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골어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몽골어족 언어이다. 음운론은 6개의 모음 체계와 23개의 자음을 가지며, 겹홀소리도 존재한다. 역사적으로는 페르시아 문자를 변형하여 기록되었으며, 이슬람 텍스트, 시, 문법서 등이 존재한다. 문법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명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 전치사, 부사, 접속사로 구성되며, 대명사, 수사 등에서 특징적인 어형 변화를 보인다. 모골어 텍스트 예시는 시인 압드 알-카디르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IPA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IPA - 몽골어
몽골어는 몽골의 공용어이자 내몽골 자치구의 공식 지방 언어로, 몽골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 다양한 방언, 모음조화, 교착어적 특징, SOV 어순 등을 가진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모골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모골어 |
다른 이름 | 모골리어 |
사용 국가 | 아프가니스탄 |
사용 지역 | 헤라트 주 |
사용자 | 모골족 |
화자 수 | 200명 (2003년) |
소멸 시기 | 1982년 이후 |
언어 계통 | 몽골어족 |
문자 | 페르시아 문자 |
고유 이름 | مُغُلی |
ISO 639-3 | mhj |
Glottolog | mogh1245 |
Glottolog 참조 | Mogholi |
언어 생존력 | 심각 |
2. 음운
모골어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음운, 형태, 문법이 변화하여 중앙아시아의 크리올이라고도 불린다.[9] 모골어는 6개의 홀소리(모음)와 23개의 닿소리(자음)를 가지고 있다. /ɦ/는 유성음 [ɦ]과 무성음 [h] 사이에서 소리난다.[3]
2. 1. 홀소리 (모음)
모골어의 음운론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모골어는 길이 대립이 없는 6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3]2. 1. 1. 홑홀소리 (단모음)
모골어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길이 대립이 없는 6개의 홑홀소리(단모음) 체계(/i/, /e/, /a/, /u/, /o/, /ɔ/)를 가지고 있다.[3]2. 1. 2. 겹홀소리 (이중모음)
모골어에는 /iu, ɪu, ɛu, au/와 같은 겹홀소리(이중모음)가 있다.2. 2. 닿소리 (자음)
모골어는 23개의 닿소리(자음)를 가지고 있다. 다음은 모골어의 닿소리 체계이다.
역사적으로 모골어는 페르소아랍 문자의 변형된 버전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4] 현존하는 모골어 문헌에는 이슬람 텍스트, 시, 모골-페르시아어 어휘집, 모골어 문법 등이 포함되었다.[5]
모골어 문법은 페르시아어의 상당한 영향을 보여주며, 다른 몽골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품사까지 차용했다. 품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 전치사, 부사, 접속사로 구성된다.[8]
모골어의 어휘는 다른 몽골어족 언어들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독자적인 특징도 가지고 있다.
/ɦ/는 유성음 [ɦ]과 무성음 [h] 사이에서 소리난다.[3]
3. 문자
ح چ ج ث ت پ ب ا ش س ژ ز ر ذ د خ ق ف غ ع ظ ط ض ص ی و ه ن م ل گ ك
4. 문법
명사는 수와 격을 표시한다. 동사는 인칭, 수, 시제-상, 법을 표시한다. 형용사는 페르시아어 접미사 -''tar''와 -''tariin''을 사용하여 비교급과 최상급으로 굴절되지만, 수와 격으로는 굴절되지 않는다.[8] 음운, 형태와 함께 문법이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이 때문에 중앙아시아의 크리올이라고도 한다.[9]
5. 어휘
모골어의 수사는 Janhunen(2003)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3]모골어 원시 몽골어[6] 현대 몽골어 1 nikah ~ nika/n *nike/n neg 2 qeyår ~ qiar *koxar ~ *koyar khoyor 3 ghorbån ~ qurban *gurba/n gurav 4 dorbån ~ durba/n *dörbe/n döröv 5 tåbun ~ tabun *tabu/n tav 6 åsun ~ essun ~ jurghan ~ shish *jirguxa/n zurgaa 7 dålån ~ húft *doluxa/n doloo 8 sålån ~ húshtu *na(y)ima/n naym 9 tåsån ~ no *yersü/n yös 10 arbån ~ arban ~ dá *xarba/n arav
5. 1. 대명사
모골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3]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 | bi | bidah ~ bidat (포괄적), mån (배타적) |
2인칭 | ci | tå ~ tåd |
3인칭 | i ~ ih | tid ~ tit |
- inah ~ enah ‘이것’
- inat ~ enad ‘이것들’
- mun ~ munah ‘저것’
- munat ~ mutah ~ mutat ‘저것들’
의문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3]
- emah ~ imah ~ imas ‘무엇’
- ken ~ kiyan ‘누구’
- kenaiki ‘누구의’
- emadu ~ imadu ~ emaji ~ imaji ~ emagalah ‘왜’
- emaula- ‘무엇을 하다’
- ked ~ keddu ‘얼마나’
- keja ‘언제’
- oshtin ‘어떻게’
재귀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3]
- orin ‘자신’
- orindu-nah ‘스스로에게’
- usa-nah ‘자신’
5. 2. 수사
모골어의 숫자는 Janhunen(2003)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3]모골어 | 원시 몽골어[6] | 현대 몽골어 | |
---|---|---|---|
1 | nikah ~ nika/n | *nike/n | neg |
2 | qeyår ~ qiar | *koxar ~ *koyar | khoyor |
3 | ghorbån ~ qurban | *gurba/n | gurav |
4 | dorbån ~ durba/n | *dörbe/n | döröv |
5 | tåbun ~ tabun | *tabu/n | tav |
6 | åsun ~ essun ~ jurghan ~ shish | *jirguxa/n | zurgaa |
7 | dålån ~ húft | *doluxa/n | doloo |
8 | sålån ~ húshtu | *na(y)ima/n | naym |
9 | tåsån ~ no | *yersü/n | yös |
10 | arbån ~ arban ~ dá | *xarba/n | arav |
6. 예시
모골족 시인 압드 알-카디르가 쓴 시를 통해 모골어 텍스트와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바이러스가 기록한 시이다.
모골어 텍스트 | 영어 번역 |
---|---|
{{lang|mhj|Dotanamni dog baina | 내 마음속에 상처가 있네 |
압드 알-카디르가 아랍 문자로 쓴 또 다른 모골 시 또는 노래는 다음과 같다.
모골어 텍스트 | 영어 번역 |
---|---|
{{lang|mhj|Argun-i kulkah utalat Cingiz kulkah ulu’at | 옛 아르군의 주님, 왕 중의 왕 칭기즈 칸 |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8-01-01
[2]
웹사이트
Language of Speaking in Afghanistan
http://www.asiafront[...]
n.d.
[3]
논문
Moghol
Routledge
2003
[4]
웹사이트
Mogholi alphabet
https://www.omniglot[...]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6]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2003
[7]
웹사이트
http://www.ethnologu[...]
[8]
웹사이트
http://www.asiafront[...]
[9]
논문
Moghol
Routledge
2003
[10]
논문
Moghol
Routledge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