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트라는 오만의 역사적인 항구 도시로, 1871년 아잔 빈 카이스의 사망, 고대부터의 교역 중심지, 19세기 오만의 주요 항구 역할을 했던 곳이다. 1830년대에는 약 8,000명의 인구가 있었고, 2016년에는 234,225명으로 증가했다. 무트라 수크는 오만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 중 하나이며, 술탄 카부스 항은 오만의 주요 상업 항구로,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무트라 코르니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만만 - 차바하르
차바하르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한 온화한 기후의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무역항으로 기능했으며 현대에는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인도와 협력하여 중앙아시아 및 아프가니스탄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다. - 오만만 - 푸자이라
푸자이라는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으로 인도양과 접하며, 항만, 자유무역지대, 석유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푸자이라 항과 자유무역지대는 국제 무역과 투자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고, 재난 대비 체계 개선과 철도망 건설을 통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오만의 도시 - 무스카트
무스카트는 오만 만 연안에 위치한 오만의 수도로, 기원전 6천년경부터 인간 거주 흔적이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무역항이었으나 19세기 후반 쇠퇴기를 거쳐 1970년 이후 석유 산업 발전과 함께 현대화되어 오만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 오만의 도시 - 시브
오만의 해안 도시 시브는 과거 포르투갈 요새가 있었고 현재 무스카트 국제공항이 위치하며, 시브 조약 체결지이자 관광 명소가 있는 곳으로, 술탄 하이탐 시티 건설을 통해 경제·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다.
| 무트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국가 | 오만 |
| 주 | 무스카트 주 |
| 시간대 | +4 |
| 지리 | |
| 면적 (총 면적) | 91 제곱킬로미터 |
| 육지 면적 | 91 제곱킬로미터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2016년) | 234,226명 |
| 기타 정보 | |
| 지역 번호 | 알 수 없음 |
2. 역사
1871년 초, 무트라는 아잔 빈 카이스(1868년~1871년 오만의 이맘)가 사망하는 것을 목격했다. 아잔 빈 카이스는 사촌 사이이드 살림 빈 투와이니를 폐위시키고 오만에 잠시 동안 이바디 이마마테를 선포했다.[12] 그는 1879년 10월 단크 전투에서 살림의 삼촌인 사이이드 투르키 빈 사이드에게 패배한 후, 1871년 1월 무트라 전투에서 사망했다.[13]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무트라는 고대부터 교역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특히 19세기에는 오만의 주요 항구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이 지역에는 많은 역사적 건축물과 구시가지가 남아 있어, 오만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영국과의 교역과 술탄의 보호를 받았던 시기도 있어, 그 영향을 짙게 받고 있다.2. 2. 근대
1871년 초, 무트라는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오만의 이맘이었던 아잔 빈 카이스가 사망하는 것을 목격했다. 아잔 빈 카이스는 사촌 사이이드 살림 빈 투와이니를 폐위시키고 오만에 잠시 동안 이바디 이마마테를 선포했다.[12] 그는 1879년 10월 단크 전투에서 살림의 삼촌인 사이이드 투르키 빈 사이드에게 패배한 후, 1871년 1월 무트라 전투에서 사망했다.[13]무트라는 고대부터 교역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특히 19세기에는 오만의 주요 항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 지역에는 많은 역사적 건축물과 구시가지가 남아 있어, 오만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영국과의 교역과 술탄의 보호를 받았던 시기도 있어, 그 영향을 짙게 받고 있다.
3. 인구
1830년대 초, 에드먼드 로버츠가 방문했을 당시 무트라의 인구는 약 8,000명으로 추정된다.[1]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역의 인구는 234,225명으로, 2014년의 200,578명에서 증가했으며 전국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다.[2]
3. 1. 언어 및 종교
무트라의 수르 알-루와티야(Sūr al-Luwātiyah) 지역은 알-루와티야 부족이 거주하는 곳으로, 이들은 인도아리아어 계통의 루와티어를 사용한다.[3] 오만 역사가 이븐 루자이크(Ibn Ruzayq)는 이 언어와 사람들을 역사적으로 처음 언급했다. 루와티야인들은 1780년에서 1880년 사이에 신드(Sindh)에서 오만으로 이주해 와 정착하면서 자신들의 언어를 함께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4] 이들은 수르 알-루와티야에 고립되어 자신들의 언어를 보존했다.[3] 이들은 향 (ar: بخور), 보석, 의류 사업과 일반 무역 분야에서 일해 왔다. 오만의 주류 종교인 이바디 수니 환경에서, 이들은 지역 시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한다.[5]4. 경제
19세기 중반, 무트라는 선박 수리 산업을 가지고 있었다.[1]
4. 1. 술탄 카부스 항
오만의 주요 상업 항구 중 하나인 술탄 카부스 항은 무스카트 항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정치적으로 안정된 술탄국 내에 위치하며 오만의 주요 해상 관문 역할을 한다. 아라비아 반도의 인도양 연안, 호르무즈 해협에서 남쪽으로 250km 떨어진 천연 항구에 자리 잡고 있다. 술탄 카부스 항은 페르시아 만뿐만 아니라 인도 아대륙,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시장을 위한 이상적인 허브 역할을 한다.술탄 카부스 항의 위치는 다른 항구에 비해 항해 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게 해준다. 항구의 관세는 이 지역의 다른 항구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유리하다. 인프라, 숙련된 인력, 빠르고 효율적인 하역 작업, 그리고 문서 통관 시스템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18세기에 사이이드 술탄 빈 아흐메드 통치 기간 동안 오만의 무역 활동이 다시 증가했고, 수도 지역의 두 항구인 무스카트와 무트라가 다변화되었다. 무트라는 빠르게 상업 항구로 자리 잡았고, 무스카트는 해군 작전에 사용되었다. 통치자의 아들인 사이이드 사이드는 해상 상업을 계속 확장했지만, 1856년 그의 사망 이후 다시 쇠퇴했다. 해상 활동은 주로 인도에서 온 재래식 나무 배인 다우선을 통해 필수품을 수입하는 데 국한되었다. 배들은 해안에서 닻을 내리고, 화물을 소형 보트로 수동으로 하역하기 전에 며칠을 기다려야 했다.

이 모든 것은 1974년 미나 카부스(현재 술탄 카부스 항)를 설립하면서 오만에서 새로운 해상 상업과 번영의 시대를 연 카부스 빈 사이드 국왕의 즉위와 함께 바뀌었다.
술탄 카부스 항은 1976년 11월부터 Port Services Corporation S.A.O.G.에 의해 운영 및 관리되어 왔다. 1981년까지 운송량은 본질적으로 일반 화물이었다. 컨테이너화가 시작되면서 PSQ는 컨테이너 선박을 처리하기 위해 두 개의 선석을 개발했으며, 이 시설은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완전히 가동되었다.
PSC는 1984년에 운영 및 백 오피스 전산화를 시작했다. 컨테이너 이동을 처리하는 첫 번째 시스템은 1985년부터 1999년까지 가동되었다. 그 후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은 송장 발행 및 회계를 포함한 모든 백 오피스 작업을 포함하도록 향상되었다.
1990년대 초, 항만 인프라가 더욱 강화되었다. 두 개의 선석이 컨테이너 선박을 포함한 다목적 선박을 처리하도록 개조되었으며, 추가로 3개의 부두 측 갠트리 크레인이 장착되었다. 야적장 및 공 컨테이너 야적장에는 고무 타이어 갠트리가 제공되었다. 현재 이 항구는 페르시아 만 북부 및 홍해 항구의 무역 흐름을 위한 이상적인 환적 허브이다.[11]
4. 2. 무트라 수크


알 달라람(아랍어로 "어둠"이라는 뜻) 수크는 무트라 수크의 현지 이름이다. 무트라 수크는 오만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 중 하나로 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 무스카트 항구에 인접해 있으며, 인도와 중국으로 가는 길목에 전략적으로 위치하여 범선 시대에 엄청난 교역이 이루어졌다.[7] 이곳이 어둠이라고 불린 이유는 햇빛이 하루 종일 침투하지 못하는 혼잡한 노점과 골목길 때문에 쇼핑객들이 목적지를 알기 위해 램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시장의 이름은 특히 알 라와티야 모스크에서 코르 빔바까지 뻗어 있는 부분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곳은 상점과 노점으로 가득 차 있고 좁은 골목길 때문에 햇빛이 들어올 수 없다. 이 시장은 1960년대 오만인들이 오늘날보다 삶의 요구 사항이 더 간단했을 때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는 공급원이었다. 대부분의 상품은 직물, 과일, 채소 및 대추와 같은 현지 제품 외에 수입되었다.
과거에는 이 시장이 높은 온도와 혹독한 기후 조건에 적합한 진흙과 야자 잎으로 지어졌으며, 당시 시장을 짓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최고의 재료였다. 오늘날 무스카트 시는 대중적인 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해 시장을 개조하고 장식했지만 현대적인 편의 시설을 도입하고 시장을 대대적으로 재장식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관광객뿐만 아니라 일반 쇼핑객들에게도 편안한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이드 시즌 동안 시장은 오만 사람들이 전국에서 의류와 보석을 사기 위해 몰려들면서 더욱 붐비고 활발해진다.[8]
수크의 주요 간선 도로에서는 주로 가정용품, 신발 및 기성복을 판매한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유향, 향수 오일, 신선한 재스민, 향신료의 섞인 냄새가 난다. 또한 오만 은, 흰색 디시 다시와 수 놓은 쿠마, 다채로운 천, 그리고 여러 가지 색상의 머리 스카프가 있는 작은 상점(수크로 이어지는 옆길과 골목길에)이 있다.
수크에서 판매되는 다른 품목으로는 오만 항아리, 그림, 후카 파이프, 액자에 넣은 ''칸자르''(단검), 가죽 제품 및 향이 있다.[9]
이 수크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즉, 낮에는 상점이 늘어선 수많은 골목과 도로가 햇빛을 가리기 때문에 어둠의 시장이라고도 한다. 동쪽과 서쪽 부분은 "작은 시장"과 "큰 시장"이라고도 한다.[6][10]
5. 관광
무트라 수크는 오만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 중 하나로, 전통적인 오만의 공예품과 향신료, 보석류를 판매하는 상점들이 늘어서 있다.
5. 1. 무트라 코르니쉬
무트라 코르니쉬는 산책이나 석양 감상에 최적의 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다.5. 2. 기타
무트라는 인기 있는 배틀필드 2 모드인 프로젝트 리얼리티의 맵이기도 하다. 또한, 어메이징 레이스의 17번째 시즌 8번째 에피소드에도 등장했다.참조
[1]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2]
웹사이트
Oman: Administrative Division (Governorates & Districts) - population statistics and maps
http://www.citypopul[...]
2014-08-19
[3]
간행물
Ethnic, Linguistic, and Religious Pluralism in Oman: The Link with Political Stability
https://www.jstor.or[...]
2018
[4]
간행물
High Visibility, Low Profile: The Shiʿa in Oman under Sultan Qaboos
[5]
웹사이트
What's So Secret About Oman's 'Forbidden City', Sur Al Lawatia?
https://theculturetr[...]
2018-06-08
[6]
웹사이트
Travel to Oman
https://omantourism.[...]
2020-10-15
[7]
웹사이트
Ancient Treasure Ship & the Great Oman Voyage Exhibition | SGClub Portal
http://www.sgclub.co[...]
2017-05-31
[8]
웹사이트
Souqs in Oman
http://www.omanet.om[...]
2011-04-30
[9]
웹사이트
Muscat Shopping | Muttrah Souq Muscat
http://www.shangri-l[...]
2011-04-30
[10]
웹사이트
Muttrah Souq in Oman
https://www.expatwom[...]
2013-07-18
[11]
웹사이트
Welcome to Port Services Corporation Web Site
http://www.pscoman.c[...]
2011-04-30
[12]
간행물
Review of 'A Sea of Debt: Law and Econinic Life in the Western Indian Ocean, 1780–1950'
2019
[13]
서적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British Government, Bomb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