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렌츠부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렌츠부르크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에 위치한 러시아 국영 석탄 회사 아르크티크 우골리가 운영하는 탄광 마을이다. 1920년 네덜란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32년 소련에 매각된 후 석탄 채굴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현재는 연간 12만 톤의 석탄을 유럽으로 수출하며, 관광 산업도 육성하고 있다. 롱이어비엔에서 약 55km 떨어져 있으며, 헬리콥터, 선박, 스노모빌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툰드라 기후를 보이며, 러시아 영사관, 학교, 박물관, 과학 연구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피츠베르겐섬 - 뉘올레순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스피츠베르겐 섬에 위치한 뉘올레순은 과거 탄광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다국적 연구 기지로 운영되며, 킹스 베이 회사에서 소유 및 운영하고, 킹스 베이 사건으로 노르웨이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스피츠베르겐섬 - 롱이어비엔
    롱이어비엔은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에 위치한 세계 최북단 정착지 중 하나로, 석탄 채굴로 시작해 탄광 도시로 발전했으나 현재는 관광, 연구, 고등 교육 중심으로 경제 구조를 전환 중이며, 툰드라 기후와 특별한 법률이 적용되는 독특한 자연환경을 지닌 곳이다.
  • 노르웨이-소련 관계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하는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는 북극해의 191개 무인도로 구성된 군도로, 소련에 병합되어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러시아 북극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자연환경과 야생동물을 보존하고 있다.
  • 노르웨이-소련 관계 - 핀마르크 해방
    핀마르크 해방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과 노르웨이군의 협력으로 핀마르크 지역을 독일로부터 해방시킨 작전으로, 독일군의 초토화 작전으로 큰 피해를 입고 언어 공동체 파괴라는 후유증을 남겼으나, 이후 재건되어 현재까지 해방 기념 행사가 열린다.
  • 노르웨이의 도시 - 베르겐
    베르겐은 노르웨이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070년에 건설되어 한자 동맹의 무역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해양 사업, 관광, 교육의 중심지이자 베스트란주의 자치구이다.
  • 노르웨이의 도시 - 나르비크
    노르웨이 북부의 나르비크는 스웨덴 철광석의 주요 수송 항구이자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도시로서 오포텐 철도와 해상 및 도로 교통의 요충지이다.
바렌츠부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바렌츠부르크
로마자 표기Barentsburg
러시아어 표기Баренцбург
위치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스피츠베르겐 섬 서부
위에서 본 바렌츠부르크
도시 전경
커뮤니티 센터 건물에 있는 영웅적인 소비에트 스타일 벽화
커뮤니티 센터 건물에 있는 영웅적인 소비에트 스타일 벽화
행정
국가노르웨이
행정 구역스발바르
스피츠베르겐 섬
인구
2020년455명
민족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시간대
시간대CET (UTC+1)
일광 절약 시간제CEST (UTC+2)
지리
좌표북위 78° 04′ 0″ 동경 14° 13′ 0″
기타 정보

2. 역사

바렌츠부르크는 1920년 네덜란드 회사들이 석탄 채굴을 시작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932년 소련 (현 러시아)이 이 지역을 인수하여 본격적으로 개발했다. 바렌츠부르크의 역사는 크게 네덜란드령 시기 (1920-1932)소련/러시아령 시기 (1932-현재)로 나눌 수 있다.

2. 1. 네덜란드령 시기 (1920-1932)

스피츠베르겐 노르피오르덴 북쪽, 롱이어비엔 대각선 반대편에 있는 케이프 보헤만에는 지금은 버려진 네덜란드 정착지인 Rijpsburg가 있다. 1920년 로테르담에 본사를 둔 Van der Eb and Dresselhuys Scheepvaartmaatschappij(항해 회사)가 조립식 오두막을 사용하여 석탄 채굴을 위해 건설했다. 그 해에 12명의 네덜란드 직원과 52명의 독일 광부가 이곳에서 석탄 채굴을 시작했다.[1]

1920년에 설립된 Dutch Spitsbergen Company는 그린 하버에 있는 광산을 러시아인으로부터 매입하여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석탄을 채굴했다. 이 회사는 네덜란드 탐험가인 빌렘 바렌츠를 기려 정착지 이름을 바렌츠부르크로 개명했다. 1932년, 이 회사는 바렌츠부르크를 포함한 광산을 소련 트러스트인 아르크티쿠골에 매각했다.[2]

2. 2. 소련/러시아령 시기 (1932-현재)

1932년, 네덜란드 회사는 바렌츠부르크를 포함한 광산을 소련 트러스트인 아르크티쿠골에 매각했다.[17] 러시아는 소비에트 연방 시대인 1935년에 스발바르 조약에 참여하여 석탄 채굴을 시작했다. 최성기에는 3개의 마을을 건설하여 바렌츠부르크의 인구도 2,500명을 넘어섰다. 냉전 하에서는 서방 국가에 대한 선전도 겸하여 소련 본국에서 물자가 풍부하게 반입되었고, 무료 식당이 24시간 개설되어 있었다. 한편, 마을의 치안은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가 담당했다.[17] 소련 붕괴 후 한때 섬에서 철수하자는 논의가 나올 정도로 쇠퇴했지만, 북극권을 중시하는 러시아 연방 정부의 전략으로 인해 마을은 유지되고 있다.[17]

현재는 러시아 국영 석탄 회사 아르크티크 우골리(북극석탄사)가 마을을 운영하며, 연간 120000ton의 석탄을 에스토니아 등 유럽 국가로 수출하고 있다. 병원, 호텔, 수영장 등의 시설 외에도 러시아 연방의 영사관도 있다. 석탄 채굴로는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 본토나 구미 등지에서 관광객 유치를 새로운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같은 섬 서부에 있는 섬 최대의 마을 롱이어비어옌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지만, 두 마을을 잇는 도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식료품, 일용품 등은 배나 수송기로 러시아에서 운반된다. 롱이어비어옌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 "피라미덴"이라는 폐쇄된 러시아계 소규모 마을이 있으며, "소련 시대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서 투어 대상이 되고 있다.

3. 지위

바렌츠부르크의 러시아 영사관


1920년 스발바르 조약에 따라 서명국의 시민은 천연 자원을 동등하게 개발할 권리를 가졌으며, 그 결과 러시아는 노르웨이와 함께 스발바르 제도에서 광산 운영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의 주권하에 있으므로, 러시아 정부는 바렌츠부르크에 영사관을 두고 대표하고 있다.[7]

이 마을은 노르웨이 우편 번호인 9178을 사용한다.[6] 마찬가지로 노르웨이 전화 번호를 사용한다.[7]

러시아는 소비에트 연방 시대인 1935년에 스발바르 조약에 참여하여 석탄 채굴을 시작했다. 냉전 하에서는 서방 국가에 대한 선전도 겸하여 소련 본국에서 물자가 풍부하게 반입되었고, 무료 식당이 24시간 개설되어 있었다. 한편, 마을의 치안은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가 담당했다. 소련 붕괴 후 한때 섬에서 철수하자는 논의가 나올 정도로 쇠퇴했지만, 북극권을 중시하는 러시아 연방 정부의 전략으로 인해 마을은 유지되고 있다.[17]

4. 경제

바렌츠부르크는 1920년대에 네덜란드 탄광 마을로 시작되었다.[10] 1932년에 네덜란드는 자국의 채굴권을 소련에 매각했다.[11] 이후 러시아 국영 기업인 아르크티쿠골(러시아어로 "북극 석탄") 트러스트가 스발바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바렌츠부르크의 주요 경제 활동은 아르크티쿠골의 석탄 채굴이다. 석탄은 보통 북유럽 바이어들에게 수출된다. 이 도시는 식량과 주화 모두 러시아 본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데, 충분한 식량이 보내지지 않아 롱이어비엔에서 구호 물품이 보내진 사례도 있었다. 현재 관광 산업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도시를 부활시킬 만큼 충분한 수입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2022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노동자와 주민이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이었다.[12] 소련 붕괴 이후, 바렌츠부르크의 경제는 꾸준히 쇠퇴했으며, 한때 1천 명에 달했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다.[12][13] 해수 온난화 속에서 러시아는 수출용 생선을 가공하기 위해 바렌츠부르크에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14]

러시아는 소비에트 연방 시대인 1935년에 스발바르 조약에 참여하여 석탄 채굴을 시작했다. 최성기에는 3개의 마을을 건설하여 바렌츠부르크의 인구도 2,500명을 넘어섰다. 냉전 하에서는 서방 국가에 대한 선전도 겸하여 소련 본국에서 물자가 풍부하게 반입되었고, 무료 식당이 24시간 개설되어 있었다. 한편, 마을의 치안은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가 담당했다. 소련 붕괴 후 한때 섬에서 철수하자는 논의가 나올 정도로 쇠퇴했지만, 북극권을 중시하는 러시아 연방 정부의 전략으로 인해 마을은 유지되고 있다.[17]

현재는 러시아 국영 석탄 회사 아르크티크 우골리(북극석탄사)가 마을을 운영하며, 연간 120000ton의 석탄을 에스토니아 등 유럽 국가로 수출하고 있다. 병원, 호텔, 수영장 등의 시설 외에도 러시아 연방의 영사관도 있다. 석탄 채굴로는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 본토나 구미 등지에서 관광객 유치를 새로운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같은 섬 서부에 있는 섬 최대의 마을 롱이어비어옌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지만, 두 마을을 잇는 도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식료품, 일용품 등은 배나 수송기로 러시아에서 운반된다. 롱이어비어옌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 "피라미덴"이라는 폐쇄된 러시아계 소규모 마을이 있으며, "소련 시대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서 투어 대상이 되고 있다.

5. 교통

롱이어비엔과 바렌츠부르크 사이의 거리는 약 55km이며, 두 정착지를 잇는 도로는 없다. 두 지역 간 이동은 주로 선박, 스노모빌, 헬리콥터를 이용한다. 헬리포트(ICAO 코드 ENBA)가 바렌츠부르크에서 북쪽으로 4km 떨어진 헤르오덴에 있으며,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항구는 바렌츠부르크 중심부에 위치한다. 관광객들은 보통 롱이어비엔에서 출발하는 2~3시간 소요되는 배편으로 도착한다. 석탄은 선박을 통해 운송된다.

6. 기후

바렌츠부르크는 툰드라 기후(쾨펜 기후 구분에 따른 ''ET'')를 보이며, 짧고 건조하며 쌀쌀한 여름과 길고 매우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을 나타낸다. 하지만 겨울은 툰드라 기후를 보이는 다른 여러 지역보다 눈에 띄게 따뜻하다. 마을이 위도 80도에 가깝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1년 중 4개월만 평균 기온이 0°C 이상이고, 어떤 달도 평균 월 기온이 10°C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수목 한계선 북쪽에 위치한다. 겨울철 평균 최저 기온은 일반적으로 -15°C 아래로 떨어진다. 바렌츠부르크의 평균 강수량은 약 550mm이며, 대부분이 으로 내린다. 이 마을은 일반적으로 일 년 중 매달 강설을 경험한다.[19]

바렌츠부르크의 기후(1961-199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1°C-9.4°C-9.4°C-6.4°C-1.1°C4°C8.4°C7.2°C2.9°C-2.6°C-5.1°C-7.4°C-2.3°C
일 평균 기온 (°C)-12.1°C-12.7°C-12.4°C-9.7°C-3.3°C2.2°C6°C5.1°C1°C-4.7°C-7.6°C-10.5°C-4.9°C
평균 최저 기온 (°C)-15.2°C-15.7°C-15.5°C-12.1°C-5.1°C0.8°C4.4°C3.6°C-0.4°C-6.6°C-10.1°C-12.9°C-7.1°C
평균 강수량 (mm)615056442821253554565963552
평균 강수일수212131017161243273
평균 강설일수2420222020101314222324203
평균 상대 습도 (%)77777777798181828177777779

[19]

7. 과학 및 문화

바렌츠부르크 포모르 박물관은 포모르 문화, 북극 식물과 동물, 그리고 영구 동토층에 보존된 고고학적 유물을 전시한다. 롱이어비엔에서 매일 여름에만 운행하는 배가 도착할 때와 특별 요청 시에 개방된다. 온수를 사용하는 수영장을 포함한 운동 시설도 갖추고 있다.

매년 여름, 러시아 및 기타 지역에서 온 수십 명의 지구물리학자, 지질학자, 고고학자, 생물학자, 빙하학자, 지리학자 등이 과학 연구 센터에서 활동한다. 또한 연중 운영되는 기상 관측소와 최북단의 우주선 관측소도 있다.[17]

8. 교육

바렌츠부르크는 러시아인을 위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2014년을 기준으로 교사는 3명이었으며, 대부분의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 1명, 음악 교사 1명, 영어 교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4년까지 학교 운영을 위한 복지 기금이 감소했다.[16]

바렌츠부르크 학교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Svalbard, 1st half-year 2020 https://www.ssb.no/e[...] 2021-01-12
[2] 웹사이트 Barentsburg: "Everyone was told to stop posting opinions about the war" https://thebarentsob[...] 2023-05-11
[3] 뉴스 Norway Svalbard Coal Fire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6-11-01
[4] 뉴스 Barentsburg: Kullbrann kan føre til evakuering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06-11-01
[5] 뉴스 Russians restarted coal mining at Svalbard http://www.barentsob[...] Barents Observer 2010-11-08
[6] 웹사이트 9178 BARENTSBURG SVALBARD https://adressesok.p[...] Posten Norge
[7] 웹사이트 Consulate General in Barentsburg (Spitsbergen) https://norway.mid.r[...]
[8] 웹사이트 A Battle for the Arctic Is Underway. And the U.S. Is Already Behind. https://www.politico[...] 2022-12-17
[9] 웹사이트 Barentsburg: "Everyone was told to stop posting opinions about the war" https://thebarentsob[...] 2023-05-11
[10] 서적 Spitsbergen Bradt Travel Guide
[11] 서적 Norway, a consistent polar nation?: analysis of an image seen through the history of the Norwegian Polar Institute Kolofon
[12] 웹사이트 Sharp population decline in Barentsburg https://thebarentsob[...] 2021-08-24
[13] 웹사이트 Barentsburg: a Russian coal mining settlement in Spitsbergen https://www.spitsber[...]
[14] 간행물 The World's Northernmost Town Is Changing Dramatically https://www.scientif[...] 2021-06-01
[15]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The Climate of Barentsburg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1-12
[16] 웹사이트 The Russians on Svalbard https://www.norwegia[...] Norwegian Air Shuttle 2014-05
[17] 뉴스 【世界発2017】「ソ連」香るノルウェーの島/国際条約の下 ロシアが80年超「集落」維持/炭鉱縮小 観光で生き残り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朝刊 2017-07-25
[18]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The Climate of Barentsburg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5-05-14
[19] 웹인용 Weather and Climate- The Climate of Barentsburg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5-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