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묵상은 라틴어 'contemplatio'에서 유래한 단어로, 종교적 또는 철학적 맥락에서 깊이 생각하고 고찰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플라톤 철학에서 영혼의 승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였으며, 신플라톤주의에서는 신과의 합일을 위한 핵심으로 여겨졌다. 유대교, 특히 유대교 명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동방 기독교에서는 신과의 합일을 의미하는 'theoria'로 표현된다. 이슬람교와 바하이 신앙에서도 묵상은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묵상은 명상과 구분되며, 서방 기독교에서는 신비주의와 연관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기도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기도 - 기독교 신비주의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느님의 직접적이고 변혁적인 임재를 준비하고 자각하며 영향을 받는 기독교 신앙 및 실천으로, 그 어원은 "숨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하느님의 "임재"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는 독특한 경험으로 이해된다. - 명상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명상 - 요가
요가는 몸과 마음을 통제하여 구원론적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로, 기원전 3300-1700년경 인더스 문명에서 시작되어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와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는 요가를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 영성 - 명상
명상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수행되는 심신 수련 방법으로, 정신을 집중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영성 - 인내
인내는 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종교,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과학적으로는 보상 선택의 의사결정 과정이며 종교적으로는 다양한 미덕으로, 철학적으로는 기다림의 어려움으로 다뤄지며 고통을 참는 것을 넘어 긍정적 수용, 공감, 자기 수양과 영적 성장 과정으로 이해된다.
묵상 |
---|
2. 어원
'묵상'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contemplatio'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점을 치기 위해 신성하게 구별된 땅이나 예배를 위한 건물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templum'에서 나왔다.[2][3] 'templum'은 '잘라낸 장소'라는 뜻의 인도유럽조어 뿌리 '*tem-'에서 유래했거나, 제단 앞의 (측정된) 공간을 의미하는 '*temp-' ('늘이다, 끈')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2][3] 라틴어 'contemplatio'는 그리스어 단어 ''θεωρία'' (''theōría'')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2][3]
플라톤의 철학에서 묵상은 중요한 부분이었다. 플라톤은 묵상을 통해 영혼이 선의 이데아 또는 다른 신성한 이데아에 대한 지식으로 승화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4]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노스는 묵상을 헤노시스(ἕνωσις, henosis; 신과의 합일)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시했다. 플로티노스에게 최고의 묵상은 신, 모나드(μονάς, monas; 一者) 또는 "The One"의 비전을 경험하는 것이었다. 플로티노스는 자신의 저서인 엔네아데스에서 이러한 묵상의 경험을 묘사하며, 그의 제자 포르피리오스에 따르면 플로티노스는 이러한 경험을 네 번 했다고 한다.[5]
3. 역사
유대교 전통, 특히 유대교 명상에서 묵상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6] 묵상은 유대 철학자 마이모니데스의 가르침의 핵심이었는데, 그는 하느님을 묵상하는 것은 도덕적 완벽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기 위해 묵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가르쳤다.[7] 묵상은 또한 무사르 운동의 핵심이었다.[8]
동방 기독교에서 묵상(theoria)은 문자적으로 하느님을 보거나 하느님의 비전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10] 하느님을 바라보는 상태, 또는 하느님과의 일치는 theoria로 알려져 있다. theoria로 알려진 하느님과의 합일 상태로 이끄는 테오시스의 과정은 금욕 전통인 헤시카즘에서 실천된다. 헤시카즘은 마음과 정신을 하나로 조화시키는 것이다(누스 참조).[11] 동방 정교회의 묵상은 성 요한 클리마쿠스의 신적인 상승의 사다리에 나와 있는 단계로 표현된다. 죄의 옛 사람에서 하나님의 새로 태어난 자녀, 그리고 선하고 신성한 우리의 참된 본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테오시스라고 불린다.
하느님과 함께 신성화되어 그분을 제대로 이해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거기에서 하느님을 "묵상"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묵상은 이론에 대한 합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이해가 아닌 실제 경험을 갖는 것이고, 이를 통과하는 것이다(영지주의 참조). 반면에 합리적 사고에서는 논리를 사용하여 이해하지만, 하느님에게는 정반대의 것을 한다(아포파틱 신학 참조).
작자 미상의 14세기 영어 묵상 작품인 ''무지의 구름''은 이 형태의 실천이 지성의 행위가 아니라 마음의 통상적인 활동을 초월한 일종의 '봄'임을 분명히 한다.[12]
서방 기독교 내에서 묵상은 신비주의 신학자인 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요한의 작품과 마저리 캠페, 베이커의 어거스틴, 토마스 머튼의 저술에서 표현된 것처럼 종종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다.[13] 돔 커스버트 버틀러는 묵상이 라틴 교회에서 신비주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였으며, "'신비주의'는 매우 현대적인 단어"라고 언급한다.[14]
이슬람교 전통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히라 산에서 세상과 격리되어 삶과 그 의미를 묵상했다고 한다.[18]
바하올라와 압두'l-바하는 아름다움, 하느님의 왕국, 과학 및 예술에 대한 성찰과 관련하여 묵상과 명상에 대해 저술했다. 압두'l-바하는 "지성의 징표는 묵상이며 묵상의 징표는 침묵이다... 그는 말하고 명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19]
3. 1. 고대 철학
플라톤의 철학에서 묵상은 중요한 부분이었다. 플라톤은 묵상을 통해 영혼이 선의 이데아 또는 다른 신성한 이데아에 대한 지식으로 승화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4]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노스는 묵상을 헤노시스(ἕνωσις, henosis; 신과의 합일)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시했다. 플로티노스에게 최고의 묵상은 신, 모나드(μονάς, monas; 一者) 또는 "The One"의 비전을 경험하는 것이었다. 플로티노스는 자신의 저서인 엔네아데스에서 이러한 묵상의 경험을 묘사하며, 그의 제자 포르피리오스에 따르면 플로티노스는 이러한 경험을 네 번 했다고 한다.[5]
3. 2. 유대교
유대교 전통, 특히 유대교 명상에서 묵상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6] 묵상은 유대 철학자 마이모니데스의 가르침의 핵심이었는데, 그는 하느님을 묵상하는 것은 도덕적 완벽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기 위해 묵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가르쳤다.[7] 묵상은 또한 무사르 운동의 핵심이었다.[8]
3. 3. 기독교
동방 기독교에서 묵상(theoria)은 문자적으로 하느님을 보거나 하느님의 비전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10] 하느님을 바라보는 상태, 또는 하느님과의 일치는 theoria로 알려져 있다. theoria로 알려진 하느님과의 합일 상태로 이끄는 테오시스의 과정은 금욕 전통인 헤시카즘에서 실천된다. 헤시카즘은 마음과 정신을 하나로 조화시키는 것이다(누스 참조).[11] 동방 정교회의 묵상은 성 요한 클리마쿠스의 신적인 상승의 사다리에 나와 있는 단계로 표현된다. 죄의 옛 사람에서 하나님의 새로 태어난 자녀, 그리고 선하고 신성한 우리의 참된 본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테오시스라고 불린다.
하느님과 함께 신성화되어 그분을 제대로 이해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거기에서 하느님을 "묵상"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묵상은 이론에 대한 합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이해가 아닌 실제 경험을 갖는 것이고, 이를 통과하는 것이다(영지주의 참조). 반면에 합리적 사고에서는 논리를 사용하여 이해하지만, 하느님에게는 정반대의 것을 한다(아포파틱 신학 참조).
작자 미상의 14세기 영어 묵상 작품인 ''무지의 구름''은 이 형태의 실천이 지성의 행위가 아니라 마음의 통상적인 활동을 초월한 일종의 '봄'임을 분명히 한다.[12]
서방 기독교 내에서 묵상은 신비주의 신학자인 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요한의 작품과 마저리 캠페, 베이커의 어거스틴, 토마스 머튼의 저술에서 표현된 것처럼 종종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다.[13] 돔 커스버트 버틀러는 묵상이 라틴 교회에서 신비주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였으며, "'신비주의'는 매우 현대적인 단어"라고 언급한다.[14]
3. 4. 이슬람교
이슬람교 전통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히라 산에서 세상과 격리되어 삶과 그 의미를 묵상했다고 한다.[18]
3. 5. 바하이 신앙
바하올라와 압두'l-바하는 아름다움, 하느님의 왕국, 과학 및 예술에 대한 성찰과 관련하여 묵상과 명상에 대해 저술했다. 압두'l-바하는 "지성의 징표는 묵상이며 묵상의 징표는 침묵이다... 그는 말하고 명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19]
4. 한국의 묵상 전통
4. 1. 불교
4. 2. 유교
4. 3. 현대 한국 사회와 묵상
5. 명상과 묵상의 차이점
기독교에서 묵상은 살아있는 현실로서의 하느님에 대한 인식을 향한 내용 없는 마음을 의미하며, 이는 동양 종교의 사마디(samadhi, 삼매)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15] 반면, 명상은 서방 교회에서 수세기 동안 이냐시오 영신 수련과 같이 성서적 장면을 시각화하거나, 렉티오 디비나(Lectio Divina)와 같이 성경 구절을 읽고 묵상하는 등 더 인지적으로 활발한 훈련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15]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간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서는 묵상의 삶에 헌신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고 썼다.[16] 그의 제자인 요제프 파이퍼는 "인간 사회 한가운데에서 무용하면서 동시에 모든 가능한 사용의 척도인 진실을 보존하는 것은 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상은 또한 진정한 목적을 시야에 두고, 삶의 모든 실천적 행위에 의미를 부여한다."라고 설명했다.[1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 묵주 기도에 대해 "더할 나위 없이 관상적인 기도"라고 언급하며, "묵주 기도를 암송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조용한 리듬과 느린 속도를 요구하며, 주님과 가장 가까웠던 분의 눈을 통해 본 주님의 생애의 신비들을 묵상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신비들의 헤아릴 수 없는 풍요로움이 드러난다."라고 하였다.[17] 아퀴나스에 따르면, 삶의 가장 높은 형태는 관상에 기초하여 관상의 열매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관상적 삶이다(''contemplari et contemplata aliis tradere'') (ST, III, Q. 40, A. 1, Ad 2).
6. 현대적 의의와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Home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21-09-28
[2]
웹사이트
temple {{!}} 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0-03-17
[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Latin and the other Ita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Brill
2018
[4]
서적
Plato: Critical Assess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5]
문서
See the Life of Plotinus
[6]
웹사이트
Meditation Grows in Popularity Among Jews : Contemplation: The rediscovery of ancient tradition makes it a port of re-entry to Judaism, proponents say.
https://www.latimes.[...]
1993-01-30
[7]
서적
Maimonides: A Guide for Today's Perplexed
https://books.google[...]
Behrman House, Inc
1991
[8]
서적
Everyday Holiness: The Jewish Spiritual Path of Mussar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2008-12-02
[9]
웹사이트
Devotion (Contemplation)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10]
서적
Orthodox Psychotherapy
Birth of Theotokos Monastery, Greece
2005
[11]
웹사이트
Orthodox Psychotherapy
http://www.pelagia.o[...]
2012-01-02
[12]
문서
Excerpt from the Shambhala edition, translated by Carmen Acevedo Butcher
https://www.calameo.[...]
[13]
웹사이트
Contemplation
http://www.newadvent[...]
2008-03-19
[14]
서적
Western Mysticism: Augustine, Gregory and Bernard on Contemplation and the Contemplative Life
Dover: Mineola, NY
2003
[15]
문서
A contemporary discussion of differences between meditatio and contemplatio is available in Father Thomas Keating's book on contemplative centering prayer, Open Mind, Open Heart: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the Gospel (1986)
http://www.contempla[...]
[16]
웹사이트
Says Pope a Universal Voice for the World
http://zenit.org/art[...]
2008-02-05
[17]
웹사이트
Rosarium Virginis Mariae on the Most Holy Rosary (October 16, 2002) | John Paul II
http://www.vatican.v[...]
[18]
서적
Islam: Origin and Belief
https://archive.org/[...]
Texas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Paris Talks | Bahá'í Reference Library
http://www.bahai.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