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네스테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네스테우스는 아테네의 전설적인 왕으로, 테세우스가 지하세계로 간 틈을 타 왕이 되었으며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50척의 배를 이끌고 트로이에 갔으며, 전쟁 중 사망했거나 트로이 함락 후 멜로스 섬의 왕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일리아스에서는 뛰어난 군대 배치 능력을 보였지만, 전투에서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트로이 목마에 참여했으며, 사후에는 테세우스의 아들 데모폰에게 왕위가 돌아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테네의 왕 - 에렉테우스
    에렉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테네의 왕으로, 아테나와 포세이돈의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에레크테이온 신전과 관련이 깊다.
  • 아테네의 왕 - 테세우스
    테세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테나이의 영웅이자 왕으로, 미노타우로스 퇴치, 아마존과의 전쟁 등 영웅담을 남겼으며 아테나이의 중앙 집권화를 이룩하고 민주주의와 예술을 융성시킨 인물이지만 여성 납치 등 부정적인 면모도 있는 인물이다.
  • 트로이아 전쟁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 트로이아 전쟁 - 일리아스
    《일리아스》는 호메로스에 의해 쓰여진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로, 트로이 전쟁 막바지를 배경으로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과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메네스테우스

2. 가계

메네스테우스는 아테네의 초기 왕 페테우스의 아들이자, 오르네우스의 손자이며, 에레크테우스의 증손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폴릭세네 또는 므네시마케였다.[4]

2. 1. 혈통

메네스테우스는 아테네의 초기 왕 중 한 명인 페테우스의 아들이자,[2] 오르네우스의 손자[3], 에레크테우스의 증손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폴릭세네 또는 므네시마케라고 불렸다.[4]

호메로스서사시일리아스』에서는 종종 "페테오스의 아들 메네스테우스"라고 불린다.[17][18][19][20][21] 아버지 페테오스는 아테나이의 옛 왕 에레크테우스를 조부로 둔 인물로, 에레크테우스의 아들 오르네우스의 아들로 전해진다.[22][23]

일설에 따르면, 페테오스는 이집트 출신이며, 이중적인 본성과 국적을 가진 인물로 여겨졌다.[24] 페테오스는 테세우스의 아버지 아이게우스에 의해 아테나이에서 추방당해, 아티카 지방 동해안 남부의 스티리아 주민들을 이끌고 포키스 지방으로 이주했다.[25]

2. 2. 가족 관계

메네스테우스는 아테네의 초기 왕 중 한 명인 페테우스의 아들이자[2], 오르네우스의 손자[3], 에레크테우스의 증손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폴릭세네 또는 므네시마케라고 불렸다.[4] 호메로스서사시일리아스』에서 "페테오스의 아들 메네스테우스"라고 불린다.[17][18][19][20][21] 아버지 페테오스는 아테나이의 옛 왕 에레크테우스를 조부로 둔 인물로, 에레크테우스의 아들 오르네우스의 아들로 전해진다.[22][23]

3. 생애와 업적

메네스테우스는 아테네의 전설적인 왕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가한 인물이다. 테세우스가 지하세계로 여행을 떠난 사이 디오스쿠로이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일리아스''에 따르면, 메네스테우스는 전차와 방패를 든 전사를 전투 대열에 배치하는 데 능숙했으며, 네스토르만이 그와 견줄 수 있었다.[7] 헤로도토스는 아테네인들이 시라쿠사의 독재자 겔론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때, 메네스테우스를 '트로이로 가서 군대를 소집하고 정렬할 최고의 인물'로 언급했다고 기록했다.[8] 그는 트로이의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으며,[5] 50척의 검은 배를 이끌고 트로이로 향했다.[6]

그러나 그는 전투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아가멤논이 군대를 사열할 때 메네스테우스를 뒷줄에서 전투를 피하는 듯한 모습으로 발견했고,[9] 사르페돈의 공격에는 텔라몬의 아이아스와 테우케르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10]

메네스테우스는 트로이 목마에 탔던 전사 중 한 명이었다.[11] 트로이 함락 후, 그는 미마스를 거쳐 멜로스로 가서 왕이 되었다.[12] 메네스테우스가 죽은 후, 아테네 왕위는 테세우스의 아들 데모폰에게 돌아갔다.[13]

3. 1. 왕위 계승

테세우스헬레네를 납치하고 페르세포네를 빼앗으려다 저승에 갇히면서 아테네는 장기간 통치자가 없는 상태가 되었다.[22]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메네스테우스는 테세우스의 도시 집주 정책(쉬노이키스모스)에 반감을 품은 유력자들을 선동하고, 디오스쿠로이의 아테네 진군을 이용하여 반(反) 테세우스 기운을 조성했다. 아테네인들은 헬레네의 행방을 몰랐으나, 아카데모스가 디오스쿠로이에게 헬레네가 아피도나이에 있다고 알려주었다. 디오스쿠로이는 아피도나이를 파괴하고 헬레네를 탈환했고, 메네스테우스는 이들을 두려워하는 민중을 설득하여 아테네에 입성시켰다.[26]

파우사니아스는 디오스쿠로이가 아피도나이를 침공하여 헬레네를 탈환한 후, 메네스테우스를 아테네 왕으로 복위시켰다고 한다.[27] 테세우스의 아들 아카마스데모폰은 에우보이아 섬의 왕 엘레페노르에게 망명했지만, 메네스테우스는 이들을 방치했다. 그는 테세우스 귀환에 대비해 민중의 지지를 얻는 정치를 펼쳤고, 테세우스가 귀국하자 그를 스퀴로스 섬으로 추방했다.[28]

아폴로도로스는 디오스쿠로이가 아테네를 공략하여 헬레네를 탈환하고 메네스테우스를 왕위에 앉혔으며, 아카마스와 데모폰은 망명했다고 간결하게 기술한다.[29] 테세우스 귀국 후, 메네스테우스는 그를 스퀴로스 섬으로 추방했다.[30]

플루타르코스는 메네스테우스가 테세우스 사후에 왕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테세우스는 귀국 후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리코메데스에게 살해되었는데, 당시에는 아무도 이 죽음을 문제 삼지 않아 메네스테우스가 왕위에 올랐다는 것이다.[31]

3. 2. 트로이 전쟁

메네스테우스는 트로이 전쟁에 참가한 아테네의 전설적인 왕이다. 테세우스가 지하세계로 간 사이, 디오스쿠로이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그는 50척의 배를 이끌고 트로이아로 향했지만, 전투에서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6]

아가멤논이 군대를 사열할 때 메네스테우스는 후방에서 전투를 회피하는 듯한 모습으로 발견되었고,[9] 사르페돈의 공격에는 텔라몬의 아이아스와 테우케르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10]

''일리아스''에 따르면, 메네스테우스는 전차와 방패를 든 전사를 전투 대열에 배치하는 데 능숙했으며, 네스토르만이 그와 견줄 수 있었다.[7] 헤로도토스는 아테네인들이 시라쿠사의 독재자 겔론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때, 메네스테우스를 '트로이로 가서 군대를 소집하고 정렬할 최고의 인물'로 언급했다고 기록했다.[8]

크레테의 딕튀스에 따르면, 트로이아에 상륙한 그리스 군의 배치를 담당한 것은 메네스테우스였다.[37] 프뤼기아의 다레스에 따르면, 메네스테우스는 전쟁 초기에 헥토르에게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38]

그리스 군 방벽이 리키아 군의 공격을 받았을 때, 메네스테우스는 대 아이아스, 소 아이아스, 테우크로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아테네 군은 적에게 밀리고 있었지만, 대 아이아스와 테우크로스의 활약으로 글라우코스를 물리칠 수 있었다. 그러나 사르페돈헥토르는 막지 못해 방벽 내 침입을 허용했다.[39]

메네스테우스는 트로이 목마에 탑승한 전사 중 한 명이었다.[11] 트로이 함락 후, 그는 미마스를 거쳐 멜로스로 가서 왕이 되었다.[12]

3. 3. 귀환과 죽음

테세우스가 지하세계로 여행을 갔을 때 디오스쿠리에 의해 왕으로 세워졌던 메네스테우스는 그가 돌아왔을 때 도시에서 탈출하였다. 그는 50척의 흑함을 거느리고 트로이아로 갔지만, 전쟁에서 용맹하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아가멤논이 군대를 사열했을 때, 그는 메네스테우스를 뒷줄에서 전투를 피하는 듯한 모습으로 발견했다.[9] 나중에 사르페돈이 그가 담당하는 그리스 성벽 부분을 공격했을 때, 메네스테우스는 떨면서 텔라몬의 아이아스와 테우케르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10]

메네스테우스는 트로이 목마에 탔던 전사 중 한 명이었다.[11] 트로이아 전쟁 중에 죽었다고도 하고, 다른 전설에는 트로이가 약탈된 후에 미마스로 갔다가 멜로스로 가서 왕이 되었다고도 한다.[12]

메네스테우스가 죽자 아테네는 테세우스의 가족에게로 돌아갔고, 테세우스의 막내 아들 데모폰이 왕위에 올랐다.[13] 전후, 메네스테우스는 헬레네의 시녀로 섬기던 테세우스의 어머니인 아이트라, 클뤼메네와 함께 귀국하여 그 후에도 아테네를 지배했지만,[42] 사망 후에는 테세우스의 후손에게 왕권이 넘어갔다.[43] 다른 설에 따르면, 전후 멜로스 섬으로 가서 폴리우아낙스 왕의 죽음 후에 왕이 되었다. 혹은 남부 이탈리아의 스퀼라키온을 건설했다고도 전해진다.[44]

4. 평가

메네스테우스는 트로이의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으며,[5] 트로이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50척의 검은 배"를 트로이로 가져갔다.[6] ''일리아스''에 따르면, 메네스테우스보다 전차와 방패를 든 전사를 전투 대열에 더 잘 배치할 수 있는 사람은 없으며, 단지 네스토르만이 그와 견줄 수 있었다고 한다.[7] 헤로도토스에서는 아테네인이 시라쿠사의 독재자 겔론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보냈을 때, 그를 '트로이로 가서 군대를 소집하고 정렬할 최고의 인물'로 언급했다.[8]

그러나 그는 용맹하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아가멤논이 군대를 사열했을 때, 그는 메네스테우스를 뒷줄에서 전투를 피하는 듯한 모습으로 발견했다.[9] 나중에 사르페돈이 그가 담당하는 그리스 성벽 부분을 공격했을 때, 메네스테우스는 떨면서 텔라몬의 아이아스와 테우케르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10]

5. 기타

4068 메네스테우스는 목성 궤도를 횡단하는 소행성이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2] 서적 Pausanias
[3] 웹사이트 Orneiai https://topostext.or[...]
[4] 서적 Allegories of the Iliad Dumbarton Oaks Medieval Library
[5] 서적 Apollodorus
[6] 서적 Iliad
[7] 서적 Iliad
[8] 서적 Herodotus
[9] 서적 Iliad
[10] 서적 Iliad
[11] 서적 Quintus Smyrnaeus
[12] 서적 Apollodorus
[13] 서적 Theseus
[14] 서적 ヘーシオドス断片
[15] 서적 ヒュギーヌス
[16] 서적 『イーリアス』
[17] 서적 『イーリアス』
[18] 서적 『イーリアス』
[19] 서적 『イーリアス』
[20] 서적 『イーリアス』
[21]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22] 서적 テーセウス伝
[23] 서적 パウサニアース
[24] 서적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
[25] 서적 パウサニアース
[26] 서적 テーセウス伝
[27] 서적 パウサニアース
[28] 서적 パウサニアース
[29]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30]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31] 서적 テーセウス伝
[32] 서적 ヘーシオドス断片
[33]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34] 서적 ヒュギーヌス
[35] 서적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
[36] 문서 プリュギアのダーレス、14。
[37] 문서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2巻36。
[38] 문서 プリュギアのダーレス、19。
[39] 서적 『イーリアス』12巻328行以下。
[40] 서적 『イーリアス』13巻195行以下。
[41] 서적 『イーリアス』13巻685行以下。
[42] 문서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6巻2。
[43]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3・3。
[44]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