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철만은 일제강점기 빨치산 활동을 시작으로 조선인민군에서 대장까지 오른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1920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김일성 휘하에서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했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1960년대부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방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군수 산업 발전에 기여하여 "북한 미사일의 아버지"로 불렸다. 2018년 방광암으로 사망했으며, 김정은이 장례위원장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화국영웅 수훈자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공화국영웅 수훈자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빨치산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빨치산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남일
남일은 소련군 장교 출신으로, 북한으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하고 한국 전쟁 당시 참모총장, 외무상, 부총리 등을 역임한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김철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작위 | 육군 상장 |
이름 | 김철만 |
로마자 표기 | Gim Cheolman |
한자 표기 | 金鐵萬 |
출생일 | 1920년 11월 2일 |
사망일 | 2018년 12월 3일 |
출생지 | 평안남도 |
사망 장소 | 평양직할시 |
소속 | 조선인민군 |
복무 기간 | 1937년–2018년 |
최종 계급 | 육군 상장 |
참전 | 한국 전쟁 |
수상 | 공화국 영웅 (2회)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9회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임기 시작 | 1962년 4월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임기 종료 | 2018년 12월 3일 |
국방위원회 위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
국방위원회 위원 임기 시작 | 1990년 5월 |
국방위원회 위원 임기 종료 | 2003년 3월 |
당 중앙위원회 위원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당 중앙위원회 위원 임기 시작 | 1970년 11월 |
당 중앙위원회 위원 임기 종료 | 2018년 12월 3일 |
훈장 | |
훈장 | 김일성훈장 김정일훈장 |
기타 훈장 | 공화국 2중 영웅 노력영웅 |
2. 생애
김철만은 1918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났으며, 조선총련의 전 의장인 한덕수의 매형이다.[1] 1937년 김일성의 항일 연합군에 합류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부상을 입기도 했다.[2]
1964년 사회안전부 전략국 국장이 되었고, 1980년 10월 제6차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 9월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 전병호와 함께 북한의 군수 산업을 이끌었다.[2]
1967년 11월 조선로동당 제6차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70년 11월 정식 위원이 되었다.[1] 1969년 군부 숙청에서 살아남았으며, 짧은 기간(1980년 10월 – 1981년 9월) 동안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 위원이었다.[1]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과 김일성 및 오진우의 장례위원회 위원 등의 직위도 맡았다.[1]
노년기에 여러 직위에서 물러났으며, 2003년 리을설 등과 함께 제2경제위원회와 국방위원회에서 물러났다.[7] 2010년 9월까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직을 유지했다.[7]
제5, 6, 8, 9, 10, 11, 12차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으며, 1968년과 1992년에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1] 2018년 12월 3일 방광암으로 사망했으며, 김정은이 위원장을 맡은 장례위원회가 구성되었다.[8]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무장 투쟁
김철만은 1920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13] 일제강점기인 1937년 7월, 리을설, 김익현 등과 함께 김일성 휘하의 빨치산 부대에 자원 입대하여 오중흡 7연대에서 빨치산 활동을 했다.[13] 그는 소련의 프룬제 군사 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1]2. 2. 군 경력
1920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 1937년 7월 리을설, 김익현 등과 함께 김일성 휘하의 빨치산 부대에 자원 입대하여 오중흡 7연대에서 빨치산 활동을 했다.[13] 1948년 인민군 사단 참모장을 지냈고, 1955년에 소장, 1962년에 중장으로 진급했다.[14]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었다.[2]1968년 인민군 상장이 되었고,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1989년 인민군 대장에 오르면서 군수동원총국장에 임명되었다.[14]
김철만의 군 경력은 다음과 같다.
직위/계급 | 승진일 | 부대 |
---|---|---|
대좌(상좌) | 1945년 | 조선인민군 |
연대장 | 1948년 9월 | 제25연대, 제12사단, 조선인민군 |
소장 | 1953년 | 조선인민군 |
사단장 | 1955년 4월 | 제37사단, 조선인민군 |
중장 | 1962년 7월 | 조선인민군 |
군단장 | 1965년 1월 | 제2군단, 조선인민군 |
부참모장 | 1968년 2월 | 조선인민군 |
상장 | 1968년 2월 | 조선인민군 |
상참모장 | 1970년 7월 | 조선인민군 |
총국장 | 1988년 9월 | 후방국, 조선인민군 |
2. 3. 정치 활동
김철만은 1920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인 1937년 7월 김일성 휘하의 빨치산 부대에 리을설, 김익현 등과 함께 자원 입대하여 오중흡7연대에서 빨치산 활동을 했다.[13] 1948년 인민군 사단 참모장을 거쳐 1955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1962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하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 되었다. 1968년에는 인민군 상장으로 진급하며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14]1967년 11월, 김철만은 북한 지도부 1세대의 일원으로서 조선로동당 제6차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70년 11월에는 정식 위원으로 승격되었다.[1] 1969년 군부 인사에 대한 숙청 이후 김철만의 입지가 위협받았지만, 그는 살아남았다.[2] 197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89년 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하면서 군수동원총국장에 임명되었다. 1990년부터 2003년까지는 국방위원회 위원을 지냈다.[14]
김철만은 짧은 기간(1980년 10월 – 1981년 9월) 동안 북한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 위원이었다.[1] 그는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과 김일성 및 오진우의 장례위원회 위원 등의 특별 직위를 맡았다.[1]
최고인민회의 제3~6기(1962년, 1967년, 1972년, 1977년)와 8~11기(1986년, 1990년, 1998년, 2003년) 대의원을 거쳐 제12기(2009년) 대의원을 지냈다. 2010년 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에서는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에 선임되었다.
1988년 대장으로 승진하여 군수동원총국장에 취임하였고, 1989년부터는 군수공업부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여 군수공업의 현대화와 미사일 개발을 추진하여 "북한 미사일의 아버지"라고 불렸다.[12]
2003년, 김철만은 제2경제위원회와 국방위원회에서 물러났다.[7] 그는 2010년 9월까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직을 유지했다.[7] 2010년 9월에는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후보·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을 퇴임하고 일선에서 물러났다.[10]
김철만의 주요 정치 활동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직책 |
---|---|
1962년 10월 | 최고인민회의 제3기 대의원 |
1964년 | 민족보위성 작전국 국장 |
1965년 1월 | 제2군단장 |
1966년 10월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 |
1967년 11월 | 최고인민회의 제4기 대의원 |
1968년 2월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
1970년 7월 | 제1부총참모장 |
1970년 11월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
1972년 12월 | 최고인민회의 제5기 대의원 |
1976년 12월 | 최고인민회의 제6기 대의원 |
1980년 10월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후보,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
1981년 9월 | 정치국 위원 후보 해임 |
1986년 11월 | 최고인민회의 제8기 대의원 |
1989년 | 군수동원총국장 |
1989년 12월 | 군수공업부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 |
1990년 4월 |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 |
1990년 5월 | 정치국 위원 후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 |
1994년 4월 | 김일성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 |
1998년 9월 |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
2003년 9월 |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국방위원회 위원 해임 |
2009년 4월 |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 |
2010년 9월 |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해임 |
2011년 12월 | 김정일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 |
2014년 3월 |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 |
2. 4. 사망
金策萬|김철만중국어은 방광암으로 치료를 받다가 2018년 12월 3일 3시 20분 9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3][8] 그의 장례위원회는 김정은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위원은 다음과 같다.[9]김정은 | 최룡해 | 박봉주 | 양형섭 | 리명수 |
---|---|---|---|---|
리수용 | 김평해 | 태종수 | 오수용 | 안정수 |
김영철 | 최부일 | 로두철 | 최휘 | 박태덕 |
김수길 | 리용길 | 노광철 | 정경택 | 임철웅 |
조연준 | 리만건 | 리병철 | 김능오 | 김덕훈 |
리주오한국어 | 리룡남 | 동정호 | 전광호 | 고인호한국어 |
김영대 | 황순희 | 박경숙 | 리용숙 | 리일환 |
리철만 | 최동명한국어 | 리용래 | 량원호 | 박도춘 |
홍승무 | 홍영칠 | 유진 | 강봉훈 | 김두일 |
문경덕 | 박영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박영호한국어 | 량정훈 | 김재룡 | 박정남 |
리히용 | 김성일 | 리상원한국어 | 강양모한국어 | 신영철 (정치인)한국어 |
정영국한국어 | 박철민 (정치인)|박철민한국어 | 주영길한국어 | 김창엽한국어 | 장춘실한국어 |
조준모 | 서홍찬 | 손철주 (군인)한국어 | 조경철 | 리두성한국어 |
윤동현 | 김성철 | 허영춘 | 김형룡 | 리용주 |
오금철 |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평가 및 비판 섹션을 작성하고, 그 결과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1]
웹사이트
Kim Chol-man
http://nkleadershipw[...]
North Korean Leadership Watch
2013-12-30
당 중앙위원회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무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김정은을 국가장의위원장으로 하여 국장을 거행했다.[10]
3. 평가 및 비판
참조
[2]
웹사이트
Kim Chol-man
http://world.kbs.co.[...]
2013-12-30
[3]
웹사이트
All eyes set on Kim Jong Il's funeral committee list
https://web.archive.[...]
The Asahi Shimbun
2011-12-27
[4]
웹사이트
Clues from Kim Jong-il Funeral List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3-12-30
[5]
웹사이트
Purges and Appointments I: What's Going On?
http://www.piie.com/[...]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3-12-23
[6]
웹사이트
N.Korea Purges Party, Military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3-12-23
[7]
웹사이트
Kim Chol Man
http://nkleadershipw[...]
North Korean Leadership Watch
2014-01-02
[8]
뉴스
Kim Jong Un offers condolence over death WPK Central Committee member
http://www.uniindia.[...]
2018-12-05
[9]
웹사이트
State Funeral Committee for Kim Chol Man Formed
http://www.kcna.co.j[...]
2018-12-04
[10]
뉴스
北朝鮮の金鉄万氏が死去…抗日パルチザン出身の軍需通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8-12-05
[11]
뉴스
北朝鮮の金鉄万氏が死去…抗日パルチザン出身の軍需通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8-12-05
[12]
뉴스
「北ミサイルの父」金鉄万死去…葬儀委員長に金正恩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12-05
[13]
웹인용
'北 미사일 아버지' 김철만 사망···장의위원장에 김정은
https://news.joins.c[...]
2018-12-05
[14]
웹인용
김철만 정보
https://archive.toda[...]
2018-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