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장수도롱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장수도롱뇽(Cryptobranchus alleganiensis)은 북미에서 가장 큰 양서류로, 납작한 몸과 꼬리, 주름진 피부, 짧은 다리를 특징으로 한다. 동부와 오자크의 두 아종으로 나뉘며, 맑고 깨끗한 물에서 서식한다. 주로 가재, 물고기, 곤충 등을 먹으며, 외부 수정으로 번식한다. 댐 건설, 오염, 질병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서식지 보호 및 재도입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레이트스모키산맥 - 그레이트스모키 산맥 국립공원
    그레이트스모키 산맥 국립공원은 테네시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으로,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와 풍부한 생물 다양성, 역사 지구, 하이킹 트레일 등의 명소를 보유한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국립공원 중 하나이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그레이트스모키산맥 - 애팔래치아솜꼬리토끼
    애팔래치아솜꼬리토끼는 미국 동부 애팔래치아 산맥에 서식하며 동부솜꼬리토끼와 유사하지만 귀 사이에 검은 반점이 있는 멸종 위기종 토끼이다.
미국장수도롱뇽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헬벤더
헬벤더
학명Cryptobranchus alleganiensis
명명자Daudin, 1803
이명Salamandra alleganiensis (Daudin, 1803)
Salamandra horrida (Barton, 1808)
Salamandra gigantea (Barton, 1808)
Salamandra maxima (Barton, 1808)
Molge gigantea (Merrem, 1820)
Cryptobranchus salamandroides (Leuckart, 1821)
Urotropis mucronata (Rafinesque, 1822)
Abranchus alleghaniensis (Harlan, 1825)
Protonopsis horrida (Barnes, 1826)
Salamandrops gigantea (Wagler, 1830)
Eurycea mucronata (Rafinesque, 1832)
Menopoma fuscum (Holbrook, 1842)
Cryptobranchus alleghaniensis (Cope, 1887)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Stejneger & Barbour, 1917)
Cryptobranchus terrasodactylus (Wellborn, 1936)
Cryptobranchus bishopi (Grobman, 1943)
Cryptobranchus guildayi (Holman, 1977)
한국어 이름미국오오산쇼우오
헬벤더
영어 이름헬벤더
분포
동부 헬벤더의 분포 (오자크 헬벤더는 표시되지 않음)
보전 상태
IUCN취약종
CITES부록 III (미국)
아종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류
유미목(도롱뇽목)
아목산쇼우우오상과(Cryptobranchoidea)
오오산쇼우오과(장수도롱뇽과)
헬벤더속 (Cryptobranchus)
헬벤더 (C. alleganiensis)
기타 정보
출현 시기중 플라이스토세 - 현재 (~625,000–0 YBP)
환경부유입주의 생물

2. 명칭 및 어원

'헬벤더'라는 이름의 유래는 불분명하다. 미국 미주리주 자연 보존부(Missouri Department of Conservation)는 다음과 같이 밝힌다.

> '헬벤더'라는 이름은 아마도 이 동물의 기묘한 생김새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한 가지 설은 헬벤더가 "지옥에서 온 생물로, 그곳으로 돌아가려 한다"고 생각한 정착민들에 의해 이름 붙여졌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은 헬벤더의 물결치는 피부가 관찰자들에게 "지옥의 끔찍한 고문"을 연상시켰다고 말한다. 사실, 그것은 해로운 존재가 아닌 수생 도롱뇽이다.[6]

인디애나주에서 실시된 연구에서 헬벤더의 희귀성과 서식지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제공한 결과, 이 종에 대한 이전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7] 다른 속칭으로는 콧물 수달(snot otter),[8] 라자냐 도마뱀(lasagna lizard),[8] 악마개(devil dog), 진흙 악마(mud-devil), 진흙개(mud dog), 물개(water dog), 범고래(grampus),[9] 앨러게니 악어(Allegheny alligator), 리버리안 수생 영원(leverian water newt) 등이 있다.[10]

속명인 ''Cryptobranchus''는 고대 그리스어 kryptos|숨겨진grc와 branchion|아가미grc에서 유래되었다.[11] 아종 이름인 ''bishopi''는 미국의 파충류학자 셔먼 C. 비숍(Sherman C. Bishop)을 기리는 것이다.[12][13]

3. 분류

미국장수도롱뇽속 ''크립토브란쿠스''는 역사적으로 단일 종, 즉 ''C. 앨레게니엔시스''만을 포함하며, 두 개의 아종, 즉 동부 헬벤더(''C. a. 앨레게니엔시스'')와 오자크 헬벤더(''C. a. 비쇼피'')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25]

최근의 유전자 분석 연구에 따르면, ''크립토브란쿠스'' 속 내에는 이 두 아종 외에도 별도의 서부 개체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세 그룹은 유전적으로 고립되어 서로 다른 진화 경로를 밟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24]

3. 1. 동부 헬벤더 (''C. a. alleganiensis'')

Eastern hellbender|동부 헬벤더영어(''C. a. alleganiensis'')는 ''크립토브란쿠스'' 속에 속하는 아종이다.[25] 최근 ''크립토브란쿠스'' 속 내에서 유전적 분기가 발견되어, ''C. a. alleganiensis''와 ''C. a. bishopi'' 외에 별도의 서부 개체군이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4] 이들은 서로 고립되어 다른 진화 경로를 밟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24]

3. 2. 오자크 헬벤더 (''C. a. bishopi'')

''크립토브란쿠스'' 속은 역사적으로 단일 종, 즉 ''C. 앨레게니엔시스''만을 포함하며, 두 개의 아종, ''C. a. 앨레게니엔시스''와 ''C. a. 비쇼피''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25] 최근 오자크 아종 ''C. a. 비쇼피''의 개체 수 감소는 보존을 위한 최상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유전자 분석을 포함하여 이 아종의 개체군에 대한 추가 연구로 이어졌다.[24]

크로우허스트 등은 "오자크 아종" 명칭이 오자크 지역의 ''크립토브란쿠스'' 속 내 유전적(그리고 진화적) 분기를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속 내에서 세 개의 동일하게 분기된 유전적 단위를 발견했다. ''C. a. 앨레게니엔시스''와 ''C. a. 비쇼피''의 두 개의 뚜렷한 동부 및 서부 개체군이 그것이다. 이 세 그룹은 고립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로 다른 진화 경로로 분화"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24]

  •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bishopi'' Grobman, 1942년 오자크 헬벤더

4. 형태

''C. alleganiensis''는 납작한 몸과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둥근 등쪽의 과 미끈미끈한 피부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도롱뇽처럼 앞다리에는 네 개의 발가락이, 뒷다리에는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는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추진력을 위해 꼬리가 융기되어 있다. 꼬리는 방향타 모양이지만, 수영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 도롱뇽들은 대신 발가락에 있는 패드를 사용하여 바위를 잡고 물의 위아래로 걸어 다니며 수영을 한다.[14] 헬벤더는 폐를 가지고 있지만, 아가미 틈새가 종종 남아 있으며, 어린 개체만 진짜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헬벤더는 측면 주름의 모세 혈관을 통해 물에서 산소를 흡수한다.[21] 주름은 목에서 몸의 양쪽 꼬리 기저부까지 이어진다. 주름의 기능은 헬벤더의 표면적을 늘려 호흡을 돕는 것이다.[15] 물 밖으로 드물게 나가면서, 헬벤더는 이러한 폐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어린 개체는 약 18개월 또는 길이 약 125mm 후에 외부 아가미를 잃는다.[16][17] 헬벤더는 호흡보다는 부력을 위해 폐를 사용한다.[14] 헬벤더는 얼룩덜룩한 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배는 더 옅은 색을 띤다. 회색, 황갈색에서 심지어 검은색까지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18]

수컷과 암컷 모두 주둥이에서 총배설강까지 성체가 되면 24cm에서 40cm까지 자라며, 전체 길이는 30cm에서 74cm가 되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수생 도롱뇽 종(각각 남중국자이언트도롱뇽, 중국자이언트도롱뇽, 일본자이언트도롱뇽 다음)이며 북미에서 가장 큰 양서류이다. 이 길이는 그물무늬사이렌이 동남부 미국에서 기록한 길이와 비슷하지만(사이렌은 체형이 훨씬 날씬하다).[19][25] 수컷과 암컷은 비슷한 속도로 성장하지만, 암컷은 더 오래 사는 경향이 있어 더 크게 자란다.[20] 성체는 1.5kg에서 2.5kg의 무게가 나가는데, 이는 남중국, 중국, 일본의 사촌들과 골리앗개구리 다음으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무거운 살아있는 양서류이며, 가장 큰 사탕수수두꺼비도 헬벤더만큼의 무게가 나갈 수 있다. 헬벤더는 약 5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사육 상태에서 30년 동안 살 수 있다.[21]

헬벤더는 다른 토착 도롱뇽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여기에는 측면을 따라 두꺼운 주름이 있는 거대하고 등배로 납작한 몸, 각 측면에 하나의 열린 아가미 틈새 및 각각 5개의 발가락이 있는 뒷발이 포함된다.[22][23] 헬벤더는 크기만으로 대부분의 다른 고유 도롱뇽 종과 쉽게 구별되며, 평균 길이는 최대 60cm이다. 추가로 구별이 필요한 유일한 종(분포 및 크기 범위가 겹치기 때문에)은 일반머드퍼피 (''Necturus maculosus'')이다.[24][25] 이러한 구별은 머드퍼피의 외부 아가미의 존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헬벤더는 이것이 없으며, 헬벤더의 다섯 개의 발가락과 대조적으로 머드퍼피의 뒷발에는 각각 네 개의 발가락이 있다.[22] 또한, ''C. a. alleganiensis''의 평균 크기는 45–60cm로 보고되었으며(일부는 최대 74cm까지 보고됨), ''N. m. maculosus''의 평균 크기는 28cm에서 40cm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헬벤더 성체가 가장 큰 머드퍼피보다도 일반적으로 훨씬 더 클 것임을 의미한다.[24][26][27]

''C. a. alleganiensis''는 전체 길이 45~75cm이다.[67] 피부는 안드리아스(Andrias)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조밀한 미세 돌기를 가지지 않으며, 광택이 적고, 전체적으로 주름이나 굴곡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C. a. bishopi'' 오자크헬벤더는 전체 길이 30~50cm이다.[66][67] 기본 아종보다 약간 작으며, 등과 목에 짙은 색 반점이 있다.[65][67] 아가미 구멍은 성체가 되면 막히는 개체도 있다.[65]

5. 분포 및 서식지

헬벤더는 남부 뉴욕에서 북부 조지아에 이르는 동부 미국 여러 주에 서식하며,[28]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메릴랜드, 웨스트버지니아, 버지니아, 켄터키, 일리노이, 인디애나,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앨라배마, 미시시피, 아칸소, 미주리, 오클라호마 및 캔자스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아종(또는 출처에 따라 종)인 ''C. a. bishopi''는 아칸소 북부와 미주리 남부의 오자크 산맥에 국한되어 있으며, ''C. a. alleganiensis''는 이들 주의 나머지 지역에서 발견된다.[29]

일부 헬벤더 개체군, 즉 미주리, 펜실베이니아, 테네시의 몇몇 개체군은 역사적으로 상당히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러 인위적인 위협이 이 종에 집중되면서 서식지 전반에 걸쳐 심각한 개체 수 감소를 보였다.[30] 미주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개체 수가 77%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31] 헬벤더 개체군은 1981년에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 메릴랜드에서 이미 멸종되었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아칸소와 켄터키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그리고 서식지 전반에서 다양한 인간 활동과 개발로 인해 일반적으로 위협받는 종으로 분류되었다.[29]

아종분포 지역
C. a. alleganiensis
동부 미국장수도롱뇽
미국[65][66](뉴욕 주 남부부터 미시시피 주 북부에 걸쳐, 미주리 주 중부)[67]
C. a. bishopi
오자크 미국장수도롱뇽
미국[65](아칸소 주 북부, 미주리 주 남동부<오자크 고원의 블랙강, 화이트강 수계>)[66]


6. 생태

미국장수도롱뇽은 맑고 깨끗한 물에서 발견되며, 그 존재는 수질이 좋다는 지표가 된다.[32] 이들은 "서식지 전문종"으로, 매우 특정한 환경에 적응해왔다.[28] 용존 산소, 온도, 빠른 물 흐름에 따라 생존이 좌우되기 때문에, 좁은 범위의 시내나 강을 선택한다.[28] 이상적인 서식지는 많은 양의 자갈, 낮은 pH, 시원한 수온 및 낮은 비전도성을 갖는다. 자갈은 은신처를 제공하고, 시원한 수온은 피부 가스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며, 낮은 비전도성은 방해받지 않은 시내를 나타낸다.[32]

두 아종(''C. a. alleganiensis''와 ''C. a. bishopi'')은 약 1년 반 후에 변태를 겪으며, 이때 길이가 약 13.5cm가 되면 유충기에 가지고 있던 아가미를 잃고 피부 주름을 통해 산소를 흡수한다.[28][21]

미국장수도롱뇽은 다양한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 큰입배스는 1~3살 된 미국장수도롱뇽을 잡아먹을 수 있다.[36] 알의 동족포식도 흔하며,[25] 산림 벌채가 증가한 지역에서는 근친상간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7] 어린 미국장수도롱뇽은 포식성 물고기가 방출하는 카이로몬을 감지하여 행동을 변화시키는데,[36] 이는 카이로몬을 스트레스 자극으로 인식하고 잠재적인 포식자를 식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식성은 동물성이며, 어류, 갑각류, 달팽이 등을 먹는다.[66] 번식은 난생으로, 8-11월에 150-500개의 알을 낳고 수컷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67][66]

6. 1. 행동

미국장수도롱뇽은 맑고 깨끗한 물에서 발견되며, 그 존재는 물의 수질이 좋다는 지표가 된다.[32] 이들은 "서식지 전문종"으로, 매우 특정한 환경에 적응해왔다.[28] 용존 산소, 온도, 빠른 물 흐름에 따라 생존이 좌우되기 때문에, 좁은 범위의 시내나 강을 선택한다.[28] 크고 불규칙하며 간헐적인 바위와 빠르게 흐르는 물이 있는 지역에서 발견되며, 넓고 느리게 흐르는 물, 진흙 둑, 판상 바닥을 가진 곳은 피한다.[28] 이러한 서식지 특성 때문에 수집가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28] 한 수집가는 과거 "거의 모든 적합한 바위 아래에서 표본을 찾을 수 있었다"고 했지만, 수년간의 수집 후 개체 수는 상당히 감소했다고 언급했다.[33]

두 아종은 약 1년 반 후에 변태를 겪는다.[28] 이때, 길이가 약 13.5cm일 때, 유충기에 가지고 있던 아가미를 잃고, 피부 주름을 통해 산소를 흡수한다.[21] 느리게 흐르는 물에서는 충분한 산소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빠르게 흐르는 산소화된 물이 필요하다.[33]

미국장수도롱뇽은 다양한 물고기와 파충류(뱀과 거북 모두 포함)의 먹이가 되며, 특히 큰입배스는 1~3살 된 미국장수도롱뇽을 잡아먹을 수 있는 포식자이다.[36] 알의 동족포식도 흔하게 발생한다.[25] 어린 미국장수도롱뇽은 포식성 물고기가 방출하는 화학적 신호인 카이로몬을 감지하여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6]

이들은 번식과 사냥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한 곳에 머무르며, 다른 미국장수도롱뇽으로부터 그 장소를 보호한다.[34] 두 미국장수도롱뇽의 서식 범위가 겹칠 수 있지만, 다른 도롱뇽이 있을 때는 겹치는 지역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야행성이며, 활동 최고점은 "어둠이 내린 지 두 시간 후"와 새벽에 나타난다.[34][21] 성체는 최대 25~30년까지 살 수 있다. [38]

큰 바위가 있는 물살이 빠른 하천 등에 서식하며, 완전 수생이다. 바위나 통나무 밑을 굴로 삼는다.[67] 어류, 갑각류, 달팽이 등을 먹는 동물성 먹이를 섭취한다.[66]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8-11월에 통나무나 바위 등에 있는 물살이 직접 닿지 않는 굴에, 구슬 모양이 된 150-500개의 알을 낳는다.[67]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신선한 물을 공급하며 보호한다.[66][67] 알은 45-75일 만에 부화한다.[67] 유생은 부화 후 1개월은 난황만으로 자란다.[67] 생후 1-2년 만에 유체로 변태하며, 5-8년, 몸길이 30cm 정도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67]

6. 2. 먹이

''C. alleganiensis''는 주로 가재와 작은 물고기를 먹지만, 곤충, 벌레, 연체동물, 올챙이와 작은 도롱뇽도 먹는다.[39][40] 2017년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유생인 미국장수도롱뇽은 하루살이와 날도래 약충을 먹는다.[41] 1940년대 상업적 수집가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먹이 활동이 더 활발한 여름에는 가재 포식이 더 많았고, 가재가 덜 활동적인 겨울에는 물고기가 식단의 더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미국장수도롱뇽은 약 7.2°C에서 약 26.7°C 사이의 특정 온도 범위에서 먹이를 먹는 것으로 보인다. 식인 행위, 주로 알을 먹는 행위가 미국장수도롱뇽 개체군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연구자는 아마도 개체 밀도는 부분적으로 종내 포식에 의해 유지되고, 이에 따라 밀도 의존성이 생성된다고 주장했다.[34][28][21] 자신에 비해 큰 먹이를 먹을 때, 흡입 섭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2]

6. 3. 번식

미국장수도롱뇽의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8월 말이나 9월 초에서 중순에 시작되어 11월 말까지 이어질 수 있다. 가을 짝짓기 기간을 제외하고는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수컷은 총배설강 주변에 융기된 링을 갖는다.[21] 대부분의 도롱뇽과 달리 미국장수도롱뇽은 외부 수정을 한다. 짝짓기 전에 각 수컷은 돌이나 통나무 아래에 둥지를 만드는데, 둥지는 접시 모양으로 들어가기 쉽고 입구가 직접적인 물살을 피하도록, 대개 하류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수컷은 암컷을 기다리며 둥지에 머문다. 암컷이 접근하면 수컷은 암컷을 자신의 굴로 안내하거나 몰아넣고 난생을 할 때까지 나가지 못하게 한다.[21]

암컷 미국장수도롱뇽은 2~3일 동안 150~200개의 알을 낳으며, 알의 지름은 18mm이고 5~10개의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컷이 알을 낳는 동안 수컷은 알 옆이나 약간 위에 위치하여 꼬리를 흔들고 뒷다리를 움직이면서 알에 정자를 뿌려 정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수컷은 종종 다른 암컷들을 유혹하여 자신의 둥지에 알을 낳게 하며, 한 둥지에서 1,946개[43]의 알이 발견되기도 했다. 수컷은 또한 짝과 둥지를 보호한다. 미국장수도롱뇽 알의 사망률은 높다.[44] 연구에 따르면 암컷이 성공적으로 번식할 때까지 수컷 미국장수도롱뇽은 번식이 완료될 때까지 자신의 영역에서 암컷을 보호한다. 하지만 카니발리즘은 미국장수도롱뇽 둥지에서 알의 수를 알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적게 만든다.[21] 성체 수컷은 먹이가 제한된 열악한 환경에서 자신의 새끼를 잡아먹는 경향이 더 높다.[45]

난생 후, 수컷은 암컷을 둥지에서 내쫓고 알을 지킨다. 부화하는 수컷은 앞뒤로 흔들리고 옆 피부 주름을 물결치게 하여 물을 순환시켜 알과 성체 모두에게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 부화는 지역에 따라 45~75일 동안 지속된다.[21] 수컷은 알과 유충을 최소 7~8개월 동안 단독으로 돌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갓 부화한 미국장수도롱뇽은 길이가 25mm이고, 처음 몇 달 동안의 에너지원으로 난황낭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적인 사지가 없다.[21] 두 아종, ''C. a. alleganiensis''와 ''C. a. bishopi''는 약 1년 반 후에 변태를 겪는다.[28] 이때, 길이가 약 13.5cm일 때, 유충기에 가지고 있던 아가미를 잃는다. 그때까지는 털두꺼비와 쉽게 혼동될 수 있으며, 종종 발가락 수를 통해서만 구별할 수 있다.[21]

7. 적응

장수도롱뇽은 얕고 빠르게 흐르며 바위가 많은 개울에 살도록 매우 잘 적응되어 있다. 납작한 형태는 흐르는 물에 저항을 거의 받지 않아 상류로 이동하고 바위 아래 좁은 공간으로 기어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 피부를 따라 있는 주름과 겹은 피부 호흡을 위한 표면적을 넓히는 데 사용된다.[47] 이들의 피부는 또한 키트리드 활동에 대한 선천적 면역에 중요한 분비물을 가지고 있다.[48] 시력은 비교적 좋지 않지만, 몸 전체에 빛에 민감한 세포가 있다. 특히 꼬리에 있는 세포는 정교하게 조율되어 있어 꼬리가 밖으로 나와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고 바위 아래에 안전하게 위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들은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으며, 죽은 물고기와 같은 먹이를 찾아 냄새 분자를 따라 상류로 이동한다. 후각은 사냥할 때 가장 중요한 감각일 수 있다. 또한 물고기와 유사한 측선을 가지고 있어 물 속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49]

스미소니언 국립 동물원(Smithsonian National Zoological Park), 워싱턴 D.C. 에 전시된 장수도롱뇽

8. 보존 상태 및 위협

미국장수도롱뇽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2] 이러한 개체수 감소에는 다양한 인위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황폐화, 서식지 개조, 오염, 과도한 채집 및 박멸, 그리고 질병 등이 있다.[29][27]

특히, 댐 건설로 인한 물의 흐름 방해와 여울 서식지 침수, 벌목, 채광, 도로 건설로 인한 퇴적물 형성, 화학 오염 물질과 오해로 인한 의도적인 박멸, 판매를 위한 과도한 채집 등이 미국장수도롱뇽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2]

발톱털곰팡이(Bd) 및 라나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질병 또한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2] 최근에는 다른 도롱뇽 종에서 심각한 개체수 감소를 일으킨 도롱뇽 털곰팡이(''살라만드라털곰팡이'', Bsal)가 아직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약 도입된다면 미국장수도롱뇽 개체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8. 1. 보존 상태

미국장수도롱뇽은 서식지 전역에 걸친 연구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현재, 이 종은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2] 인위적인 요인이 이러한 감소에 기여했는데, 여기에는 토사 및 침전, 분산/이동 경로 차단, 댐 및 기타 개발로 인한 하천 서식지 파괴, 오염, 질병, 상업적 및 과학적 목적으로의 과도한 채취가 포함된다.[29][27] 이러한 영향으로 미국장수도롱뇽 개체군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서식지를 보호하고 개체수를 늘려 남은 개체군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종이 한때 고유종이었지만 멸종된 곳에서는 재도입을 통해 개체군을 늘리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29]

오자크 아종에서 급격한 감소가 관찰됨에 따라, 연구자들은 ''C. a. alleganiensis''와 ''C. a. bishopi''를 두 개의 관리 단위로 구별하려고 노력해 왔다. 두 그룹 간, 그리고 그들과 또 다른 고립된 ''C. a. alleganiensis'' 개체군 간에 상당한 유전적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므로, 두 아종 모두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도록 보장해야 한다.[29]

오자크 미국장수도롱뇽은 2011년 10월 5일부터 멸종 위기 종 보호법에 따라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에 의해 멸종 위기 종으로 등재되었다. 이 아종은 미주리주 남부와 아칸소주 북부의 화이트 강 (아칸소)과 스프링 강 유역에 서식하며, 1980년대 이후 개체수가 약 75% 감소하여 야생에는 약 590마리만 남아 있다. 수질 저하, 저수지 건설로 인한 서식지 손실, 광석 및 자갈 채굴, 침전,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포획이 양서류 개체수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여겨진다.[50] 2006년 3월부터 2007년 4월 사이에 세인트루이스 동물원의 사육 중인 미국장수도롱뇽 개체군의 75%가 피부진균증으로 죽자, 야생 개체군에 대한 검사가 시작되었다. 이 질병은 오자크 미국장수도롱뇽의 미주리주 모든 개체군에서 감지되었다.[51] NatureServe는 ''C. a. alleganiensis''를 ''위험한 아종'', ''C. a. bishopi''를 ''심각하게 위험한 아종''으로, 그리고 종 전체를 ''취약''으로 취급한다.[52][53][54]

오자크 미국장수도롱뇽은 2011년 11월 15일, 미주리주 자연 보호부와의 공동 프로젝트로 세인트루이스 동물원에서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사육되었다.[55] 오자크 지역 외에도, 알을 야생에서 채집하여 덜 취약한 단계에서 재방생하기 위해 사육하는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이 인디애나, 뉴욕,[56] 및 오하이오에서 시작되었다.[57]

펜실베이니아 주 상원 의원들은 동부 미국장수도롱뇽을 공식적인 미국 주 양서류 목록으로 지정하여 멸종 위기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찬성 투표를 했다. 그러나 이 법안은 Wehrle's salamander에게 이 영예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하원 의원들의 반대로 논란에 휩싸였다.[58][59] 이 법안은 2018년에 통과되지 않았지만, 2019년에 다시 발의되었다.[60] 2019년 4월 23일,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톰 울프는 동부 미국장수도롱뇽을 펜실베이니아의 공식 주 양서류로 지정하는 법안에 서명했다.[61] 체서피크 베이 재단의 펜실베이니아 학생 리더십 위원회의 청소년 구성원들은 이 법안을 작성하고 지지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들은 펜실베이니아 상원에서의 미국장수도롱뇽 법안의 성공이 깨끗한 물을 위한 노력에 기여하고, 미국장수도롱뇽의 고군분투하는 개체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62]

8. 2. 위협 요인

미국장수도롱뇽은 서식지 전역에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2022년 현재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2] 이러한 감소에는 토사 및 침전, 이동 경로 차단, 댐 건설 등으로 인한 하천 서식지 파괴, 오염, 질병, 과도한 채취 등 여러 인위적인(anthropogenic) 요인이 작용했다.[29][27]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미국장수도롱뇽 개체군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서식지 보호 및 재도입을 통해 남은 개체군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29]

오자크 아종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연구자들은 ''C. a. alleganiensis''와 ''C. a. bishopi''를 두 개의 관리 단위로 구분하려 노력해 왔다. 연구 결과 두 그룹 간, 그리고 이들과 또 다른 고립된 ''C. a. alleganiensis'' 개체군 간에 상당한 유전적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유전적 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두 아종 모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29]

오자크 미국장수도롱뇽은 2011년 10월 5일부터 멸종 위기 종 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에 따라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 의해 멸종 위기 종으로 등재되었다.[50] 이 아종은 미주리주 남부와 아칸소주 북부의 화이트 강 (아칸소)(White River)과 스프링 강 유역에 서식하며, 1980년대 이후 개체수가 약 75% 감소하여 야생에는 약 590마리만 남아 있다. 수질 저하, 저수지 건설로 인한 서식지 손실, 광석 및 자갈 채굴, 침전,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포획이 주요 감소 요인으로 여겨진다.[50] 피부진균증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4월 사이에 세인트루이스 동물원의 사육 개체군 75%를 죽였으며, 이후 야생 개체군에서도 감지되었다.[51] NatureServe는 ''C. a. alleganiensis''를 ''위험한 아종'', ''C. a. bishopi''를 ''심각하게 위험한 아종'', 종 전체를 ''취약''으로 취급한다.[52][53][54]

2011년 11월 15일, 세인트루이스 동물원(Saint Louis Zoo)은 미주리주 자연 보호부와의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오자크 미국장수도롱뇽을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사육했다.[55] 오자크 지역 외에도 인디애나, 뉴욕,[56] 오하이오[57] 등에서 알을 채집하여 사육 후 재방생하는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펜실베이니아 주 상원(Pennsylvania State Senate) 의원들은 동부 미국장수도롱뇽을 공식 미국 주 양서류 목록(List of U.S. state amphibians)으로 지정하여 멸종 위기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찬성 투표를 했다. 그러나 하원 의원들의 반대로 논란이 있었고, 2018년에 통과되지 못하고 2019년에 다시 발의되었다.[60] 2019년 4월 23일,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톰 울프(Tom Wolf)는 동부 미국장수도롱뇽을 펜실베이니아의 공식 주 양서류로 지정하는 법안에 서명했다.[61] 체서피크 베이 재단(Chesapeake Bay Foundation)의 펜실베이니아 학생 리더십 위원회 청소년 구성원들은 이 법안 작성 및 지지에 적극 참여했으며, 이를 통해 깨끗한 물을 위한 노력과 미국장수도롱뇽의 개체수 회복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62]

미국장수도롱뇽은 서식지 황폐화, 서식지 개조, 오염, 그리고 새롭게 나타나는 질병 등 서식지와 전반적인 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 종의 보존은 야생에서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2]

주요 위협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서식지 황폐화: 댐 건설 등으로 물의 흐름이 방해받고 중요한 여울 서식지가 침수된다.
  • 서식지 개조: 벌목, 채광, 도로 건설로 인해 필수적인 둥지와 은신처가 덮이는 퇴적물이 형성된다.
  • 오염: 화학 오염 물질과 이 종에 대한 오해는 개체수 감소를 초래했다.
  • 과도한 채집 및 박멸: 판매를 위한 과도한 채집과 의도적인 박멸 노력 또한 해로운 영향을 미쳤다.[2]
  • 질병: ''발톱털곰팡이''(Bd) 및 ''라나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질병이 헬벤더 개체군에서 발견되어 개체수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2]
  • 새롭게 나타나는 질병: 다른 도롱뇽 종에서 심각한 개체수 감소를 일으킨 도롱뇽 털곰팡이(''살라만드라털곰팡이'', 또는 "Bsal")가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잠재적 도입은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 만약 도입된다면, 헬벤더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은 신속하고 심각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완화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2]

참조

[1]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Pleistocene hellbender, ''Cryptobranchus guildayi ''
[2] 간행물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3] 문서 Listed by United States of America
[4] 보고서 Catalogue of American Amphibians and Reptiles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5] 서적 A Check List of North American Amphibians and Reptiles Harvard University Press
[6] 보고서 The Hellbender https://ag.purdue.ed[...] The Conservation Commission of the State of Missouri 2013-05-16
[7] 논문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familiarity on public attitudes toward the eastern hellbender https://ag.purdue.ed[...]
[8] 뉴스 Snot otters get a second chance in Ohio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7-09-14
[9] 사전 grampus https://dare.wisc.ed[...] University of Wisconsin 2020
[10] 서적 The Hellbenders: North American "giant salamanders" Milwaukee Public Museum
[11] 웹사이트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http://www.amphibiai[...] livingunderworld.org 2012-11-12
[12] 서적 Scientific and Common Names of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North America — Explained
[13] 사전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bishopi Pelagic Publishing Ltd.
[14] 문서 Life History of the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in a West Virginia Stream.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54(1), 135–142. https://doi.org/10.1674/0003-0031(2005)154[0135:LHOTHC]2.0.CO;2
[15] 논문 A previously undocumented locality of eastern hellbenders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in the Elk River, Carter County, TN. 2013
[16] 논문 Population Genetics of the Eastern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across Multiple Spatial Scales 2013-10-18
[17] 웹사이트 Hellbender salamander https://www.nature.o[...] The Nature Conservancy 2022-04-20
[18] 서적 Peterson Field Guide to Reptiles and Amphibians of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HarperCollins
[19] 웹사이트 Newly described Chinese giant salamander may be world's largest amphibian https://news.mongaba[...] 2019-09-17
[20] 논문 Age and Growth of Hellbenders in the Niangua River, Missouri https://www.jstor.or[...] 1975
[21] 문서 Eastern Hellbender Status Assessment Report http://www.fws.gov/m[...] 2003-06
[22] 논문 Aquatic Respiration: An Unusual Strategy in the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Daudin) 1973-12-21
[23] 논문 Comments on the Study of Ohio Salamanders with Key to Their Identification
[24] 논문 Genetic relationships of hellbenders in the Ozark highlands of Missouri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for the Ozark subspecies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bishopi'') 2010-12-28
[25] 웹사이트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http://amphibiaweb.o[...] AmphibiaWeb
[26]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 Amphibians Academic Press
[27] 논문 Phylogeography and conservation genetics of the hellbender salama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2009-10
[28] 논문 Demography of the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in the Ozarks 1988-04
[29] 논문 The Hellbender: A Nongame Species in Need of Management
[30] 논문 'Occurrence of the Eastern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in the Coosawattee River System (Mobile River Basin), Georgia' 2011
[31] 문서 Survival and Body Condition of Captive-Reared Juvenile Ozark Hellbenders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bishopi) Following Translocation to the Wild 2012-03-30
[32] 문서 Stream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ite occupancy by the eastern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in southern West Virginia
[33] 논문 Notes on the Amphibians of Venango County, Pennsylvania 1948-09
[34] 논문 Seasonal Changes in Nocturnal Activity of the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in West Virginia 2000-12
[35] 문서 Life History of the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in a West Virginia Stream https://doi.org/10.1[...] 2005-07-01
[36] 논문 Training for Translocation: Predator Conditioning Induces Behavioral Plasticity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Captive Eastern Hellbenders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Cryptobranchidae, Amphibia) 2018
[37] 논문 Filial cannibalism leads to chronic nest failure of eastern hellbender salamanders (Cryptobranchus alleganienesis). 2023
[38] 논문 Restoring eastern hellbender (Cryptobranchus a. alleganiensis) populations through translocation of headstarted individuals. 2023
[39] 웹사이트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Hellbender) https://animaldivers[...]
[40] 웹사이트 AmphibiaWeb -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https://amphibiaweb.[...]
[41] 논문 Hellbenders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May Exhibit an Ontogenetic Dietary Shift 2017-06-01
[42] 논문 The ontogeny of feeding kinematics in a giant salama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Does current function or phylogenetic relatedness predict the scaling patterns of movement? https://doi.org/10.1[...] 2005
[43]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The Brown Reference Group
[44] 논문 Restoring eastern hellbender (Cryptobranchus a. alleganiensis) populations through translocation of headstarted individuals. 2023
[45] 논문 Filial Cannibalism Leads to Chronic Nest Failure of Eastern Hellbender Salamanders (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 https://www.journals[...] 2023-07-01
[46] 논문 Pre-breeding androgen and glucocorticoid profiles in the eastern hellbender salama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2021-11-01
[47] 웹사이트 Hellbender Salamander https://www.nature.o[...] 2023-01-24
[48] 논문 Disease state associated with chronic toe lesions in hellbenders may alter anti-chytrid skin defenses 2023-02-03
[49]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Grange Books
[50] 보도자료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Lists the Ozark Hellbender as Endangered and Moves to Include Hellbenders in Appendix III of CITES http://www.fws.gov/m[...] U. 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3-05-16
[51] 웹사이트 The Ozark Hellbender – Can We Save It? http://www.fws.gov/m[...]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3-01-26
[52] 웹사이트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28
[53] 웹사이트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28
[54] 웹사이트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28
[55] 뉴스 World's first captive breeding of Ozark hellbenders https://www.scienced[...] 2012-11-15
[56] 뉴스 The Buffalo Zoo's Hellbender Lab https://www.wsj.com/[...] 2013-08-20
[57] 보도자료 Ohio's Hellbender Population Set Up for Success http://ohiodnr.gov/n[...] Ohio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15-01-10
[58] 뉴스 Seriously? Battle looms over Pa. state amphibian: Hellbender vs. Wehrle's http://www.philly.co[...] 2017-11-16
[59] 웹사이트 The hellbender is one step closer to becoming the official PA state amphibian https://www.ydr.com/[...]
[60] 문서 The Hellbender is One Step Closer to Becoming the Official PA State Amphibian https://www.ydr.com/[...] York Daily Record 2019-01-29
[61] 웹사이트 Bill Information - Senate Bill 9; Regular Session 2019-2020 https://www.legis.st[...]
[62] 웹사이트 Hellbender Poised to Become Pa. State Amphibian https://www.chesapea[...] 2023-11-07
[63] 웹사이트 CITES homepage http://www.cites.org[...]
[64]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65] 간행물 CLOSE UP CREEPERS -注目の爬虫両生類- クリーパー社 2007年
[66] 서적 爬虫類・両生類800種図鑑 第3版 ピーシーズ 2002年
[67] 서적 爬虫・両生類ビジュアルガイド イモリ・サンショウウオの仲間 有尾類・無足類 誠文堂新光社 2005年
[68] 웹사이트 미국장수도롱뇽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69] 웹사이트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http://amphibiawe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