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드 이븐 야햐 알발라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드 이븐 야햐 알발라두리(Ahmad ibn Yahya al-Baladhuri)는 9세기의 페르시아 출신 학자이자 역사가로, 아랍인의 기질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칼리프 알-무타와킬과 알-무스타인의 궁정에서 활동했으며 알-무타즈의 아들의 가정교사로도 일했다. 주요 저서로는 이슬람 제국의 정복 과정을 기록한 《푸투흐 알불단》(فتوح البلدان)과 아랍 귀족의 계보를 다룬 《안사브 알 아쉬라프》(أنساب الأشراف)가 있으며, 그의 저술은 초기 이슬람 제국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892년 기억력 향상제로 알려진 약물인 '발라두르'로 인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의 역사가 - 아부 알파라즈 알이스파하니
    아부 알파라즈 알이스파하니는 9세기 페르시아 출신의 아랍 학자이자 작가로, 《노래의 책》을 저술하여 아랍 시, 음악, 시인, 음악가에 대한 일화와 풍속을 기록했으며, 아랍 문학과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 아랍의 작가 - 알자히즈
    알자히즈는 9세기 이라크의 학자이자 작가로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지식을 갖추고 200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특히 《동물에 관한 책》에서 진화론과 유사한 사상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아랍의 작가 - 자비르 이븐 하이얀
    자비르 이븐 하이얀은 8~9세기경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연금술사이자 화학자, 약사, 천문학자, 철학자 등 다방면의 학자로, 그의 실존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자비르 학파' 저술은 중세 이슬람과 유럽의 연금술과 화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9세기 역사가 - 니타르두스
    9세기 카롤링거 왕조 시대의 니타르두스는 샤를마뉴 대제의 외손자이자 군사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이며, 퐁트누아 전투 참여와 스트라스부르크 서약 기록 참여, 그리고 《루트비히 경건왕의 아들들의 역사》 저술을 통해 프랑크 왕국의 분열 과정과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 9세기 역사가 - 증거자 테오파니스
    증거자 테오파니스는 비잔틴 제국의 귀족으로서 성상 숭배를 옹호하고 《증거자 테오파니스 연대기》를 저술했으며, 성상 파괴주의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사망했다.
아마드 이븐 야햐 알발라두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알-발라두리
출생일기원후 820년경
출생지바그다드, 아바스 왕조
사망일892년
사망지바그다드, 아바스 왕조
종교이슬람
종파수니파
관심 분야역사
시대이슬람 황금기 (아바스 왕조 시대)
지역메소포타미아
영향해당사항 없음
영향을 받은 인물해당사항 없음
민족해당사항 없음
주요 저서
저서키타브 푸투흐 알불단
안사브 알아슈라프

2. 생애

알발라두리는 페르시아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랍인의 기질을 지녔다고 전해진다.[14] 이븐 알나딤(Ibn al-Nadim)을 포함한 동시대인들은 그를 페르시아인으로 묘사했다.[5][6][7] 일각에서는 그가 바그다드에서 대부분의 생애를 보냈다는 점을 근거로 아랍계 혈통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7][8] 알발라두리는 페르시아어를 구사하고 페르시아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등 페르시아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8] 마수디(Masudi)는 알발라두리가 아랍인이 아닌 민족주의 슈우비야(Shu'ubiyya)를 비난하는 것을 거부한 그의 저서 중 하나를 언급한다.[2] 그는 아랍인에게 공감대를 가진 최초의 페르시아 학자는 아니며, 이븐 쿠타이바(Ibn Qutayba)와 같은 동시대 학자들 또한 슈우비야의 강력한 반대자였다.[9]

그는 칼리프 알-무타와킬과 알-무스타인의 궁정에서 생활했으며, 알-무타즈의 아들의 가정교사였다. 892년 ''발라두르''(baladhur)라는 약물로 인해 사망했는데,[2] 이 약물은 기억력 향상제로 알려진 ''아나카르디움 세미카르푸스''였다.[10]

2. 1. 출생 및 배경

알발라두리는 페르시아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랍인의 기질을 지녔다고 전해진다.[14] 이븐 알나딤(Ibn al-Nadim)을 포함한 동시대인들은 그를 페르시아인으로 묘사했다.[5][6][7] 일각에서는 그가 바그다드에서 대부분의 생애를 보냈다는 점을 근거로 아랍계 혈통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7][8] 알발라두리는 페르시아어를 구사하고 페르시아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등 페르시아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8] 마수디(Masudi)는 알발라두리가 아랍인이 아닌 민족주의 슈우비야(Shu'ubiyya)를 비난하는 것을 거부한 그의 저서 중 하나를 언급한다.[2] 그는 아랍인에게 공감대를 가진 최초의 페르시아 학자는 아니며, 이븐 쿠타이바(Ibn Qutayba)와 같은 동시대 학자들 또한 슈우비야의 강력한 반대자였다.[9]

그는 칼리프 알-무타와킬과 알-무스타인의 궁정에서 생활했으며, 알-무타즈의 아들의 가정교사였다. 892년 ''발라두르''(baladhur)라는 약물로 인해 사망했는데,[2] 이 약물은 기억력 향상제로 알려진 ''아나카르디움 세미카르푸스''였다.[10]

2. 2. 궁정 생활 및 사망

알발라두리는 페르시아인으로 알려져 있으나,[5][6][7] 아랍인의 기질을 타고난 것으로 보인다.[14] 바그다드에서 대부분의 생애를 보냈으며,[7][8] 페르시아어를 구사하고 페르시아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기도 했다.[8] 그는 칼리프 알-무타와킬과 알-무스타인의 궁정에서 생활했으며,[2] 알-무타즈 아들의 스승이었다.[2] 마수디(Masudi)에 따르면, 알발라두리는 아랍인이 아닌 민족주의 슈우비야(Shu'ubiyya)를 비난하는 것을 거부한 저서를 남겼다고 한다.[2]

892년, 알발라두리는 '발라두르'(baladhur)라는 약물을 복용한 후 사망했다.[2] 이 약물은 ''아나카르디움 세미카르푸스''로, '마킹 너트'라고도 불리며, 중세 아랍 및 유대인 작가들은 이를 기억력 향상제로 묘사했다.[10] '발라두르'라는 약물명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

3. 저술

알발라두리의 저서 중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것은 《푸투흐 알불단》(فتوح البلدان), "정복지에 관하여"( "Book of the Conquests of Lands")이며, 필립 히티가 1916년, 1924년에 영역했다. 이 책은 아라비아반도에서 이집트, 북아프리카, 스페인, 이라크에 이르는 정복사에 대해 기록했다.[15]

작품성과 방대함 때문에 후대인들이 그의 작품을 많이 인용했다. 《안사브 알 아쉬라프》(أنساب الأشراف, "귀족의 혈통")라는 책도 있는데, 이는 자서전적인 것으로 아랍 귀족에 대해 무함마드를 시작으로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에 대해서도 기록했다. 귀족의 혈통은 아랍 귀족들에 대한 미화도 있지만, 그들의 혈통적 폐쇄성과 현실성 같은 부분도 나타나는 작품이다. 대부분 칼리파의 통치와 역사에 대해 다루었다.[15]

그의 주요 현존하는 저작은 더 긴 역사서의 요약본인 ''푸투흐 알불단''(فتوح البلدان), "토지 정복의 책"으로, 필립 히티 (1916)와 프랜시스 클라크 머고튼 (1924)이 ''이슬람 국가의 기원''에서 번역했다. 이 책은 7세기부터 아랍인들의 전쟁과 정복, 그리고 정복된 영토의 주민들과 맺은 조약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아라비아에서 서쪽으로는 이집트, 북아프리카, 스페인, 동쪽으로는 이라크, 이란, 신드까지의 토지 정복을 다룬다.[11]

그의 역사서는 후대 작가들에게 널리 사용되었다. ''안사브 알 아쉬라프''(أنساب الأشراف, "귀족의 계보") 역시 현존하며, 무함마드와 그의 동시대인부터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에 이르기까지 아랍 귀족을 대상으로 한 계보 순서의 전기적 저작이다. 여기에는 통치자들의 치세에 대한 역사가 포함되어 있다.[11]

그의 강력한 왕조의 흥망성쇠에 대한 논의는 정치적 교훈을 제공한다. 방법론에 대한 그의 논평은 정확성에 대한 주장을 제외하고는 드물다.[12]

3. 1. 《정복지들의 책》(Futūḥ al-Buldān)

알발라두리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푸투흐 알불단》(فتوح البلدان)은 7세기부터 시작된 이슬람 제국의 정복 과정을 상세히 기록한 책이다.[11]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는 이집트, 북아프리카, 스페인, 동쪽으로는 이라크, 이란, 신드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의 정복 과정을 다루고 있다.[15][11] 정복된 지역의 주민들과 맺은 조약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11]

이 책은 후대 작가들에게 널리 사용되었으며,[11] 필립 히티(Philip Hitti)가 1916년에, 프랜시스 클라크 머고튼(Francis Clark Murgotten)이 1924년에 《이슬람 국가의 기원》이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했다.[15][11]

3. 2. 《귀족의 계보》(Ansāb al-Ashrāf)

《'''귀족의 계보'''》(안사브 알 아쉬라프/أنساب الأشرافar)는 알발라두리의 전기적 저작으로, 무함마드와 그의 동시대인부터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에 이르기까지 아랍 귀족의 계보를 다루고 있다.[11] 칼리파 통치 시기의 역사도 포함하고 있다.[15][11]

아랍 귀족에 대한 미화뿐만 아니라 그들의 혈통적 폐쇄성과 현실성에 대한 내용도 담겨 있다.[15] 그의 강력한 왕조의 흥망성쇠에 대한 논의는 정치적 교훈을 제공한다. 방법론에 대한 그의 논평은 정확성에 대한 주장을 제외하고는 드물다.[12]

3. 3. 역사적 의의 및 영향

알발라두리의 저서는 후대 역사가들에게 널리 인용되었으며, 초기 이슬람 제국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15][11] 그의 대표작 ''푸투흐 알불단''(فتوح البلدان)은 "토지 정복의 책"으로 번역되며, 7세기부터 아랍인들의 전쟁과 정복, 정복된 영토의 주민들과 맺은 조약에 대해 다루고 있다.[11] 이 책은 아라비아에서 서쪽으로는 이집트, 북아프리카, 스페인, 동쪽으로는 이라크, 이란, 신드까지의 토지 정복을 다룬다.[11]

''안사브 알 아쉬라프''(أنساب الأشراف, "귀족의 계보")는 무함마드와 그의 동시대인부터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에 이르기까지 아랍 귀족을 대상으로 한 전기적 저작이다.[11] 여기에는 통치자들의 치세에 대한 역사가 포함되어 있다.[11]

알발라두리는 자신의 저술에서 강력한 왕조의 흥망성쇠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정확성을 추구했음을 강조했다.[12]

4. 평가

참조

[1] 문서 Translation of Futuh al-Buldan by Hitti
[2] EB1911 Balādhurī
[3] 웹사이트 Salaam Knowledge http://www.salaam.co[...]
[4] 웹사이트 Answering-Ansar.org :: Fadak; The property of Fatima al-Zahra [as] http://www.answering[...]
[5]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Islam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6
[6] 서적 Non-Muslim Provinces under Early Islam: Islamic Rule and Iranian Legitimacy in Armenia and Caucasian Alban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7] 서적 Historians of the Islamic World: Selected Entries from Encyclopaedia of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EWI Press 2013
[8] 웹사이트 BALĀḎORĪ http://www.iranicaon[...] Encyclopedia Iranica 2016-11-22
[9] 서적 In God's path: the Arab conquests and the creation of an Islamic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0] 웹사이트 Bos, Gerrit: " 'Baladhur' (Marking-Nut): A Popular Medieval Drug for Strengthening Memory",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Vol. 59, No. 2 (1996), pp. 229–236 https://www.jstor.or[...]
[11] 문서 "Balādhurī, al-."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12] 웹사이트 Baladhuri, Ahmad ibn Yahya al-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www.oxfordisl[...] 2020-05-10
[13] 웨이백 The Columbia Encyclopedia http://www.bartleb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05
[14] 웹사이트 Bos, Gerrit: " 'Baladhur' (Marking-Nut): A Popular Medieval Drug for Strengthening Memory",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Vol. 59, No. 2 (1996), pp. 229-236 http://links.jstor.o[...]
[15] 문서 "Balādhurī, al-."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