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떼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떼새는 전 세계(극지방 제외)에 분포하며, 짧은 부리를 특징으로 하는 도요새의 일종이다. 시각으로 먹이를 사냥하고, 육식성이며 곤충, 갑각류 등을 섭취한다.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위장 행동을 하기도 한다. 분류 체계에 따라 물떼새아과 등으로 나뉘며, 검은가슴물떼새, 유럽금눈물떼새 등이 이에 속한다. 한국에서는 12종이 관찰되며, 문화적으로는 일본에서 친숙한 새이며, 아이슬란드에서는 봄을 알리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떼새과 - 댕기물떼새속
댕기물떼새속은 깃털 무늬와 머리 볏, 얼굴 육기를 가진 다리가 긴 물떼새류로, 댕기물떼새, 흰머리댕기물떼새, 왕관댕기물떼새, 검은머리댕기물떼새를 포함하며 전 세계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한다.
| 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물떼새 |
| 영어 이름 | Plovers |
| 일본어 이름 | チドリ (千鳥, 鵆) |
| 생물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 |
| 강 | 조류 |
| 목 | 도요목 |
| 아목 | 치드리 아목 |
| 과 | 치드리과 |
| 아과 | 물떼새 |
| 학명 | Charadriinae |
| 학명 명명자 | Leach, 1820 |
| 하위 분류 | 속 (본문 참조) |
| 속 | |
| 속 목록 | 타게리속 (Vanellus) 와키아카치도리속 (Erythrogonys) 마키에치도리속 (Peltohyas) 하시마가리치도리속 (Anarhynchus) 무나그로속 (Pluvialis) 치도리속 (Charadrius) 코바시치도리속 (Charadrius morinellus, Eudromias) 노도구로치도리속 (Thinornis) 카타아카치도리속 (Elseyornis) 노도아카코바시치도리속 (Oreopholus) 하시나가치도리속 (Phegornis) 마다라게리속 (Hoploxypterus) |
| 이미지 | |
![]() | |
![]() | |
| 기타 | |
| 외부 링크 | Lexico 사전 Dictionary.com 사전 |
| 관련 분류 | 위키미디어 공용 위키종 |
2. 분포
물떼새는 사하라 사막, 극지를 제외한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부리가 특징이다.[25][26]
물떼새는 사하라 사막과 극지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 볼 수 있으며, 비교적 짧은 부리가 특징이다.[25] 머리는 둥글고 눈은 크다. 부리는 짧고, 다리가 발달했으며, 많은 종에서 첫째 발가락이 퇴화되어 있다. 암컷보다 수컷이 약간 더 크다. 등쪽과 배쪽의 깃털 색깔이 불연속적으로 나뉘는 종이 많아 윤곽이 잘 드러나지 않아 보호색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떼새는 사하라 사막, 극지를 제외한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부리가 특징이다.[9] 개구리, 물총새와 같은 긴 부리를 가진 다른 도요새들처럼 부리로 땅을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으로 먹이를 사냥한다. 서식지에 따라 곤충, 지렁이 또는 기타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는데, 다른 도요새 무리처럼 꾸준히 탐색하는 방식이 아니라 뛰고 멈추는 방식으로 먹이를 찾는다.[9] 물떼새는 일종의 기만 행동인 위장 품는 행동을 한다. 예를 들어 위치를 바꾸는 척하거나 상상 속의 둥지에 앉아 있는 척하는 행동 등이 있다.
물떼새과는 크게 물떼새아과(Charadriinae), 검은가슴물떼새아과(Pluvialinae), 댕기물떼새아과(Vanellinae)로 나뉜다.[25][26] 다만, 국제조류학회(IOC)와 클레멘츠 분류 체계는 종을 아과로 분류하지 않는다.[3][4]
3. 형태
물떼새류는 크게 물떼새속과 뉴질랜드물떼새속 등으로 나뉜다. 다음은 물떼새속에 속하는 새들이다.[9]이름 학명 카스피안플러버 Charadrius asiaticus 체스넛밴디드플러버 Charadrius pallidus 칼러드플러버 Charadrius collaris 흰죽지꼬마물떼새 Charadrius hiaticula 두줄꼬마물떼새 Charadrius bicinctus 흰눈썹물떼새 Charadrius morinellus 포브스플러버 Charadrius forbesi 큰왕눈물떼새 Charadrius leschenaultii 자바플러버 Charadrius (alexandrinus) javanicus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킬디어 Charadrius vociferus 키틀리츠플러버 Charadrius pecuarius 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마다가스카르플러버 Charadrius thoracicus 말레이시아플러버 Charadrius peronii 마운틴플러버 Charadrius montanus 뉴질랜드플러버 Charadrius obscurus 큰물떼새 Charadrius veredus 파이핑플러버 Charadrius melodus 푸나플러버 Charadrius alticola 레드캡트플러버 Charadrius ruficapillus 루퍼스체스티드플러버 Charadrius modestus 세인트헬레나플러버 Charadrius sanctaehelenae 세미팜메이티드플러버 Charadrius semipalmatus 스노이플러버 Charadrius nivosus 세줄물떼새 Charadrius tricollaris 투밴디드플러버 Charadrius falklandicus 화이트프론티드플러버 Charadrius marginatus 윌슨플러버 Charadrius wilsonia
4. 생태
해안, 갯벌, 강, 습지,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비행 능력이 뛰어나고, 이동을 하는 종이 많다. 발달된 후지(다리)를 이용하여 지표면을 빠르게 이동할 수도 있다. 육식성으로, 곤충, 갑각류, 조개류, 갯지렁이 등을 먹는다. 지표면에서 먹이를 쪼아 먹은 후 조금 돌아다닌 뒤 다시 먹이를 쪼아 먹는 행동을 자주 한다.
지표면에 움푹 들어간 곳을 파서 둥지를 만들고, 한 번에 2~6개(주로 4개)의 알을 낳는다. 주로 암수가 번갈아 알을 품는다.
5. 분류
전통적인 도요과는 단계통이 아니며, 검은가슴물떼새속만이 다른 계통적 위치에 있어 검은가슴도요속을 단형의 검은가슴도요과로 분리하는 견해가 있다.[16]
과거에는 마젤란도요가 도요과에 포함되었지만, 계통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단형의 마젤란도요과로 분리되었다.
얼룩도요는 단형의 얼룩도요속으로 분류되었지만, Bock (1958)에 의해 밀화부리속에 통합된 후, Strauch (1978) 등에 의해 다시 분리되었다. 계통적 위치는 불확실하며, 밀화부리속의 자매군이라는 견해와 도요속에 더 가깝다는 견해가 있다.[17]
작은도요속에는 과거 두 종이 속해 있었지만, 붉은목도요가 분리되어 작은도요의 단형속이 되었다. 도요속에 포함시키는 견해도 있지만,[20][18] 도요속과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다.
Baker et al. (2007)의 연구[15]에 기반한 물떼새과의 계통수는 다음과 같다.
5. 1. 물떼새아과 (Charadriinae)
물떼새아과에는 대략 66개의 종이 있으며,[25] 그 중 대부분은 물떼새(plover)로 불린다. 가장 가까운 댕기물떼새아과(Vanellinae)는 20여 종으로 구성된다.[26]
물떼새는 사하라 사막과 극지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 발견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부리가 특징이다.
국제조류학회(IOC)와 클레멘츠 분류 체계는 종을 아과로 분류하지 않지만,[3][4] 미국조류학회(AOS)의 남미 분류 위원회는 모든 종을 물떼새아과(Charadriinae)에 포함한다.[5]
다음은 물떼새아과에 속하는 속과 종의 일부이다.
IOC는 가시도롱뇽과에 속하는 다음 69종의 도요새, 물떼새, 좀도요를 인정한다. 이들은 11개 속에 분포하며, 일부 속에는 단 한 종만 있는 경우도 있다.[3]
| 일반적인 이름 | 이명 + 권위 | IOC 순서 |
|---|---|---|
| 갈색목물떼새 | Oreopholus ruficollis (바글러, 1829) | 5 |
| 붉은가슴물떼새 | Zonibyx modestus (리히텐슈타인, MHC, 1823) | 6 |
| 왕관물떼새 | Phegornis mitchellii (프레이저, 1845) | 7 |
| 유럽물떼새 | Eudromias morinellus (린네, 1758) | 8 |
| 킬디어 | Charadrius vociferus (린네, 1758) | 9 |
| 유럽꼬까도요 | Charadrius hiaticula (린네, 1758) | 10 |
| 작은발가락도요 | Charadrius semipalmatus (보나파르트, 1825) | 11 |
| 쇠꼬마도요 | Charadrius melodus (오드, 1824) | 12 |
| 후드물떼새 | Charadrius cucullatus (비에요, 1818) | 13 |
| 포브즈물떼새 | Charadrius forbesi (셸리, 1883) | 14 |
| 세줄무늬물떼새 | Charadrius tricollaris (비에요, 1818) | 15 |
| 검은이마물떼새 | Charadrius melanops (비에요, 1818) | 16 |
| 해안물떼새 | Charadrius novaeseelandiae (그멜린, JF, 1789) | 17 |
| 작은꼬까도요 | Charadrius dubius (스코폴리, 1786) | 18 |
| 긴부리물떼새 | Charadrius placidus (그레이, JE & 그레이, GR, 1863) | 19 |
| 붉은무릎물떼새 | Erythrogonys cinctus (굴드, 1838) | 44 |
| 내륙물떼새 | Peltohyas australis (굴드, 1841) | 45 |
| 카스피해물떼새 | Anarhynchus asiaticus (팔라스, 1773) | 46 |
| 동양물떼새 | Anarhynchus veredus (굴드, 1848) | 47 |
| 티베트모래물떼새 | Anarhynchus atrifons (바글러, 1829) | 48 |
| 시베리아모래물떼새 | Anarhynchus mongolus (팔라스, 1776) | 49 |
| 큰모래물떼새 | Anarhynchus leschenaultii (레송, RP, 1826) | 50 |
| 두줄무늬물떼새 | Anarhynchus bicinctus 자딘 & 셀비, 1827) | 51 |
| 휜부리도요 | Anarhynchus frontalis 쿠아 & 가이마르, 1832) | 52 |
| 뉴질랜드물떼새 | Anarhynchus obscurus (그멜린, JF, 1789) | 53 |
| 윌슨물떼새 | Anarhynchus wilsonia (오드, 1814) | 54 |
| 칼라물떼새 | Anarhynchus collaris (비에요, 1818) | 55 |
| 산악물떼새 | Anarhynchus montanus 타운센드, JK, 1837) | 56 |
| 푸나물떼새 | Anarhynchus alticola (베를렙슈 & 슈톨츠만, 1902) | 57 |
| 두줄띠물떼새 | Anarhynchus falklandicus 라섬, 1790) | 58 |
| 마다가스카르물떼새 | Anarhynchus thoracicus (리치먼드, 1896) | 59 |
| 키틀리츠물떼새 | Anarhynchus pecuarius 템민크, 1823) | 60 |
| 세인트헬레나물떼새 | Anarhynchus sanctaehelenae (하팅, 1873) | 61 |
| 붉은머리물떼새 | Anarhynchus ruficapillus 템민크, 1821) | 62 |
| 흰물떼새 | Anarhynchus nivosus (캐신, 1858) | 63 |
| 밤색띠물떼새 | Anarhynchus pallidus 스트릭랜드, 1853 | 64 |
| 말레이시아물떼새 | Anarhynchus peronii 슐레겔, 1865) | 65 |
| 흰이마물떼새 | Anarhynchus marginatus 비에요, 1818) | 66 |
| 자바물떼새 | Anarhynchus javanicus 체이슨, 1938) | 67 |
| 작은모래도요 | Anarhynchus alexandrinus 린네, 1758) | 68 |
| 흰얼굴물떼새 | Anarhynchus dealbatus (스윈호, 1870) | 69 |
5. 2. 검은가슴물떼새아과 (Pluvialinae)
Pluvialinae영어국제조류학회(IOC)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의 ''세계 조류의 안내서''는 ''Pluvialis'' 속에 속하는 네 종을 물떼새아과(Pluvialinae)로 분류한다.[6][7][8]
- Pluvialis속
- * 미국검은가슴물떼새, ''Pluvialis dominica'' – 미국검은가슴물떼새와 태평양금눈물떼새는 이전에는 "lesser golden plover"로 동종으로 간주되었다.(Sangster et al., 2002)
- * 유럽금눈물떼새, ''Pluvialis apricaria''
- * 개꿩(black-bellied plover), ''Pluvialis squatarola''
- * 검은가슴물떼새, ''Pluvialis fulva''
| 일반적인 이름 | 이명 + 권위 | IOC 순서 |
|---|---|---|
| 검은가슴물떼새 | Pluvialis squatarola (린네, 1758) | 1 |
| 유럽금눈물떼새 | Pluvialis apricaria (린네, 1758) | 2 |
| 태평양금눈물떼새 | Pluvialis fulva (그멜린, JF, 1789) | 3 |
| 아메리카금눈물떼새 | Pluvialis dominica (뮐러, PLS, 1776) | 4 |
전통적인 도요과는 단계통이 아니며, 검은가슴도요속만이 다른 계통적 위치에 있다. 따라서 검은가슴도요속을 단형의 검은가슴도요과로 분리하는 견해가 있다.[16] 검은가슴도요과는 도요과(검은가슴도요과를 제외한)의 자매군의 기저에 위치한다.
5. 3. 댕기물떼새아과 (Vanellinae)
댕기물떼새아과는 물떼새과에 속하는 아과 중 하나로, 대부분 물떼새(plover)라고 불린다. 댕기물떼새아과는 약 20여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26]아래는 댕기물떼새아과에 속하는 종의 일부를 나타낸 표이다.
| 일반적인 이름 | 이명 + 권위 | IOC 순서 |
|---|---|---|
| 유럽장다리물떼새 | Vanellus vanellus (린네, 1758) | 21 |
| 긴발가락장다리물떼새 | Vanellus crassirostris (하르틀라웁, 1855) | 22 |
| 대장장이장다리물떼새 | Vanellus armatus (버첼, 1822) | 23 |
| 가시발톱장다리물떼새 | Vanellus spinosus (린네, 1758) | 24 |
| 강장다리물떼새 | Vanellus duvaucelii (레송, RP, 1826) | 25 |
| 황색육수염장다리물떼새 | Vanellus malabaricus (보다르트, 1783) | 26 |
| 검은머리장다리물떼새 | Vanellus tectus (보다르트, 1783) | 27 |
| 흰머리장다리물떼새 | Vanellus albiceps 굴드, 1834) | 28 |
| 세네갈장다리물떼새 | Vanellus lugubris (레송, RP, 1826) | 29 |
|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 | Vanellus melanopterus (크레츠슈마르, 1829) | 30 |
| 왕관장다리물떼새 | Vanellus coronatus (보다르트, 1783) | 31 |
| 아프리카육수염장다리물떼새 | Vanellus senegallus (린네, 1766) | 32 |
| 얼룩가슴장다리물떼새 | Vanellus melanocephalus (뤼펠, 1845) | 33 |
| 갈색가슴장다리물떼새 | Vanellus superciliosus (라이헨바우, 1886) | 34 |
| 회색머리장다리물떼새 | Vanellus cinereus (블라이스, 1842) | 35 |
| 붉은육수염장다리물떼새 | Vanellus indicus (보다르트, 1783) | 36 |
| 자바장다리물떼새 | Vanellus macropterus (바글러, 1827) | 37 |
| 띠장다리물떼새 | Vanellus tricolor (비에요, 1818) | 38 |
| 가면장다리물떼새 | Vanellus miles (보다르트, 1783) | 39 |
| 사교성장다리물떼새 | Vanellus gregarius (팔라스, 1771) | 40 |
| 흰꼬리장다리물떼새 | Vanellus leucurus 리히텐슈타인, MHC, 1823 | 41 |
| 남방장다리물떼새 | Vanellus chilensis (몰리나, 1782) | 42 |
| 안데스장다리물떼새 | Vanellus resplendens (베를렙슈, 1843) | 43 |
| 검은머리물떼새 | Hoploxypterus cayanus (라삼, 1790) | 20 |
6. 한국 문화 속 물떼새
아이슬란드 민담에서 유럽황금물떼새는 봄이 왔음을 알리는 새로 여겨진다.[11] 아이슬란드 언론은 항상 첫 물떼새 관측을 보도한다.[11]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물떼새 종류를 '치도리(千鳥)'라고 부르며 친숙하게 여겼다. 『만엽집』에는 물떼새를 노래한 歌가 많이 실려 있으며, 가곡·코토곡 「치도리의 곡」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하이쿠에서는 "치도리"가 겨울의 계절어로 사용된다.
"파도에 천도리(波に千鳥)"는 일본식 무늬로, 기모노와 다양한 일용품 디자인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천도리를 모티브로 한 가문도 있다. 격자무늬의 일종인 Houndstooth는 일본어로 "치도리 격자"라고 불린다.
"천도리 배치"는 어떤 것이 규칙적으로 지그재그의 꼭짓점에 나란히 있는 모양을 가리키며, 술 취한 사람의 걸음걸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23][22] 건축업계에서는 못 등의 고정 위치를 상하좌우로 번갈아 배치하는 것을 "천도리"라고 한다.[23][24]
야마나시현야마나시시, 효고현스모토시, 효고 현아와지시는 물떼새를 시의 새로 지정하였다.
7. 보전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식용이나 오락을 목적으로 한 남획, 인위적으로 유입된 동물에 의한 포식, 식물상 변화 등으로 인해 일부 물떼새 종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사전
plover
https://web.archive.[...]
2022-01-18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plover
https://www.dictiona[...]
2022-02-14
[3]
웹사이트
Buttonquail, thick-knees, sheathbills, plovers, oystercatchers, stilts, painted-snipes, jacanas, Plains-wanderer, seedsnipes
https://www.worldbir[...]
2024-08-20
[4]
웹사이트
2023 Citation & Downloadable Checklists – Clements Checklist
https://www.birds.co[...]
2024-10-08
[5]
웹사이트
South American Classification Committee
https://www.museum.l[...]
2024-10-08
[6]
저널
Taxonomic recommendations for European birds
[7]
웹사이트
AOU Checklist of North and Middle American Birds
https://checklist.am[...]
2024-10-08
[8]
웹사이트
Data Zone - BirdLife International
https://datazone.bir[...]
2024-10-08
[9]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Birds
Oxford U. P.
[10]
웹사이트
The Golden Plover has arrived, indicating spring in Iceland
https://www.icenews.[...]
2017-03-27
[11]
웹사이트
Spring has arrived in Iceland, according to folklore
http://icelandmonito[...]
[12]
서적
Birds of the World
Colour Library Books
[13]
저널
Taxonomic recommendations for European birds
[14]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
http://100.yahoo.co.[...]
小学館
[15]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gence times of Charadriiformes genera: multigene evidence for the Cretaceous origin of at least 14 clades of shorebirds
http://www.ncbi.nlm.[...]
[16]
서적
The Timetree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A classification of the bird species of South America
http://www.museum.ls[...]
[18]
웹사이트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www.aou.org/c[...]
[19]
웹사이트
A comparative study of the egg-white proteins of non-passerine birds
http://peabody.yale.[...]
Yale University
[20]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21]
웹사이트
動物の輸入届出制度 届出対象動物の種類名リスト 鳥類一覧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2]
웹사이트
千鳥足とは
https://kotobank.jp/[...]
2023-01-12
[23]
웹사이트
【東建コーポ】千鳥|建築用語
https://www.token.co[...]
2023-01-12
[24]
웹사이트
千鳥(施工における〜)とは
https://smtrc.jp/use[...]
2023-01-12
[25]
서적
Birds of the World
Colour Library Books
[26]
저널
Taxonomic recommendations for European bir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