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도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도입은 멸종된 종을 원래 서식지로 다시 돌려보내는 생물다양성 보전 방법이다. IUCN 재도입전문가그룹(RSG)은 생물 다양성 손실에 대처하기 위해 재도입을 관리 도구로 활용하며, 야생 개체군 구축을 위한 과학적 정보와 정책을 개발한다. 재도입은 종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현지 내 또는 역외에서 개체를 확보할 수 있다. 야생 적응 훈련, 유전적 다양성 확보, 질병 관리 등 재도입 성공을 위한 다양한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성공 사례로는 아라비아오릭스, 시베리아호랑이 등이 있으며, 실패 사례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반달가슴곰, 황새, 한국여우 재도입이 진행 중이며, 아무르표범과 시베리아호랑이 재도입도 계획되고 있다. 재도입 연구 기법 개선을 위해 다학제적 접근과 유전자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기후 변화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전생물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보전생물학 -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단편화는 서식지 면적 감소, 내부 면적 감소 및 주변 효과 증가, 서식지 격리, 패치 분할, 평균 패치 크기 감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생물종 이동 제한, 생물 다양성 감소, 개체군 유지 어려움 등 생태계 건강성을 위협하며, 주요 원인은 개발, 벌목, 농업 확장과 같은 인간 활동이다.
| 재도입 | |
|---|---|
| 재도입 | |
![]() | |
| 분야 | 보전 생물학 |
| 목표 | 멸종 위기에 놓인 종의 개체수를 늘리고, 생태계 기능을 회복하며, 종의 생존 가능성을 높임 |
| 관련 용어 | 종 복원, 개체군 강화, 이주 |
| 개요 | |
| 정의 | 특정 지역에서 멸종된 종을 다시 도입하는 보전 전략 |
| 필요성 | 서식지 파괴, 과도한 사냥,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종의 감소 및 멸종 방지 |
| 고려 사항 | 재도입 지역의 환경 조건 먹이 자원의 가용성 포식자와의 관계 질병 전파 가능성 지역 사회의 지지 |
| 단계 | |
| 1단계 | 타당성 조사 및 계획 수립 |
| 2단계 | 서식지 평가 및 준비 |
| 3단계 | 개체 선택 및 확보 |
| 4단계 | 적응 훈련 및 건강 검진 |
| 5단계 | 방사 및 모니터링 |
| 성공 요인 | |
| 서식지 적합성 | 재도입 지역의 환경 조건이 해당 종의 생존과 번식에 적합해야 함 |
| 개체군 규모 | 충분한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초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개체수를 방사해야 함 |
| 지역 사회 참여 | 지역 주민의 이해와 협력이 필수적이며, 교육 및 홍보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인식을 조성해야 함 |
| 지속적인 모니터링 | 방사 후 개체군의 생존, 번식, 이동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해야 함 |
| 윤리적 고려 사항 | |
| 동물 복지 | 개체를 포획, 수송, 방사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안전을 보장해야 함 |
| 생태계 영향 | 재도입이 기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 인간-동물 갈등 | 재도입된 종이 농작물 피해, 인명 피해 등을 일으킬 가능성을 고려하고, 예방 및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함 |
| 사례 | |
| 유럽 비버 | 유럽 전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재도입 사업을 통해 개체수가 증가함 |
| 늑대 |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재도입되어 생태계 균형 회복에 기여함 |
| 캘리포니아 콘도르 |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포획 번식 및 재도입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수가 증가함 |
| 추가 정보 | |
| 참고 문헌 | [1] [2] [3] |
2. 재도입의 배경 및 정의
재도입은 한때 특정 지역에서 서식했지만 사라진 생물종을 다시 들여와 정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종 재도입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하며,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지는 해당 생물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4] 예를 들어, 재도입할 개체를 야생에서 데려올지, 아니면 동물원이나 식물원처럼 사람이 키우는 환경에서 데려올지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IUCN 적색 목록 기준과 같이 멸종 위기 등급을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준을 재도입 성공 평가에 사용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2] 성공적인 재도입은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개체군을 만들어야 한다. IUCN/SSC 재도입 전문가 그룹 및 환경청은 2011년 전 세계의 재도입 사례 연구를 수집했다.[13] 무척추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식물 등 다양한 종에 대한 184건의 사례 연구가 보고되었다. 모든 연구의 평가는 목표, 성공 지표, 프로젝트 요약, 직면한 주요 어려움, 얻은 주요 교훈, 성공 또는 실패 이유를 포함한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포함했다. 식물에만 초점을 맞춘 평가에서는 희귀종 재도입의 높은 성공률이 발견되었다.[14] 식물 보존 국제 재도입 등록소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49건의 경우 재도입된 식물 개체군의 92%가 2년 동안 생존했다.
시베리아호랑이 개체군은 1940년대 40마리에서 2007년경 500마리로 증가했다. 시베리아 호랑이 개체군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비단편화된 호랑이 개체군이다.[15] 그러나 이식 및 재도입의 높은 비율이 생존 가능한 개체군을 구축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16] 예를 들어, 중국에서 사육된 자이언트 판다의 재도입은 혼합된 영향을 미쳤다. 사육 상태에서 처음 풀려난 판다는 모두 재도입 후 빠르게 죽었다.[17] 판다 재도입 능력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육된 판다가 야생 친척들과 얼마나 잘 지낼지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다.[18]
포식자, 먹이, 병원체, 경쟁자, 날씨 등 많은 요인이 재도입의 성공 또는 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재도입을 시도하는 동물의 수도 사회적 행동, 예상되는 포식률, 야생에서의 밀도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19] 사육 환경에서 자란 동물은 사육 또는 이식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면역 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21]
IUCN 재도입 지침은 재도입을 계획할 때 적절한 서식지가 있는지 반드시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0] 방사 지역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으면, 해당 종이 그 지역을 떠나 덜 적합한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종의 생존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21] IUCN은 재도입 프로젝트의 필수 조건으로 원래 서식지를 복원하고 멸종 원인을 개선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하지만 재도입 후의 추적 관찰 기간은 종종 간과되기도 한다.[22]
2. 1. IUCN 재도입전문가그룹
재도입과 이입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IUCN/SSC 종보전위원회는 IUCN 재도입전문가그룹을 결성했다. 이 그룹의 최우선 임무는 IUCN 다른 위원회와 협력하여 1987년 IUCN이 작성한 생물체 이입 관련 입장 성명을 개정하는 것이었다. 이 지침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자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관련된 IUCN의 광범위한 정책 흐름 속에서 일관성 있게 시행되는 것이 중요했다. IUCN과 다른 환경 보전 주체들의 기본 철학은 "지구를 돌봄 (Caring for the Earth)"이나 "지구 생물다양성 전략(Global Biodiversity Strategy)"과 같은 주요 문서에 언급되어 있다. 이 문서들은 지속 가능한 자연자원 보전에 지역사회가 참여하고 관여해야 할 필요성, 인간 삶의 질 전반적 향상, 생태계 보전 및 필요한 경우 생태계 복원의 당위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한 생물종을 재도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잃어버린 한 종을 회복하려는 복원(restoration)의 특수한 한 예이다.[1]2. 2. 재도입의 필요성
IUCN(국제자연보전연맹) 종보전위원회는 재도입 사례 증가에 따라 재도입전문가그룹을 결성했다.[4] 이 그룹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1987년 IUCN이 작성한 생물체 이입 관련 입장 성명을 개정하는 것이었다. 이는 생물다양성 보전, 자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라는 IUCN의 더 넓은 정책 흐름 속에서 이루어져야 했다."지구를 돌봄(Caring for the Earth)", "지구 생물다양성 전략(Global Biodiversity Strategy)" 등의 문서에서는 다음 사항들을 강조한다.
- 지속 가능한 자연자원 보전에 지역사회 참여 필요성
- 인간 삶의 질 향상
- 생태계 보전 및 복원 필요성
종 재도입은 잃어버린 종을 회복하려는 복원의 한 예시이다. 종 재도입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으며, 유기체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최적의 전략이 달라진다.[4] 종 재도입 시 고려할 점은 개체를 야생에서 확보할지, 사육 환경에서 확보할지 여부이다.
2. 3. 재도입의 목표
재도입은 단순히 특정 종의 개체 수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한 자립 개체군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 재도입 시에는 지역 적응, 사육 적응(''역외'' 보전의 경우), 근친 교배 우울증 및 이종 교배 우울증의 가능성과 조달 개체군의 분류학, 생태학, 유전적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2]재도입될 종이 야생에서 희귀할 경우, 근친 교배와 근친 교배 우울증에 주의해야 한다.[2] 근친 교배는 개체군의 대립 유전자 분포 빈도를 변화시켜 잠재적으로 중요한 유전적 다양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2] 또한, 재도입된 개체군이 야생의 기존 개체군과 잡종을 형성하면 이종 교배 우울증이 발생하여 적합성이 감소하고 지역 조건에 덜 적응된 자손을 초래할 수 있다.[2]
종 재도입에서는 이형접합성으로 측정되는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권장된다.[2] 일부 프로토콜에서는 개체군에서 약 30마리의 개체를 조달하면 유전적 다양성의 95%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3. 재도입의 방법
파충류나 양서류는 태어나면서부터 생존 기술과 먹이를 찾는 방법을 알지만, 포유류나 조류는 이러한 과정을 배워야 한다. 특히 멸종 위기종의 경우, 야생에 생존하는 개체군이 있다면 환경 적응과 질병 검사를 거쳐 방사하면 되지만, 사육 상태에서 태어난 개체는 그렇지 않다.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244]
이러한 동물들이 야생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사육 환경에서도 훈련을 시켜야 한다. 사육 번식된 개체의 생존 확률은 야생 개체의 생존 확률에 근접해야 한다. 잠재적으로 위험한 사육 동물(대형 육식 동물이나 영장류 등)은 사람에게 익숙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이는 지역 주민이나 가축에게 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244]
종 재도입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으며, 최적의 전략은 대상 생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4] 재도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개체를 야생에서 확보할지, 아니면 동물원이나 식물원과 같은 사육 환경에서 확보할지 여부이다. 재도입되는 식물이나 동물은 지역 환경 조건에 충분히 적응하지 못하면 생존 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재도입할 개체군을 선택할 때는 원산지와 대상 지역의 생태적, 환경적 유사성을 고려해야 한다.[7]
이형접합성 손실과 같은 유해한 유전적 변화는 개체군 보충 등 관리적 개입이 재도입된 개체군의 생존에 필요함을 나타낼 수 있다.[36][37][38]
3. 1. 개체 확보 방법
종 재도입을 위한 개체 확보 방법에는 크게 현지 내(in situ) 확보와 현지 외(ex situ) 확보 두 가지가 있다. 현지 내 확보는 기존 야생 개체군에서 개체를 이동시키는 방법이고, 현지 외 확보는 동물원, 식물원 등에서 개체를 확보하는 방법이다.[4]어떤 방법을 선택할지는 유기체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현지 내 확보가 권장되는데, 이는 포획된 개체군에서 야생으로 개체를 재도입할 때 발생하는 여러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5] 하지만 야생 개체 수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현지 외 확보가 불가피할 수 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재도입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유전적 다양성이 높을수록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져 재도입 성공 가능성이 커진다.
사육 상태에서 재도입할 때, 사육 상태의 동물을 야생으로 옮기는 것은 사육 개체군과 야생 개체군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 유전적 가치가 높은 동물을 사육 상태에서 재도입하면 재도입된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은 향상되지만, 사육 개체군은 감소한다. 반대로, 유전적 가치가 높은 사육 동물은 야생 개체와 유전적 관련성이 높아 재도입 시 근친 교배로 인한 문제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사육 개체군에서 유전적으로 과다 대표되는 개체를 제거하고, 야생 개체와 유전적 관련성이 낮은 동물을 추가하면 유전적 다양성 증가에 유리하다.[32][33] 그러나 실제로 가치 있는 개체의 이주 전에 유전적 평가를 하기 위해 사육 개체군에 유전적 가치가 낮은 개체를 먼저 재도입하는 것이 권장된다.[33]
개체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존을 감시하는 것은 중요하며, 재도입 전후 모두 중요하며, 상황이 불리한 것으로 판명되면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20] 인구 통계 변수와 현장에서 기록된 행동 데이터를 통합하는 개체군 역학 모델은 사전 가설의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전 결과를 사용하여 추가 결정 및 실험을 설계하는 것은 적응 관리의 핵심 개념이다. 즉, 실행을 통한 학습은 향후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자는 재도입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 생물학자, 생태학자 및 야생 동물 관리와 협력해야 한다.[34]
3. 1. 1. 현지 내 확보 (''In situ'' sourcing)
현지 내 소싱을 통한 복원은 기존 야생 개체군에서 종이 이전에 지역 멸종되었던 새로운 장소로 개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는, 포획된 개체군에서 야생으로 유기체를 재도입하는 것과 관련된 수많은 위험 때문에 가능하다면 ''현지 내'' 개체군을 소싱해야 한다.[5] 재도입된 개체군이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개체는 유전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수용 개체군과 유사한 개체군에서 소싱해야 한다.[7] 일반적으로, 재도입 부지와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가진 개체군에서 소싱하면 재도입된 개체가 재도입 부지의 서식지에 잘 적응할 가능성을 극대화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6][7]''현지 내'' 소싱의 한 가지 고려 사항은 유기체를 어떤 생애 단계에서 수집, 운송 및 재도입해야 하는가이다. 예를 들어, 식물의 경우 이 단계에서 이식을 통해 생존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종자 형태로 운송하는 것이 이상적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식물은 종자 상태로 정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묘 또는 성체로 이식해야 할 수 있다.[4]
3. 1. 2. 현지 외 확보 (''Ex situ'' sourcing)
''역외'' 보전은 야생 개체 수가 너무 적어 ''현지 보전''이 불가능한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종을 보전하는 방법이다. ''역외'' 수집은 재도입 가능성이 높은 개체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생식질을 종자 은행, 정자 및 난자 은행에 저장하거나, 극저온 보존, 조직 배양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5] 이러한 방법은 많은 수의 개체를 저장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일부 종은 종자로 저장할 때 생존력을 잃을 수 있으며,[8] 조직 배양 및 극저온 보존 기술은 소수의 종에 대해서만 개발되어 있다.[9]동물원, 식물원과 같이 살아있는 생물체를 포획하여 보관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생식질을 보관하는 것보다 비용이 많이 들고, ''역외'' 소싱이 가능한 개체의 일부만 지원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5] 또한, 살아있는 수집품에 개체를 추가할 때 유전적 다양성 손실과 포획 환경에 대한 유전적 적응 위험이 증가한다.[10] 포획에 적응된 개체는 번식 적합성이 낮아지고 야생 재도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야생 조건을 최대한 재현하고 포획 기간을 최소화해야 한다.[11]
포획된 개체군에서 야생으로 개체를 재도입할 때, 포획 환경에서의 선택으로 인해 유전자형이 달라져 적응했을 위험이 있다. 야생에서는 유해하지만 포획 상태에서는 선호되는 드문 열성 대립 유전자가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11] 그 결과, 포획에 적응된 동물은 스트레스 내성이 감소하고, 길들여지기 쉬워지며, 지역 적응력을 잃는 경향을 보인다.[30] 식물 또한 가뭄 내성, 영양 요구량, 종자 휴면 요구 사항의 변화를 통해 포획에 적응할 수 있다.[31]
야생 동물을 도입하는 재도입 프로젝트는 포획된 동물로 번식된 동물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보다 성공률이 높다.[11] 이는 포획 환경에 대한 유전적 적응이 재도입 후 적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포획에 대한 유전적 적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대 길이를 최대화하고, 포획 개체군에 새로운 개체를 추가하며, 유효 개체군 크기를 최소화하고, 포획 상태에서 보낸 세대 수를 최소화하며, 자연 선택 압력을 줄이고, 개체군을 분열시켜 유전적 다양성을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2][11] 식물의 경우, 종자 은행에서 야생에서 수집된 종자를 조달하여 포획 적응 기회를 줄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종자 휴면을 가진 식물에만 가능하다.[11]
생태학자와 생물학자들이 협력하여 재도입에 접근하면 연구 기법을 개선할 수 있다. 생존종 위원회(Survival Species Commission)와 IUCN 내에서 학계의 개체군 생물학자와 야생 동물 관리자 간의 협력을 늘리는 것이 권장된다. IUCN은 재도입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팀을 포함하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0]
3. 2. 생존 기술 훈련
파충류와 양서류는 태어나자마자 스스로 생존 기술을 터득하고 먹이를 찾지만, 포유류와 조류는 생존 기술을 배워야 한다. 특히 멸종 위기종이나 멸종 위급종의 경우, 야생 생존 개체군이 있으면 환경 적응과 질병 검사를 거쳐 방사하면 되지만, 사육 개체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사육 환경에서도 야생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훈련을 시켜야 하며, 사육 번식된 개체의 생존 확률은 야생 개체의 생존 확률에 근접해야 한다. 잠재적으로 위험한 동물(대형 육식 동물이나 영장류 등)은 사람에게 익숙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이는 지역 주민이나 가축에게 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244]3. 2. 1. 야생 적응 훈련
파충류나 양서류는 태어나면서부터 생존 기술과 먹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지만, 포유류나 조류는 이러한 과정을 학습해야 한다. 특히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경우, 야생에서 생존하는 개체군이 있다면 환경 적응과 질병 검사 후 방사하면 되지만, 사육 상태에서 태어난 개체는 그렇지 않다.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244]이러한 동물들이 야생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사육 환경에서도 훈련을 시켜야 한다. 사육 번식된 개체의 생존 확률은 야생 개체의 생존 확률에 근접해야 한다. 잠재적으로 위험한 사육 동물(대형 육식 동물이나 영장류 등)은 사람에게 익숙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사람에게 익숙해진 동물은 지역 주민이나 가축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244]
3. 2. 2. 방사 전 건강 검진
방사 전 개체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는 질병 감염 여부 확인, 건강 상태 평가 등 재도입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육 상태에서 태어난 개체는 야생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훈련이 필요하다. 사람에게 익숙해진 동물은 지역 주민이나 가축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44]4. 재도입의 유전적 고려 사항
어떤 종이 이전에 존재했던 지역에서 멸종된 경우, 재도입 개체군을 구성할 개체는 야생 또는 사육 개체군에서 가져와야 한다. 재도입을 위해 개체를 조달할 때는 지역 적응, 사육 적응(''역외 보전''의 경우), 근친 교배 우울증 및 이종 교배 우울증의 가능성, 그리고 조달 개체군의 분류학, 생태학, 유전적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2] 재도입된 개체군은 작은 크기, 조달 서식지와 원 서식지 간의 기후 및 생태적 차이, 그리고 교배 가능한 다른 개체군의 존재로 인해 유전적 부동, 자연 선택, 유전자 흐름 진화 과정의 영향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한다.[11][23][24][25]
재도입 프로그램에서는 포획된 개체군에서 얻은 식물이나 동물을 사용하여 재도입 개체군을 형성하기도 한다.[2] 포획된 개체군에서 야생으로 개체를 재도입할 때, 야생과 비교하여 포획 상태에서의 유전자형 차별적 선택으로 인해 포획에 적응했을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적응의 유전적 근거는 야생에서는 유해하지만 포획 상태에서는 선호되는 드문 열성 대립 유전자의 선택이다.[11] 결과적으로 포획에 적응된 동물은 스트레스 내성이 감소하고, 길들여지기 쉬워지며, 지역 적응력을 잃는 경향을 보인다.[30] 식물 또한 가뭄 내성, 영양 요구량 및 종자 휴면 요구 사항의 변화를 통해 포획에 적응할 수 있다.[31] 적응의 정도는 선택의 강도, 유전적 다양성, 유효 개체군 크기, 그리고 포획 상태에서 보낸 세대 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포획 상태에서 선택되는 특성은 야생에서 불리하므로, 이러한 적응은 재도입 후 적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야생 동물을 도입하는 재도입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포획된 동물로 번식된 동물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보다 성공률이 높다.[11] 포획에 대한 유전적 적응은 세대 길이 최대화, 포획 개체군에 새로운 개체 추가, 유효 개체군 크기 최소화, 포획 상태에서 보낸 세대 수 최소화, 자연 선택 압력 감소, 개체군 분열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 감소를 막는 등의 관리 방법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2][11] 식물의 경우, 포획에 대한 적응을 최소화하는 것은 개체가 야생에서 수집된 종자로 보존되어 포획 상태에서 적응할 기회가 없는 종자 은행에서 식물 재료를 조달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종자 휴면을 가진 식물에만 가능하다.[11]
생태학자와 생물학자들이 협력하여 재도입에 접근하면 연구 기법을 개선할 수 있다. 재도입 준비와 모니터링을 위해, 생존종 위원회(Survival Species Commission)와 IUCN 내에서 학계의 개체군 생물학자와 야생 동물 관리자 간의 접촉을 늘리는 것이 권장된다. IUCN은 재도입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팀을 포함하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0] 1998년 Wolf 등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재도입 프로젝트의 64%가 서식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주관적인 의견을 사용했다.[21] 이는 대부분의 재도입 평가가 인간의 일화적 증거에 기반하고 있으며, 통계적 결과에 충분히 기반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Seddon 등(2007)은 향후 재도입을 고려하는 연구자는 목표, 전반적인 생태학적 목적, 특정 재도입의 내재적 기술 및 생물학적 한계를 명시해야 하며, 계획 및 평가 과정은 실험적 접근 방식과 모델링 접근 방식을 모두 통합해야 한다고 제안한다.[3]
개체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존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며, 재도입 전후 모두 중요하다. 상황이 불리한 것으로 판명되면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20] 인구 통계 매개변수와 현장에서 기록된 행동 데이터를 통합하는 개체군 역학 모델은 사전 가설의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전 결과를 사용하여 추가 결정 및 실험을 설계하는 것은 적응 관리의 핵심 개념이다. 즉, 실행을 통한 학습은 향후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자는 재도입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 생물학자, 생태학자 및 야생 동물 관리와 협력해야 한다.[34]
4. 1. 유전적 다양성 확보
지역 멸종되었던 종을 다시 도입할 때,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은 재도입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 재도입된 개체군이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유전적으로 수용 개체군과 유사한 개체군에서 개체를 확보해야 한다.[7] 일반적으로 재도입 지역과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가진 개체군에서 개체를 확보하면 재도입된 개체가 재도입 지역의 서식지에 잘 적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6][7]만약 야생 개체의 ''현지 내 보전''이 불가능한 경우(예: 야생에 개체 수가 너무 적은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종의 경우) ''역외 보전'' 수집이 가능하다. ''역외'' 수집 방법은 재도입 가능성이 높은 개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 예로는 종자 은행에 저장된 생식질, 정자 및 난자 은행, 극저온 보존, 조직 배양이 있다.[5] 많은 수의 개체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은 유전적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형접합성으로 측정되는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종 재도입에서 권장된다.[2] 일부 프로토콜은 개체군에서 약 30마리의 개체를 조달하면 유전적 다양성의 95%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수용 개체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인 지역 적응의 손실을 방지하고, 근친 교배 우울증을 최소화하며, 재도입된 개체군의 적합성을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재도입될 종이 야생에서 희귀한 경우,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개체수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근친 교배와 근친 교배 우울증을 피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
4. 2. 근친교배 및 이종교배 방지
현지 내 복원을 할 때, 재도입될 종이 야생에서 희귀하여 개체 수가 매우 적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근친 교배와 근친 교배 우울증을 피하도록 주의해야 한다.[2] 근친 교배는 개체군의 대립 유전자 분포 빈도를 변화시키고 잠재적으로 중요한 유전적 다양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2] 또한, 재도입된 개체군이 야생의 기존 개체군과 잡종을 형성할 경우 이종 교배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적합성이 감소하고 지역 조건에 덜 적응된 자손을 초래할 수 있다.[2]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무자는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개체를 조달하고, 조달 지역 조건을 현지 지역 조건과 최대한 일치시키도록 시도해야 한다.[2] 이형접합성으로 측정되는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종 재도입에서 권장된다.[2] 일부 프로토콜은 개체군에서 약 30마리의 개체를 조달하면 유전적 다양성의 95%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수용 개체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인 지역 적응의 손실을 방지하고, 근친 교배 우울증을 최소화하며, 재도입된 개체군의 적합성을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4. 3. 지역 적응
재도입을 통해 생물 개체를 새로운 환경에 정착시킬 때, 해당 지역의 환경 조건에 대한 적응은 매우 중요하다.[6][7] 이를 위해 재도입 대상 개체를 선택할 때 원산지와 대상 지역의 생태적, 환경적 유사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려해야 할 주요 환경 요인에는 기후와 토양 특성이 있다. 토양 특성에는 pH, 점토, 미사 및 모래 비율, 연소 탄소 비율, 연소 질소 비율, 그리고 칼슘(Ca), 나트륨(Na), 마그네슘(Mg), 인(P), 칼륨(K) 농도 등이 포함된다.[7]
과거에는 재도입을 위한 식물 재료를 선택할 때 "지역이 최고"라는 규칙에 따라 가장 가까운 지역의 개체군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6] 그러나 연구 결과, 지리적 거리는 생존 능력을 예측하는 데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7]
예를 들어, ''Castilleja levisecta''라는 식물을 재도입한 연구에서는 가장 가까운 원산지 개체군보다 생태 조건이 재도입지와 가장 유사한 원산지 개체군이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29] 이는 재도입 성공을 위해서는 개체군의 진화된 적응을 재도입지의 조건과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4. 3. 1. 기후 변화와 재도입
현지 내 소싱을 통한 복원은 기존 야생 개체군에서 종이 이전에 지역 멸종되었던 새로운 장소로 개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는, 포획된 개체군에서 야생으로 유기체를 재도입하는 것과 관련된 수많은 위험 때문에 가능하다면 ''현지 내'' 개체군을 소싱해야 한다.[5] 재도입된 개체군이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개체는 유전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수용 개체군과 유사한 개체군에서 소싱해야 한다.[7] 일반적으로 재도입 부지와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가진 개체군에서 소싱하면 재도입된 개체가 재도입 부지의 서식지에 잘 적응할 가능성을 극대화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6][7]''현지 내'' 소싱의 한 가지 고려 사항은 유기체를 어떤 생애 단계에서 수집, 운송 및 재도입해야 하는가이다. 예를 들어, 식물의 경우 이 단계에서 이식을 통해 생존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종자 형태로 운송하는 것이 이상적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식물은 종자 상태로 정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묘 또는 성체로 이식해야 할 수 있다.[4]
어떤 종이 이전에 존재했던 지역에서 멸종된 경우, 재도입 개체군을 구성할 개체는 야생 또는 사육 개체군에서 가져와야 한다. 재도입을 위해 개체를 조달할 때는 지역 적응, 사육 적응(''역외'' 보전의 경우), 근친 교배 우울증 및 이종 교배 우울증의 가능성, 그리고 조달 개체군의 분류학, 생태학 및 유전적 다양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2] 재도입된 개체군은 작은 크기, 조달 서식지와 원 서식지 간의 기후 및 생태적 차이, 그리고 교배 가능한 다른 개체군의 존재로 인해 유전적 부동, 자연 선택 및 유전자 흐름 진화 과정의 영향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한다.[11][23][24][25]
재도입될 종이 야생에서 희귀한 경우,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개체수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근친 교배와 근친 교배 우울증을 피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 근친 교배는 개체군의 대립 유전자 분포 빈도를 변화시키고 잠재적으로 중요한 유전적 다양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2] 또한, 재도입된 개체군이 야생의 기존 개체군과 잡종을 형성할 수 있다면 이종 교배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적합성이 감소하고 지역 조건에 덜 적응된 자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무자는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개체를 조달하고, 조달 지역 조건을 현지 지역 조건과 최대한 일치시키도록 시도해야 한다.[2]
이형접합성으로 측정되는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종 재도입에서 권장된다.[2] 일부 프로토콜은 개체군에서 약 30마리의 개체를 조달하면 유전적 다양성의 95%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수용 개체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인 지역 적응의 손실을 방지하고, 근친 교배 우울증을 최소화하며, 재도입된 개체군의 적합성을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5. 재도입의 성공과 실패 사례
재도입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지만, 성공과 실패 사례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은 재도입 성공에 대한 엄격한 정의는 없지만, 멸종 위기 분류군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IUCN 적색 목록 기준을 재도입 성공 평가에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2] 성공적인 재도입은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자립 가능한 개체군을 만들어야 한다.
성공 요인
- 적절한 서식지: 재도입 지역은 해당 종의 생존과 번식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갖춰야 한다.[20]
- 멸종 원인 제거: 과거 멸종 원인이 제거되거나 통제되어야 한다.
- 충분한 개체 수: 유전적 다양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충분한 수가 재도입되어야 한다.[19]
- 건강 상태: 질병 저항력과 환경 적응력을 갖춘 건강한 동물을 재도입해야 한다.[21]
- 지속적인 모니터링: 재도입 후 개체군의 생존, 번식, 적응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관리해야 한다.[22]
실패 원인
- 부적절한 서식지: 서식지 평가가 부실하면 종이 해당 지역을 거부하고 부적합한 환경으로 이동하여 생존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다.[21]
- 멸종 원인 미해결: 멸종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재도입된 개체군이 다시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다.
- 개체 수 부족: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려워 개체군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 질병 및 스트레스: 사육 환경에서 자란 동물은 스트레스로 면역 체계가 약화될 수 있다.[21]
- 포식, 먹이, 경쟁, 날씨: 이러한 요인들이 재도입된 개체군의 생존과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9]
일반적인 어려움파충류나 양서류와 달리, 포유류나 조류는 생존 기술과 먹이 구하는 방법을 학습해야 한다. 사육 환경에서 태어난 개체는 야생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어려우므로, 사육 환경에서도 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대형 육식동물이나 영장류와 같이 잠재적으로 위험한 동물은 사람에게 익숙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사람에게 익숙해진 동물은 지역 주민이나 가축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244]
사례 연구IUCN/SSC 재도입 전문가 그룹 및 환경청은 2011년 전 세계 재도입 사례 연구를 수집했다. 184건의 사례 연구(무척추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식물 포함)는 목표, 성공 지표, 프로젝트 요약, 어려움, 교훈, 성공 또는 실패 이유 등을 포함했다.[13] 식물 재도입의 경우, 49건 중 92%가 2년 동안 생존했다.[14]
하지만, 이식 및 재도입의 높은 비율이 항상 생존 가능한 개체군 구축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16] 예를 들어, 중국에서 사육된 자이언트 판다 재도입 초기에는 모두 빠르게 죽었으며,[17] 사육된 판다가 야생 친척들과 잘 지낼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다.[18]
5. 1. 성공 사례
시베리아 호랑이 개체군은 1940년대 40마리에서 2007년경 500마리로 증가했으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비단편화된 호랑이 개체군이다.[15]
재도입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은 성공적인 재도입 사례와 그 요인들이다.
| 지역 | 종 | 비고 |
|---|---|---|
| 미국 와이오밍 | 회색늑대 | 성공 |
| 몽골 | 프셰발스키말 | 진행 중 |
| 알프스 | 수염수리 | 성공 |
| 폴란드, 벨로루시 | 유럽들소 | 성공, 유럽의 다른 지역은 진행 중 |
| 미국 | 캘리포니아 콘도르 | 성공, 멕시코는 진행 중 |
| 알래스카 | 사향소 | 성공 |
| 오만, 이스라엘 | 아라비아오릭스 | 성공 |
| 모로코, 튀니지,[39] 차드[40] | 아닥스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스턴케이프주 | 아프리카코끼리 | 사마라 프라이빗 게임 보호구역으로 재도입[41] |
| 말라위 | 아프리카표범 | 마제테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재도입[42][43][44] |
| 세네갈 | 아프리카땅거북 | [45] |
| 모잠비크, 가봉, 말라위 | 아프리카들개 | 고롱고사 국립공원[46][47] 및 레케디 공원(성공), 마제테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재도입[49] |
| 앙골라 | 앙골라기린 | 이오나 국립공원으로 재도입(성공)[50][51][52] |
| 말라위, 잠비아, 보츠와나, 르완다, 차드, 짐바브웨, 모잠비크 | 검은코뿔소 | 르완다에서 성공,[55] 차드에서 진행 중, 고나레주 국립공원,[57][58] 지나베 국립공원에서 재도입[59] |
| 카메룬 | 침팬지 | 두알라에데아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재도입[60] |
| 튀니지 | 쿠비에가젤 | 제벨 세르지 국립공원에서 재도입[61] |
| 세네갈 | 도르카스가젤 | 페를로 노르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재도입[62][63] |
| 지부티 | 그레비얼룩말 | [64]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주 | 땅돼지 | 핀다 프라이빗 게임 보호구역으로 재도입[65] |
| 르완다, 말라위 | 사자 | 아카게라 국립공원[66][67] 및 마제테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리워데 국립공원으로 재도입[68][69] |
| 가봉 | 맨드릴 | 레케디 공원으로 재도입[70] |
| 케냐 | 그물무늬기린 | 케냐 산에서 재도입[74] |
| 차드 | 사브르오릭스 | [75][76][77] |
| 케냐, 우간다, 잠비아, 콩고 민주 공화국, 르완다 | 흰코뿔소 | 케냐, 우간다, 잠비아에서 성공, 가람바 국립공원,[78] 아카게라 국립공원에서 재도입[79] |
| 에스와티니, 말라위 | 남아프리카치타 | 성공[80] |
| 니제르 | 서아프리카기린 | 가다베지 보호구역으로 재도입[84][85] |
| 사우디 아라비아 | 아라비아 가젤 | [130] |
| 사우디 아라비아 | 아라비아 모래 가젤 | [131] |
| 오만, 아랍 에미리트, 이스라엘, 사우디 아라비아, 요르단 | 아라비아 오릭스 | 오만 술탄국 (성공), 아랍 에미리트 (성공), 이스라엘 (성공), 사우디 아라비아 (진행 중), 요르단 (진행 중)[132][130][133] |
| 이란 서부 | 쿠르드 얼룩점무늬 도롱뇽 | 성공[137] |
| 이스라엘 | 라너 매 | 성공[138] |
| 이스라엘, 사우디 아라비아 | 북아프리카 타조 | 이스라엘 (실패), 사우디 아라비아 (성공)[139][140] |
| 이스라엘,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 | 누비아 아이벡스 | 이스라엘 (성공), 요르단 (성공), 사우디 아라비아 (진행 중)[130][142] |
| 이스라엘 | 파피루스 | 훌라 계곡 (성공)[144] |
| 이스라엘 | 페르시아 노루 | 성공[145][146] |
| 사우디 아라비아, 이스라엘 | 페르시아 얼룩말 | 성공[147][148] |
| 아르메니아 | 붉은 사슴 | 2013년에 재도입 프로그램 발표 |
| 이스라엘 | 야르콘 블릭 | 성공[151] |
| 콜롬비아 | 안데스 콘도르 | [230] |
| 브라질 | 황금사자타마린 | 대서양 우림[236][237] |
| 아르헨티나 중부 | 과나코 | |
| 아르헨티나 | 재규어 | 이베라 습지[238] |
| 콜롬비아 | 오리노코악어 | 엘 투파로 국립 공원의 토모 강[239] |
| 칠레 | 파타고니아 사슴 | 후일로 후일로 생물 보호구역[240] |
| 브라질 대서양 우림 | 남아메리카맥 | [242][243] |
성공적인 재도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적절한 서식지: 재도입될 지역은 해당 종이 생존하고 번식하는 데 필요한 환경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20]
- 멸종 원인 제거: 과거 해당 종이 멸종하게 된 원인이 제거되거나 통제되어야 한다.
- 충분한 개체 수: 재도입되는 동물의 수는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할 만큼 충분해야 한다.[19]
- 건강 상태: 재도입되는 동물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야 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건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21]
- 지속적인 모니터링: 재도입 후에는 개체군의 생존, 번식, 적응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관리해야 한다.[22]
재도입은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5. 2. 실패 사례
자이언트 판다의 경우, 중국에서 사육된 판다를 재도입했을 때 초기에 모두 빠르게 죽는 사례가 발생했다.[17] 재도입 능력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육된 판다가 야생 친척들과 얼마나 잘 지낼지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다.[18]모르가젤(다마가젤의 아종)은 모로코 남부의 사피아 보호구역에 재도입되었으나 실패했고, 현재 진행 중이다.[71]
재도입의 성공 또는 실패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한다. 포식자, 먹이, 병원체, 경쟁자, 날씨 등은 모두 재도입된 개체군의 성장, 생존, 번식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19] 재도입되는 동물의 수는 사회적 행동, 예상되는 포식률, 야생에서의 밀도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19] 사육 환경에서 자란 동물은 사육 또는 이식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 체계가 약화될 수 있다.[21]
IUCN(국제자연보전연맹) 재도입 지침은 재도입 계획의 핵심 요소로 적절한 서식지 가용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20] 방사 지역에 대한 부실한 평가는 종이 그 지역을 거부하고, 덜 적합한 환경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높여 종의 적합성과 생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21] 원래 서식지 복원과 멸종 원인 개선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재도입 후 모니터링 기간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22]
6. 대한민국의 재도입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반달가슴곰, 황새, 한국여우 등 멸종위기종 재도입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3] [244] 이 사업들은 단순한 종 복원을 넘어 훼손된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종 | 현황 | 비고 |
|---|---|---|
| 반달가슴곰 | 진행 중 | 지리산 멸종, 복원 사업 진행 중 |
| 황새 | 진행 중 |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1996년부터 복원 사업 진행 |
| 한국여우 | 진행 중 | 소백산 중심 재도입 사업 진행 |
아무르표범, 시베리아호랑이 등 과거 한반도 서식 대형 포유류 재도입도 논의되고 있으나, 서식지 확보, 주민 안전 문제 등 현실적 어려움으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6. 1. 진행 중인 재도입 사업
반달가슴곰, 황새, 한국여우 등 현재 대한민국에서 진행 중인 재도입 사업은 다음과 같다.| 종 | 현황 | 비고 |
|---|---|---|
| 반달가슴곰 | 진행 중 | 지리산에서 멸종된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244] |
| 황새 | 진행 중 |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1996년부터 복원 사업 진행 중 |
| 한국여우 | 진행 중 | 소백산을 중심으로 재도입 사업 진행 중[3] |
이 외에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의 재도입이 진행되고 있으며, 아래 표와 같다.
| 종 | 국가 | 비고 |
|---|---|---|
| 아닥스 | 모로코, 튀니지,[39] 차드[40] | |
| 아프리카코끼리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스턴케이프주 사마라 프라이빗 게임 보호구역[41] | |
| 아프리카표범 | 말라위 마제테 야생동물 보호구역[42][43][44] | |
| 아프리카땅거북 | 세네갈[45] | |
| 아프리카들개 | 모잠비크 고롱고사 국립공원,[46][47] 가봉 레케디 공원(성공), 말라위 마제테 야생동물 보호구역[49] | |
| 앙골라기린 | 앙골라 이오나 국립공원(성공)[50][51][52] | |
| 검은코뿔소 | 말라위, 잠비아, 보츠와나,[53][54] 르완다(성공),[55] 차드(진행 중), 짐바브웨 고나레주 국립공원,[57][58] 모잠비크 지나베 국립공원[59] | |
| 침팬지 | 카메룬 두알라에데아 야생동물 보호구역[60] | |
| 쿠비에가젤 | 튀니지 제벨 세르지 국립공원[61] | |
| 도르카스가젤 | 세네갈 페를로 노르 야생동물 보호구역[62][63] | |
| 그레비얼룩말 | 지부티[64] | |
| 땅돼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주 핀다 프라이빗 게임 보호구역[65] | |
| 사자 | 르완다 아카게라 국립공원,[66][67] 말라위 마제테 야생동물 보호구역, 리워데 국립공원[68][69] | |
| 맨드릴 | 가봉 레케디 공원[70] | |
| 모르가젤 (다마가젤의 아종) | 모로코 남부 사피아 보호구역 (실패 및 진행 중)[71] | |
| 북아프리카타조 | 모로코, 나이지리아, 니제르, 튀니지 (진행 중) | |
| 평원얼룩말 | 탄자니아 남부 키툴로 국립공원,[72] 잠비아 북부 눔부 국립공원[73] | |
| 그물무늬기린 | 케냐 케냐 산[74] | |
| 사브르오릭스 | 차드[75][76][77] | |
| 흰코뿔소 | 케냐, 우간다, 잠비아(성공), 콩고 민주 공화국 가람바 국립공원,[78] 르완다 아카게라 국립공원[79] | |
| 남아프리카치타 | 에스와티니, 말라위 (성공)[80] | |
| 점박이하이에나 | 모잠비크 지나베 국립공원,[81] 고롱고사 국립공원(계획)[82] | |
| 서아프리카악어 | 모로코[83] | |
| 서아프리카기린 | 니제르 가다베지 보호구역[84][85] |
6. 1. 1. 반달가슴곰 재도입
반달가슴곰 재도입은 지리산에서 멸종된 반달가슴곰을 복원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를 되살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파충류나 양서류와 달리, 포유류와 조류는 생존 기술과 먹이를 찾는 방법을 학습해야 한다.[244] 특히 멸종 위기종이나 멸종 위급종의 경우, 야생에서 생존하는 개체군이 있다면 환경 적응과 질병 검사를 거쳐 방사할 수 있지만, 사육된 개체는 그렇지 않다.[244]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바로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육 환경에서도 야생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훈련이 필요하다.[244] 사육 번식된 개체의 생존 확률은 야생 개체의 생존 확률에 근접해야 하며, 잠재적으로 위험한 대형 육식 동물이나 영장류는 사람에게 익숙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244] 사람에게 익숙해진 동물은 지역 주민이나 가축에게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244]
6. 1. 2. 황새 재도입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황새의 복원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황새 복원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업 경과:''' 1996년부터 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에서 러시아와 독일에서 황새를 도입하여 사육 및 증식에 성공했다. 이후 2015년부터 자연으로의 방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 '''성과:''' 방사된 황새들이 야생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고 생존하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이는 황새 복원 사업의 긍정적인 성과로 평가받는다.
- '''문제점:''' 황새의 서식지 부족, 먹이 부족, 조류독감 등의 질병, 밀렵 등의 위협 요소가 여전히 존재한다.
- '''서식지 조성:''' 황새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해 습지 및 농경지 등 서식지 복원 및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인공 둥지 설치:''' 황새의 번식률을 높이기 위해 인공 둥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황새 복원 사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사업이다.
6. 1. 3. 한국여우 재도입
한국여우는 한반도에서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소백산을 중심으로 재도입 사업이 진행 중이다.[3]6. 2. 계획 중인 재도입 사업
아무르표범, 시베리아호랑이, 늑대, 철갑상어 등 여러 종의 재도입이 계획되고 있다. 이들 종의 재도입은 생태계 복원 및 보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동시에 여러 문제점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존재한다.| 종 | 현황 및 타당성 | 문제점 및 고려 사항 |
|---|---|---|
| 아무르표범 | 한반도에서 멸종. 생태계 복원, 남북 협력 강화에 기여.[1] | 서식지 및 먹이 자원 확보, 밀렵 및 로드킬 방지 대책 필요. 주민 안전 문제.[1] |
| 시베리아호랑이 | 한반도에서 멸종. 최상위 포식자 복원으로 생태계 균형 회복.[2] | 넓은 서식지 필요, 인간과의 충돌 최소화. DMZ의 접근 제한성 및 안전 문제.[2] |
| 늑대 | ||
| 철갑상어 |
6. 2. 1. 아무르표범 재도입
아무르표범은 한반도에서 멸종된 종으로, 재도입은 생태계 복원 및 남북 협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이다.재도입의 타당성아무르표범은 과거 한반도 전역에 서식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서식지가 파괴되고 남획으로 인해 멸종되었다. 아무르표범의 재도입은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를 복원하여 생태계 균형을 회복하고,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멸종 위기에 처한 아무르표범의 개체 수를 늘리는 것은 국제적인 보전 노력에도 부합한다.
서식지 조건아무르표범의 성공적인 재도입을 위해서는 충분한 면적의 서식지와 먹이 자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DMZ와 백두대간 일대는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고, 멧돼지, 고라니 등 표범의 먹이가 되는 동물이 서식하고 있어 재도입의 유력한 후보지로 꼽힌다. 다만, 서식지 내 밀렵 방지, 로드킬 예방 등 추가적인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
남북 협력 가능성아무르표범 재도입은 남북한 협력을 통해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이다. 남북한은 DMZ와 백두대간을 공유하고 있으며, 아무르표범은 남북한 모두에서 멸종된 종이기 때문에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남북한이 협력하여 아무르표범 서식지 조사, 유전자원 교류, 밀렵 방지 대책 마련 등을 추진한다면 재도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국민의힘의 입장국민의힘은 야생동물 재도입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재도입의 타당성과 경제적 효과, 주민 안전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표범과 같은 대형 포식동물 재도입은 주민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을 수 있으므로, 충분한 사전 조사와 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6. 2. 2. 시베리아호랑이 재도입
시베리아호랑이는 과거 한반도에도 서식했으나 현재는 멸종된 상태이다. 이 호랑이 종의 재도입은 생태계 복원 및 보전의 중요한 과제로 여겨진다.시베리아호랑이 재도입의 타당성은 여러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먼저, 호랑이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호랑이가 사라진 지역에서는 멧돼지, 노루 등 초식동물의 개체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식생이 파괴되는 등 생태계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호랑이 재도입은 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호랑이 재도입을 위해서는 충분한 서식지가 확보되어야 한다. 호랑이는 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며, 먹이 동물이 풍부해야 한다. 또한, 인간과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식지는 인간 거주 지역과 충분히 격리되어야 한다.
비무장지대(DMZ)는 시베리아호랑이 재도입의 잠재적 후보지로 거론된다. DMZ는 오랜 기간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DMZ는 남북한의 군사적 대치 상황으로 인해 접근이 제한적이며, 안전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시베리아호랑이 재도입은 남북 협력 사업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남북한은 DMZ의 생태적 가치를 공유하고 있으며, 호랑이 재도입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정치적 상황에 따라 협력의 진전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국민의힘은 야생동물 재도입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은 경제 성장과 개발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재도입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과 인간과의 충돌 가능성을 우려할 수 있다.
7. 재도입 연구 기법 개선
재도입 연구는 비교적 젊은 학문 분야이므로, 과학적 근거를 강화하고 연구 기법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생태학자와 생물학자 간의 협력을 통해 포식자, 먹이, 병원체, 경쟁자, 날씨 등 다양한 요인이 재도입된 개체군의 생존과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연구해야 한다.[19] 재도입을 시도하는 동물의 수는 사회적 행동, 예상되는 포식률, 야생에서의 밀도와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19] 사육 환경에서 자란 동물은 사육 또는 이식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 체계가 약화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21]
국제자연보전연맹 재도입 지침은 재도입 계획의 핵심 요소로 적절한 서식지 가용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20] 방사 지역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으면 종이 그 지역을 거부하고 덜 적합한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종의 생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21]
자이언트 판다의 경우, 중국에서 사육된 개체 재도입은 초기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점차 재도입 능력이 향상되었다.[17][18] 그러나 사육된 판다가 야생 친척들과 잘 어울릴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18] 시베리아 호랑이 개체군은 1940년대 40마리에서 2007년경 500마리로 증가했지만, 이식 및 재도입의 성공률은 높지 않았다.[15][16]
7. 1. 다학제적 접근
재도입 전문가 협회는 특정 과(예: 고양이과, 개과 등)에 대한 전문가 협회와 달리, 재도입 대상 종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과 생태계와 관련된 종에 대한 폭넓은 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특정 종 전문가 협회보다 필요한 지식의 범위가 더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다.[4]종 재도입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최적의 전략은 유기체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4] 재도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개체를 야생에서 확보할지, 아니면 동물원이나 식물원과 같은 사육 환경에서 확보할지 여부이다.
IUCN 적색 목록 기준과 같이 멸종 위기 분류군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준을 재도입 성공 평가에 사용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2] 성공적인 재도입 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자립 가능한 개체군을 만들어야 한다.
많은 요인이 재도입의 성공 또는 실패에 기여할 수 있다. 포식자, 먹이, 병원체, 경쟁자, 날씨는 모두 재도입된 개체군의 성장, 생존 및 번식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9]
7. 2. 적응 관리
재도입 생물학은 비교적 젊은 학문 분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재도입 후에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재도입 전략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적응 관리가 중요하다.[22] 국제자연보전연맹 재도입 지침은 재도입 계획의 핵심 요소로 적절한 서식지 가용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20] 방사 지역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으면 종이 그 지역을 거부하고 덜 적합한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종의 생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21]불행히도 재도입 후 모니터링 기간은 종종 간과되기도 한다.[22]
7. 3. 유전자 모니터링
재도입 전후에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여 유전적 다양성의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재도입의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성공적인 재도입 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자립 가능한 개체군을 만들어야 한다.[12] IUCN/SSC 재도입 전문가 그룹 및 환경청은 2011년 글로벌 재도입 관점에서 전 세계의 재도입 사례 연구를 수집했다.[13]8. 결론 및 제언
이전 답변에서 언급했듯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결론 및 제언' 섹션에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요약에 제시된 내용(재도입의 중요성, 한국 사회 특성 고려 등)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으므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Conservation of the Eurasian beaver Castor fiber: an olfactory perspective
[2]
서적
Introduction to Conservation Ge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1-01
[3]
논문
Developing the Science of Reintroduction Biology
[4]
웹사이트
IUCN Guidelines for Restorations and Other Conservation Translocations
http://www.iucn-whsg[...]
2017-05-15
[5]
논문
The IUCN Technical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Ex Situ Populations for Conservation: reflecting major changes in the application of ex situ conservation
2005-01
[6]
논문
Restoring species through reintroductions: strategies for source population selection
2015
[7]
논문
Transplantation of the Subshrub Lotus scoparius: Testing the Home-Site Advantage Hypothesis
2000-08-15
[8]
논문
Longevity of seeds stored in a genebank: species characteristics
2005
[9]
논문
Use of biotechnologies for the conservation of plant biodiversity
2011
[10]
논문
Ex situ conservation genetics: a review of molecular studies on the genetic consequences of captive breeding programmes for endangered animal species
2011
[11]
논문
Genetic adaptation to captivity in species conservation programs
2008
[12]
논문
Defining reintroduction success using IUCN criteria for threatened species: a demographic assessment
[13]
간행물
Global Re-introduction Perspectives: 2011. More case studies from around the globe
IUCN/SSC Re-introduction Specialist Group and Abu Dhabi, UAE: Environment Agency-Abu Dhabi
2011
[14]
논문
A long-term view of rare plant reintroduction
2011-11-01
[15]
문서
Building a Sustainable Future
WWF International
2008
[16]
논문
Reintroduction of captive mammals for conservation. Guidelines for reintroducing endangered species into the wild
[17]
웹사이트
Reintroduction Program – 2006
https://www.pandasin[...]
2017-06-03
[18]
뉴스
New Video Shows Returning Pandas to the Wild Actually Works
http://news.national[...]
2017-06-03
[19]
논문
Two Unsuccessful Reintroduction Attempts of Rock Hyraxes (Procavia capensis) into a Reserve in the KwaZulu-Natal Province, South Africa
2009-10-01
[20]
문서
IUCN/SSC Guidelines for Re-Introductions
1995-05
[21]
논문
Someplace like home: Experience, Habitat selection and Conservation Biology
[22]
문서
Reintroduction: Challenges and Lessons for Basic Ecology
Elsevier Science Volume 11 No. 11
1996-11
[23]
논문
The effects of gene flow and population isolation on the genetic structure of reintroduced wild turkey populations: Are genetic signatures of source populations retained?
2006-01-21
[24]
논문
Gene flow and natural selection shape spatial patterns of genes in tree populations: implications for evolutionary processes and applications
2015-11-03
[25]
논문
High genetic diversity in the remnant island population of hihi and the genetic consequences of re-introduction
https://kar.kent.ac.[...]
2011
[26]
논문
Seed Sourcing for Restoration in an Era of Climate Change
2015-01-01
[27]
논문
Which provenance and where? Seed sourcing strategies for revegeta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2013-02-01
[28]
서적
Genetically appropriate choices for plant materials to maintain biological diversity
Report to the USDA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gion, Lakewood, CO.
[29]
논문
Reintroduction of Castilleja levisecta: Effects of Ecological Similarity, Source Population Genetics, and Habitat Quality
2011
[30]
논문
Genetic adaptation to captivity in species conservation programs
2008
[31]
논문
Fitness decline and adaptation to novel environments in ex situ plant collections: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perspectives
2015-12-01
[32]
논문
Reintroduction programmes: genetic trade-offs for populations
1999-11
[33]
서적
Introduction to conservation ge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4]
웹사이트
"''In situ'' Conservation"
http://www.bgci.org/[...]
BGCI
2012-04-30
[35]
논문
Genetic monitoring as a promising tool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https://digitalcommo[...]
2007
[36]
논문
Genetic monitoring to evaluate reintroduction attempts of a highly endangered rodent
2017-08-01
[37]
논문
Genetic monitoring for the successful re-stocking of a critically endangered diadromous fish with low diversity
2018
[38]
논문
Genetics and the successful reintroduction of the Missouri river otter
2014-08-06
[39]
간행물
Addax nasomaculatus
2016
[40]
뉴스
Critically endangered addax antelope to be reintroduced in Chad
https://africageogra[...]
Africa Geographic
2020-08-26
[41]
뉴스
Elephants return to Samara
https://www.samara.c[...]
Samara Private Game Reserve
2021-08-10
[42]
뉴스
Leopards reintroduced to Majete
https://www.africanp[...]
African Parks
2023-06-16
[43]
뉴스
Final Leopard Reintroduction to Majete Wildlife Reserve
https://www.africanp[...]
African Parks
2023-06-16
[44]
뉴스
Malawi: Final Leopard Reintroduction to Majete Wildlife Reserve
https://africanconse[...]
African Conservation Foundation
2023-06-16
[45]
뉴스
46 tortoises reintroduced in Senegal thanks to a unique transfer with Air France KLM Martinair Cargo
https://www.en-vols.[...]
EN-VOLS
2023-08-30
[46]
뉴스
First Ever African Wild Dog Introduction to Gorongosa National Park, Mozambique
https://wildlifeact.[...]
Wildlife ACT
2019-05-31
[47]
뉴스
The African Wild Dogs are back
https://www.gorongos[...]
Gorongosa National Park
2019-05-31
[48]
뉴스
New Residents Settle In at Lekedi Park
https://www.eramet.c[...]
Eramet
2021-04-21
[49]
웹사이트
African Wild Dogs return to Malawi
https://www.africanp[...]
2023-01-05
[50]
뉴스
Giraffe Reintroduced to Angola's Iona National Park
https://www.africanp[...]
African Parks
2024-08-31
[51]
뉴스
Rewilding Angola: Giraffe Reintroduced To Iona National Park
https://africanconse[...]
African Conservation Foundation
2024-08-31
[52]
뉴스
Assessment of the feasibility to reintroduce Angolan giraffe (Giraffa giraffa angolensis) into Iona National Park, Angola focusing on habitat and social suitability
https://library.gira[...]
Giraffe Conservation Foundation
2024-08-31
[53]
뉴스
Botswana Rhino Reintroduction Project
https://wilderness-s[...]
Wildness Safaris
2019-05-31
[54]
뉴스
Rhino Conservation Botswana
https://www.rhinocon[...]
Rhino Conservation Botswana
2019-05-31
[55]
웹사이트
Black rhinos return to Rwanda 10 years after disappearance
https://www.theguard[...]
2017-05-03
[56]
뉴스
Black rhino to be reintroduced in Chad
https://www.theguard[...]
[57]
뉴스
Black Rhino Reintroduction
https://gonarezhou.o[...]
Gonarezhou National Park
2023-09-12
[58]
뉴스
Gonarezhou Black Rhino Reintroduction
https://rhinorecover[...]
Rhino Recovery Fund
2023-09-12
[59]
뉴스
Black rhinos return to Zinave National Park in Mozambique
https://www.peacepar[...]
Peace Parks Foundation
2023-09-12
[60]
뉴스
Rehabilitation and Reintroduction of wild born orphan chimpanzee (Pan troglodytes) within the pongo and okokong islands of the douala-edea wildlife reserve, Littoral Region Cameroon
https://www.neliti.c[...]
Neliti
2023-06-20
[61]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Cuvier's Gazelle Jebel Serj NP Tunisia - Latest News
http://rgct.eeza.csi[...]
2022-12-12
[62]
뉴스
REINTRODUCTION OF THE DORCAS GAZELLE
https://zoobarcelona[...]
Zoo Barcelona
2024-09-22
[63]
웹사이트
Habitat preference of reintroduced dorcas gazelle (Gazella dorcas neglecta) in North Ferlo, Senegal
https://www.research[...]
2024-09-22
[64]
뉴스
Zebras returned to the wild
https://www.aspinall[...]
The Aspinall Foundation
2023-06-16
[65]
웹사이트
"It's a success': Pangolins return to a region where they were once extinct"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0-06-23
[66]
웹사이트
andBeyond Donated Five Lionesses from Phinda to Rwanda
https://www.andbeyon[...]
2017-05-22
[67]
뉴스
Lions to bring 'East Africa experience' to Rwanda
https://www.theeasta[...]
The East African
2017-05-22
[68]
뉴스
Lions Reintroduced to Liwonde National Park in Malawi
https://www.africanp[...]
African Parks
2019-05-31
[69]
뉴스
Reintroducing lions into Malawi
https://www.lionreco[...]
Lion Recovery Fund
2020-08-26
[70]
논문
Learning from the first release project of captive-bred mandrills Mandrillus sphinx in Gabon
[71]
논문
The first reintroduction project for mhorr gazelle (Nanger dama mhorr) into the wild: Knowledge and experience gained to support future conservation actions
2019
[72]
뉴스
Absent for decades, zebras reintroduced to park in southern Tanzania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2-11-24
[73]
뉴스
The reintroduction of zebra to one of Zambia's parks
https://www.conserva[...]
Conservation Solutions
2022-11-24
[74]
뉴스
Reticulated Giraffes Reintroduced to Mount Kenya After 40 Years of Local Extinction.
https://mountkenyawi[...]
Mount Kenya Wildlife Conservancy
2024-08-31
[75]
뉴스
Scimitar-horned Oryx Reintroduction Programme
https://www.saharaco[...]
Sahara Conservation Fund
2019-05-31
[76]
뉴스
Reintroducing scimitar-horned oryx to Chad
https://www.zsl.org/[...]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9-05-31
[77]
뉴스
25 Scimitar-Horned Oryx to be Reintroduced to the Wild in Chad
https://insider.si.e[...]
Smithsonian Insider
2019-05-31
[78]
웹사이트
White rhinos reintroduced to DR Congo national park
https://www.aljazeer[...]
2023-06-20
[79]
웹사이트
White Rhinos to Rwanda
https://www.africanp[...]
2023-01-05
[80]
뉴스
Cheetahs return to Malawi after decades
https://news.mongaba[...]
Mongabay
2017-06-03
[81]
웹사이트
Mozambique – hyenas reintroduced to Zinave
https://africasustai[...]
Africa Sustainable Conservation News
2020-11-30
[82]
웹사이트
Go wild in these countries: five exciting rewilding projects to visit
https://www.theguard[...]
2022-10-20
[83]
웹사이트
MOROCCO: the reintroduction of the Moroccan crocodile, which disappeared 70 years ago
https://www.afrik21.[...]
Afrik21
2024-10-22
[84]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the West African Giraffe
https://savegiraffes[...]
Save Giraffes Now
2020-11-30
[85]
웹사이트
West African giraffe return to Gadabedji after 50 years of absence
https://africageogra[...]
Africa Geographic
2020-11-30
[86]
웹사이트
Plan for Amur leopard reintroduction approved
https://www.zsl.org/[...]
ZSL
2019-05-31
[87]
웹사이트
Amur Leopard Reintroduction
https://conservewild[...]
conservewildcats
2019-05-31
[88]
웹사이트
The Amur Leopard Reintroduction Program launched in Primorye
https://wwf.ru/en/re[...]
WWF
2019-05-31
[89]
뉴스
Elephants Return to the Forest
https://www.amnh.org[...]
AMNH
2021-08-10
[90]
뉴스
First Ever Reintroduction of the Asian Giant Tortoise in Bangladesh: a Model for Future Rewilding Efforts
https://futurefornat[...]
future for nature
2023-08-30
[91]
뉴스
Rewilding The Asian Giant Tortoise In Bangladesh
https://www.naturein[...]
Nature in Focus
2023-08-30
[92]
뉴스
Tigers successfully reintroduced in Indian park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3-06-24
[93]
뉴스
Sariska Tiger Reserve - Reintroduction of Tigers
https://forest.rajas[...]
Government of Rajasthan Forest Department
2023-06-24
[94]
논문
Re-introduction of blackbuck in Pakistan
1978-05
[95]
문서
Borneo Orangutan Survival
[96]
웹사이트
Bukhara deer reintroduced in Kazakhstan
https://wwf.panda.or[...]
WWF
2020-11-29
[97]
웹사이트
Bukhara deer to be reintroduced in Central Asia
https://econews.com.[...]
Eco News
2020-11-29
[98]
뉴스
Star Tortoise Reintroduction Progressing Well in Myanmar
https://turtlesurviv[...]
turtle survival alliance
2023-08-30
[99]
웹사이트
India Gets Cheetahs Again After 70 Years: 10 Points
https://www.ndtv.com[...]
2022-09-17
[100]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y: reintroducing Chinese alligator to Yancheng
https://www.conserva[...]
Conservation Leadership Program
2020-12-30
[101]
웹사이트
Endangered bird returns to South Korea 40 years after extinction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2020-12-01
[102]
웹사이트
Bringing back the crested ibi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20-12-04
[103]
웹사이트
Reintroducing the Japanese Crested Ibis in Sado, Japan (PDF)
http://www.teebweb.o[...]
2020-12-04
[104]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Gaur (''Bos gaurus gaurus'') in Bandhavgarh Tiger Reserve (PDF)
https://www.wii.gov.[...]
The Wildlife Institute of India
2021-10-26
[105]
웹사이트
Residents' attitudes toward reintroduced sika deer in Kenting National Park, Taiwan (PDF)
https://www.research[...]
2024-09-22
[106]
웹사이트
墾丁社頂生態遊 梅花鹿見客 | 台灣環境資訊協會-環境資訊中心
http://e-info.org.tw[...]
台灣環境資訊協會-環境資訊中心
2010-06-30
[107]
웹사이트
Gharials get back into the Ganges
https://wwf.panda.or[...]
WWF
2020-12-30
[108]
웹사이트
GHARIALS ON THE GANGA (PDF)
https://www.wwf.org.[...]
2020-12-30
[109]
웹사이트
Male rhino dies at Laal Suhanra National Park
https://tribune.com.[...]
2019-02-22
[110]
서적
Kaziranga, The Rhino Land
B. R. Pub. Corp
2002
[111]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Greater Indian Rhinoceros into Dudhwa National Park (PDF)
http://www.rhinoreso[...]
2020-12-16
[112]
뉴스
One-horned rhino to be reintroduced in Corbett
https://timesofindia[...]
2020-12-16
[113]
웹사이트
Foxes released into wild on Sobaeksan
http://m.koreaherald[...]
The korean Herald
2012-11-01
[114]
간행물
Gibbon (Hylobates lar) reintroduction success in Phuket, Thailand, and its conservation benefits
pubmed.ncbi.gov
[115]
서적
Plant reintroduction in a changing climate: promises and perils
Island Press
2012
[116]
간행물
A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 for Re-introduction of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in Korea
http://www.ebr.or.k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020-12-04
[117]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Pileated Gibbons at the Angkor World Heritage Site
http://www.fondation[...]
Foundation Segre
2020-11-29
[118]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8-10-27
[119]
웹사이트
Przewalski's horse
https://nationalzoo.[...]
2023-03-13
[120]
웹사이트
Successful reintroduction of world's smallest hog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0-11-29
[121]
웹사이트
ACAP Breeding Site No. 65. Torishima, where Short-tailed Albatrosses have survived both feather collectors and an active volcano
https://www.acap.aq/[...]
[122]
웹사이트
Siamese crocodile
https://www.fauna-fl[...]
Fauna & Flora International
2020-12-30
[123]
웹사이트
Siamese crocodiles re-introduced in Cat Tien National Park
https://wwf.panda.or[...]
WWF
2020-12-30
[124]
웹사이트
Big Cat Swap Raises Questions
https://iwpr.net/glo[...]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2015-10-30
[125]
웹사이트
Reintroduction
https://www.sumatran[...]
Sumatran Orangutan Conservation Programme
2022-12-19
[126]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the Asiatic Black Bear to Jirisan National Park (JNP) South Korea
https://sites.google[...]
RLR Reintroduction Management
2017-04-26
[127]
뉴스
The efforts to re-establish the Chinese water deer population in Shanghai, China
https://www.research[...]
2019-09-19
[128]
뉴스
Investigating Habitat Suitability and Conservation Issues of Re-introduced Wild Water Buffalo in Chitwan National Park, Nepal
https://www.nepjol.i[...]
[129]
뉴스
Wild buffalo to be reintroduced in Kanha Natl Park
https://www.thehitav[...]
2021-10-26
[130]
웹사이트
Saudi Arabia to release more than 1,500 endangered animals at AlUla
https://www.thenatio[...]
2024-04-24
[131]
간행물
Reintroduction of Arabian sand gazelle Gazella subgutturosa marica in Saudi Arabia
https://doi.org/10.1[...]
1996
[132]
간행물
Wild ungulates in Jordan: past, present, and forthcoming opportunities
https://threatenedta[...]
2021-08-26
[133]
문서
Oryx leucoryx
[134]
간행물
Postrelease survival of captive-bred Egyptian Vultures is similar to that of wild-hatched Egyptian Vultures and is not affected by release age or season
2022-05-05
[135]
간행물
Determinants of survival in captive-bred Griffon Vultures Gyps fulvus after their release to the wild
2020-12
[136]
웹사이트
Second batch of rare houbara bird to be reintroduced in Jordan in February
https://jordantimes.[...]
2024-04-24
[137]
문서
Captive breeding and trial reintroduction of the Endangered yellow-spotted mountain newt Neurergus microspilotus in western Iran
[138]
문서
Reintroduction of raptors to Ramat HaNadiv
[139]
뉴스
The Bitter Fate of Ostriches in the Wild
https://www.haaretz.[...]
2024-01-17
[140]
간행물
Re-introduction of the Red-necked Ostrich, Struthio camelus camelus , in Mahazat as-Sayd Protected Area in central Saudi Arabia
http://www.tandfonli[...]
2008
[141]
서적
Mammalia of Israel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999
[142]
웹사이트
Nubian Ibex Conservation Case Study {{!}} The Mohamed bin Zayed Species Conservation Fund
https://www.speciesc[...]
2023-03-12
[143]
간행물
The use of demographic data to monitor population trends of the Nubian Ibex, Capra nubiana in Jordan (Mammalia: Bovidae)
2022
[144]
간행물
Development of macrophytic vegetation in the Agmon Wetland of Israel by spontaneous colonization and reintroduction
https://doi.org/10.1[...]
1998-06-01
[145]
웹사이트
The astonishing revival of Israel's Persian fallow deer
https://www.israel21[...]
2020-10-15
[146]
간행물
Minimizing extinction probability due to demographic stochasticity in a reintroduced herd of Persian fallow deer Dama dama Mesopotamia
https://dx.doi.org/1[...]
1996-01-01
[147]
웹사이트
The secret lives of the wild asses of the Negev - The Source -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https://source.wustl[...]
2023-03-12
[148]
간행물
Landscape resistance affects individual habitat selection but not genetic relatedness in a reintroduced desert ungulate
https://www.scienced[...]
2020-12-01
[149]
웹사이트
Hai-Bar Carmel Nature Reserve
https://en.parks.org[...]
2023-03-12
[150]
간행물
Roe deer and decapitated Anemone flowers
https://brill.com/vi[...]
2009-05-18
[151]
문서
Acanthobrama telavivensis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
[152]
간행물
Reviving the Arabian leopard: Harnessing historical data to map habitat and pave the way for reintroduction
https://www.scienced[...]
2024-03-01
[153]
웹사이트
Female Persian Leopard settles in Israel to bolster nearly extinct species
https://www.ynetnews[...]
[154]
간행물
The alpine marmot (''Marmota marmota'' L.) in the Spanish Pyrenees
http://www.ipe.csic.[...]
2010-11-13
[155]
웹사이트
VIDEO: Butterfly extinct for 42 years reintroduced to England
http://www.smallhold[...]
2018-05-18
[156]
문서
"2012 Bear Report, Forestry and Wildlife Department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Trento"
http://www1.nina.no/[...]
Groff C., Bragalanti N., Rizzoli R., Zanghellini P. (editors)
2013
[157]
뉴스
Why are Britain's conservation groups so lacking in ambition?
https://www.theguard[...]
2013-10-18
[158]
뉴스
Wild bison return to UK for first time in thousands of years
https://www.theguard[...]
2023-03-12
[159]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mustelo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60]
웹사이트
Gazelle Reintroduction Programmme
https://www.wwfcauca[...]
WWf-Caucasus
2023-09-12
[161]
웹사이트
Ladybird Spider- Eresus cinnaberinus
http://www.birdguide[...]
2011-08-11
[162]
간행물
Assessing reintroduction schemes by comparing genetic diversity of reintroduced and source populations: A case study of the globally threatened large blue butterfly (Maculinea arion)
https://curis.ku.dk/[...]
2014
[163]
간행물
Re-establishment of the extinct native plant Filago gallica L.(Asteraceae), narrow-leaved cudweed, in Britain
1999
[164]
웹사이트
Waldrappteam
https://www.waldrapp[...]
[165]
웹사이트
Proyecto Eremita
https://www.zoobotan[...]
[166]
웹사이트
Flying Turkmen leopards to bring species back to Caucasus
http://wwf.panda.org[...]
WWF
[167]
웹사이트
TWO LEOPARDS FROM SWEDEN ARRIVED TO RUSSIA
https://wwf.ru/en/re[...]
2021-04-09
[168]
뉴스
'First' Welsh born and bred pine marten
https://www.bbc.co.u[...]
2017-06-09
[169]
웹사이트
Wild horses flourish in Chernobyl 35 years after explosion
https://phys.org/new[...]
2023-03-13
[170]
웹사이트
Red Kite Reintroduction Project in Wicklow
http://www.environ.i[...]
Environment, Heritage and Local Government
2007-05-21
[171]
뉴스
Red kite chicks sent from England to Spain to boost ailing numbers
https://www.theguard[...]
2023-03-14
[172]
문서
Red squirrel conservation, squirrel ecology and grey squirrel management
http://www.redsquirr[...]
[173]
웹사이트
White Storks
https://knepp.co.uk/[...]
[174]
뉴스
Young sea eagle takes up residence among Oxfordshire's red kites
https://www.theguard[...]
2020-01-17
[175]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American Bison
http://www.cemexnatu[...]
cemexnature
2019-07-26
[176]
논문
The Janos Biosphere Reserve, Northern Mexico
https://www.research[...]
2010-08
[177]
뉴스
Banff National Park Bison Reintroduction Project
https://www.canada.c[...]
www.canada.ca
2019-07-26
[178]
웹사이트
History of Bison Management in Yellowstone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4-01-17
[179]
웹사이트
Interior Department Announces Significant Action to Restore Bison Populations as Part of New Restoration and Resilience Framework {{!}}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https://www.doi.gov/[...]
2023-03-03
[180]
웹사이트
British Virgin Islands: Flamingo Reintroduction to Anegada - The Conservation Agency
http://theconservati[...]
2016-04-12
[181]
뉴스
How the Puffin Returned to Eastern Egg Rock
https://ocean.si.edu[...]
Smithsonian Ocean
2020-12-07
[182]
뉴스
Bringing Puffins Back to Maine - With Stephen Kress
https://www.birdnote[...]
BirdNote
2020-12-07
[183]
웹사이트
"Black-Footed Ferret'' Reintroduction"
http://blackfootedfe[...]
[184]
웹사이트
Blanding's Turtle Headstart Reintroduction
http://www.torontozo[...]
Toronto Zoo
[185]
간행물
Status of Blue-and-yellow Macaws
2013
[186]
웹사이트
California Condor Recovery Program {{!}} U.S. Fish & Wildlife Service
https://www.fws.gov/[...]
2023-03-14
[187]
문서
Lynx canadensis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188]
웹사이트
Canada Lynx - NYS Dep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https://www.dec.ny.g[...]
2021-07-03
[189]
논문
Genetic Variation and the Reproduction of Cordylanthus maritimus ssp. maritimus to Sweetwater Marsh, California
1997-09-01
[190]
논문
Socioeconomic Benefits of Large Carnivore Recolonization Through Reduced Wildlife-Vehicle Collisions
2016-06-10
[191]
논문
Evaluation of experimental genetic management in reintroduced bighorn sheep
2012
[192]
웹사이트
Black-tailed Prairie Dog Reintroduction
https://www.azgfd.co[...]
Arizona Game and Fish Department
2022-03-25
[193]
웹사이트
Elk could be saving grace in coal country
https://spectrumnews[...]
2022-06-29
[194]
뉴스
Reintroducing Elk to the Great Smoky Mountains
https://www.american[...]
American Forests
2019-07-26
[195]
웹사이트
Elk
https://www.pgc.pa.g[...]
2023-03-13
[196]
서적
An environmental history of New York's north country : the Adirondack Mountains and the St. Lawrence River Valley: case studies and neglected topics
Edwin Mellen Press
2012
[197]
웹사이트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in Washington: 2012 Annual Report
http://wdfw.wa.gov/c[...]
[198]
웹사이트
Into the wild: reintroduction of spider monkeys in Guatemala
https://lifetime-pro[...]
Lifetime Projects
2020-04-05
[199]
문서
Wolf Reintroduction Changes Ecosystem
http://www.yellowsto[...]
Yellowstone National Park
2011-06-21
[200]
웹사이트
Colorado Parks and Wildlife
https://mailchi.mp/s[...]
2023-08-20
[201]
웹사이트
Colorado Parks and Wildlife successfully releases gray wolves on Colorado's Western Slope
https://cpw.state.co[...]
2023-12-18
[202]
뉴스
A reintroduction program for the conservation of the black howler monkey in Belize
https://www.conserva[...]
Conservation Evidence
2023-09-06
[203]
웹사이트
Mexican Wolf Numbers Soar Past 200 {{!}} U.S. Fish & Wildlife Service
https://www.fws.gov/[...]
2023-02-27
[204]
논문
The case for reintroduction: The jaguar (Panthera onca) in the United States as a model
https://www.research[...]
2021-06
[205]
논문
Plant reintroduction: an overview
1992-03-01
[206]
웹사이트
Red Wolf Recovery Program {{!}} U.S. Fish & Wildlife Service
https://www.fws.gov/[...]
2022-04-04
[207]
간행물
Buteo ridgwayi
2020
[208]
논문
Successful reintroductions of the endangered long-lived Sargent's cherry palm, Pseudophoenix sargentii, in the Florida Keys
2007
[209]
논문
Reintroduction of the Scarlet Macaw (Ara macao cyanoptera) in the Tropical Rainforests of Palenque, Mexico: Project Design and First Year Progress
journals.sagepub.com
2014
[210]
뉴스
Herman 'Duff' Holbrook: Benefactor of S.C. wildlife
http://www.postandco[...]
2015-07-23
[211]
뉴스
A Farewell to Herman "Duff" Holbrook, the Father of Wild Turkey Rocket-Netting
http://www.outdoorli[...]
2015-07-27
[212]
웹사이트
First demonstration of reintroduction of West Indian Manatee in the Grand Cul-de-Sac Marin Bay, Guadeloupe
https://webgate.ec.e[...]
European Commission
2023-06-20
[213]
웹사이트
Wood bison reintroduced in Southwest Alaska see another year of loss, but with a silver lining
https://www.alaskapu[...]
Alaska Republic Media
2020-12-02
[214]
논문
The significance of ex situ seed conservation to reintroduction of threatened plants
2007
[215]
웹사이트
Rewilding the eastern quoll
https://rewildingaus[...]
2019-03-30
[216]
뉴스
Eastern quoll reintroduced to mainland Australia
https://www.bbc.com/[...]
BBC News
2020-11-29
[217]
논문
Reintroduction of the greater bilby, Macrotis lagotis (Reid) (Marsupialia: Thylacomyidae), to northern South Australia: survival, ecology and notes on reintroduction protocols
[218]
웹사이트
Kākāpō return to mainland in historic translocation
https://www.doc.govt[...]
2023-07-21
[219]
서적
The Future Eaters
Grove Press
[220]
뉴스
Reintroduction of North Island robins Petroica austalis longipes to Tiritiri Matangi, Auckland, New Zealand
https://www.conserva[...]
Conservation Evidence
[221]
뉴스
Where to see Numbats?
http://www.numbat.or[...]
numbat.org.au
[222]
논문
The endangered Tunbridge buttercup (Ranunculus prasinus): Ecology, conservation status and introduction to the Township Lagoon Nature Reserve, Tasmania
1997-09-01
[223]
논문
Reproductive Success in Reestablished versus Natural Populations of a Threatened Grassland Daisy (Rutidosis leptorrhynchoides)
2000-06-01
[224]
웹사이트
First population of takahē outside of Fiordland released into wild
https://www.stuff.co[...]
2024-10-22
[225]
웹사이트
After 3,000 years, Tasmanian devils are returning to Australian mainland
https://www.cnn.com/[...]
CNN
2020-11-29
[226]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return to mainland Australia for first time in 3,000 years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20-11-29
[227]
뉴스
Tasmanian Devils Are Reintroduced to Australia's Mainland
https://www.ecowatch[...]
2020-11-29
[228]
웹사이트
Birth of Tassie devils could be first step to having them back on mainland after 3,000 years
https://www.abc.net.[...]
2021-06-28
[229]
논문
Conservation of the Toromiro Tree: Case Study in the Management of a Plant Extinct in the Wild
2000-10-18
[230]
뉴스
The reintroduction of the Andean condor
https://www.conserva[...]
Conservation Evidence
2019-05-31
[231]
웹사이트
Iberá Project-Collared Peccary
http://www.proyectoi[...]
Proyecto Iberá
2023-09-06
[232]
뉴스
Iberá Project-The Giant Anteater
http://www.proyectoi[...]
Proyecto Iberá
2019-05-31
[233]
웹사이트
Iberá Project-Giant Otter
http://www.proyectoi[...]
Proyecto Iberá
2020-12-17
[234]
웹사이트
Rewilding in Argentina: the giant river otter returns to Iberá park
https://www.unenviro[...]
UN environment program
2020-12-17
[235]
웹사이트
The giant river otter has returned to Argentina
https://www.lonelypl[...]
Lonely Planet
2020-12-17
[236]
웹사이트
Reintroduction
https://www.savethel[...]
Save The Golden Lion Tamarin
2023-06-20
[237]
웹사이트
The Golden Lion Tamarin Returns From Extinction
https://savingnature[...]
Saving Nature
2023-06-20
[238]
웹사이트
Jaguar Reintroduction Project in Argentina's Iberá Wetlands
https://www.andbeyon[...]
"&Beyond"
2022-11-24
[239]
논문
Reintroduction of adult Orinoco crocodiles: a crucial step towards the species recover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0-22
[240]
웹사이트
Reintroducing endangered South American deer to Patagonian wilds
http://exclusive.mul[...]
MultiBrief
2020-12-17
[241]
웹사이트
Iberá Project-Green-Winged Macaw
http://www.proyectoi[...]
Proyecto Iberá
2020-12-17
[242]
웹사이트
Lowland Tapir to be reintroduced into Atlantic Forest
https://blog.animalo[...]
Animalogic
2023-06-20
[243]
웹사이트
Reintroduction of tapirs in the Atlantic Forest of Rio de Janeiro
https://labvis.eba.u[...]
Labvis
2023-06-20
[244]
웹인용
IUCN의 재도입에 관한 지침 한국어판
http://www.iucnsscrs[...]
2010-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