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트리올의 통근 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트리올의 통근 열차는 1836년 몬트리올 섬 남쪽에서 처음 운행을 시작하여, 캐나다 최초의 철도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 1950년대부터 쇠퇴기를 겪었지만, 1976년 이후 퀘벡 주 정부의 지원과 몬트리올 도시공동체 교통공사의 운영으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현재 엑소(Exo)에서 보드뢰이유-허드슨선, 생제롬선, 몽생틸레르선, 칸디악선, 마스쿠시선 등 5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요금은 구역별로 차등 적용된다. 엑소는 몬트리올 통근 열차의 운영, 유지 보수, 인건비를 부담하며, 승객 운임 외에는 지자체, 주 정부 지원금, 유류세 등으로 운영 비용을 충당한다. 2017년에는 2000만 명이 넘는 승객을 수송했으며, 2018년에는 엑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엑소는 디젤, 바이모달, 전기 기관차 등 다양한 종류의 기관차와 객차를 운행하며, 노선 확장을 위한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주의 교통 - 퀘벡 장 르사주 국제공항
    퀘벡 장 르사주 국제공항은 캐나다 퀘벡주 퀘벡 시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39년 개항하여 앙시엔느 로레트 공항, 생트푸아 공항을 거쳐 199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터미널 확장 및 현대화를 통해 연간 16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하고 몬트리올, 토론토, 푼타 카나, 칸쿤 등의 노선을 운영한다.
  • 퀘벡주의 교통 - 롱괴유 터미널
    롱괴유 터미널은 몬트리올 지하철 노란색 선의 롱괴유-위니베르시테 드 셰르브루크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롱괴유 교통망 버스, 엑소 광역 버스, 올레앙 엑스프레스, 그레이하운드, 리모카, 애디론댁 트레일웨이즈 등의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몬트리올의 교통 - 몬트리올 교통공사
    몬트리올 교통공사(STM)는 2002년 설립된 몬트리올의 대중교통 공기업으로, 4개의 지하철 노선과 200개 이상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통합 요금제와 오퍼스 카드를 사용하고, 휠체어 접근성을 제공하며 2025년까지 모든 버스를 전기 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 몬트리올의 교통 - 엑소 (대중교통)
    엑소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광역권의 통근 철도 및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역 교통망 운영 기관으로, 1995년 설립된 AMT의 후신이며, 2017년 RTM으로 변경 후 2018년 Exo 브랜드를 도입하여 몬트리올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 역할을 한다.
몬트리올의 통근 열차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체계명몬트리올의 통근 열차
체계명 (프랑스어)Trains de banlieue de Montréal
보드뢰이유-도리옹선 열차
보드뢰이유-도리옹선 열차
종류통근철도
운행 지역광역 몬트리올 지역
소유자캐나다 내셔널 철도
캐나다 태평양 철도
엑소
운영자엑소
노선 수5
역 수51
일일 이용자 수 (2018년 3/4분기)71,300
연간 이용자 수 (2017년)20,314,800
공식 웹사이트엑소 홈페이지
개업일1887년 (캐나다 태평양 철도)
1996년 1월 1일 (몬트리올 광역교통공사 (AMT))
차량 수기관차 41대
여객 차량 206량
영업 거리254.5 km
궤간1,435 mm (표준궤)
몬트리올 통근 열차 노선도
몬트리올 통근 열차 노선도

2. 역사

2. 1. 초창기 (1836년 ~ 1918년)

캐나다 최초의 철도는 1836년 캐나다의 대도시였던 몬트리올 섬 남쪽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이 당시 몬트리올은 캐나다의 철도 중심지였고 철도 회사들도 이곳에 본사를 세웠다. 10년 뒤 몬트리올과 라신 철도 (Montreal and Lachine Railroad)가 몬트리올섬에 처음으로 철도를 놓았는데, 이 철도는 오늘날 존재하지 않지만 보나방튀르역과 라신을 잇는 13km 구간 철도로 몬트리올 최초의 교외 지역 철도로 여겨진다.[3][4]

1880년대, 몬트리올섬 남쪽 연선을 따라 토론토로 이어지는 그랜드 트렁크 철도 (GTR) 연선을 따라 발전의 흐름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1887년, 캐나다 동쪽에서 태평양까지 처음으로 철도로 연결한 회사인 캐나다 태평양 철도가 보드뢰이유 방면으로 GTR 노선과 나란히 달리는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Lakeshore West) 을 개통하였다. CP는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한 차례씩 통근 열차를 운행하였으며[5] 1893년에는 해당 노선이 리고까지 이어졌다. 새로운 경쟁에 맞서 GTR은 1896년에 통근 열차를 기존 도르발에서 보드뢰이유까지 연장하였다. 여름 기간에만 운행하였던 섬 서쪽의 철도역은 통근 열차가 연중 운행하게 되었다.[4] 이와 동시에 1880년에는 생티야생트,[4] 1882년 생트테레즈,[6] 1887년 파넘,[7] 1890년 밸리필드에 이어 1916년에는 그란비까지 통근 열차가 운행하였다.[8]

1918년 10월 21일, 두몽타뉴선이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전철화되었다. 캐나다 북부 철도가 몽루아얄 지하로 시내의 몬트리올 상트랄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을 지었는데 이를 짓기 위해 터널 북쪽에 통근열차 노선 근처에 뉴타운인 몽루아얄을 개발하였다.[9] 이 노선은 1923년 캐나다 내셔널 철도가 인수하였고 25년에는 생퇴스타슈까지 이어졌다. 1945년에는 CN이 엉식과 몽레알노르로 이어지는 자그마한 지선을 지어 몬트리올의 통근 열차망이 하나둘씩 형성되었다.[5]

2. 2. 쇠퇴기 (1950년대 ~ 1970년대)

1950년대부터 요금이 오르고 다른 교통 수단과 연계가 제대로 되지 않는 데다가 자동차가 보편화되고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몬트리올의 철도는 점차 쇠락하였다.[5] 1976년 이전에는 통근 열차가 과거의 산물로만 여겨져서 정부 지원을 받지 못했다.[5] 통근 열차가 수입이 나지 않으면서 기존 철도 회사가 맡던 통근 열차 노선은 하나둘씩 운행을 중단하였다.[5]

몬트리올과 남부 군 열차 (Montreal and Southern Counties Railway)의 그란비 방면 열차가 1956년에 운행이 중단되었고 CN의 보드뢰이유 방면 열차와 뉴욕 센트럴 철도의 밸리필드 방면 열차도 1961년에 운행을 중단하였다.[10] 1968년 11월 8일에는 지하철 개통에 따른 승객 흡수로 몽레알노르행 통근 열차도 운행을 중단하였다.[5] 이후 1980년에는 CP의 파넘행 열차, 82년에는 생트테레즈행 열차가 운행을 중단하였고,[5] 1968년에 생티야생트에서 몽생틸레르로 단축 운행한 CN 열차는 1988년 9월 9일에 운행을 중단하였다.[8]

1974년, 몬트리올 지역의 교통 계획을 수립하는 몬트리올 지역 교통 위원회 (Comité des transport de la région de Montréal, CTRM)는 몬트리올 지역과 곧 개업할 몬트리올 미라벨 국제공항을 이을 공항 철도를 설계하게 되었고 몬트리올-미라벨 공항 광역 급행 철도 (Transport rapide régionale aéroportunaire Montréal-Mirabel, TRRAMM)를 제안하였다.[11] 1981년에 개통을 목표로 한 5억 달러 규모의 공항 철도는 지어지지 못하였지만 통근 열차를 다시 운행하는 방안은 다시 수면에 올랐고 관계 당국은 GO 트랜싯과 같은 몬트리올 지역의 광역 통근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기관이 필요함을 깨달았다.[12][13]

2. 3. 운행 재개 (1976년 ~ 2017년)

1976년, 퀘벡 주정부는 치솟는 공사비로 인해 지하철과 고속도로 연장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다. 퀘벡 주정부는 1979년에 파리의 고속 교외 철도, 샌프란시스코BART, 애틀랜타MARTA와 같이 기존 철도를 광역 전철로 전환하여 운행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5] 그러나 몬트리올 도시공동체는 이 계획을 호의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고, 1990년대 초까지 다양한 계획이 나왔지만 실행되지 않았다.[5]

1982년, 몬트리올 도시공동체 교통공사 (CTCUM)는 CN의 두몽타뉴 선과 CP의 리고 선의 운행을 맡게 되었다.[8] 1980년대 말, 요금 통합과 시와 주 정부의 투자 확대로 승객 수가 증가하면서 몬트리올의 통근 열차는 재기에 성공하였다.[5]

1990년 여름, 오카 사건 당시 오노레 메르시에 다리가 폐쇄되면서 상트랄역과 생티시도르까지 임시 열차가 운행하였다. 1997년, 몬트리올 광역교통기구 (AMT)가 설립되어 CTCUM으로부터 통근열차 운영권을 넘겨받았다.[4] 같은 해 5월 12일, 장 탈롱 구 철도역에서 블랭빌까지 통근 열차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1999년에는 루시앙 랄리에역까지 연장되었다.[4] 2000년에는 몽생틸레르와 델슨으로 이어지는 통근 열차 노선이 운행을 시작하였다.[4] 레팡티니 주민들의 유치 운동으로 섬 동쪽에도 통근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으나, 마스쿠시선 열차 개통은 정치 공방과 예산 초과로 2014년까지 지연되었다.[4]

2017년 6월 1일, 몬트리올 광역교통공사 (RTM)가 AMT와 몬트리올의 STM, 롱괴이의 RTL, 라발의 STL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교통을 맡게 되었다. 2018년 5월 23일, 이 기관의 명칭은 엑소로 변경되었다.

2. 4. 현대화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부터 AMT는 기존 역을 보수하고 신차는 물론 전철화에 대비하여 바이모달 기관차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두몽타뉴선을 제외하고 보유하고 있는 노선이 없기 때문에 화물 열차와 운행 시간대와 노선을 조정하지 않는 이상 전철화하거나 열차 배차를 추가하기 힘들다.

경전철은 중전철보다 건설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드는 관계로 몬트리올 교외 지역의 교통 수단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몬트리올 광역급행철도가 2021년에 개통하면 두몽타뉴선이 경전철로 전환될 예정이다.

3. 노선

3. 1. 노선별 설명

(km)평일 운행 횟수 (2018)평일 기준 평균 승차량 (2016)
90x90px

보드뢰이유-허드슨선루시앙 랄리에↔허드슨1887년1864.222716,000[23]
90x90px

생제롬선루시앙 랄리에↔생제롬1997년 5월 12일1362.82614,200[17]
90x90px

몽생틸레르선상트랄역↔몽생틸레르2000년 5월 29일734.9149,500[18]
90x90px

칸디악선루시앙 랄리에↔칸디악2001년 9월 4일925.6184,900[19]
90x90px

마스쿠시선상트랄역↔마스쿠시2014년 12월 1일1350.116 (월-목)
14 (금)7,400[20]



몽플리에역을 지나고 있는 봄바디어의 전기 기관차


두몽타뉴선은 몬트리올 지역은 물론 캐나다 전체에서 유일하게 70년동안 전기 기관차를 사용했던 노선이다. 몽루아얄 지하 터널을 따라 종착역인 몬트리올 상트랄역으로 향하던 노선이었다. 기존에 새로 지어진 교외 동네인 몽루아얄의 승객과 로랑티드 남쪽 지역의 화물을 실어나르고자 지어졌던 이 노선은 몬트리올 북서쪽의 교외 승객들을 실어나르는 통근 열차 노선으로 변모하였다.

1993년과 95년 사이에 전면 보수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전력 공급 방식이 3천 볼트 직류에서 2만 5천 볼트 교류로 변경되었다.[9] 2014년에는 AMT가 CN으로부터 이 노선을 9200만 달러에 매입하였다.[14]

몬트리올 통근 열차 노선 중에서 승객이 가장 많았던 두몽타뉴 선은 양방향으로 20대씩 총 40대가 넘는 열차가 운행하였다.

2016년에는 CDPQ 인프라가 몬트리올 광역급행철도 (REM) 사업을 발표하여 두몽타뉴선은 공항, 두몽타뉴, 생탄드벨뷔, 브로사르와 상트랄역을 잇는 새로운 무인 경전철로 변환될 예정이다. REM 공사에 따라 2018년 4월 27일부터 금요일 오후 8시부터 일요일까지의 통근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21] 2021년 1월 1일부터 두몽타뉴선은 광역급행철도 공사가 계속 진행되는 관계로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22]

3. 1. 1. [[보드뢰이유-허드슨선]]

보드뢰이유-허드슨선 몽레알웨스트역


캐나다 태평양 철도가 지은 이 노선은 몬트리올과 토론토를 잇는 철도로 지어졌으며 1887년에는 몬트리올과 보드뢰이유 사이에 정거장 몇 군데가 추가되었다.[23] 몬트리올섬 서쪽의 교외 지역에 개발 바람이 불자 CP는 1893년에 이 지역의 승객들을 실어나르기 위해 통근 열차를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몬트리올 종점은 달루지역으로 시작하여 1889년 윈저역, 이후 1997년에 루시앙 랄리에역으로 변경되었다.[10]

1950년대에 들어서서 평일에 양방향으로 12대씩, 주말에는 3-4대씩 운행한다. 리고로 이어지는 열차는 운행이 중단되었지만 여전히 승객 수는 두 번째로 가장 많은 노선이고 역 수가 가장 많은 역이기도 하다. 루시앙 랄리에와 방돔역에서 몬트리올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다.

3. 1. 2. [[생제롬선]]

기존에 임시로 운행하였던 생제롬선 열차는 많은 승객 수로 성공을 거두면서 정기 운행으로 가닥을 잡은 노선이다. 1997년부터 오늘날까지 역 수는 4개에서 13개로 늘어났으며 2007년 1월 7일에 생제롬으로 연장되면서 총 길이 62.8km의 가장 긴 통근 열차 노선으로 등극하였다. 몬트리올 시내의 루시앙 랄리에역에서 생제롬까지 1시간 18분이 걸린다.

생제롬선은 또한 루시앙 랄리에, 방돔, 파크, 드라콩코드역에서 몬트리올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다.

3. 1. 3. [[몽생틸레르선]]

1988년에 운행이 중단된 몽생틸레르선 열차는 1990년대 말, 몬트리올과 강 남쪽을 잇는 다리의 교통량이 늘어나면서 2000년 5월 29일에 통근 열차로 다시 운행을 재개하였다.

몽생틸레르선은 보나방튀르역에서 몬트리올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다.

3. 1. 4. [[칸디악선]]

2001년 9월 4일에 개통한 이 노선은 개통 당시 평일 두 편만 운행하였다. 2003년 9월, 칸디악선 열차는 네 편으로 증편되었고 2005년에는 몬트리올/델슨선이 칸디악으로 연장되었지만 여전히 25.6km로 가장 짧은 통근 열차 노선이다. 2017년, 튀르콧 교차로 재건축 공사에 대비하여 뒤카날역이 개통하였다.[24][25]

칸디악선은 루시앙 랄리에와 방돔역에서 몬트리올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다.

3. 1. 5. [[마스쿠시선]]

길이 52km의 마스쿠시선은 몬트리올 시내와 마스쿠시를 동서축으로 이으며, 정차역은 총 13개이다.

몬트리올 상트랄역을 출발하여 두몽타뉴선 열차와 같이 몽루아얄 터널을 따라 북쪽으로 운행하고 이후 CN 선로를 따라 동쪽으로 이어진다. 이후 이 노선은 푸앵토트랑블에서 세인트로렌스강을 건너며 레팡티니, 테르본과 마스쿠시로 이어진다.

마스쿠시선은 보나방튀르와 소베역에서 몬트리올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다.

3. 2. 요금

엑소 통근 열차 요금은 7개 구역으로 나뉘며, 몬트리올 광역 교통국 (Autorité régionale de transport métropolitain, ARTM)은 티켓을 두 종류로 나누었다.[26] 통근 열차만 이용할 수 있는 트랭 (TRAIN) 티켓과 해당 구역의 통근 열차는 물론 지하철과 시내버스도 이용할 수 있는 트람 (TRAM) 티켓이 존재한다.[26] 티켓은 한 장 또는 여러 장을 살 수 있으며, 티켓 여섯 장을 사는 경우에는 성인과 어린이, 학생, 노인 불문하고 한 장을 사는 것보다 보통 32%에서 36%가량 저렴하다.[26]

티켓은 일회용 교통카드인 솔로 (Solo)를 통해 판매하고 재충전이 가능한 교통카드인 OPUS 카드에도 충전할 수 있다.[26] OPUS 카드에는 광역 몬트리올 지역의 다양한 대중교통 운행 기관의 연간 및 월간 정기권과 티켓을 충전할 수 있다.[26] 어린이와 모든 연령의 학생은 물론 만 65세 이상의 노인은 뒷면에 증명 사진이 포함된 OPUS 카드로 요금을 충전할 때 할인을 받을 수 있다.[26]

3. 3. 운영 비용

엑소는 통근 열차 운영에 필요한 건설, 유지·보수 및 인건비 등을 부담한다. 승객 운임은 운영비의 40%만을 충당하며, 나머지는 해당 지자체가 40%, 퀘벡 주정부가 정부 지원금으로 6%, 유류세와 차량 등록세를 통해 14%를 충당한다.[27] 2017년 기준 몬트리올 통근 열차의 총 예산은 1억 7400만 달러였으며, 이 중 37%는 인건비, 23%는 차량 및 시설 유지·보수에 쓰였다.[27]

운영비 및 재정자립도[27][28]
노선2000200520102015
운영비
(C$ 100만)
재정자립도운영비
(C$ 100만)
재정자립도운영비
(C$ 100만)
재정자립도운영비
(C$ 100만)
재정자립도
90x90px18.9922.5%22.7326.6%33.1429.1%32.1436.9%
90x90px8.1853.2%11.8262.7%19.1144.1%29.5943.0%
90x90px2.3515.4%10.9847.5%19.9833.0%22.1242.5%
90x90pxalign="center" bgcolor="#efefef" |4.3744.2%9.2724.7%10.2141.1%
90x90pxalign="center" bgcolor="#efefef" |align="center" bgcolor="#efefef" |align="center" bgcolor="#efefef" |24.7422.3%
90x90px24.7047.5%29.6457.4%35.2253.6%39.8055.4%
합계70.1338.4%86.6847.3%116.739.3%158.641.5%


3. 4. 승차량

몬트리올의 통근 열차 승객 수는 1996년 690만 명에서 2017년 2031만 명으로 20여년 만에 크게 늘어났다.[29]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역 수가 두 배로 늘어난 점도 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노선별 연간 승차량을 살펴보면, 두몽타뉴선의 승차량이 가장 많으며 전체 승객의 38%를 차지한다.[29]

노선2000년[28]2005년[28]2010년[30]2015년[29]2017년[31]비중
3,030,0003,076,0003,421,7003,689,8004,052,00019.9%
1,611,0001,978,0002,196,6002,924,9003,223,80015.9%
132,0001,358,0001,833,9002,300,7002,252,90011.1%
523,000672,9001,093,1001,204,7005.9%
1,319,9001,822,5009.0%
7,222,0007,649,0007,347,2007,495,9007,758,70038.2%
합계11,992,30014,583,50015,471,70018,824,30020,314,800100%


3. 5. 노선 운영

몬트리올 통근 열차의 선로는 화물 철도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캐나다 태평양 철도는 보드뢰이유-허드슨, 칸디악, 생제롬선의 67% 구간을 소유하고 있으며 캐나다 내셔널 철도는 몽생틸레르선과 마스쿠시선 58%를 소유하고 있다.

통근 열차 운행 횟수와 승객 수가 늘어나면서, 러시 아워에 특히 보드뢰이유-허드슨선에 통근 열차와 화물 열차를 동시에 운행하기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화물 열차 운행에 따른 통근 열차 지연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엑소는 이에 대해 열차 지연을 줄이고 선로 사용비를 지불하지 않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선로를 CN과 CP로부터 매입하기 시작하였다.[15]

2015년 기준으로, 엑소는 두몽타뉴 선 전체 (29.9km)와, 파크선 생트테레즈역과 생제롬역 구간 (20.7km), 마스쿠시선 레팡티니와 마스쿠시역 구간 (12.6km), 몬트리올 및 오타와선 보드뢰이유-도리옹에서 리고 구간 (25.7km) 등 전체 운행 구간의 33%가량을 소유하고 있다. 이 구간에는 러시 아워에 통근 열차가 독점적으로 운행한다.[32][33]

2016년까지만 해도 몬트리올 통근 열차 운전은 CP 또는 CN 기관사들이 해당 선로에서 맡았다. 엑소는 2015년 기준 CN과 CP에 열차 운행에 들어간 인건비로 총 6800만 달러를 지불하였다.[34]

2015년 말, AMT는 CN과 CP 기관사들을 대신할 새로운 외주 업체를 선정하는 작업에 돌입하였고,[35] 2016년 가을, AMT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 3억 3100만 달러 규모의 외주 업체로 선정하게 되었다.[36]

3. 6. 관제 시설

엑소의 관제 및 감시 센터는 매일 24시간 GPS로 각 열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37] 또한 각 지역별 관제소 직원들이 카메라로 감시하고 현장에 있는 120여명의 검표원과 보안관들을 지시한다.[37] 관제소 직원들은 선로 소유주인 CN과 CP와 상시 연락망을 구축하고 있다.[37]

4. 차량

4. 1. 기관차

엑소는 디젤, 바이모달, 전기 기관차 등 다양한 종류의 기관차를 보유하고 있다.[4]

기종차량 번호수주 연도운행 노선차량 대수비고
EMD F59PHI1320-13302000-200125x25px 25x25px 25x25px11
EMD F59PH1340-1349(1990)25x25px 25x25px 25x25px102011년에 GO 트랜싯으로부터 매입
봄바디어 ALP-45DP1350-13692011-201225x25px 25x25px 25x25px 25x25px 25x25px20바이모달 기관차



몬트리올 통근 열차에 처음으로 사용된 기관차는 증기 기관차였다. 1893년, CP는 통근 열차 전용 기관차를 선보였는데, 이는 탱크식 증기 기관차이자 제어차량이었다. 전기 기관차는 1918년 몽루아얄 지하 터널이 개통하면서 운행을 시작하였고, 디젤 전동차는 1950년대 초반에 도입되었고 1960년 11월 6일에 증기 기관차를 완전 교체하였다.[4]

아래 수주 연도에 괄호가 있는 부분은 기존에 다른 철도 회사에서 처음으로 수주 받았던 연도를 뜻한다.

기종차량 번호수주 연도퇴역 연도차량 대수비고
증기 기관차
그랜드 트렁크 (GT) X-8a 4-4-2ST18831923텐더식 증기 기관차
CP 4-6-4T624 (5990)18931924
GT X-9a 4-4-2ST1532(1892)19271894년에 매입, CN 42-44번
GT X-10a 4-6-4WT "허드슨"1540-15451914~19556CN 45-50번
CP H1b 4-6-4 "로열 허드슨"2800(1930-1937)1960101954년 간선 철도에서 차출
CP G3 4-6-3240019601954년 간선 철도에서 차출
디젤 기관차
GMD FP74070-40751951-195220016CP 기관차, 이후 AMT 1300-1305번으로 편입
알코 FPA-26750-675519556
알코 RS-33900-390121957년에 센트럴 버몬트 철도에서 매입[4]
버드 기동차 (RDC)1957디젤 유압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GMD GMD-11032195919601960년에 CN 레이크쇼어선 운행 중단[4]
GMD GP-9U1310-1313(1959)201241989년에 CN이 매입해서 재단장함[4]
EMD F40PH-2243-418(1976-1981)15암트랙으로부터 매입함[4]
EMD F40PH-2C4117-4118201222008년에 뉴저지 트랜싯에 임대함[4]
EMD GP40FH-24135-4144201252008년에 뉴저지 트랜싯에 임대함[4]
전기 기관차 25x25px
GE 복스캡 (CN Z-1-a)[38]6710-67151914-191719956
EE 복스캡 (CN Z-4-a)[38]6716-67241924-192619959
내셔널 스틸 카 EP-73-a[9]15903-15904192519492그랜드 트렁크 철도 전동차 변환[4]
GE Z-5-a[38]6725-6727195019953
캐네디언 카 & 파운드리 EP/ET-59a[38]6730-67491952199518전기 동력분산식 열차[4]
봄바디어 MR-90[9]400-4871994-1995202058전기 동력분산식 기관차


4. 2. 객차

현재 운행 중인 객차[4]
기종호대수주 연도운행 노선차량 대수정원비고
봄바디어 코멧 II7001989년50px24116/1182011-13년에 개조[39]
봄바디어 바이레벨 VII20002004-2005년50px22148/154이층 열차
봄바디어 멀티레벨[40]30002009-2011년50px50px50px160142이층 열차
CRRC[41]2019-2020년[42]50px50px50px24



봄바디어 멀티레벨 객차 내부


과거에 운행했던 객차
기종호대수주 연도퇴역 연도운행 노선차량 대수정원비고
CP 코치 차량1001904년~1955년50px
헤비웨이트 스틸 코치[10]1920년1970년50px50px~30
캐네디언 카 & 파운드리8001953년[10]2005년50px40
호커 시들리 RTC-85C100/200(1967-1976)50px 50px 50px 50px14901994년에 GO 트랜싯으로부터 매입[4]
캐네디언 바이커스 갤러리 차량9001970년[43]2010년50px50px9154/168캐나다 최초의 이층 열차[4]
호커 시들리 RTC-851000(1967-1976)50px 50px 50px 50px66941994년에 GO 트랜싯으로부터 매입
모리슨 크누센5000(1987-1988)2011년50px50px50px141212008년에 뉴저지 트랜싯에 임대함[4]



MR-90에 실린 자전거

4. 3. 차량 유지·보수

2016년까지 몬트리올 통근 열차 차량의 유지·보수는 봄바디어와 CN 기술자들이 맡았지만, 2017년 1월부터 CN이 유지·보수를 중단하면서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이 맡게 되었다.[44]

엑소가 통근 열차 운행을 늘려나가면서 직영 정비 시설을 CN 선로에 한 곳, CP 선로에 한 곳씩 총 두 곳을 설치하기로 하였다.[44] 직영 정비 시설을 통해 러시아워 외의 평상시에는 열차가 상트랄루시앙 랄리에역 근처에 있는 정비 시설에서 정박할 수 있다.[45]

라신 정비 센터는 2016년에 개장하였으며 CP 야적장이였던 소르탱에 개통하였다. 13 헥타아르 규모의 이 정비 센터는 13량의 열차가 정박할 수 있으며, 정비 시설은 물론 자동 세차와 차량 분리 시설이 있다.[46]

푸앵트생샤를 정비 센터는 CN의 정비 시설로 쓰였던 곳에 지어지고 있으며 2018년에 개장하였다. 16 헥타아르 규모의 이 정비 센터는 엑소의 주 정비 시설로, 21량의 열차가 정박할 수 있으며, 정비 및 중검수 시설과 자동 세차, 차륜 점검 시설 등이 구비되어있다.[45]

5. 미래 계획

5. 1. 통근 열차

카나와게와 샤토게는 카나와게에 새로운 정차역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47]

칸디악선을 생장쉬리슐리외까지 연장하는 방안 또한 추진되었으나 2016년에 이 지역은 버스가 통근 열차를 운행하는 것보다 더 빠르고 편리하다는 타당성 조사 결과로 무산되었다.[48]

미라벨의 빅토르가에 새로운 정차역을 신설하는 방안은 2018년 7월에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고[49] 2019년 2월에 미라벨 시의회는 역 신설을 위한 엑소의 부지 매입을 승인하였다.[50]

2009년에 생제롬선을 몽루아얄 터널을 통해 노선 길이를 10km가량 단축하고 소요 시간을 15분가량 단축하는 방안이 거론되었으나[51] 광역급행철도 (REM)가 이 구간을 지나가게 됨에 따라 무산되었다.

5. 1. 1. 칸디악선

카나와게와 샤토게는 카나와게에 새로운 정차역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47]

칸디악선을 생장쉬리슐리외까지 연장하는 방안 또한 추진되었으나 2016년에 이 지역은 버스가 통근 열차를 운행하는 것보다 더 빠르고 편리하다는 타당성 조사 결과로 무산되었다.[48]

5. 1. 2. 생제롬선

미라벨의 빅토르가에 새로운 정차역을 신설하는 방안은 2018년 7월에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고[49] 2019년 2월에 미라벨 시의회는 역 신설을 위한 엑소의 부지 매입을 승인하였다.[50]

2009년에 생제롬선을 몽루아얄 터널을 통해 노선 길이를 10km가량 단축하고 소요 시간을 15분가량 단축하는 방안이 거론되었으나[51] 광역급행철도 (REM)가 이 구간을 지나가게 됨에 따라 무산되었다.

5. 2. 경전철

1999년부터 퀘벡 주정부는 경전철 체계 도입을 위한 타당성 연구 비용으로 2200만 달러를 투입하였다.[52] 2015년부터 퀘벡 주정부와 퀘벡 연금보험 및 투자신탁공사(Caisse de dépôt et placement du Québec, CDPQ)는 몬트리올 시내에서 출발하는 두 경전철 노선을 검토하였다. 하나는 몬트리올 시내에서 20번 고속도로를 따라 페어뷰 푸앵트클레어까지 이어지는 26억 달러 규모의 28km 구간의 '서부 경전철' 노선이며, 다른 하나는 새로 지어지는 샹플랭 다리를 따라 일데쇠르와 브로사르에 있는 DIX30까지 이어지는 '샹플랭 다리 경전철' 노선으로, 예산 규모는 20-30억 달러로 추산하였다.[53]

2016년 4월 22일, CDPQ는 50억 달러가 넘는 규모의 경전철 체계인 광역급행철도(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REM)를 선보였으며, 두몽타뉴선의 새로운 지선 두 개와 합쳐 무인 경전철로 운행하는 계획안을 발표하였다.[16]

참조

[1] 보고서 Public Transportation Ridership Report Q3 2018 https://www.apta.com[...] 미국 대중 교통 협회 2019-02-28
[2] 보고서 Rapport annuel 2017 du 1er juin au 31 décembre 2017 https://exo.quebec/M[...] 2019-02-28
[3] 서적 Montreal Island Railway Stations Michael D. Leduc Enr. 1994
[4] 저널 L'histoire de l'AMT et des trains de banlieue de Montréal https://www.exporail[...] 캐나다 철도 역사 협회 2019-02-28
[5] 웹인용 Suburban Commuter Rail in Toronto and Montréal http://jbb.poslfit.c[...] 2019-02-28
[6] 웹인용 Le Chemin de fer des Laurentides (1872-1882) http://mgvallieres.c[...] 2019-03-02
[7] 저널 A Synoptical History of the Canadian Pacific Railway from 1881 to 1919 https://www.exporail[...] 캐나다 철도 역사 협회 2019-03-02
[8] 웹인용 All-Time List of Canadian Transit Systems http://home.cc.umani[...] 2019-03-02
[9] 서적 The Mount Royal Tunnel, Canada's First Subway Railfare*DC Books 2008
[10] 저널 Commuting to the Lakeshore 캐나다 철도 역사 협회 2019-03-02
[11] 뉴스 Un transport rapide régional http://numerique.ban[...] 2019-03-02
[12] 뉴스 Le TRRAMM sera tout électrique et roulera a plus de 100 milles a l'heure http://numerique.ban[...] 1974-03-27
[13] 뉴스 TRRAMM plans for Mirabel airport cut https://www.newspape[...] 2019-03-02
[14] 뉴스 L'AMT acquiert la ligne de trains de Deux-Montagnes https://www.tvanouve[...] 2019-03-07
[15] 뉴스 Deux fois plus de retards pour des trains de l’AMT https://journalmetro[...] 2019-03-07
[16] 웹인용 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https://www.cdpqinfr[...] 2019-03-07
[17] 웹인용 Ligne Saint-Jérôme https://exo.quebec/f[...] 2019-03-16
[18] 웹인용 Ligne Mont-Saint-Hilaire https://exo.quebec/([...] 2019-03-16
[19] 웹인용 Ligne Candiac https://exo.quebec/([...] 2019-03-16
[20] 웹인용 Ligne Mascouche https://exo.quebec/([...] 2019-03-16
[21] 뉴스 Perturbations dès vendredi soir sur la ligne Deux-Montagnes https://www.ledevoir[...] 2019-03-16
[22] 뉴스 La fermeture totale de la ligne Deux-Montagnes devancée https://www.lapresse[...] 2021-01-01
[23] 웹인용 Ligne Vaudreuil-Hudson https://exo.quebec/f[...] 2019-03-16
[24] 뉴스 Le projet de la gare du Canal sur le point d’aboutir https://journalmetro[...] 2019-03-16
[25] 뉴스 Mise en service de la gare du Canal à Lachine https://ici.radio-ca[...] 2019-03-16
[26] 웹인용 Titres de transport https://exo.quebec/f[...] 2019-04-19
[27] 웹인용 Budget d'exploitation 2017 https://www.biblioth[...] 엑소 2019-04-19
[28] 웹인용 Budget d'exploitation 2009 http://archive.wikiw[...] 엑소 2019-04-19
[29] 웹인용 Rapport annuel 2015 http://archive.wikiw[...] 엑소 2019-04-19
[30] 웹인용 Rapport d'activités 2010 http://archive.wikiw[...] 엑소 2019-04-19
[31] 웹인용 Rapport annuel 2017 https://exo.quebec/M[...] 엑소 2019-04-19
[32] 웹인용 Le conflit entre les trains de passagers et de marchandises http://www.metrodemo[...] 2019-04-19
[33] 뉴스 À qui appartiennent les rails qu'empruntent les trains de l'AMT? https://ici.radio-ca[...] 2019-04-19
[34] 뉴스 L’AMT veut se débarrasser du CP et du CN https://www.journald[...] 2019-04-19
[35] 뉴스 L'AMT lance un appel d'offres pour l'opération et la maintenance de ses trains de banlieue https://www.newswire[...] Newswire 2019-04-19
[36] 뉴스 L'AMT octroie un contrat de 331 millions à Bombardier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19-04-19
[37] 웹인용 Dans les coulisses du RTM : le Centre d’opérations et de surveillance https://exo.quebec/f[...] 2019-04-19
[38] 저널 The End of the Old CN Electric https://www.exporail[...] 캐나다 철도 역사 협회 2019-04-19
[39] 웹인용 AMT: Voitures 700 rénovées http://www.metrodemo[...] 2019-04-19
[40] 웹인용 Bombardier fournira 160 voitures de train de banlieue à deux étages de type multi-niveaux pour Montréal https://www.bombardi[...] 2019-04-19
[41] 뉴스 L'AMT choisit les chinois, Bombardier fulmine http://plus.lapresse[...] La Presse 2019-04-19
[42] 웹인용 RTM demands changes in 24-car train contract, delaying deliveries by six months https://montrealgaze[...] Montreal Gazette 2019-04-19
[43] 웹인용 A chronology of important dates in Canadian railway history http://globalgenealo[...] 2019-04-19
[44] 뉴스 AMT inaugurates its first maintenance centre in Lachine https://montrealgaze[...] Montreal Gazette 2019-04-19
[45] 웹인용 Centre de maintenance Pointe-Saint-Charles https://web.archive.[...] 2019-04-19
[46] 웹인용 Centre de maintenance Lachine https://exo.quebec/f[...] 2019-04-19
[47] 뉴스 Kahnawake, Châteauguay demanding new exo train station on south shore https://globalnews.c[...] Global News 2019-04-19
[48] 웹인용 Desserte de trains de banlieue vers Saint-Jean-sur-Richelieu https://www.scribd.c[...] 2016-04-18
[49] 뉴스 Gare sur la rue Victor: Mirabel et l’UPA toujours à couteaux tirés https://www.leveil.c[...] L'Éveil 2019-04-19
[50] 웹인용 Un pas de plus dans la réalisation de la gare - exo acquiert les terrains https://web.archive.[...] 2019-04-19
[51] 웹인용 Trois lignes de trains sous la montagne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9-04-19
[52] 뉴스 SLR et pont Champlain : l’achalandage gonflé pour favoriser un train? http://ici.radio-can[...] ICI Radio-Canada 2019-04-19
[53] 웹인용 Investissements de la Caisse de dépôt: une annonce qui ouvre la voie à de grands projets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9-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