믈레트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믈레트섬은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섬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섬을 멜리타(꿀)라고 불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추방된 인물들이 머물기도 했다. 950년경 비잔티움 제국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번성했다. 1410년 라구사 공화국에 병합되었고, 나폴레옹 점령 이후 수도원은 해산되었다. 믈레트섬은 1960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인구 조사에서 1,088명이 거주했다. 믈레트 국립공원은 섬 북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석회암과 돌로마이트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믈레트섬은 고대부터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아온 역사를 지니고 있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인들이 섬을 발견했으며, 이후 로마 제국 시대에는 킬리키아의 아낙사르바 출신 아게실라우스가 로마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 의해 이곳으로 추방되기도 했다.[6]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믈레트섬의 인구는 1,088명이었다.[2] 이 중 크로아티아인이 97.33%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보였다.[3]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믈레트섬의 정착촌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2]
믈레트섬에는 공항이 없다. 국외에서 방문할 경우 본토의 두브로브니크 공항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가깝다. 섬으로의 접근은 주로 페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야드로리니야 페리 서비스가 펠레샤츠 반도와 두브로브니크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한다.
섬의 북서부에는 내륙 호수와 그 안에 작은 섬이 있다. 이 지역은 1960년 11월 12일부터 믈레트 국립공원의 일부가 되었다. 섬의 지질 구조는 능선, 산마루, 경사를 형성하는 석회암과 돌로마이트(Dolomite (rock))로 구성되어 있다. 믈레트섬의 몇몇 우울한 지형은 해수면보다 낮으며 blatine|블라티네hrv("진흙 호수") 또는 slatine|슬라티네hrv("소금 호수")로 알려진 영구적이지 않은 기수의 호수를 형성한다.[9]
믈레트섬은 오랜 기간 환경 파괴를 겪어왔다. 과거 수도사들이 이동의 편의를 위해 호수에서 섬 남쪽 해안까지 운하를 건설했다. 이로 인해 본래 담수호였던 두 호수에 바닷물이 유입되어 해수호가 되었다.
[1]
간행물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 : 25 000
https://hrcak.srce.h[...]
2004-06
2. 역사
950년경 비잔티움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의 기록에는 세르비아인 계통의 네레트바족이 섬을 차지하고 있었다고 언급된다. 1151년에는 이탈리아 풀리아 지역에서 온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섬의 봉건 영주가 되었으며, 이들은 빅 호수(Veliko jezero) 섬에 성 마리아 수도원을 건립하는 데 기여했다. 1166년부터 1168년까지는 스테판 네마냐가 이끄는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후 1410년에는 라구사 공화국(오늘날의 두브로브니크)에 병합되어 그 지배를 받았다. 16세기에는 믈레트 수도원이 라구사 공화국 내 베네딕토회 수도원들의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
180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통치 시기에 수도원이 해산되었고, 이후 섬을 점령한 오스트리아는 수도원 자리에 임업 사무소를 설치했다. 양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에는 두브로브니크 가톨릭 교구 소유가 되었다가, 1960년에는 호텔로 개조되기도 했으나 1998년에 다시 교구로 반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고대
고대 기록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인들이 믈레트섬을 처음 발견했다고 전해진다. 고대 그리스-로마 지리학자들이 이 섬에 대한 최초의 기록과 설명을 남겼다. 이 섬은 기원전 6세기에 카리안다의 스킬라쿠스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으며, 일부는 ''유사 스킬라쿠스의 항해기''라는 문헌을 더 신뢰하기도 한다. 두 문헌 모두에서 믈레트섬은 '멜리테'(Μελίτη|멜리테grc)로 명명되었고, 이는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의 기록에서도 확인된다.[4][5]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섬을 '멜리타'(Μελίτη|멜리타grc), 즉 '꿀'이라는 뜻으로 불렀는데, 이 이름이 수세기에 걸쳐 슬라브어 이름인 '믈레트'(Mljet)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아가테메루스와 대 플리니우스 역시 이 섬을 '멜리타'라고 기록했다.[3]
로마 제국 시대에는 킬리키아의 아낙사르바 출신 아게실라우스(오피아누스의 아버지)가 로마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재위 193년~211년)에 의해 이곳 믈레트섬으로 추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6] 일부 기록에서는 그가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에 의해 몰타로 추방되었다고도 한다.
2. 2. 중세
950년경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가 쓴 ''제국 통치론''에 따르면, 당시 믈레트섬은 세르비아인에 속하는 네레트바족(Narentines)이 소유한 섬 중 하나였다.[4][5] 이 섬은 종종 네레트바족과 자클룸(Zachlumia) 사이의 영유권 분쟁 대상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섬을 "멜리타"(Melita, 꿀이라는 뜻)라고 불렀는데, 이 이름은 시간이 지나면서 슬라브어 이름인 믈레트(Mljet)로 변했다.[3] 믈레트섬은 사도행전에 나오는 사도 바울이 난파한 "멜리타" 섬이라는 주장도 있는데, 이는 10세기 콘스탄티누스 7세가 처음 제기한 설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도 바울의 난파 장소는 지중해의 몰타로 여겨진다.
1151년에는 이탈리아 몬테 가르가노 지역의 풀리아 풀사노(Pulsano)에서 온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섬의 봉건 영주가 되었다. 이들은 수트미홀스카(Sutmiholjska) 만에 상륙했다. 1166년부터 1168년까지는 스테판 네마냐가 통일한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1187년부터 1198년 사이에 세르비아의 대공이자 보이슬라블예비치 가문의 일원인 데사가 빅 호수(Veliko jezerohr) 안의 작은 섬에 성 마리아 교회와 수도원을 지어 봉헌했다. 1198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이 교회를 축성하는 문서를 발행했다.
1222년에는 네마니치 가문의 세르비아 왕 스테판 2세가 자신의 영지와 수도원, 코르출라섬의 교회를 믈레트섬의 베네딕토회에 기증했다. 1345년 베네딕토회는 섬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포기하고 섬 영토의 3분의 1만 소유하게 되었다. 이때 섬에는 바비노 폴리에를 중심으로 한 자치체가 설립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제국의 황제 스테판 우로쉬 5세는 1357년에 이 섬을 제타 공국의 공작 발샤 1세에게 넘겨주었다.
1410년 믈레트섬은 라구사 공화국(오늘날의 두브로브니크)에 공식적으로 병합되었다. 라구사 공화국과의 계약에 따라, 섬의 자치체는 매년 300 페르페라를 공화국에 지불해야 했다.
16세기에 믈레트 수도원은 라구사 공화국 내 베네딕토회 수도원들을 아우르는 믈레트 수도회(Congregatio Melitensis 또는 Melitana)의 중심지가 되었다. 수도회의 첫 회장은 믈레트 수도원의 원장이자 유명한 시인이었던 마브로 베트라노비치였다. 18세기에는 또 다른 뛰어난 시인이자 원장이었던 이그냐트 주르제비치가 활동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믈레트 수도원의 중요성은 점차 약해졌고, 수도회의 중심지는 두브로브니크 근처의 스베티 야코브(Sveti Jakov)로 옮겨갔다.
2. 3. 근대
16세기에는 믈레트섬의 성 마리아 수도원이 믈레트 수도회(Congregatio Melitensis 또는 Melitana)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수도회는 라구사 공화국 영토 내의 모든 베네딕토회 수도원을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했다. 수도회의 초대 회장은 믈레트 수도원의 원장이자 유명한 시인이었던 마브로 베트라노비치였다. 18세기에는 또 다른 뛰어난 시인이자 원장이었던 이그냐트 주르제비치가 활동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믈레트섬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은 점차 중요성을 잃었고, 수도회의 본부는 두브로브니크 근처의 스베티 야코브(Sveti Jakov)로 옮겨졌다.
180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통치 아래 믈레트 수도원은 해산되었다.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이 섬을 점령했을 때, 옛 수도원 건물에는 임업 사무소가 들어섰다.
2. 4. 현대
1809년 나폴레옹 통치 기간 동안 믈레트 수도원은 해산되었다.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이 섬을 점령했을 때, 수도원 건물에는 임업 사무소가 들어섰다. 양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 동안 이 건물은 두브로브니크 가톨릭 교구의 소유였다. 1960년에는 호텔로 바뀌었으나, 1998년에 다시 교구로 반환되었다.
믈레트섬은 오랜 생태 피해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과거 수도사들은 운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빅 호수에서 남쪽 해안까지 운하를 건설했는데, 이로 인해 두 개의 담수호가 바닷물 호수로 변했다는 주장이 있다.
더 심각한 생태계 변화는 몽구스 도입과 관련이 있다. 20세기 초, 독사의 일종인 뿔살무사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작은 인도 몽구스가 섬에 도입되었다. 몽구스는 뿔살무사를 효과적으로 제거했지만, 그 과정에서 섬의 조류 대부분을 함께 제거하는 결과를 낳았다. 오늘날까지도 믈레트섬에는 집참새와 같은 흔한 울타리 새조차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몽구스는 가축 가금류를 공격하고 포도원과 과수원에도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3. 지리
믈레트섬은 믈레트 해협을 사이에 두고 펠레샤츠 반도 남쪽에 위치한다. 섬의 길이는 37km이며 평균 너비는 3.2km이다. 화산 기원으로 형성된 섬으로 수많은 균열과 협곡이 있으며, 이 중 가장 긴 바비노 폴제(Babino Polje)는 섬의 북쪽과 남쪽을 연결한다. 섬의 지질 구조는 능선, 산마루, 경사를 형성하는 석회암과 돌로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9] 믈레트섬의 몇몇 움푹 들어간 지형은 해수면보다 낮으며, '블라티네'(진흙 호수) 또는 '슬라티네'(소금 호수)로 알려진, 영구적이지 않은 기수(brackish water) 호수를 형성한다.[9]
섬의 북서부에는 내륙 호수와 그 안에 작은 섬이 있다. 이 지역은 1960년 11월 12일부터 믈레트 국립공원의 일부가 되었다. 섬 면적(98.01km2)의 84% 이상이 숲으로 덮여 있다.[8] 북쪽의 주요 항구인 폴라체(Polače) 항구는 관광 페리가 기항하는 곳이며, 섬 북서쪽 모퉁이에는 오디세이(Odisej) 호텔이 있다.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이다. 1월의 평균 기온은 9°C이며 7월에는 약 24°C이다.
4. 인구
한편, 2001년 조사에서는 인구가 1,111명이었으며, 당시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은 97.93%였다.
5. 정착촌
정착촌 인구 (2011년) 특징 바비노 폴예 270 가장 큰 정착촌, 경찰서, 학교 고베다리 151 하위 정착촌: 바비네 쿠체, 프리스타니슈테, 솔리네 포메나 52 폴라체 113 페리 항구, 로마 유적 블라토 39 로파 37 오토 캠프 코자리차 28 소브라 131 페리 항구 프로주라 40 하위 정착촌: 프로주르스카 루카 (인구 40명 포함) 마라노비치 43 오쿠클레 31 코리타 46 사플루나라 67 해변
6. 교통
섬의 주요 항구는 소브라이다. 소브라에서는 두브로브니크의 그루즈 항구와 펠레샤츠 반도의 스톤을 연결하는 자동차 페리가 운행된다. 또한 폴라체와 펠레샤츠 반도의 트르스테니크를 오가는 페리 노선도 있다. 페리는 자동차 페리와 고속 페리 두 종류가 있다. 소브라에서 두브로브니크까지 자동차 페리로는 약 2시간 30분, 고속 페리로는 약 90분이 걸린다.
섬 내부에는 2차선 포장도로인 D120 도로가 섬 전체를 지난다. 대중교통으로는 정기 버스가 있지만, 하루에 한두 편만 운행된다.
7. 믈레트 국립공원
8. 기타
또 다른 환경 문제는 외래종인 몽구스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했다. 중세 시대에 뱀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몽구스를 섬에 들여왔다. 몽구스는 의도대로 뱀을 효과적으로 제거했지만, 동시에 섬에 서식하던 야생 조류의 알을 먹어치워 조류 생태계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 결과, 현재 믈레트섬에서는 참새와 같이 몽구스의 영향을 덜 받는 일부 조류만 눈에 띈다.
참조
[2]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3]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4]
서적
Kroatien in der Antike
https://books.google[...]
Von Zabern
2022-09-14
[5]
서적
A New System, Or, An Analysis of Ancient Mythology: Wherein an Attempt is Made to Divest Tradition of Fable and to Reduce the Truth to Its Original Purity
https://archive.org/[...]
printed for J. Walker; W. J. and J. Richardson; by R. Faulder Press
1807
[6]
웹사이트
Text from ''ancientlibrary.com''
http://www.ancientli[...]
2006-10-08
[7]
웹사이트
Mungos - ljuti neprijatelj prirode
http://www.zadarskil[...]
2009-03-17
[8]
웹사이트
Priručnik o kartama staništa Dalmacije
http://www.undp.hr/u[...]
2009-06
[9]
웹사이트
Nacionalni park
http://www.mljet.hr/[...]
Mljet Tourist Board
2018-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