나라-varman의 손자 반두-varman의 통치 기간 동안 세워졌으나, 이후 다른 왕들에 의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고, 서기 473년경 길드가 복구했다.
어떤 이론에 따르면, 반두바르만은 쿠마라굽타 1세의 봉신으로 다샤푸라를 통치했다. 그러나 역사가 R. C. Majumdar는 비문에 언급된 "쿠마라굽타"가 후대 왕인 쿠마라굽타 2세라고 주장한다. Majumdar의 이론에 따르면, 신전은 반두바르만이 독립적으로 통치하던 서기 436년경에 세워졌고, 쿠마라굽타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서기 473년경에 복구되었다. 반두바르만의 할아버지 나라바르만과 그의 아버지 비슈바바르만은 굽타의 군주에 대한 언급이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발행된 세 개의 비문 중 어느 곳에도 없기 때문에 독립적인 통치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Majumdar에 따르면, 만다사우르 비문에 언급된 "쿠마라굽타"가 누구이든, 다샤푸라 지역은 이 비문이 발행된 이후, 즉 서기 424-473년경에 굽타 제국에 병합된 것으로 보인다. Majumdar는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군사적 정복이나 외교를 통해 다샤푸라 지역이 굽타 제국에 병합되었다고 이론화한다.
2. 2. 3. 기타 군사 활동
쿠마라굽타 1세의 일부 동전에는 그가 코뿔소 사냥꾼으로 묘사되어 있다. 테즈 람 샤르마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이를 오늘날 아삼 주의 카마루파 왕에 대한 쿠마라굽타 1세의 승리를 보여주는 증거로 보았다. 인도코뿔소는 아삼 주에서 많이 발견된다. 쿠마라굽타 1세의 동전 중에는 그를 호랑이 사냥꾼으로 묘사한 것도 있는데, 역사가 H. C. 레이차우드리는 이것이 호랑이가 많이 서식하는 나르마다 강 남쪽 지역에 대한 그의 침입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역사가 S. R. 고얄은 이러한 두 가지 동전 기반 이론을 모두 공상적인 것으로 일축했다.
2. 3. 행정
비문 증거에 따르면 쿠마라굽타 1세는 "마하라자"("위대한 왕")라는 칭호를 가진 총독(우파리카)을 통해 제국을 통치했고, 다양한 주(부크티)를 관리했다. 주의 구역(비샤야)은 다음과 같은 자문 위원회의 지원을 받는 지방 행정관(비샤야파티)이 관리했다.[4]
직위
설명
도시 대통령 또는 시장
나가라-슈레슈틴
상인 길드의 대표
사르타바하
장인 길드의 수장
프라타마-쿨리카
작가 또는 서기 길드의 수장
프라타마-카야스타
가토차-굽타(그의 조상인 가토차와 혼동하지 말 것)는 쿠마라굽타 1세 통치 기간 동안 에란 지역을 통치했다. 그의 기원후 435-436년 비문은 그가 굽타 왕가의 일원이었고, 아마도 쿠마라굽타의 아들이나 동생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는 바사르에서 발견된 봉인에 언급된 가토차-굽타와, 금화를 발행한 것으로 알려진 가토차-굽타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그는 쿠마라굽타 1세 사후 잠시 독립을 꾀했을 수도 있다.
치라타-다타는 쿠마라굽타의 부하로서 현재의 벵골 지역의 푼드라바르다나-부크티(주)를 통치했다. 그의 알려진 연대는 서기 443년경부터 447년경까지(굽타 시대 124-128년)이다.
서기 436년의 카람단다 비문은 처음에는 쿠마라굽타 1세의 ''만트린''이자 ''쿠마라마티야''(재상)였고, 나중에는 그의 ''마하발라디크리타''(장군)가 된 프리티비세나를 언급한다.[4] 그의 아버지 시카라스바민은 찬드라굽타 2세의 ''만트린''이자 ''쿠마라마티야''로 섬겼다.
쿠마라굽타 1세는 중국에 사절단을 파견하고 인도의 사절을 교환한 것으로 보아, 유송의 중국 황제와 외교 관계를 수립한 것으로 보인다.[4]
2. 4. 가족 관계
쿠마라굽타 1세에게는 최소한 두 아들, 스칸다굽타와 푸루굽타가 있었다. 다음 왕이 된 스칸다굽타의 비문에는 그의 어머니 이름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푸루굽타는 마하데비(왕비) 안안타데비의 아들이었다. 역사가 R. N. 단데카르는 탈라군다 기둥 비문에 따르면 카담바 왕조의 왕 카쿠스타바르만이 굽타와 결혼 동맹을 맺었기 때문에 안안타데비가 카담바 공주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5]
스칸다굽타의 비하르 석주 비문은 쿠마라굽타가 그의 신하 중 한 명의 여동생과 결혼했다는 것을 보여준다.[5] 가토트카차굽타(초기 왕인 가토트카차와 혼동하지 말 것)는 아마도 쿠마라굽타의 아들이거나 남동생이었을 것이다.[6]
2. 5. 종교
금석문 증거에 따르면 시바교, 비슈누교, 불교, 자이나교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가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번성했음을 알 수 있다.[1] 쿠마라굽타 1세의 은화는 그를 신 비슈누(parama-bhagavata 또는 bhagavata)의 신봉자로 묘사한다. 그의 금화, 은화 및 동전에는 비슈누의 바하나(탈것)인 가루다가 묘사되어 있다.[2] 그는 또한 전쟁의 신 카르티케야(스칸다라고도 함)의 신봉자이기도 했다. 그의 동전에는 공작 위에 앉아 있는 카르티케야가 묘사되어 있다. 그는 아들의 이름을 신의 이름을 따서 스칸다굽타로 지었고, 그의 이름 "쿠마라"는 이 신의 또 다른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3]
불교 작가 현장(7세기)과 반야발마(8세기)에 따르면, 날란다 대학은 샤크라디티야라는 왕에 의해 설립되었다.[4] 현대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을 근거로 샤크라디티야 왕을 쿠마라굽타 1세로 동일시한다.
"샤크라"와 "마헨드라"는 인도 신 인드라의 이름이며, 쿠마라굽타는 마헨드라디티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5]
400-411 CE 동안 인도를 여행한 초기 중국 여행가 법현은 날란다에 수도원이 존재한다는 언급을 하지 않는데, 날란다는 그가 방문했던 파탈리푸트라와 가야와 같은 장소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이 중요한 불교 유적지의 누락은 날란다 수도원이 411 CE 이후, 즉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설립되었다는 가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6]
현장은 샤크라디티야 이후 부다굽타(후대 왕 쿠마라굽타 2세의 후계자)를 언급하며, 수도원이 샤크라디티야, 부다굽타, 타타가타굽타, 발라디티야 왕의 기증으로 풍요로워졌다고 말한다. 이는 샤크라디티야를 쿠마라굽타 1세와 동일시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7]
2. 6. 말년
쿠마라굽타 1세의 아들 스칸다굽타의 즉위 연도는 서기 455년경(굽타 시대 136년)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가 이 해 또는 그 이전에 끝났음을 의미한다. 역사가 V. A. 스미스는 쿠마라굽타 1세의 일부 동전에 새겨진 연도를 서기 455년경(굽타 시대 134년과 135년)으로 읽었으나, 화폐학자 P. L. 굽타는 이에 이의를 제기하며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 말년을 서기 450년경으로 추정했다.[7]
쿠마라굽타 1세 통치 후반기가 평화롭지 못했다는 이론이 존재한다. 이 이론은 서기 448년경의 만쿠와르 불상 비문과 스칸다굽타의 비타리 석주 비문에 근거한다.[7]
비타리 비문에는 스칸다굽타가 아버지의 죽음 후 적들을 물리치고 가족의 "무너진 운"을 재건했으며, "눈에 기쁨의 눈물이 가득한" 어머니를 방문했다는 내용이 있다.[7] 비문에 언급된 적은 푸시야미트라스 또는 훈족으로 추정된다.
만쿠와르 불상에는 "대왕 쿠마라굽타 통치 129년" (서기 448년)이라고 새겨져 있으며, 제국 칭호인 ''마하라자디라자''("왕 중의 왕") 대신 봉신 칭호인 ''마하라자''(----, "대왕")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쿠마라굽타 1세가 통치 후반기에 푸시야미트라스나 훈족과의 싸움에서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뒷받침한다.[7]
하지만 쿠마라굽타 1세가 말년에 실제로 어려움을 겪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만쿠와르 비문의 작성자가 실수로 잘못된 칭호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7] 비타리 비문에 언급된 어려움은 쿠마라굽타 1세 사후 왕위 계승 분쟁으로 인한 내전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7]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비타리 비문에 묘사된 상황은 훈족의 침략 때문이었을 수 있다. 스칸다굽타가 서기 455년경 이전에 믈레차(외국인, 아마도 훈족)를 물리쳤다는 주나가드 비문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 스칸다굽타는 훈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변경으로 파견되었고, 쿠마라굽타 1세는 수도에서 사망하여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7]
쿠마라굽타 1세의 아들 스칸다굽타와 푸루굽타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7] 푸루굽타가 쿠마라굽타 1세 사망 당시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첩의 아들인 스칸다굽타가 왕위에 올랐을 수도 있다.[7] 스칸다굽타가 쿠마라굽타 1세의 뒤를 이었고, 푸루굽타가 그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이후 왕위를 계승했다.[7]
3. 쿠마라굽타 1세 시대의 비문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 기간에는 적어도 18개의 비문이 존재한다. 이 비문들은 굽타 왕족이 아닌 개인이 발행했으며, 대부분 종교적인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굽타 왕의 계보, 연대, 굽타 제국의 장소 위치, 왕실 관료의 이름 등 귀중한 역사적 정보를 제공한다.[14]벵골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굽타 비문은 쿠마라굽타의 통치 기간에 발행되었다.[14]
굽타 시대 117년, 쿠마라굽타 1세의 통치 기간에, 우타르프라데시 주, 곤다 지역의 카람단다에서 기원한 링가 헌정. 러크나우 박물관.
Khairatal에서 발견된 일부 압인 동전은 날개를 펼친 가루다와 ''Mahendraaditya''라는 명문을 묘사하고 있지만, 쿠마라굽타 1세나 다른 굽타 통치자가 발행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13]
참조
[1]
웹사이트
CNG Coin
https://www.cngcoins[...] [2]
서적
Catalogue of the coins of the Gupta dynasties
https://archive.org/[...]
1914
[3]
서적
Inscriptions Of The Early Gupta Kings And Their Successors
https://archive.org/[...]
1888
[4]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University of Calcutta
1972
[5]
웹사이트
Collections-Virtual Museum of Images and Sounds
https://vmis.in/Arch[...]
American Institute of Indian Studies
[6]
간행물
Shiva Temples and the journey of Shaivism out of Bharat
https://www.academia[...]
2021-01-01
[7]
서적
Inscriptions Of The Early Gupta Kings And Their Successors
https://archive.org/[...]
1960
[8]
서적
The Gupta Empi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97
[9]
웹사이트
Mankuwar Buddha Image Inscription of the Time of Kumaragupta I siddham
http://siddham.uk/in[...] [10]
서적
The Sculpture of India 3000 B.C.-1300 A.D.
https://www.nga.gov/[...]
National Gallery of Art
[11]
서적
The early history of India: from 600 B.C. to the Muhammadan conquest, including the invasion of Alexander the Great
https://archive.org/[...]
Oxford : Clarendon Press
[12]
서적
Ancient History Of Saurashtra
https://archive.org/[...]
1952
[13]
웹사이트
CNG Coins
https://www.cngcoins[...] [14]
서적
Inscriptions Of The Early Gupta Kings And Their Successors
https://archive.org/[...]
1888
[15]
웹사이트
Collections-Virtual Museum of Images and Sounds
https://vmis.in/Arch[...]
American Institute of Indian Studies
[16]
문서
"The Kaniṣka era in Gupta Records."
The Institute of Silk Road Studie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