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시피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시피 계획은 17세기 말 프랑스에서 시작된 경제 계획으로, 미시시피 회사를 중심으로 북미 식민지 개발과 무역 독점을 목표로 했다. 스코틀랜드 경제학자 존 로는 미시시피 회사를 인수하여 루이지애나의 부를 과장하여 선전하고, 프랑스 정부의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 은행 설립 및 지폐 발행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미시시피 회사 주식에 대한 투기 열풍이 일어났지만, 과도한 신용 팽창과 주가 폭락으로 인해 1720년 '미시시피 버블'로 알려진 금융 위기가 발생했다. 이후 회사는 재건되었지만, 1770년에 해산되었으며, 이 사건은 경제 정책과 금융 시장 안정의 중요성, 그리고 투기 과열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경제 - 프랑스 프랑
프랑스 프랑은 프랑스 혁명 이후 도입되어 1999년 유로화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된 프랑스의 화폐로, 십진법에 기반하여 재정립되었고 금은복본위제와 금본위제를 거쳤으며, 경제적 변동으로 평가절하와 신프랑 도입을 겪은 후 유로화에 통합되었다. - 프랑스의 경제 - 라틴 통화 동맹
라틴 통화 동맹은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가 금과 은의 가치를 고정하여 통화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결성한 통화 동맹으로, 금은 복본위제를 채택했으나 금과 은의 가치 변동 등의 문제로 1927년 공식 해체되었다. - 루이지애나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루이지애나 매입
루이지애나 매입은 1803년 미국이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 지역을 1,500만 달러에 구매한 사건으로, 미국의 영토를 대폭 확장시켰지만 헌법적 논란, 노예 제도 문제, 원주민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루이지애나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미주리 준주
미주리 준주는 1812년 루이지애나 준주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미시시피 강 서쪽의 세인트루이스를 수도로 하였으며, 1821년 미주리주가 연방에 가입하면서 소멸하였다.
미시시피 계획 - [회사]에 관한 문서 |
---|
2. 역사적 배경
루이 14세 시대의 잦은 전쟁과 왕실의 사치스러운 생활은 프랑스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다. 루이 14세가 사망한 후에도 재정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고, 정부는 재정 부족을 메우기 위해 국채를 남발하고 화폐의 금이나 은 함량을 줄이는 개주를 반복했다. 이로 인해 통화 가치는 불안정해지고 경제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이러한 국가적 위기 속에서 스코틀랜드 출신의 경제학자 존 로가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며 등장했다. 그는 중앙은행을 설립하고 안정적인 지폐를 발행하는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금융 정책을 통해 프랑스의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이는 섭정 오를레앙 공작의 관심을 끌었다. 존 로의 이러한 구상은 훗날 미시시피 계획이라는 거대한 구상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한편, 존 로가 주목하기 이전에도 미시시피강 유역 개발 시도는 있었다. 1684년 르네-로베르 카벨리에 드 라 살의 요청으로 미시시피 강 하구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한 미시시피 회사가 설립되었으나, 그의 탐험이 실패로 끝나면서 별다른 성과 없이 잊혀진 상태였다.[6][7]
2. 1. 존 로의 초기 활동
루이 14세 사후 프랑스는 계속된 전쟁과 왕실의 사치로 인해 심각한 재정 위기에 처해 있었다. 정부는 국채를 남발하고 화폐의 금 함량을 줄이는 개주를 반복하여 금화와 은화의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이러한 상황에서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 존 로는 1716년 5월, 당시 섭정이던 오를레앙 공작의 지원 아래 파리에서 '방크 제네랄 프리베(Banque Générale Privée, 일반 사설 은행)'를 설립했다.[8][9][10] 이 은행은 지폐를 발행하고 유통시킨 유럽 최초의 금융 기관 중 하나였다. 비록 사설 은행이었지만 자본의 4분의 3은 정부 지폐와 정부가 인정한 어음으로 구성되었다. 로가 발행한 은행권은 가격이 안정되어, 가치 하락이 심했던 기존 국채나 금화, 은화보다 신뢰를 얻으며 지지를 받았다.
1717년 8월, 존 로는 프랑스 식민지인 루이지애나 개발을 돕는다는 명목으로 '미시시피 회사'(Compagnie du Mississippi)를 인수했다. 같은 해, 그는 이를 기반으로 '콤파니 도시당'(Compagnie d'Occident, 서부 회사)이라는 주식회사 설립을 구상했다. 로는 이 새로운 회사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프랑스 정부로부터 서인도 제도와 북아메리카 지역에 대한 무역 독점권을 부여받았다.[11] 이 회사는 이후 대서양 노예 무역에 연루되어 아프리카 노예를 수입하기도 했다.[12] 로는 자신이 설립한 은행과 새롭게 장악한 회사를 연계하여 프랑스의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초기 구상을 가지고 있었다.

2. 2. 미시시피 회사 설립
1684년 르네-로베르 카벨리에 드 라 살의 요청으로 미시시피 강 하구에 식민지를 건설하려는 목표 아래 미시시피 회사가 처음 설립되었으나, 그의 탐험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초기 계획은 결실을 보지 못했다.[6][7]이후 1716년 5월, 오를레앙 공작이 섭정을 맡고 있던 시기에 프랑스 재무총감으로 임명된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 존 로는 지폐 사용을 활성화한 방크 제네랄 프리베(Banque Générale Privée, 일반 사설 은행)를 설립했다.[8][9][10] 이 은행은 사설 기관이었지만, 자본금의 4분의 3은 정부 지폐와 정부가 인정한 어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717년 8월, 존 로는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하던 미시시피 회사를 매입하여 루이지애나의 프랑스 식민지를 개발하고 미시시피강 유역을 포함한 북아메리카의 프랑스 식민지와의 무역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회사 이름을 ‘서방 회사’(Compagnie d'Occident)로 바꾸고 최고 책임자 자리에 올랐다.[11]
같은 해, 프랑스 정부는 존 로가 이끄는 서방 회사에 서인도 제도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의 무역 독점권을 25년간 부여하였다.[11] 서방 회사는 운영 과정에서 대서양 노예 무역에 관여하여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수입하기도 했다.[12]
1719년에 이르러 서방 회사는 동인도 회사, 중국 회사 등 다른 프랑스 무역 회사들을 흡수 합병하여 ‘인도 회사’(Compagnie des Indes 또는 Compagnie Perpétuelle des Indes)로 규모를 확장했다. 이와 더불어 존 로는 자신이 1716년에 설립했던 방크 제네랄 프리베(이후 왕립 은행(Banque Royale)으로 개칭됨)의 소유권까지 확보하게 되었다.
2. 3. 회사 합병과 확장
1717년 8월, 스코틀랜드 출신 사업가 존 로는 당시 주목받지 못하던 미시시피 회사의 경영권을 인수하여 ‘서방 회사’(Compagnie d'Occidentfra)로 이름을 바꾸었다. 존 로의 초기 목표는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포함한 미시시피강 유역 등 북아메리카의 프랑스 식민지와의 무역에 있었다.서방 회사의 경영권을 확보한 존 로에게 프랑스 정부는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와의 무역에 대한 25년 독점권을 부여했다. 1719년, 서방 회사는 동인도 회사(Compagnie des Indes Orientalesfra), 중국 회사(Compagnie de Chinefra), 그 외 다른 프랑스 무역 회사들을 합병하여 ‘인도 회사’(Compagnie des Indesfra 또는 Compagnie Perpétuelle des Indesfra)로 거듭났다. 같은 해 5월 23일, 인도 회사는 모든 해상 무역에 대한 프랑스 내 독점권을 확보하게 되었다.[13]
이와 함께 존 로는 자신이 1716년 종합은행(Banque Généralefra)으로 설립했다가 1718년 루이 15세 국왕의 보증을 받는 왕립 은행(Banque Royalefra)으로 전환된 은행까지 소유하게 되었다.[13]
3. 미시시피 계획과 거품 형성
루이 14세 시대의 전쟁 등으로 심각한 재정난에 처한 프랑스는 루이 15세의 섭정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의 주도로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 존 로의 계획을 채택했다. 로는 1716년 국채 인수 대가로 '왕립 은행'(Banque Royale프랑스어)을 설립하고, 1717년에는 미시시피 회사의 경영권을 확보하여 '서방회사'(Compagnie d'Occident프랑스어)로 개명했다. 프랑스 정부는 이 회사에 북미 및 서인도 제도와의 25년 무역 독점권을 부여했다.
1719년 로는 서방회사를 중심으로 여러 무역회사를 합병하여 '인도회사'(Compagnie des Indes프랑스어)를 설립했으며, 이는 왕립 은행과 연계되어 운영되었다. 이 통합된 조직은 흔히 '미시시피 회사'로 불렸다. 로는 루이지애나의 잠재적 부를 과장 선전하여 투자 열기를 부추겼고[14], 이는 1719년 미시시피 회사 주식에 대한 광적인 투기 열풍으로 이어졌다. 주가는 초기 500 리브르에서 1만 5천 리브르까지 폭등했다.
투기 열풍 속에서 주식 매입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왕립 은행은 지폐 발행을 남발했고, 투자자들은 주식 수익을 이 지폐로 받았다.[17] 또한 프랑스 정부의 막대한 부채가 미시시피 회사 주식으로 전환되었다. 1720년 은행과 회사가 합병되고 로가 재무 총감에 임명되면서[18] 이러한 신용 팽창과 투기는 정점에 달했지만, 이는 실체 없는 거품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3. 1. 루이지애나 개발과 과장 광고
존 로는 1717년 8월 미시시피 회사의 경영권을 확보하고 회사 이름을 ‘서방회사’(Compagnie d'Occident프랑스어)로 변경했다. 그의 주된 목표는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포함한 미시시피강 유역의 북미 프랑스 식민지와의 무역이었다. 프랑스 정부는 로에게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 간 무역에 대한 25년 독점권을 부여했다. 1719년에는 동인도 회사, 중국 회사 등을 합병하여 ‘인도회사’(Compagnie des Indes프랑스어)를 설립했으며, 자신이 세운 왕립 은행(Banque Royale)까지 소유하게 되었다.[14]로는 루이지애나의 잠재적 부를 실제보다 훨씬 부풀리는 교묘한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다.[17] 그는 루이지애나가 막대한 부와 광물 자원을 가진 땅인 것처럼 선전하여 투자자들을 현혹했다. 당시 프랑스는 루이 14세 시대의 긴 전쟁과 왕실의 사치로 인해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었는데, 로는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국채를 미시시피 회사 주식으로 전환시켜 국가 부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의 과장된 선전과 마케팅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1719년 인도회사 주식에 대한 광적인 투기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회사 주식의 인기가 치솟자 더 많은 지폐 발행이 필요하게 되었고, 투자자들은 주식 수익을 새로 발행된 지폐로 지급받았다.[17] 이 과정에서 회사 주식 가격은 초기 500 리브르에서 최고 1만 5천 리브르까지 폭등하는 비정상적인 과열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투기 열풍 속에서 1720년, 로가 운영하던 왕립 은행과 인도회사는 합병되었고, 로는 당시 루이 15세의 섭정이었던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에 의해 재무 총감으로 임명되어 프랑스 재정을 총괄하는 막강한 권력을 쥐게 되었다.[18] 로는 미시시피 회사 주식을 계속 발행하고, 주식 구매 자금을 은행에서 대출해주는 방식으로 투기를 더욱 조장했다. 이는 실체가 부족한 해외 사업에 대한 투자를 부추기는 행위였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환 구조를 통해 이루어졌다.
# 미시시피 회사 주식 판매
# 은행의 통화(지폐) 발행량 증가
# 미시시피 회사 주식 가격 상승
# 다시 은행의 통화(지폐) 발행량 증가
# 정부 부채를 미시시피 주식으로 전환
# 정부 부채 감소 및 시장 유동성 증가로 인한 일시적 호황
결과적으로 존 로의 과장 광고와 교묘한 마케팅은 미시시피 계획의 핵심 동력이었으며, 프랑스 경제를 일시적으로 부양시키는 듯 보였으나 실체 없는 거품을 키워나가는 결과를 낳았다.
3. 2. 주가 폭등과 신용 팽창
존 로는 효과적인 마케팅 계획을 통해 루이지애나의 부를 실제보다 과장했고, 이는 1719년 미시시피 회사 주식에 대한 대대적인 투기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이 계획은 투자자들의 열정과 루이지애나의 잠재적 부에 대한 기대를 결합하여 회사의 성공을 약속하는 것처럼 보였다. 회사 주식의 인기가 치솟자 더 많은 지폐 발행이 필요해졌고, 주식으로 수익을 본 투자자들은 지폐로 배당금을 받았다.[17] 1720년에는 은행(방크 로얄)과 회사가 합병되었으며, 존 로는 루이 15세의 섭정이었던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에 의해 재무 총감으로 임명되어 자본 유치를 더욱 가속화했다.[18]당시 프랑스는 루이 14세 시대의 오랜 전쟁과 왕실의 사치로 인해 심각한 재정 적자에 시달리고 있었다. 정부는 국채를 남발하고 금화와 은화의 금속 함량을 줄이는 화폐 개주를 반복하여 통화 가치가 크게 하락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존 로는 프랑스 은행의 전신인 방크 로얄을 통해 통화 발행권을 확보하고 금이나 은으로 교환되지 않는 불환 지폐를 발행했다. 이 은행권은 초기에 가격이 안정되어 가치가 불안정한 국채나 기존 주화보다 더 큰 신뢰를 얻었다. 그러나 왕궁의 재정 압박으로 인해 존 로는 결국 지폐를 과도하게 발행하게 되었다.
해외 사업이라는 특성상 실체가 명확히 보이지 않았음에도 미시시피 회사의 주식 가격은 계속해서 폭등했다. 존 로는 미시시피 회사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동시에, 이 주식을 사려는 사람들에게 은행 자금으로 대출을 해주었다. 이는 사실상 실체가 부족한 자산에 대한 투자를 부추기는 행위였다. 또한, 정부가 지고 있던 막대한 채무를 미시시피 회사 주식으로 전환하는 조치도 이루어졌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정부의 부채를 주식으로 떠넘기는 것과 같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즉 미시시피 계획의 핵심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미시시피 회사 주식이 시장에 팔린다.
- 주식 매입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은행은 지폐 발행량을 늘린다.
- 늘어난 유동성과 투기 열풍으로 미시시피 회사 주식 가격이 더욱 상승한다.
- 주가 상승에 따라 은행은 다시 지폐 발행량을 늘린다.
- 정부 채무를 미시시피 주식으로 전환한다.
- 정부의 실질 부채가 줄어들고, 시장에는 막대한 양의 통화가 풀리면서 프랑스는 일시적으로 전례 없는 호황을 누리는 것처럼 보였다.
3. 3. 정부 채무 이전
루이 14세의 오랜 통치 기간 동안 이어진 전쟁과 왕실의 사치로 인해 프랑스 재정은 거의 파산 상태에 이르렀다. 루이 15세가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섭정을 맡은 오를레앙 공작은 심각한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 존 로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당시 프랑스 정부는 1719년 기준으로 약 16억 리브르라는 막대한 국가 부채를 지고 있었다.[14] 이는 1700년 당시 프랑스 정부의 연간 지출 규모였던 1억 5천만 리브르의 10배가 넘는 엄청난 금액이었다.존 로와 프랑스 정부는 이 거대한 국가 부채를 미시시피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들에게 그들이 가진 채권이나 어음을 받는 대가로 미시시피 회사의 주식을 나누어 주는 방식이었다. 이 계획은 성공적으로 실행되어, 1720년에는 16억 리브르에 달하는 프랑스 정부의 부채 전부가 미시시피 회사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는 국가 부채를 민간 기업의 자본으로 바꾸는 일종의 부채의 자본 전환 과정이었다.
이 결과, 기존에 프랑스 정부의 채권자였던 사람들은 이제 미시시피 회사의 소유자(주주)가 되었다. 그러나 회사의 경영권은 사실상 프랑스 정부가 장악하고 있었다. 정부는 이전된 부채에 대해 연 3%에 해당하는 4천 8백만 리브르의 이자를 미시시피 회사(즉, 주주가 된 이전 채권자들)에게 매년 지불하기로 약속했다. 이를 통해 프랑스 정부는 당장 눈앞에 닥친 막대한 빚 상환의 압박에서 벗어나 재정을 운용할 여유를 잠시나마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실질적으로 정부가 부채 상환 의무를 일시적으로 면제받은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왔다.
정부 부채의 성공적인 이전은 미시시피 회사 주식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더욱 부풀려 주가 폭등을 가속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1720년부터 1721년에 걸쳐 발생한 투기 거품의 붕괴를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비슷한 시기 영국에서도 남해 회사가 정부 부채의 상당 부분을 떠안는 대가로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했던 남해 거품 사건이 발생했다. 영국에서는 약 5000만파운드에 달하는 정부 부채의 80%를 남해 회사가 인수했으며, 1720년 8월에는 주가가 최고 1000GBP까지 치솟기도 했다.
4. 거품 붕괴와 여파
존 로가 설립한 왕립 은행(Banque Royale)은 발행한 지폐의 총량이 보유한 금속 주화의 가치를 초과하면서 신뢰도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19]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는 한때 10,000 리브르까지 치솟았지만, 이는 투기적 거품이었다. 이익 실현을 위해 주주들이 주식을 대량으로 매각하면서 프랑스 내 통화 공급량이 급증했고, 이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1720년 1월에는 월간 물가 상승률이 23%에 달할 정도였다.[21]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불안감을 느낀 사람들은 보유한 지폐를 금이나 은과 같은 주화로 교환하기 위해 은행으로 몰려들었다. 그러나 은행은 급증한 지폐 발행량을 감당할 충분한 금속 화폐를 보유하고 있지 않았고, 결국 지폐 지급을 중단하기에 이르렀다.[20] 이는 금융 시스템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
결국 1720년 말부터 거품이 붕괴하기 시작했으며,[21]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는 폭락을 거듭했다. 1721년에는 회사가 도산하면서 주식은 휴지 조각이 되었고, 지폐 역시 가치를 상실했다. 이 과정에서 존 로는 1720년 말, 섭정 필리프 2세에 의해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그는 프랑스를 떠나 브뤼셀을 거쳐 베네치아로 망명했고, 그곳에서 도박으로 생계를 유지하다 생을 마감했다.[13] 미시시피 계획의 실패는 프랑스 경제에 심각한 혼란을 가져왔으며, 수많은 사람에게 막대한 빚만 남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4. 1. 주가 폭락과 신용 경색
미시시피 회사의 주식 가격은 한때 10,000 리브르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주주들이 차익 실현을 위해 주식을 팔기 시작하면서 프랑스의 통화 공급량이 갑자기 두 배로 늘어났고, 이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1720년 1월에는 월간 인플레이션율이 23%에 달할 정도였다.[21]이러한 상황 속에서 존 로의 계획에 회의적이었던 사람들과 과열된 시장을 불안하게 여긴 이들은 보유한 회사 주식과 지폐를 주화(금, 은)로 바꾸려 했다. 이들은 금이나 동전으로 바꾼 자산을 해외로 빼돌리기 시작했고, 이는 금융 위기의 도화선이 되었다. 은행에는 지폐를 금이나 동전으로 바꿔달라는 사람들이 몰려들었지만, 은행은 늘어난 지폐 발행량만큼의 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결국 지폐 지급을 중단해야 했다.[20]
결국 "버블"은 1720년 여름부터 붕괴하기 시작했다.[21] 1720년 9월, 회사 주가는 2,000 리브르로 폭락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1,000 리브르까지 떨어졌다. 이듬해인 1721년 9월에는 주가가 500 리브르까지 하락하며 처음 시작했을 때의 가격으로 돌아갔다. 결국 미시시피 회사는 1721년에 도산했고, 주식은 휴지 조각이 되었다. 동시에 존 로가 발행한 지폐 역시 금이나 동전으로 교환할 수 없게 되면서 가치가 폭락했다. 프랑스 경제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많은 민중에게는 막대한 빚만 남게 되었다.
훗날 헨리 손턴은 존 로의 계획이 실패한 이유에 대해 "그는 종이 화폐에 대한 수요가 무한할 수 없다는 점을 간과했다. 늘어나는 화폐량이 상품 가격 상승을 부추겼고, 이는 다시 더 많은 화폐 발행을 요구하고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악순환을 낳았다"고 분석했다.[22]
상황이 악화되자 1720년 말, 섭정 필리프 2세는 존 로를 해임했다. 로는 프랑스를 떠나 브뤼셀로 망명했고, 이후 베네치아로 건너가 도박으로 생계를 유지하다 생을 마감했다. 그는 베네치아의 산 모이세 성당에 묻혔다.[13]
4. 2. 존 로의 몰락과 국외 도피
존 로가 설립한 왕립 은행(Banque Royale)은 발행한 지폐의 총액이 보유한 금속 주화의 가치를 넘어서면서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19]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는 한때 10,000 리브르까지 치솟았으나, 주주들이 이익 실현을 위해 주식을 대량 매도하면서 프랑스 내 통화량이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졌다. 1720년 1월에는 월간 물가 상승률이 23%에 달했다.[21]이러한 상황 속에서 존 로에게 비판적인 세력들은 보유한 지폐를 대량으로 금과 은 같은 현금으로 바꾸려 했고, 결국 은행은 지폐 지급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20] 또한 미시시피 회사의 불확실한 수익성과 과열된 투기 열풍을 의심한 사람들이 주식과 지폐를 팔아 확보한 금과 은을 해외로 유출하면서 금융 위기는 더욱 심화되었다. 존 로의 은행에는 애초에 이러한 요구에 응할 충분한 금속 화폐가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
결국 "거품"은 1720년 말부터 붕괴하기 시작했다.[21] 1720년 9월, 회사 주가는 2,000 리브르로 폭락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1,000 리브르까지 떨어졌다. 1721년 9월에는 주가가 처음 시작했을 때와 같은 500 리브르 수준으로 추락했다. 1721년, 미시시피 회사는 결국 도산했고, 회사의 주식은 휴지 조각이 되었으며 존 로가 발행한 지폐 역시 가치를 상실했다. 경제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많은 사람들에게는 빚만 남게 되었다.
훗날 경제 사상가 헨리 손턴은 존 로의 계획 실패 원인에 대해 "그는 종이(지폐)에 대한 수요가 무한할 것이라고 착각했다. 늘어나는 지폐는 상품 가격 상승을 부추겼고, 이는 다시 더 많은 지폐 발행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22]
상황이 악화되자 1720년 말, 당시 프랑스 섭정이었던 필리프 2세는 존 로를 모든 직위에서 해임했다. 신변의 위협을 느낀 존 로는 프랑스를 떠나 브뤼셀을 거쳐 베네치아로 도피했다. 그는 베네치아에서 도박으로 생계를 유지하다가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산 모이세 성당에 묻혔다.[13]
4. 3. 경제적, 사회적 여파
미시시피 회사의 주식 가격은 한때 10,000 리브르까지 치솟았다. 많은 주주가 주식을 팔아 이익을 실현하면서 프랑스의 통화 공급량은 갑자기 두 배로 늘어났고, 이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1720년 1월에는 월간 인플레이션율이 23%에 달할 정도였다.[21]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스 정부는 왕립 은행(Banque Royale)이 발행한 지폐의 총액이 실제 보유한 금속 주화의 가치를 넘어섰다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했다.[19] 존 로의 계획에 회의적이었던 투자자들과 과열된 시장 상황을 우려한 사람들은 보유한 회사 주식과 지폐를 팔아 금이나 은 같은 귀금속으로 바꾸려 했다. 이들은 확보한 귀금속을 해외로 빼돌리기 시작했고, 대규모 현금 인출 요구가 은행에 쇄도하자 결국 은행은 지폐 지급을 중단하기에 이르렀다.[20] 애초에 은행에는 지폐를 전부 감당할 만큼의 금이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
결국 "버블"은 1720년 말에 터지고 말았다.[21] 주가는 급락하기 시작했다.
시점 | 주가 (리브르) |
---|---|
최고점 | 10,000 |
1720년 9월 | 2,000 |
1720년 12월 | 1,000 |
1721년 9월 | 500 (최초 가격 수준) |
1721년, 미시시피 회사는 결국 도산했고 주식은 휴지 조각이 되었다. 동시에 존 로가 발행한 지폐는 더 이상 금이나 동전으로 바꿀 수 없게 되면서 가치가 폭락했다. 프랑스 경제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많은 사람에게는 막대한 빚만 남게 되었다.
훗날 헨리 손턴은 존 로의 계획이 실패한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그는 종이 화폐에 대한 수요가 무한할 수 없다는 점을 간과했다. 화폐량이 늘어나면 상품 가격이 오르고, 오른 가격은 다시 더 많은 화폐 발행을 요구하고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악순환을 고려하지 못했다."[22]
사태가 극에 달하자 1720년 말, 당시 섭정이던 필리프 2세는 존 로를 모든 직위에서 해임했다. 존 로는 프랑스를 떠나 브뤼셀을 거쳐 베네치아로 망명했고, 그곳에서 도박으로 생계를 유지하다가 생을 마감했다. 그는 베네치아의 산 모이세 성당에 묻혔다.[13]
5. 미시시피 회사 재건과 해산
1721년 파산했던 미시시피 회사는 조직 재편을 거쳐 1722년 사업을 재개하고, 1723년 루이 15세로부터 새로운 특권을 부여받으며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한때 담배와 커피 전매권, 복권 발행권 등을 바탕으로 금융 시장의 활기를 되찾고 무역 활동으로 번성하기도 했으나, 1746년 이후 프랑스 정부의 공공 사업 확대 정책과 7년 전쟁(1756년-1763년)의 여파로 큰 타격을 입었다. 결국 1770년 2월, 회사는 모든 자산과 권리를 국가에 양도하고 해산되었으며, 부채 변제는 1790년대까지 이어졌다.
5. 1. 회사 재건과 새로운 특권
1721년 미시시피 회사는 파산했다. 이후 조직을 재편하여 1722년에 사업을 재개했다. 1723년, 재건된 회사는 루이 15세로부터 새로운 특권을 부여받았다. 주요 특권은 담배와 커피의 전매권, 그리고 국가 발행 복권을 개최할 수 있는 권리였다. 이러한 특권 부여 이후 금융 시장은 다시 활기를 띠었고, 회사의 주가와 채권 가격은 상승했으며 자기 자본도 늘어났다.5. 2. 무역 활동과 번영
1726년부터 1746년까지 미시시피 회사는 국외 무역과 국내 사업에서 번성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번영은 주요 항구였던 로리앙뿐만 아니라 보르도, 낭트, 마르세유와 같은 다른 항만 도시들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 시기에 회사는 서반구에 대한 무역권을 잃었지만, 동방과의 무역은 지속적으로 번영했다.당시 주요 무역 품목은 다음과 같다.
5. 3. 쇠퇴와 해산
1746년 이후 프랑스 정부의 공공 사업 확대 정책은 회사 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7년 전쟁(1756년-1763년)은 회사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결국 1770년 2월, 프랑스 정부는 회사에 당시 가치로 3천만 리브르에 해당하는 모든 자산과 권리를 국가에 양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와 함께 국왕은 회사가 지고 있던 모든 부채의 상환과 이자 지급을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미시시피 회사는 1770년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으며, 부채 변제는 179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6. 평가와 교훈
주어진 '처음의 결과값'이 없어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미시시피 계획' 문서의 '평가와 교훈' 섹션에 대한 원본 소스(`source`)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지침에 따라 검토 및 수정하여 결과물을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French Period
http://www.iadb.org/[...]
Cultural Center of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13-07-01
[2]
서적
Cat Island, History of the Mississippi Coast
https://books.google[...]
[3]
간행물
The Invention of Money
https://www.newyorke[...]
2023-06-12
[4]
웹사이트
How the Mississippi Company Became the World's Most Powerful Monopoly
https://www.history.[...]
History
2022-04-29
[5]
웹사이트
MARKETSThe Most Valuable Companies of All-Time
https://www.visualca[...]
2023-09-26
[6]
웹사이트
The Mississippi Bubble, or How the French Eliminated All Their Government Debt (So Why Can’t Bernanke?)
https://globalfinanc[...]
2013-10-09
[7]
웹사이트
La Salle's Texas Settlement
https://www.tshaonli[...]
2024-03-31
[8]
논문
Richard cantillon – The Father of Economics
[9]
서적
Economists and the economy: the evolution of economic ideas
Transaction Publishers
[10]
웹사이트
NY Federal Reserve: Mississippi Bubble of 1720
http://libertystreet[...]
[11]
서적
Anglo-American Securities Regulation: Cultural and Political Roots, 1690–186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Witchcraft in Illinois: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Arcadia
[13]
서적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investment bubbles
Ashgate Publishing, Ltd.
[14]
논문
John Law and the invention of paper money
1991-01
[15]
논문
The Transportation of Convicts to Colonial Louisiana
https://www.jstor.or[...]
1966
[16]
서적
Cat Island: The History of a Mississippi Gulf Coast Barrier Island
https://books.google[...]
[17]
웹사이트
What burst the Mississippi Bubble?
http://www.investope[...]
2009-06-17
[18]
서적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
Noonday Press
[19]
웹사이트
Mississippi Company
http://www.investope[...]
[20]
웹사이트
A Comparative Chronology of Money: Monetary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1700–1749
http://projects.exet[...]
1996
[21]
논문
John Law and the Mississippi Bubble: 1718–1720
http://www.mshistory[...]
2021-04-26
[22]
문서
Henry Thornton (1802): An enquiry into the nature and effects of the paper credit of Great Britain ('Paper credit')
[23]
서적
《광기, 패닉, 붕괴: 금융위기의 역사》(''Manias, Panics, and Crashes: a History of Financial Cri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