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경덕은 1957년 평양 출생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정치경제학 전문가 자격을 취득했다. 평양시당 책임비서, 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0년 조선노동당 평양시 책임비서에 임명되었다. 2013년 장성택 숙청 이후 해임되었으나, 2018년 평안북도 당 위원장으로 복귀했다. 2021년 건국 73주년 열병식에서 평안북도 로농적위군 종대를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시 출신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평양시 출신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57년 출생 - 노영민
노영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 및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연루되었다. - 1957년 출생 -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았고, 퇴임 후 인민평의회 의장직을 수행했다.
| 문경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문경덕 |
| 로마자 표기 | Mun Gyeong-deok |
| 한자 표기 | 文景德, 文京德 |
| 출생일 | 1957년 10월 12일 |
| 출생지 | 평양직할시 대성구역 |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학력 | 김일성종합대학 |
| 직업 | 정치인, 당중앙위원회 비서 |
| 정당 | 조선로동당 |
| 주요 직책 | |
| 직책 | 조선로동당 북평안도위원회 책임비서 |
| 임기 시작 | 2021년 1월 10일 |
| 임기 종료 | 2023년 12월 28일 |
| 이전 직책 | 조선로동당 북평안도위원회 위원장 |
| 후임 | 박성철 |
| 직책 | 조선로동당 북평안도위원회 위원장 |
| 임기 시작 | 2018년 |
| 임기 종료 | 2021년 1월 10일 |
| 이전 직책 | 김능오 |
| 후임 | 본인 (책임비서) |
| 직책 | 조선로동당 평양시위원회 책임비서 |
| 임기 시작 | 2010년 7월 |
| 임기 종료 | 2014년 3월 |
| 이전 직책 | 최영림 |
| 후임 | 김수길 |
2. 경력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평양시당 지도원,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2호지도국장, 당중앙위원회 부부장을 거쳤다.[14] 1998년 제10기, 2003년 제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9] 2010년 조선노동당 평양시 책임비서에 취임했으나,[8][6] 2013년 장성택 처형 이후 공개석상에서 모습을 감추었고, 2014년 3월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다.[2] 강제수용소 수용설, 숙청설 등이 제기되었다.[11][12] 2021년 9월 9일 건국 73주년 경축 열병식에서는 평안북도 로농적위군 종대를 이끌고 행진했다.
2. 1. 초기 경력
1957년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서 태어났다.[14] 1973년 10월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였고,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여 정치경제 전문가 자격을 받았다.[2] 1970년대 장성택과 함께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3] 1980년대에는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근무하며 적위대를 담당했다.[2] 1991년 청년동맹 부위원장, 조선학생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2][7]2. 2. 주요 정치 경력
1997년 문경덕은 장성택과 함께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에서 부부장 및 과장을 맡았다.[2] 2002년에는 장성택과 함께 남한으로 연수를 다녀왔다.[2]2010년 7월, 조선로동당 평양시당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 같은 해 9월 28일 열린 제3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비서국 위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2]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제2위원회 위원장,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4]
2009년 제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2] 2019년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280선거구, 구장)으로 선출되었다.[5]
2018년에는 평안북도 당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3]
2. 3. 장례위원회 위원
문경덕은 2010년 11월 조명록, 2011년 12월 김정일, 2013년 12월 김국태, 2018년 김영춘과 김철만, 2020년 황순희 사망 이후 장례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2] 김정일 사망 당시에는 국가장례위원회 명부 27번째에 기재되었다.[10]3. 장성택 숙청 이후
2013년 장성택 처형 이후 문경덕은 공개 석상에서 모습을 감추었고, 장성택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숙청되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2] 2014년 3월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다.[2] 이때, 정치범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제수용소에 수용되었다는 설[11]과 숙청되었다는 설[12]이 있다.
4. 복귀
장성택 처형 이후 공개석상에서 모습을 감췄으며, 장성택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숙청되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2014년 3월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다.[2] 그러나 2018년 평안북도 당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공개석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3] 2019년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280선거구(구장)를 대표하였다.[5] 2021년 9월 9일 건국 73주년 경축 열병식에서는 평안북도 로농적위군 종대를 이끌고 행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北, 당 중앙위원 128명, 후보위원 106명 발표
https://m.nocutnews.[...]
2016-05-10
[2]
웹사이트
Mun Kyong Dok
https://www.nkleader[...]
2024-01-18
[3]
뉴스
Former aide of Kim Jong-un's executed uncle reinstated
https://www.koreatim[...]
2018-07-04
[4]
웹사이트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2010-09-29
[5]
웹사이트
북 김정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처음 빠져: (추가) 북 언론, 687명 대의원 명단 발표...당 부위원장들 포함 (명단)
http://www.tongilnew[...]
2019-03-12
[6]
웹사이트
문경덕
http://unibook.uniko[...]
[7]
뉴스
北新体制:張成沢氏の側近、「社労青の4人組」とは?
朝鮮日報日本語版
2011-12-24
[8]
간행물
2010年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d-arch.ide.go[...]
[9]
웹사이트
문경덕(남성)
http://nkinfo.unikor[...]
[10]
웹사이트
Kim Jong Il Funeral Committee (as of 19 December 2011)
https://nkleadership[...]
[11]
뉴스
張成沢氏粛清、明暗分かれた側近幹部
http://digital.asahi[...]
朝日新聞
2014-07-11
[12]
뉴스
張成沢没落から1年…金正恩体制を固めようとしたが、外交がこじれ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4-11-11
[13]
뉴스
【激動・朝鮮半島】張成沢氏側近が復権 「嫌中」から「親中」シフト鮮明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8-07-05
[14]
웹인용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0-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