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의 요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자가의 요한은 1542년 스페인에서 태어난 가톨릭 사제이자 신비주의 작가로, 본명은 후안 데 이에페스이다. 그는 아빌라의 테레사의 개혁 운동에 참여하여 맨발의 갈멜회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톨레도 감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두운 밤》을 저술했다. 십자가의 요한은 《영적인 찬가》, 《가르멜 산의 등정》 등 스페인 문학의 걸작을 남겼으며, '어두운 밤' 개념을 통해 영혼의 정화와 신과의 합일을 강조했다. 그는 1675년 복자, 1726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그의 저작은 T.S. 엘리엇, 살바도르 달리 등 후대 예술가와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클레멘스 10세가 시복한 복자 - 교황 비오 5세
교황 비오 5세는 1566년부터 1572년까지 재위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트리엔트 공의회 결정을 시행하며, 반종교 개혁 운동을 펼치고, 레판토 해전을 지원한 인물이다. - 교황 클레멘스 10세가 시복한 복자 - 베드로 이네우스
11세기 중반의 추기경 베드로 이네우스는 피렌체 귀족 출신 수도사로, '불의 심판'을 통해 '이네우스'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교황 사절로서 교회 개혁과 황제와의 갈등 중재에 힘썼고 교황 선거에도 참여했다. - 아빌라도 출신 - 아돌포 수아레스
아돌포 수아레스는 스페인의 정치인으로, 프랑코 시대에 요직을 거쳐 총리로 임명되어 민주주의 전환을 주도하고 입헌 군주제를 확립했으며,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아빌라도 출신 - 이사벨 1세 (카스티야)
이사벨 1세는 15세기 카스티야 여왕으로, 페르난도 2세와 함께 스페인 왕국을 건립하고 레콩키스타를 완수했으며 콜럼버스 항해 후원, 유대인 추방 등의 정책을 펼쳤다.
십자가의 요한 | |
---|---|
기본 정보 | |
![]() | |
존경 칭호 | 성인 |
이름 | 십자가의 요한 |
경칭 접미사 | OCD (맨발의 가르멜회) |
칭호 | 사제, 신비가, 교회 박사 |
출생 이름 | 후안 데 예페스 이 알바레스 |
출생일 | 1542년 6월 24일 |
출생지 | 폰티베로스, 아빌라 주, 카스티야 왕관령, 스페인 군주국 |
사망일 | 1591년 12월 14일 |
사망지 | 우베다, 하엔 왕국, 카스티야 왕관령, 스페인 군주국 |
공경하는 교회 | 가톨릭교회 성공회 루터교 |
시복일 | 1675년 1월 25일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 집전자 | 클레멘스 10세 |
시성일 | 1726년 12월 27일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 집전자 | 베네딕토 13세 |
주요 성지 | 십자가의 성 요한 무덤, 세고비아, 스페인 |
축일 | 12월 14일 |
상징물 | 가르멜회 수도복, 십자가, 십자고상, 책, 깃펜 |
수호 성인 | 스페인 시인, 신비가 및 관상가 |
영향을 준 인물 | 아마도 토마스 아퀴나스, 둔스 스코투스, 기욤 뒤랑, 아빌라의 테레사 (가능성 있는 인물: 가짜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라몬 Llull, 얀 판 뤼스브룩, 하인리히 수소, 요하네스 타울러) |
영향을 받은 인물 | 소화 데레사 에디트 슈타인 T.S. 엘리엇 토마스 머튼 자크 마리탱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도로시 데이 대니얼 배리건 필립 배리건 조르주 바타유 살바도르 달리 요한 바오로 2세 |
주요 작품 | 영혼의 칸티코 어두운 밤 가르멜 산길 |
2. 생애
십자가의 요한은 1542년 스페인 폰티베로스에서 '''후안 데 이에페스'''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곤살로 데 이에페스는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으나 가난한 카타리나 알바레스와 결혼하여 집안에서 의절당했다. 이들 사이에서 세 아들이 태어났지만, 가난으로 인해 아버지는 요한이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세상을 떠났고, 둘째 아들 루이스도 병으로 사망했다. 어머니는 막내아들 요한을 메디나 델 캄포의 고아원에 맡겼다.[9]
요한은 고아원에서 여러 직업 교육을 받았으나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 17세에 병원 간호사 일을 하면서 병원 유지를 위한 모금 활동도 했다. 예수회 학교에서 공부하여 사제가 될 기회를 얻었지만, 갈멜회 수도원에 들어갔다. 1567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12][10]
25세에 아빌라의 테레사를 만나 남자 갈멜회 개혁에 동참, '성 마티아스의 요한'에서 '''십자가의 요한'''으로 개명하고, 두루엘로에 맨발의 갈멜회 첫 수도원을 설립했다. 그러나 그의 개혁은 주변 수도사들에게 위협으로 여겨져 이해받지 못했다.[16]
피아첸차 수도회 총회에서 탄핵받고, 1577년 톨레도 수도원에 유폐되었다가 1578년 탈출했다. 유폐 중 영감을 받아 『어두운 밤』을 저술했다.[20] 1581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허가로 맨발의 갈멜회가 정식 인정받았다. 그러나 1591년 마드리드 회의에서 비판받아 라 페뉴엘라로 은둔, 병으로 우베다 수도원으로 옮겨져 1591년 12월 14일 49세로 사망했다.[10]
1618년 그의 저작이 처음 출판되었다. 1675년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복자로, 1726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25]
2. 1. 어린 시절과 교육
그는 구 카스티야 폰티베로스에서 '''후안 데 예페스 이 알바레스'''로 태어났다. 폰티베로스는 약 2,000명의 인구가 살고 있었고, "새로운 기독교인" 가족, 즉 ''콘베르소'' (이베리아 유대인의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손) 출신이었다.[7] 그의 아버지 곤잘로는 비단 상인이었던 더 부유한 친척들의 회계사였다. 1529년 곤잘로는 하층 계급의 고아였던 후안의 어머니 카탈리나와 결혼했다. 곤잘로는 가족에게 거부당했고 아내와 함께 직조공으로 일해야 했다.[9] 1545년 후안의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후안은 3살 정도였다.[9] 2년 후 후안의 형 루이스가 사망했는데, 아마도 가족이 겪었던 가난으로 인한 영양실조의 결과였을 것이다. 그 결과, 후안의 어머니 카탈리나는 후안과 그의 남은 형제 프란시스코와 함께 1548년 아레발로로 이사했고, 1551년에는 메디나 델 캄포로 이사했는데, 그곳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었다.[10][11]메디나에서 후안은 대부분 고아인 160명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학교에 들어가 기독교 교리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받았다. 그들은 약간의 음식, 옷, 숙소를 받았다. 그곳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는 근처의 아우구스티누스 수녀원의 제단 종으로 봉사하도록 선택되었다.[10] 자라면서 후안은 병원에서 일했고, 1559년부터 1563년까지 예수회 학교에서 인문학을 공부했다. 예수회는 당시 스페인 성 로욜라의 이냐시오에 의해 불과 몇 년 전에 설립된 새로운 조직이었다. 1563년에 그는 가르멜회에 입회하여 '''성 마티아스의 요한'''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12][10]
다음 해(1564년)에 그는 첫 번째 서약을 하고 살라망카 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과 철학을 공부했다.[13] 그곳에서 그는 대학교에서 성서 연구(성경 해석, 히브리어, 아람어)를 가르친 프라이 루이스 데 레온을 만났다.
2. 2. 가르멜회 개혁과 박해
요한은 1567년 성직에 서품되었다. 그 후 카르투시오회에 입회하려 했으나, 메디나 델 캄포에서 아빌라의 테레사를 만나 가르멜회 개혁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14][15] 테레사는 1209년의 "원시 규칙"을 준수하여 카르멜 수도회의 순수성을 회복하고자 했다.테레사는 요한에게 카르투시오회 입회를 연기하고 자신을 따르라고 요청했다. 1568년 8월, 요한은 테레사와 함께 바야돌리드로 가서 테레사의 카르멜 수도 생활에 대해 배웠다. 같은 해 10월, 요한은 두루엘로에 테레사가 기증한 집에서 최초의 맨발 가르멜 수도회 수도원을 설립하기 위해 길을 떠났다. 1568년 11월 28일, 수도원이 설립되었고, 요한은 "십자가의 요한"으로 이름을 바꿨다.[16]
1570년 6월, 수도원이 좁아 만세라 데 아바호로 이전했다. 요한은 파스트라나와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 새로운 공동체를 설립했다. 1572년, 테레사의 초대로 아빌라에 가서 테레사와 수녀들, 평신도들의 영적 지도자이자 고해 신부가 되었다.[17][10] 1574년, 세고비아에 새 수도원 설립을 위해 테레사와 동행했다.

1574년에서 1577년 사이, 요한은 예수의 십자가형 환시를 보고 "위에서" 그리스도를 그린 그림을 그렸다. 이 그림은 살바도르 달리의 1951년 작품 ''십자가의 성 요한''에 영감을 주었다.[18]
1575년부터 1577년까지, 테레사와 요한의 개혁을 둘러싼 스페인 가르멜 수도회 수도사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1576년 5월 피아첸차에서 열린 가르멜 수도회 총회는 맨발 수도원의 완전한 폐지를 명령했다.[20]
스페인 펠리페 2세와 교황 교황 사절의 지지로 개혁은 즉시 중단되지 않았다. 교황 사절은 헤로니모 그라시안을 안달루시아 가르멜 수도회 방문자로 임명했다.[10] 1576년 1월, 요한은 메디나 델 캄포에 억류되었지만 교황 사절의 개입으로 석방되었다.[10] 그러나 1577년 교황 사절이 사망하면서 요한은 다시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2. 3. 맨발 가르멜회 인가와 말년
1580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피아 고려"라는 칙령을 통해 맨발 가르멜회의 분리를 승인했다.[10] 후안 벨라스케스 데 라스 쿠에바스가 이 결정을 감독했다. 1581년 3월 3일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서 열린 맨발 가르멜 수도회 첫 총회에서 십자가의 요한은 공동체의 "결정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고, 그들을 위한 헌법을 작성했다.[10] 당시 맨발 가르멜 수도회는 22개의 수도원과 약 300명의 수사, 200명의 수녀를 보유했다.1581년 11월, 십자가의 요한은 아빌라의 테레사의 지시로 그라나다에 수녀원을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 1582년 1월 그라나다에 도착하여 수녀원을 설립했고, 십자가의 요한은 알람브라 궁전 근처 로스 마르티레스 수도원에 머물며 1582년 3월 그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다.
1585년 2월, 십자가의 요한은 말라가로 이동하여 맨발 수녀들을 위한 수녀원을 설립했다. 같은 해 5월, 리스본에서 열린 맨발 가르멜 수도회 총회에서 십자가의 요한은 안달루시아 부교구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이 직책을 수행하며 안달루시아 지역의 수사 및 수녀들의 수도원을 매년 방문해야 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이 지역에 7개의 새로운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약 25,000 km를 여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1588년 6월, 십자가의 요한은 맨발 가르멜 수도회 교구장인 니콜라스 도리아 신부의 세 번째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카스티야의 세고비아로 돌아갔고, 수도원장 역할도 맡았다. 1590-1년에 도리아가 맨발 가르멜 수도회 지도부 개편에 대해 반대 의견을 보이자, 십자가의 요한은 세고비아에서 해임되었다. 1591년 6월, 그는 도리아에 의해 라 페뉴엘라라는 안달루시아의 고립된 수도원으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그는 병에 걸려 치료를 위해 우베다의 수도원으로 이동했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1591년 12월 14일 단독으로 사망했다.[10]
2. 4. 시성
1675년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복자로 시복되었고, 1726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25] 1926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28] 그의 축일은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12월 14일로 옮겨졌다.[26] 잉글랜드 성공회와 미국 성공회는 같은 날 그를 기리고 있다.[27][3]3. 사상
십자가의 요한의 사상은 '영혼의 어두운 밤'이라는 개념으로 대표된다.
'어두운 밤'은 영혼이 하느님과의 합일을 향해 가는 여정을 묘사하는 것으로, 세상으로부터의 분리와 창조주와의 합일에 이르는 과정에서 만나는 어려움과 고난을 "어둠"으로 표현한다. 이 시의 주요 내용은 영적 성숙과 하느님과의 합일을 얻기 위해 필요한 고통스러운 경험이다.[10]
《가르멜산의 등정》은 하느님과의 완전한 합일을 추구하는 영혼의 고행적 노력과 그 과정에서 만나는 신비주의적인 사건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어두운 밤》에 대한 주석으로 시작하지만, 시의 처음 두 연 이후에는 빠르게 완전한 논문으로 전환된다.[30]
《사랑의 타는 불꽃》은 영혼이 하느님의 사랑에 응답하면서 더 큰 친밀함을 묘사하는 작품이다.[31]
이 작품들은 《빛과 사랑의 격언》, 테레사의 저술과 함께 스페인어로 된 가장 중요한 신비주의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T.S. 엘리엇, 리시외의 테레즈, 에디트 슈타인, 토마스 머튼 등 전 세계의 후대 영적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십자가의 요한의 신비 신학을 주제로 신학 논문을 쓰기도 했다.
4. 주요 저작
E. 앨리슨 피어스가 1935년에 요한의 작품에 대한 영문 비평판을 출판하였다.[36] 요한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어두운 밤』
- 『가르멜산 등정』
- 오쿠무라 이치로 역 (돈 보스코사, 1969년, 개정판 2012년/지쿠마 학예 문고, 2025년, 츠루오카 카가오 해설)
- 『영혼의 찬가』
- 『사랑의 산 불꽃』
- 『시집』
- 『소품집』
- 『빛과 사랑에 대하여』
1618년 디에고 데 살라반카가 요한의 저작을 처음 출판하였다. 현대 텍스트 판본에서도 여전히 사용되는 작품의 숫자 구분은 살라반카가 도입한 것으로, 요한의 원본 저작에는 없었지만 독자가 작품을 더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었다.[10] 다만, 이 판본에는 『영적인 노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종교 재판을 우려하여 일부 구절을 생략하거나 수정했을 수도 있다.[32]
『영적인 노래』는 1630년 마드리드에서 프라이 헤로니모 데 산 호세가 제작한 판본에 처음 포함되었다. 이 판본은 이후 편집자들이 대체로 따랐지만, 17, 18세기 판본에서는 점차 몇 편의 시와 편지가 추가되었다.[33]
최초의 프랑스어 판은 1622년 파리에서,[34] 최초의 카스티야어 판은 1627년 브뤼셀에서 출판되었다.[35]
5. 영향
십자가의 요한의 저작은 1618년에 처음 출판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연구되었다. 20세기에는 에디트 슈타인, 자크 마리탱,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등 여러 신학자와 철학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0][41] 또한 화가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 《십자가의 성 요한의 그리스도》에 영감을 주었다.[40][41]
요한의 초기 시절이나 잠재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살라망카 대학교에는 토마스 아퀴나스, 스코투스, 뒤랑 등 다양한 지적 입장이 존재했을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37] 요한이 저술의 스콜라 철학적 틀을 설명하기 위해 아퀴나스의 사상을 흡수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38] 요한의 첫 번째 전기에는 1567년에 그가 특히 위(僞) 디오니시오스와 교황 그레고리오 1세를 비롯한 신비주의 작가들을 특별히 연구했다는 주장이 있다.[40][41]
5. 1. 한국에 끼친 영향
십자가의 요한의 저작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가톨릭 신자들에게 널리 읽히고 있다. 특히, 그의 '어두운 밤' 개념은 한국 교회 내에서 영성 수련의 중요한 지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가르멜 수도회는 한국에도 진출하여 십자가의 요한의 영성을 따르는 수도자들을 양성하고 있다. 한국의 일부 신학자들은 십자가의 요한의 사상과 한국 전통 사상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기도 한다.참조
[1]
백과사전
St. John of the Cross
https://www.britanni[...]
2020-08-04
[2]
서적
Los Santos En La Universidad de Salamanca
Ediciones Universidad de Salamanca
[3]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4]
웹사이트
Notable Lutheran Saints
http://www.resurrect[...]
2019-07-16
[5]
문서
[6]
웹사이트
St. John of the Cross
https://www.britanni[...]
2024-06-30
[7]
서적
God Speaks in the Night. The Life, Times, and Teaching of St. John of the Cross'
ICS Publications
[8]
문서
[9]
문서
[10]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St John of the Cross
ICS Publications
[11]
서적
The Impact of God, Soundings from St John of the Cross.
Hodder & Stoughton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Discover the crucifix drawn by St. John of the Cross after a mystical vision
https://aleteia.org/[...]
2021-05-11
[19]
문서
[20]
문서
[21]
웹사이트
Ascent of Mt. Carmel, introductory essay THE DEVELOPMENT OF MYSTICISM IN THE CARMELITE ORDER
https://archive.org/[...]
Thomas Baker and Internet Archive
2009-12-11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10
[28]
웹사이트
Garrigou-Lagrange . Il tomista d'assalto
http://www.avvenire.[...]
2014-02-17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Saint John of the Cross
https://www.worldcat[...]
ICS Publications
1991
[33]
문서
[34]
서적
Savoring God : comparative theopoetics
https://www.worldcat[...]
2021
[35]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Saint John of the Cross
https://www.worldcat[...]
ICS Publications
1991
[36]
서적
St John of the Cross: Poems of Roy Campbell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07
[37]
문서
Crisogono (1958), pp. 33–35
[38]
논문
By L. Rodríguez-San Pedro Bezares, 'La Formación Universitaria de Juan de la Cruz', Actas del Congreso Internacional Sanjuanista (Valladolid, 1993)
[39]
문서
Bezares, p19
[40]
문서
The 1628 biography of John is by Quiroga. The information is from Crisogono (1958), p. 38
[41]
문서
Eulogio Pacho (1969), pp. 56–59; Steven Payne, John of the Cross and the Cognitive Value of Mysticism: An Analysis of Sanjuanist Teaching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Discussions of Mystical Experience (1990), p. 14, n. 7)
[42]
서적
St John of the Cross
Continuum
[43]
문서
This occurs in the Living Flame at 1.16 and 2.3. See John Sullivan, 'Night and Light: the Poet John of the Cross and the Exultet of the Easter Liturgy', Ephemerides Carmeliticae, 30:1 (1979), pp. 52–68.
[44]
문서
John mentions Dionysius explicitly four times—S2.8.6; N2.5.3; CB14-15.16; Ll3-3.49. Luis Girón-Negrón, 'Dionysian thought in sixteenth-century Spanish mystical theology', Modern Theology, 24(4), (2008), p699
[45]
문서
However, there is little precise agreement on which particular mystics may have been influential. [[Jean Orcibal]], S Jean de la Croix et les mystiques Rheno-Flamands (Desclee-Brouwer, Presence du Carmel, no. 6); Crisogono (1929), I, 17, believed that John was influenced more by German mysticism, than perhaps by [[Gregory of Nyssa]],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Pseudo-Dionysius]], [[Augustine of Hippo]], [[Bernard of Clairvaux]], the [[School of Saint Victor]] and the [[The Imitation of Christ|Imitation]].
[46]
문서
Dámaso Alonso, La poesía de San Juan de la Cruz (Madrid, 1942)
[47]
문서
Luce Lopez Baralt, Juan de la Cruz y el Islam (1990)
[48]
문서
Peter Tyler, St John of the Cross (2010), pp. 138–142
[49]
문서
José Nieto, Mystic, Rebel, Saint: A Study of St. John of the Cross (Geneva, 1979)
[50]
웹사이트
PRAYER VENTURES
http://download.elca[...]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016-11-15
[51]
서적
聖人事典
三交社
1998年
[52]
문서
The day is unknown. The parish registers were destroyed by a fire in 1546, and the only serious evidence is an inscription on the font in the church, dated 1689. Midsummer Day is sometimes cited as the date of John's birth, but since this is also the Feast of St John the Baptist, this may simply be conjecture. See E Allison Peers, Spirit of Flame: A Study of St John of the Cross, (London: SCM Press, 1943), p. 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