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흰목물떼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흰목물떼새는 몸길이 약 19-21cm의 물떼새과 조류로, 머리와 등은 회갈색, 배는 흰색이며 눈 주위에 노란색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꼬마물떼새와 유사하나 눈테가 흐릿하고 부리가 더 길며, 하천, 호수, 늪 등지에서 서식하며 곤충류, 절지동물, 지렁이 등을 먹는다. 한국에서는 하천 지역에서 번식하며,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만여 마리가 남아있으며, 서식지 감소로 인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떼새속 - 꼬마물떼새
    몸길이 약 16cm의 작은 물떼새인 꼬마물떼새는 뚜렷한 노란색 눈테가 특징이며 유라시아 대륙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 남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변화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자 독특한 번식 행동과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물떼새속 - 흰물떼새
    흰물떼새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넓게 분포하는 작은 해안 조류로, 한국에서는 흔한 나그네새이자 일부 번식하며, 서식지 손실로 멸종 위기 관심 동물로 분류된다.
  • 1863년 기재된 새 - 울새
    붉은꼬리울새는 몸길이 13~14cm의 작은 새로, 갈색 몸과 붉은 갈색 꼬리를 가지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는 철새이다.
  • 1863년 기재된 새 - 숲새
    몸길이 10.5cm의 작은 새로 짧은 꼬리와 올리브 갈색 깃털을 가진 숲새는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며, 상록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하층에서 곤충류나 거미류를 먹고 낙엽으로 밥그릇 모양 둥지를 짓는 겨울새이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피오르드랜드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에 서식하며 노란색 볏이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오징어, 크릴, 물고기를 먹고, IUCN 적색 목록에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외래 포식자와 인간의 간섭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도요타조
    도요타조는 주로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육상 조류로, 구악류에 속하며 레아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짧은 거리를 날거나 주로 걸어 다니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르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일부 종은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흰목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칼치도리
이칼치도리
학명Charadrius placidus
명명자Gray, JE & Gray, GR, 1863
이명해당 없음
Avibase ID8294655EB86B37C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치도리목
아목치도리아목
치도리과
치도리속
이칼치도리
보전 상태
IUCN Red ListLC - 최소 관심
IUCN 평가 연도2016
IUCN 평가자BirdLife International
대한민국 환경부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일반 정보
영어 이름Long-billed Plover
참고 자료
참고https://avibase.bsc-eoc.org/species.jsp?avibaseid=8294655EB86B37C1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1628327
http://www.bird-research.jp/1_shiryo/seitai/ikaruchi.pdf
https://www.iucnredlist.org/en

2. 형태

흰목물떼새는 몸길이 약 19-21cm, 날개 길이 약 45cm의 소형 물떼새이다. 등은 회갈색, 배는 흰색이며, 눈 주위에 노란색 띠가 있다. 부리는 가늘고 길며, 꼬리깃은 날개보다 길다. 머리 꼭대기와 등은 회갈색이며, 복면은 흰 깃털로 덮여 있다. 부리에서 눈을 지나 측두부로 이어지는 줄무늬(안선)가 있으며, 이마에 반점이 안선과 교차한다. 목에서 뒤통수까지의 깃털은 흰색이며, 가는 목걸이 모양의 반점이 있다.

번식 깃털을 가진 수컷 흰목물떼새


성조 깃털을 가진 긴부리물떼새


여름깃은 머리 부분과 목에 들어가는 반점이 검은색이다. 겨울깃은 머리 부분과 목에 들어가는 반점이 암갈색이며, 여름깃에 비해 약간 옅어진다. 뒷다리는 비교적 길고 노란색이다.[3]

2. 1. 꼬마물떼새와의 비교

흰목물떼새는 꼬마물떼새와 생김새가 유사하지만,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흰목물떼새는 꼬마물떼새보다 부리가 길고 눈테가 흐릿하다. 꼬마물떼새는 눈 주변 깃털이 검은색이지만, 흰목물떼새는 갈색이다. 또한 꼬마물떼새의 가슴 띠는 중앙 부분이 더 넓지만, 흰목물떼새는 띠의 두께가 균일하다.[3]

3. 생태

하천, 호수, 주변의 자갈밭이나 모래톱에 서식하며, 하천 중상류 지역에서 주로 관찰된다. 갯벌에서 관찰되는 경우는 드물다. 겨울에는 소규모 무리를 짓기도 한다.

곤충, 절지동물, 지렁이와 같은 동물성 먹이를 주로 먹는다. 물가를 걸어 다니면서 먹이를 찾고, 먹이를 먹은 후에는 다시 걸어 다니는 행동을 반복한다.

번식기에는 영역을 형성한다. 3-7월에 3-4개의 알을 낳으며, 암수 모두 알을 품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약 27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곧 둥지를 떠나 어미를 따라 걷기 시작한다.

3. 1. 울음소리

번식기에는 "피-피-피-피-피"와 같은 소리를 내며 영역 위를 날아다닌다.[4] 수컷은 다른 수컷을 위협할 때 "지-지" 소리를 낸다.[4] 경계 상태에서는 "피유우-" 소리를 낸다.[4] 포식자로부터 숨을 때는 "핍-핍-핍"과 같은 소리를 낸다.[4]

3. 2. 번식

흰목물떼새는 수컷과 암컷이 짝을 이루어 영역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일부일처제 번식 시스템을 보인다.[4] 그러나 암컷은 다른 수컷과 번식하기 위해 때때로 둥지를 떠날 수 있으며, 수컷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영역을 떠나지 않는다.[4] 수컷과 암컷 모두 영역 다툼에 참여하며, 자신의 영역을 날아다니며 큰 소리로 울부짖는다. 가슴을 부풀리고 종종 뛰어오르며 쪼아서 침입자를 물리친다.[4]

수컷은 2월 말 또는 3월 초에 번식 활동을 시작한다. 발로 자갈을 치우고 가슴을 땅에 대어 약 4cm 깊이, 지름 13cm의 얕은 구덩이를 만든다.[4] 수컷은 암컷을 불러 짝짓기를 시작하며, 암컷이 둥지에 오면 꼬리를 펼쳐 과시한다. 암컷은 수컷의 꼬리 아래를 지나 둥지로 들어간다.[4] 수컷은 땅에 이러한 구덩이를 많이 만들고 암컷을 안내하며, 암컷은 결국 둥지 중 하나에 알을 낳는다.[4]

암컷은 4개의 알을 품을 때까지 48시간마다 알을 하나씩 낳는다.[11] 알의 지름과 길이는 일반적으로 각각 약 3.5cm와 2.6cm 정도이다. 알은 일반적으로 약 10g 정도의 무게가 나간다.[11] 알은 서양배 모양이며, 작은 갈색 반점이 있는 회갈색 또는 청회색을 띤다.[11][4]

수컷과 암컷 모두 둥지 관리에 참여한다. 둥지를 작은 조약돌, 잔가지, 작은 나무 껍질 조각 및 기타 마른 식물 부위로 채운다.[11] 수컷과 암컷 모두 알을 품으며, 알은 일반적으로 부화 시작 후 29일 후에 부화한다. 부화 기간은 인간의 방해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4]

흰목물떼새는 상당한 양의 부모의 보살핌을 보여준다. 포식자가 둥지에 접근하면 부모는 큰 비명 소리를 내어 적을 위협하고 쫓아내려 한다.[4] 또한, 매우 더운 여름날에는 부모가 알 위에 서서 햇빛을 가려 과열로부터 보호한다.[11] 흰목물떼새는 조숙성 새끼를 낳는데, 이는 부화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새끼가 스스로 움직이고 먹이를 먹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모는 끊임없이 새끼를 감시하고 위험 징후가 있는지 항상 주시한다.[4] 새끼는 하루에 1g씩 체중이 증가하며, 40일이 되면 날 수 있게 된다.[11] 새끼는 둥지를 떠나 겨울 서식지로 이동하기 전에 잠시 동안 부모와 함께 머문다.[11]

흰목물떼새는 여러 해 동안 같은 번식지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이는 같은 짝이 매년 같은 둥지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11] 짝들은 해마다 같은 번식지에 끌리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해당 지역이 여전히 눈으로 덮여 있을 때 영역을 설정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그들이 그 장소의 적합성에 대한 이전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11]

일본에서는 3~7월에 한 번에 3~4개의 알을 낳는다. 암수 모두 포란하며, 포란 기간은 약 27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곧 둥지를 떠나 어미를 따라 걷기 시작한다. 어미는 둥지에 외적이 접근하면 날개를 펼쳐 몸을 낮추고 상처를 입은 척(의상)을 하여 둥지에서 멀어져 외적의 주의를 둥지에서 떼어놓는다. 새끼는 그 동안 가만히 움직이지 않고, 보호색에 의해 주변의 작은 돌과 구별하기 어려워진다.

4. 분포

인도 북부, 캄보디아, 태국,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네팔,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몽골, 라오스, 러시아 남서부 등지에 분포한다.[13][4][12][3]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하천 지역에서 드물지 않게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3]

여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부, 우스리, 한반도 등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남부나 동남아시아로 이동한다.

일본에서는 혼슈, 시코쿠, 규슈에서 번식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연중 서식한다.[4]

5. 보전 상태

흰목물떼새는 넓은 분포와 활동 범위로 인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 종(LC, Least Concern)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종은 20000km2를 초과하는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다.[17] 전 세계 개체 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10년 또는 3세대 동안 30% 이상의 개체수 감소가 있어야 하는 취약종 기준에는 미치지 못한다.[17]

5. 1. 한국의 서식 현황과 보전 노력

과거에는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던 조류였으나 하천 직강화, 준설작업 등으로 서식지가 점차 감소해 현재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멸종위기종 목록인 적색목록 LC(관심 필요)로 분류하여 보호하고 있는 생물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흰목물떼새'는 전 세계 1만여 마리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에는 약 2천 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21]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22]

국내에는 2002년 대전의 대전천에서 첫 번식이 기록되었으며, 최근에는 전국 각지의 하천 지역에서 드물지 않게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3] 흰목물떼새는 현재 취약하거나 위협받는 종이 아니지만, 적합한 번식지 손실로 인해 미래에 개체수가 빠르게 감소할 수 있다.[18] 보존 노력에는 번식 서식지 보호 및 복원이 포함되어야 한다.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는 자갈둑과 조약돌 섬을 인공적으로 건설하여 새로운 번식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18]

6. 분류

흰목물떼새는 물떼새과(Charadriidae) 물떼새속(''Charadrius'')에 속한다.[8] 1863년 J. E. 그레이와 G. R. 그레이가 처음 기술하였다.[10]

두 아종은 다음과 같다.[10]


  • ''Charadrius placidus japonicus''
  • ''Charadrius placidus placidus'' Gray & Gray, 1863

참조

[1] 간행물 "''Charadrius placidus''" 2021-11-11
[2] 웹사이트 Charadrius placidus (Long-billed Plover) - Avibase https://avibase.bsc-[...] 2019-10-12
[3]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Long-billed Plover https://www.research[...] 2019-10-12
[4] 논문 Long-billed Plover http://www.bird-rese[...] 2019-10-12
[5] 논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9-10-13
[6] 서적 Birds of East Asia: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Russia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9-01-01
[7] 웹사이트 Long-billed Plover https://www.birdforu[...] 2019-10-12
[8] 웹사이트 Charadriidae - plovers, lapwings, dotterals, killdeers {{!}} Wildlife Journal Junior https://nhpbs.org/wi[...] 2019-10-13
[9] 웹사이트 Charadriiform {{!}} bird order https://www.britanni[...] 2019-10-13
[10]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Charadrius placidus https://www.itis.gov[...] 2019-10-13
[11]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in the northern part of its range in the Russian Far East https://www.research[...] 2019-10-13
[12] 논문 Th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Charadriiformes: Charadriidae) 2017-01-01
[13] 논문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nesting in its Himalayan wintering range: first breeding record for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www.research[...] 2019-10-13
[14] 논문 First record of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in Singapore https://static1.squa[...] 2019-10-13
[15] 웹사이트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http://www.hbw.com/s[...] 2019-10-14
[16] 논문 Predation of a sand-dwelling mysid crustacean Gastrosaccus sanctus by plover birds (Charadriidae) 1971-04-01
[17] 웹사이트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http://datazone.bird[...] 2019-10-14
[18] 논문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Long-billed Plovers Charadrius placidus in Korea 2009-09-01
[19] 간행물
[20]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21] 웹인용 도봉구, 중랑천 멸종 위기 생물 '흰목물떼새' 지킴이 떴다 https://www.yna.co.k[...] 도봉구청 2020-06-03
[22] 서적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2018, 국립생물자원관)
[23] 웹인용 흰목물떼새 https://species.nibr[...] 국립생물자원관 2020-06-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