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르출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출라섬은 중앙 달마티아 군도에 속하는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펠레샤츠 반도와 좁은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다. 면적은 279km²로 아드리아해에서 여섯 번째로 크며, 코르출라, 블라토, 벨라 루카 등의 마을이 있다.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로, 농업, 관광, 어업, 수산 가공업 등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코르출라는 페리, 버스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본토 및 주변 섬들과 연결되며, 역사적으로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의 지배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주의 지형 - 라스토보섬
    라스토보섬은 달마티아 제도 중부 아드리아해에 위치하며 코르출라섬 남쪽 약 13km 지점에 있는 46개 섬으로 이루어진 라스토보 제도의 일부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로마 시대에는 '아우구스타 인술라'로 불렸으며, 지중해성 기후, 험준한 지형, 풍부한 수중 생물, 독특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주의 지형 - 로크룸섬
    로크룸섬은 아드리아해의 섬으로, 리처드 1세와 막시밀리안 대공의 역사적 흔적과 다양한 문화적 명소를 지니고 있으며,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피해를 딛고 관광지로 재탄생했다.
코르출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코르출라섬
현지 이름
별칭코르출라
숨겨진 보석
위치아드리아해
군도남부 달마티아 제도
면적279 제곱킬로미터
길이46.8 킬로미터
너비7.8 킬로미터
최고봉클루프차산
높이568 미터
인구15,522명 (2011년 기준)
인구 밀도56명/제곱킬로미터
민족 구성96.77% 크로아티아인
코르출라섬 위성 사진
코르출라섬 위성 사진
행정 구역
국가크로아티아
행정 구역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 주
가장 큰 도시코르출라
가장 큰 도시 인구5,663명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코르출라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코르출라섬은 중앙 달마티아 군도에 속하며, 좁은 펠레샤츠 해협으로 펠레샤츠 반도와 분리되어 있고,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섬의 주요 도로는 등뼈를 따라 뻗어 있으며, 동쪽의 룸바르다에서 서쪽 끝의 벨라 루카까지 모든 정착지를 연결한다. 북쪽 해안을 따라 별도의 도로가 있는 라치슈체는 예외이다. 페리는 코르출라 마을과 펠레샤츠 반도의 오레비치를 연결한다. 다른 노선은 벨라 루카와 스플리트 및 라스토보 섬을 연결한다. 쾌속 여객선은 이 두 항구를 스플리트, 두브로브니크, 흐바르, 라스토보, 믈레트 섬과 연결한다.

2. 1. 지형

코르출라섬은 중앙 달마티아 군도에 속하며, 좁은 펠레샤츠 해협으로 펠레샤츠 반도와 분리되어 있다. 펠레샤츠 해협의 폭은 900m에서 3000m 사이이다. 코르출라섬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길이는 47km이고, 평균 너비는 8km이다. 면적은 아드리아해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클루프차(568m)이고, 콤(510m)이다.

코르출라 시


섬의 주요 정착지는 코르출라, 블라토, 벨라 루카 마을이다. 해안을 따라 있는 마을은 브르나, 라치슈체, 룸바르다, 프리즈바이며, 즈르노보, 푸프나트, 스모크비차, 차라는 내륙에 위치해 있다. 섬은 코르출라, 스모크비차, 블라토, 룸바르다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이며, 1월 평균 기온은 9.8°C이고, 7월은 26.9°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100mm이다. 섬은 광대한 소나무 숲을 포함한 지중해성 식물로 덮여 있다.

2. 2. 기후

코르출라섬은 지중해성 기후이며, 1월 평균 기온은 9.8°C, 7월은 26.9°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100mm이다. 섬은 광대한 소나무 숲을 포함한 지중해성 식물로 덮여 있다.

2. 3. 식생

섬은 광대한 소나무 숲을 포함한 지중해성 식물로 덮여 있다.[1]

2. 4. 주요 도시 및 마을

섬의 주요 정착지는 코르출라, 블라토, 벨라 루카이다. 해안을 따라 있는 마을은 브르나, 라치슈체, 룸바르다, 프리즈바이며, 즈르노보, 푸프나트, 스모크비차, 차라는 내륙에 위치해 있다. 섬은 코르출라, 스모크비차, 블라토, 룸바르다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

3. 역사

코르출라섬은 기원전 6세기 케르키라섬(코르푸)에서 온 그리스인들의 식민 도시로 시작되었다. 이후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거쳐 998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214년에는 코르출라 법전 초안이 작성되었고,[21][22] 1221년 교황 호노리오 3세는 슈비치 가문의 크르카 공작에게 섬을 양도했다. 13세기 헝가리의 지배를 거쳐, 1300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두브로브니크 대주교구 산하 코르출라 주교구를 설치했다.

1409년 베네치아 공화국에 다시 편입되었으나, 1413년부터 1417년까지는 라구사 공화국이 지배했다. 1420년 베네치아가 재탈환했고,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막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이 소멸하면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넘어갔다. 1806년부터 1814년까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프랑스가 지배했지만, 빈 회의 이후 오스트리아에 반환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유고슬라비아에 귀속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15년 런던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에 약속되었으나, 전쟁 후 1918년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이탈리아 통치(1918~192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편입,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편입(1939년) 등의 과정을 거쳤다.

1941년 추축국유고슬라비아 침공으로 이탈리아에 병합되었다가, 1943년 카시빌레 휴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잠시 점령했다. 이후 독일군 점령(1944년까지)을 거쳐, 1945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국민투표 이후, 코르출라섬은 크로아티아의 영토가 되었다.

3. 1. 고대

기원전 6세기케르키라섬(코르푸)에서 온 그리스인들(코르키라인들)의 식민 도시로 건설되었으며 나중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6세기부터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998년에는 코르출라섬에 있던 파가니아 공국이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이 섬은 처음에는 중석기 시대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정착했다. 벨라 스필라[7]와 즈르노보 마을 근처의 자카스 동굴 유적에서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벨라 스필라에서 발견된 유물은 벨라 루카의 문화 센터에 전시되어 있다.

코르출라섬 남해안


두 번째로 인간이 정착한 것은 일리리아인으로, 기원전 1,000년경에 기록되었다.[8][9] 일리리아인들이 남긴 오래된 석조 건물과 요새(''그라디나'')가 많이 남아 있다.[10]

''멜라이나 코르키라''(Μέλαινα Κόρκυρα|lit=검은 코르키라el)는 코르출라에 세워진 고대 크니도스의 그리스 식민지였다.[11] 고대 그리스인들은 그들의 고향과 섬의 울창한 소나무 숲을 따서 이 섬을 "검은 코르키라"라고 불렀다. 조각된 대리석 묘비 등 그리스 유물은 현지 코르출라 마을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룸바르다 (룸바르다 프세피스마)에서 발견된 석조 비문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기념물인데,[12] 기원전 3세기에 이사 (비스)에서 온 그리스 정착민들이 이 섬에 또 다른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다. 두 공동체는 일리리아 전쟁(기원전 220년~기원전 219년)까지 로마 공화국과 평화롭게 지냈다.

일리리아 전쟁 이후 이 섬은 로마 속주 일리리쿰의 일부가 되었다.[14] 로마인의 이주가 뒤따랐고 로마 시민들이 섬에 도착했다. 로마 빌라가 코르출라 전역에 나타났으며, 토지의 조직적인 농업적 착취의 증거가 있다. 섬에는 로마 주니안의 고고학적 유적[15]과 오래된 교회 기초가 있다.[16]

서기 10년, 일리리쿰은 판노니아와 달마티아의 두 속주로 나뉘었다.[17] 코르출라는 고대 로마 속주인 달마티아의 일부가 되었다. 민족 이동 시대까지 이 섬은 로마 제국의 속주 달마티아의 일부였다. 7세기 초, 아바르족의 침공은 이 지역으로의 슬라브족 이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달마티아 해안을 따라, 아드리아 해로 흘러드는 네레트바 강 유역을 장악한 내륙에서 슬라브인 이민이 대거 밀려들었다. 네레트바 하구를 지키는 코르출라(당시에는 Corcyra)도 마찬가지였다. 9세기에 슬라브인의 기독교화가 시작되었지만, 섬 내 오지에 사는 초기 슬라브인 이주자들이 완전히 신앙을 받아들인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

3. 2. 중세

기원전 6세기케르키라섬(코르푸)에서 온 그리스인들(코르키라인들)의 식민 도시로 건설되었으며 나중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6세기부터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998년에는 코르출라섬에 있던 파가니아 공국이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1214년에는 코르출라 법전의 초안이 작성되었다. 이 법령은 반독립적인 자클룸 대공국, 세르비아 대공국, 헝가리-크로아티아 왕국, 라구사 공화국 및 베네치아 공화국을 포함한 외부 통치자에 대한 섬의 상대적 자율성을 보장했다.[21][22] 1221년에는 교황 호노리오 3세가 크로아티아의 귀족인 슈비치가(Šubić) 출신의 크르카(Krka) 공작에게 코르출라섬을 양도했다. 13세기에는 헝가리의 지배를 받았으며 1300년에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두브로브니크 대주교구 산하 코르출라 주교구를 설치했다.

1409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며 1413년부터 1417년까지는 라구사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1420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코르출라섬을 탈환했다. 1571년에 일어난 레판토 해전에서 코르출라섬은 베네치아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코르출라의 가장 동쪽 지역의 파노라마 뷰, 왼쪽부터 룸바르다, 코르출라 시, 오레비치(펠리에사츠)


민족 이동 시대에 이 섬은 로마 제국의 속주 달마티아의 일부였다. 7세기 초, 아바르족의 침공은 이 지역으로의 슬라브족 이주를 가져왔다. 이민족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달마티아 해안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로마화된 선주민들은 멀리 떨어진 섬으로 도망갈 수밖에 없었다. 달마티아 해안을 따라, 아드리아 해로 흘러드는 네레트바 강 유역을 장악한 내륙에서 슬라브인 이민이 대거 밀려들었다. 네레트바 하구를 지키는 코르출라(당시에는 Corcyra)도 마찬가지였다. 9세기에 슬라브인의 기독교화가 시작되었지만, 섬 내 오지에 사는 초기 슬라브인 이주자들이 완전히 신앙을 받아들인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 그 결과, 중세 초기의 섬의 인구는 해안 지역의 세르비아 국가인 파가니아 공국과 같은 파가니아인이었다고 말해진다.

해적 행위를 생업으로 삼는 자들이 네레트바 강 삼각주 지역의 거주민으로 나타나 재빨리 새로운 환경에서 항해 기술을 습득했다. 처음에는 베네치아 상인들이 악명 높은 달마티아 연안의 파가니아인 해적들로부터 자신들의 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공물을 지불하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9세기 이후, 섬은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그 후, 섬은 쉽게 명목상 동로마 제국이 종주권을 가진 세르비아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998년, 파가니아인의 공국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직접적인 통치 하에 놓였다. 12세기, 코르출라 섬은 베네치아 귀족 페포네 조르지(Pepone Zorzi)에게 점령되어 베네치아에 쉽게 병합되었다. 이 시기에, 지역 코르출라 통치자들은 외교술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섬의 독립성을 굳게 지키기 위해 도시의 특권을 부여했다. 이 특권은 특히 내정에 관련되어 있었고, 더욱 강력한 이웃의 존재를 나타냈다.

바다에서 본 코르출라


베네치아의 도제(Doge)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 (재위: 991년-1009년)는 달마티아 공(Dux Dalmatinorum) 지위에 올랐다. 12세기의 코르출라 백작령은 헝가리 왕, 그리고 차례로 제노바 공화국에 의해 대략적으로 통치되었고, 짧은 기간의 독립 시대를 구가했다. 그러나 1255년, 마르실리오 조르지(Marsilio Zorzi)가 섬의 도시를 정복하고, 섬 내의 교회의 일부를 철저하게 파괴하거나 손상시켜, 백작이 베네치아 종주권 하에 놓이도록 강요했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마르코 폴로는 1254년에 코르출라에서 태어나 상인의 가문을 시작했다고 한다. 기록에 남아있는 제노바가 베네치아를 물리친 1298년의 코르출라 해전에서, 갤리선의 사령관 마르코 폴로가 승리자에게 포로로 잡혀, 제노바에서 포로 생활을 하는 동안 여행기를 썼다고 하는 것이 더 명확하다. 그러나 일부 이탈리아 학자들은 폴로가 아야스 (터키)의 작은 도시) 근교에서 적과 대결했을 때 포로로 잡혔다고 주장한다.

1284년에 교황 마르티누스 4세가, 1286년에 호노리우스 4세가 라구사 공화국 대주교에게 문서를 보낸 후, 대주교는 페타르를 스톤 (펠리에샤츠 반도의 도시) 및 코르출라 주교로 임명했다. 1291년, 코르출라 주교로 이반 크르치치(Ivan Kručić)가 코르출라 도시에 있었다. 이반은 자신의 상위 성직자에 해당하며, 자신의 교회령에 포함된 스톤과 연합하려던 흐바르 대주교와 경쟁했다. 1300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최종적으로, 두브로브니크에 있는 라구사 대주교좌 아래에 코르출라 주교좌를 창설했다. 1333년, 라구사 공화국이 세르비아 제국으로부터 스톤과 펠리에샤츠를 구입했기 때문에, 스톤에 있는 반도를 통괄하는 가톨릭 교회의 종주권은 코르출라 주교좌에 주어졌다.

헝가리 왕국이 섬의 지배권을 회복한 후인 1396년 12월, 헝가리 왕 지그문트(훗날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는 제타 공국의 발시치(:en:Balšić) 왕조의 공 주라지 2세(Đurađ II Stracimirović)에게 섬을 기증했다. 제타 공국의 지배는 주라지 2세가 사망하는 1403년까지 이어졌고, 그 후 헝가리 왕에게 주권이 반환되었다. 1409년, 다시 베네치아 공화국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1413년부터 1417년 사이에는 인접한 두브로브니크 공화국에 매입되었다. 1420년, 섬은 여전히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는다고 명시했다. 1571년, 베네치아는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 해군에 맞서 당당하게 공화국을 방어했다.

3. 3. 근대

1214년에는 코르출라 법전의 초안이 작성되었다. 이 법전은 11세기와 12세기에 만들어진 루스카야 프라브다(키예프 대공국의 법전)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슬라브인의 법률 제정 사례로, 섬의 자치를 보장했다.[27] 1221년에는 교황 호노리오 3세가 크로아티아의 귀족인 슈비치 가문 출신의 크르카(Krka) 공작에게 코르출라섬을 양도했다.[28]

13세기에는 헝가리의 지배를 받았으며 1300년에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두브로브니크 대주교구 산하 코르출라 주교구를 설치했다.[29]

1409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며 1413년부터 1417년까지는 라구사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30] 1420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코르출라섬을 탈환했다. 1571년에 일어난 레판토 해전에서 코르출라섬은 베네치아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베네치아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았다. 1806년부터 1814년까지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끌던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지만, 빈 회의 결과에 따라 오스트리아에 반환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소멸되면서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1863년경 이탈리아 코르출라에서 소인된 오스트리아 KK 우표


코르출라는 수년 동안 목재를 베네치아의 나무 벽에 공급했으며, 베네치아 함대의 주요 기지였다. 1776년부터 1797년까지 코르출라는 이 지역의 주요 베네치아 요새 무기고로서 흐바르를 대체했다.

프랑스 제1제국은 1806년에 섬을 침공하여 일리리아 지방에 합병했다. 몬테네그로 주교령의 블라디카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녜고시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27] 1807년 섬을 정복했다. 그러나 1813년 영국군과 영국 해군은 토머스 프리맨틀의 지휘 아래 프랑스로부터 섬을 점령했다.

빈 회의 조항에 따라 영국은 1815년 7월 19일 오스트리아 제국에 섬을 넘겨주었다. 따라서 코르출라는 오스트리아 달마티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30]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코르출라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치슬라이타니아에 속했다.

3. 4. 현대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았다. 1806년부터 1814년까지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끌던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지만 나중에 오스트리아에 반환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소멸되면서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 중, 섬과 다른 영토들은 이탈리아가 영국과 프랑스 제3 공화국 편에서 참전하는 대가로 1915년 런던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왕국에 약속되었다. 그러나 전쟁 후, 코르출라를 포함한 달마티아는 1918년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918년부터 1921년까지 이탈리아가 통치했다. 이후 달마티아 지방의 일부가 되었고, 1922년에는 두브로브니크 오블라스트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편입되었고, 1929년부터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알려졌다. 섬은 1929년 리토랄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고, 1939년에는 자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2]

1941년 4월 추축국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이탈리아가 섬을 병합했다. 1943년 9월 이탈리아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 간의 카시빌레 휴전 이후, 이 지역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았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다. 그 후, 코르출라는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4년 9월 철수할 때까지 섬을 통제했다. 1945년 유고슬라비아 해방과 함께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이 형성되었고, 코르출라는 6개의 유고슬라비아 공화국 중 하나인 크로아티아 인민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국가는 195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이름을 변경했고, 공화국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국민투표 이후, 섬은 크로아티아 독립의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2]

4. 문화

코르출라는 석공술 전통과[34][35] 예술 전통을 가지고 있다.[37] 베네치아 공화국 통치 기간(1420–1797) 동안 석공술이 절정에 달했다.[36] 17세기에는 페타르 카나벨리치가 사랑 노래, 서사시, , 드라마를 쓰고 이탈리아어에서 번역했다.[31] 그는 17세기 크로아티아 문학 작가 중 한 명으로, 코르출라 마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초등학교가 있다. 모레슈카는 코르출라 마을의 전통적인 검무로,[32][33] 16세기경 섬에 도착했다. 코르출라는 클라파라는 아카펠라 스타일의 노래 그룹으로도 유명하다. 클라파 전통은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의 스타일은 19세기에 시작되었다.

4. 1. 문화 유산

17세기에는 사랑 노래, 때때로 서사시 와 드라마를 쓴 페타르 카나벨리치가 등장하였다. 그는 당시 주요 시 작품들을 이탈리아어에서 번역했다. 그는 17세기 가장 위대한 크로아티아 문학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31] 1673년에는 베네치아에서 코르출라 공동체의 대표가 되었다. 코르출라 마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초등학교가 있다.

모레슈카는 코르출라 마을의 전통적인 검무이다.[32][33] 이는 섬에서 공연되는 많은 자랑스러운 전통 검무 중 하나로, 16세기경 코르출라에 도착했다. 코르출라는 풍부한 음악 역사를 가진 ''클라파'' 그룹이 있다. ''클라파''는 아카펠라 스타일의 노래 형태이다. 그 전통은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우리가 아는 스타일은 19세기에 시작되었다.

코르출라는 석공술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34][35] 이는 베네치아 공화국 통치 기간(1420–1797) 동안 절정에 달했다.[36] 이 섬은 또한 매우 강력한 예술 전통을 가지고 있다.[37]

4. 2. 축제

코르출라 바로크 페스티벌은 2012년에 시작된 연례 국제 행사이다. 이 페스티벌은 바로크 음악 전문의 세계 유수 앙상블과 솔리스트들의 공연을 선보인다. 열흘 동안 일련의 콘서트와 부대 행사를 통해 바로크 음악을 조명하며, 코르출라의 풍부한 문화 유산과 도시 전체를 독특한 건축 보물로 홍보한다.[38]

4. 3. 음악

페타르 카나벨리치는 17세기에 사랑 노래, 때때로 서사시 와 드라마를 썼으며, 당시 주요 시 작품들을 이탈리아어에서 번역했다. 그는 17세기 가장 위대한 크로아티아 문학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31] 코르출라 마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초등학교가 있다.

모레슈카는 코르출라 마을의 전통적인 검무이다.[32][33] 이는 섬에서 공연되는 많은 자랑스러운 전통 검무 중 하나로, 16세기경 코르출라에 도착했다. 코르출라는 풍부한 음악 역사를 가진 ''클라파'' 그룹이 있는데, ''클라파''는 아카펠라 스타일의 노래 형태이다. 그 전통은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우리가 아는 스타일은 19세기에 시작되었다.

코르출라 바로크 페스티벌은 2012년에 시작된 연례 국제 행사이다. 이 페스티벌은 바로크 음악 전문의 세계 유수 앙상블과 솔리스트들의 공연을 선보인다. 열흘 동안 일련의 콘서트와 부대 행사를 통해 바로크 음악을 조명하며, 코르출라의 풍부한 문화 유산과 도시 전체를 독특한 건축 보물로 홍보한다.[38]

5. 경제

코르출라섬의 경제는 관광과 농업을 기반으로 한다. 와인용 포도 재배, 올리브 및 과일 생산이 주를 이루며, 어업과 수산 가공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지역 경제에서 중요했던 조선업은 여전히 존재한다.

5. 1. 주요 산업

코르출라섬의 경제는 관광 외에 농업을 기반으로 한다. 와인용 포도 재배, 올리브 및 과일 생산이 주를 이룬다. 어업과 수산 가공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지역 경제에서 중요했던 조선업은 지금도 존재한다. 하계 관광은 섬의 오랜 전통이며, 어촌과 마을에서의 농가 관광(아그로 투어리즘)이 최근 성장하고 있다.

5. 2. 관광

코르출라섬의 경제는 관광과 농업을 기반으로 한다. 와인용 포도 재배, 올리브 및 과일 생산이 주를 이루며, 어업과 수산 가공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지역 경제에서 중요했던 조선업은 여전히 존재한다. 하계 관광은 섬의 오랜 전통이며, 최근에는 어촌과 마을을 중심으로 농가 관광(아그로 투어리즘)이 성장하고 있다.

6. 교통

코르출라섬은 달마티아 제도 중앙에 위치하며, 펠레샤츠 해협을 사이에 두고 펠레샤츠 반도와 분리되어 있다. 섬 내에는 여러 자치 단체가 있으며, 주요 도로가 섬의 각 지역을 연결한다. 코르출라와 펠레샤츠 반도의 오레비치를 잇는 페리가 운행된다.

코르출라 타운에는 정박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서쪽 항구는 바람으로부터 보호를 받지만, 보라와 북서풍에는 취약하다. 따라서 보트 소유자는 동쪽 항구나 루카 코브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이 항구는 국제 해상 교통에 개방된 영구적인 입항 항구이며, 브로도그라디텔 조선소에서 선체 및 엔진에 대한 모든 종류의 수리를 제공한다.

섬과 본토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버스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41]

6. 1. 페리

코르출라는 코르출라 타운 외곽의 도미니체와 오레비치를 오가는 정기 페리 서비스로 본토와 연결된다.[39] 또한 벨라 루카와 라스토보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수많은 다른 지역 페리 서비스가 있다.[40] 주요 크로아티아 페리 운영업체인 야드로리니자는 코르출라 타운과 리에카, 스플리트, 흐바르, 믈레트, 두브로브니크, (5월부터 9월까지) 바리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운영한다.[40] 운송업체인 리니이스카 나치오날나 플로비드바는 코르출라와 드르베니크를 연결하는 계절별 서비스를 운영한다.

코르출라 항구로 접근하는 야드로리니자 페리

6. 2. 버스

오레비치 페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코르출라에 도착하는, 섬과 본토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버스 서비스가 운행되고 있다.[41]

참조

[1]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2] 논문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25 000 https://hrcak.srce.h[...] 2019-12-01
[3]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5
[4]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5] 웹사이트 Korčula: The Hidden Gem of the Dalmatian Coast • Passport Pilgrimage https://passportpilg[...] 2023-09-22
[6] 서적 Dubrovnik: The City and Its Surroundings. A Tourist Guide https://books.google[...] 2022-05-18
[7] 논문 Božidar Čečuk i Dinko Radić: Vela spila: A stratified prehistoric site Vela Luka – island of Korčula http://hrcak.srce.hr[...] Department of Archaeology, Facul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Zagreb 2012-02-27
[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11: The High Empire, AD 70–192
[9] 서적 The Illyrians (The Peoples of Europe) 1996
[10] 웹사이트 History of Korčula http://www.korcula.n[...] 2015-12-04
[11]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An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Copenhagen Polis Centre for the Danish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5
[12] 웹사이트 Syll.³ 141 http://attalus.org/d[...]
[13] 서적 The Illyrians 1992
[14]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15] 웹사이트 Croatian Adriatic: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Church of Our Lady of Poja https://translate.go[...] 2015-12-04
[17] 문서 Dalmatia profile
[18]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Croatian https://books.google[...] 1955
[19] 서적 Venice, a Maritime Republic https://books.google[...] Baltimore: Johns Hopkins 1973
[20] 웹사이트 Dubrovnik: A History https://books.google[...] 2015-12-04
[21] 웹사이트 Korčulanski Statut: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Korčula Statute http://www.korculain[...] 2015-12-04
[23] 문서 Curzola
[24] 서적 Genoa and Venice: An Early Commercial Rival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1999
[25] 서적 Constantinople and the Latins: The Foreign Policy of Andronicus II, 1282–1328 https://books.google[...] Harvard 1972
[26] 웹사이트 Korčula http://www.korcula.n[...] 2015-12-04
[27] 문서 Dalmatia and Montenegro https://archive.org/[...]
[28] 웹사이트 Travel Guide to Korčula - Croatia http://www.korculain[...] 2013-06-07
[29] 웹사이트 200th anniversary of British Navy's occupation of Korčula http://www.croatiant[...] CMS 2013-06-07
[30] 문서 Dalmatia
[31] 웹사이트 Hrvatski Biografski Leksikon http://hbl.lzmk.hr/c[...] 2009-10-23
[32] 웹사이트 The Moreska Dance http://www.korculain[...] korculainfo.com 2009-12-31
[33] 웹사이트 Moreska http://www.korcula.n[...] korcula.net 2009-12-31
[34] 웹사이트 Dimension Stone https://books.google[...]
[35] 웹사이트 Korčula and Stone Masonry http://www.korculain[...]
[36] 서적 Isolation, Migration & Health/Population Structure in the Adriatic: https://books.google[...] 33rd Symposium Volume of the Society by Derek Frank Roberts, Norio Fujiki, K. Torizuka & Kanji Torizuka 2024-02-20
[37] 웹사이트 Korčula Art http://www.korculain[...] korculainfo.com 2009-12-31
[38] 웹사이트 Korkyra Baroque – 8. Barokni festival na Korčuli http://korkyrabaroqu[...] 2020-02-14
[39] 웹사이트 Ferry Korčula-Orebić-Korčula http://www.korculain[...] Korčula Info 2008-08-23
[40] 웹사이트 Ferries Korčula http://www.korculain[...] Korčula Info 2008-08-23
[41] 웹사이트 Korčula buses http://www.korculain[...] Korčula Info 2008-08-23
[42] 뉴스 Obituary of Veronica Lady Maclean http://www.timesonli[...] timesonline.co.uk 2005-01-19
[43] 웹사이트 Maksimilijan Vanka reference http://www.korculain[...] korculainfo.com 2015-12-04
[44] 웹사이트 http://www.dzs.hr/H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