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비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르비크는 노르웨이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스웨덴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오포트피오르의 최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북극권에서 220km 이내에 위치하지만,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나르비크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스웨덴의 철광석 운송을 위한 무결빙 항구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나르비크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철도와 항만을 통해 활발한 물류 수송이 이루어지며, 동아시아와 북미를 잇는 해상 운송의 중계 기지로서의 역할도 기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를란주의 도시 - 보되
보되(Bodø)는 노를란주의 주도로 북극권 바로 위에 위치해 백야 현상이 나타나며 피오르 해안선과 강한 조류로 둘러싸여 있고, 전쟁 후 재건되어 냉전 시대에 국제적 주목을 받았으며 현재는 노르웨이 북부 교통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명소가 있다. - 노를란주의 도시 - 라나 (노르웨이)
라나 (노르웨이)는 노르란주의 자치구로, 녹색 숲과 노란색 광물 문장을 사용하며, 로드 호와 안드피스크 호를 포함한 여러 호수, 북극권 경계 근처의 위치, 스발티센 빙하와 살트피옐레 산 인접, 석회암 동굴, 다양한 식물상, "하브마넨" 조각상, "비카 축제" 등의 특징을 갖는다. - 노르웨이의 스키장 - 트롬쇠
트롬쇠는 노르웨이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북극 탐험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현재는 의료 관련 소프트웨어 및 관광 산업이 발달하고 다양한 문화 시설과 축제가 열린다. - 노르웨이의 스키장 - 콩스베르그
콩스베르그는 1624년 은광 도시로 설립되어 한때 덴마크-노르웨이 국민 총생산의 10%를 기여했으나, 현재는 방위 산업 및 첨단 기술 산업 클러스터, 노르웨이 조폐청, 콩스베르그 재즈 페스티벌, 그리고 스키 점프의 중심지로 유명하다. - 노르웨이의 항구 도시 - 오슬로
오슬로는 노르웨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오슬로 피오르의 최북단에 위치하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과 노벨 평화상 시상식으로 유명하다. - 노르웨이의 항구 도시 - 베르겐
베르겐은 노르웨이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070년에 건설되어 한자 동맹의 무역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해양 사업, 관광, 교육의 중심지이자 베스트란주의 자치구이다.
나르비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
다른 이름 | 빅토리아하븐 (역사적 이름) |
설치 유형 | 도시 |
설치 구분1 | 쾨프스타드 |
설립일1 | 1902년 1월 1일 |
면적 | 6.93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23년) | 14,051명 |
인구 밀도 | 2028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통칭 | 나르비킹 나르비크베링 |
우편 번호 종류 | 우편 번호 |
우편 번호 | 8514 나르비크 |
해발고도 | 87m |
행정 구역 | |
국가 | 노르웨이 |
지역 | 북노르웨이 |
주 | 누르란주 |
지구 | 오포텐 |
지방 자치체 | 나르비크 지방 자치체 |
시간대 | |
시간대 | 중앙유럽 표준시 (CET) |
협정 세계시 차이 | +01:00 |
서머타임 시간대 | 중앙유럽 서머타임 (CEST) |
서머타임 협정 세계시 차이 | +02:00 |
추가 정보 | |
![]() | |
공식 웹사이트 | 나르비크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나르비크는 쇼멘, 베르크비크, 베이스피요르, 하크비크 자치구를 관할한다.
동쪽에는 산들이 솟아 있으며, 스웨덴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인 스톨슈테인(Storsteinen)은 해발 1894m이다. 수목 한계선보다 높은 곳에는 호수와 계곡도 볼 수 있다. 도시 자체는 오포르드피오르의 최심부 근처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해발 1500m 이상의 산들이 솟아 있어 프로스티센 빙하를 볼 수 있다. 산 정상에는 여름에도 눈이 남아 있으며, 저지대(500m 이하)에는 숲이 펼쳐져 있다. 나르비크에는 알파인 스키 슬로프가 있으며, 일부 슬로프는 끝지점이 시 중심부 근처까지 이어진다.
원예를 하는 주민들을 위해 프라시누스 엑셀시오르(svenskt asksv)나 에이서 사카리눔(silverlönnsv)과 같은 수입이 허용되고 있다.
2. 1. 기후
나르비크는 북극권에서 220km 이내에 위치하여 세계에서 매우 북쪽에 있는 도시 중 하나이지만,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또한, 도시를 둘러싼 산들이 해안 지역에서 불어오는 강풍을 막아준다. 연평균 기온은 3.7℃이며, 1월 평균 기온은 -4.4℃, 7월 평균 기온은 13.4℃이다.[1] 저지대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기간은 연간 약 155일이다.[1]11월 중순부터 4월 초순까지 평균 기온은 영하이며, 여름에도 고지대에는 눈이 남아 있다. 5월 상순부터 10월 중순까지의 평균 기온은 섭씨 5도를 약간 넘는다. 여름은 6월 초순부터 9월 1일까지 이어지며, 낮 기온은 보통 12℃에서 20℃ 사이이다. 기록된 최고 기온은 31℃이고 최저 기온은 -20℃이다.[1] 강수량은 10월이 110mm로 가장 많고, 5월이 40mm로 가장 적다. 연평균 강수량은 830mm이다.[1]
나르비크의 일조 시간은 계절에 따라 크게 다르다. 11월 상순부터 1월 말까지는 주변 산 때문에 해가 거의 보이지 않고, 정오 무렵 몇 시간 동안만 푸른 빛이 비친다. 반대로 3월부터 4월까지는 햇살이 강해진다.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는 백야 현상으로 하루 종일 해가 지지 않으며, 4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는 밤에도 밝아 별을 볼 수 없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나르비크는 아한대 습윤 기후(Dfc)와 서안 해양성 기후(Cfc)의 경계 부근에 해당한다.
다음은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나르비크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1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2 | -2 | 1 | 5 | 9 | 14 | 18 | 16 | 12 | 6 | 3 | -1 | 7.4 |
평균 최저 기온 (°C) | -7 | -7 | -5 | -2 | 3 | 7 | 11 | 10 | 6 | 2 | -2 | -5 | 1.8 |
평균 기온 (°C) | -4.1 | -3.9 | -2 | 1.8 | 6.9 | 10.9 | 13.4 | 12.5 | 8.4 | 4.2 | -0.2 | -2.7 | 3.8 |
평균 강수량 (mm) | 69 | 64 | 49 | 44 | 40 | 53 | 74 | 82 | 92 | 110 | 75 | 78 | 830 |
평균 강수일수 (≥ 1mm) | 10.6 | 10.2 | 8.8 | 9.1 | 9.2 | 12.4 | 14.7 | 14.0 | 15.1 | 14.5 | 11.1 | 12.2 | 141.9 |
3. 역사
나르비크의 정착 역사는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대 사람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바이킹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
현대 나르비크는 1870년대 스웨덴 정부가 키루나 철광석 광산의 잠재력을 인식하면서 무결빙 항구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02년 1월 1일, 나르비크는 정식 마을(kjøpstad) 지위를 얻어 아네케네스 시에서 분리되었고, 3,705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1974년 1월 1일, 아네케네스 시는 나르비크 시와 합병하여 더 큰 나르비크 시가 되었다.[9]
3. 1. 개발 배경
나르비크는 스웨덴의 키루나와 갈리바레 철광석 광산을 위한 연중 무결빙 항구로 개발되었다. 현대 나르비크의 역사는 1870년대 스웨덴 정부가 스웨덴 키루나의 철광석 광산의 잠재력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된다. 당시 키루나에서 철광석을 채취해도 적합한 스웨덴 항구가 없다는 중대한 문제가 있었다. 가장 가까운 스웨덴 항구인 루레오는 겨울에 얼음으로 뒤덮이고 키루나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중형 벌크 화물선만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나르비크는 따뜻한 멕시코 만류 덕분에 얼지 않는 항구이며, 최대 길이 208m, 수심 27m에 달하는 거의 모든 크기의 선박이 정박할 수 있을 만큼 자연적으로 규모가 크다.[7][8] 이에 스웨덴 회사 (Gällivare Aktiebolag)는 노르웨이-스웨덴 국경에 있는 릭스그렌센까지 철광석 노선(''Malmbanan'')을 건설했고, 노르웨이 오포트바넨 철도는 나르비크를 스웨덴 국경과 연결한다.
스웨덴 광산 회사 LKAB는 여전히 나르비크에서 대부분의 광석(연간 총 2,500만 톤)을 운송한다. 이 회사는 고용주이자 토지 소유주로서 여전히 이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과거만큼 두드러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는 않다.[8]
3. 2. 제2차 세계 대전
(1920~1940년 당시 국경)]]
나르비크 항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었으며, 이 도시는 노르웨이 전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1939년 독일의 전쟁 산업은 스웨덴 키루나(Kiruna)와 말름베르게트(Malmberget)에서 채굴된 철광석에 의존했다. 여름철에는 이 광석을 화물선으로 스웨덴 루레오(Luleå) 항구를 통해 보트니아 만을 거쳐 발트해를 통해 독일로 보낼 수 있었다. 그러나 보트니아 만이 겨울에 얼어붙으면 더 많은 광석을 나르비크를 통해 수송해야 했고, 거기서 노르웨이 서해안을 따라 독일로 운송해야 했다. 나르비크는 스웨덴과 철도로 연결되어 있지만 노르웨이의 다른 도시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르비크는 남부 노르웨이에서 육로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스웨덴 광산 지역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 윈스턴 처칠은 1940년 겨울 동안 나르비크를 장악하는 것이 독일의 철광석 수입을 대부분 차단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것은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전쟁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중요한 점은, 전쟁 후반에 나르비크에 주둔한 독일 잠수함과 군함이 연합군의 소련으로 향하는 보급선을 위협했다는 것이다.[10]
처칠은 나르비크 주변 노르웨이 영해("더 리즈"라고 함)에 기뢰밭을 설치하거나 연합군으로 도시를 점령할 것을 제안했다.[10] 연합군은 점령된 나르비크를 스웨덴 광산 지역을 확보하거나 핀란드(당시 소련과 겨울 전쟁을 치르고 있던)에 보급품과 증원군을 보내는 기지로 사용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나르비크 주변에 기뢰밭을 설치하거나 도시를 점령하려는 계획은 두 계획 모두 노르웨이의 중립성과 주권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영국 정부 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0]
1940년 4월 8일, 영국 해군본부는 노르웨이 영해 나르비크 주변에 대함 기뢰밭을 설치하려는 시도인 윌프레드 작전을 시작했다. 우연히도 독일은 다음 날 노르웨이 침공(베저위붕 작전)을 시작했다.
3. 2. 1. 나르비크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나르비크 항은 북유럽 침공에서 독일군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다. 1939년, 독일의 군수 산업은 스웨덴의 키루나와 말름베르게트에서 생산되는 철광석에 의존하고 있었다. 여름에는 보트니아만에 면한 스웨덴의 루레오 항에서 독일 본토까지 해상 수송이 가능했지만, 겨울에는 보트니아만이 얼어붙기 때문에, 불동항인 나르비크를 경유하여 수송할 필요가 있었다. 나르비크는 스웨덴과 철도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노르웨이의 다른 도시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르비크는 육로로 노르웨이 남부에 도달하기 어려웠던 스웨덴의 광산 지대에 대한 관문이 되었다. 윈스턴 처칠은 나르비크를 장악함으로써 1940년 겨울 독일로의 철광석 수송의 대부분이 중단될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나르비크를 장악하는 것은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키는 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독일의 잠수함이나 군함이 나르비크를 장악하면, 연합군의 소련 및 핀란드로의 보급로에 위협이 되었다.
처칠은 나르비크 인근 노르웨이 영해에 기뢰를 설치하고, 연합군이 점령한 다른 도시에도 기뢰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연합군은 스웨덴 광산의 안전 확보와 당시 소련과의 겨울 전쟁이 발발했던 핀란드에 원군과 물자를 수송하는 기지로서 나르비크를 점령하기를 원했다. 기뢰 설치 및 나르비크 점령 계획은 노르웨이의 중립 및 통치 체제에 대한 위반 행위가 되기 때문에 영국 정부 내에서 논의되었다.
1940년, 영국은 나르비크 주변 노르웨이 영해에 독일 수송선을 공격하기 위한 기뢰를 설치하고, 윌프레드 작전을 개시했다. 동시에 그 다음 날 독일은 노르웨이 침공(북유럽 침공)을 개시했다. 각 함선에 200명의 산악 보병대를 태운 독일 구축함 10척이 나르비크로 파견되었다. 구식 노르웨이 해안 방어 전함 2척이 침공을 저지하려고 반격했지만, 독일군에 의해 단시간에 격침되었다. 영국 해군은 즉시 전함을 포함한 여러 함대를 나르비크에 파견했다. 이렇게 발발한 나르비크 전투에서 영국군은 독일군 보병대를 태운 구축함 및 함대를 파괴하고, 해안선을 장악했다. 독일 전함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는 나르비크 해상에서 영국군의 철수 시에 항공모함 글로리어스를 격침했다.
1940년 5월 28일, 노르웨이, 프랑스, 폴란드 및 영국의 연합군이 나르비크를 탈환했다.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 보병 부대의 최초의 승리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 연합군은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에서 패배했고, 덩케르크 탈출(다이나모 작전)이 진행 중이었다. 스칸디나비아는 독일군의 프랑스 침공과는 무관했고, 나르비크에 배치된 귀중한 군대가 다른 지역에서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에, 연합군은 1940년 6월 8일에 나르비크에서 철수했다(알파벳 작전).
연합국의 지원이 없어짐에 따라, 노르웨이군은 독일군에게 수적으로 압도당해 1940년 6월 10일에 항복했지만, 노르웨이는 내륙에서 게릴라전을 계속했기 때문에 완전 항복은 아니었다.
독일 해군에게 있어서 나르비크의 피오르를 점령하는 것도 중요했다. 소형 전함 도이칠란트와 전함 티르피츠 등을 영국 공군의 스코틀랜드에서의 공습 범위 밖인 피오르드 내에 피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나르비크 항은 U보트 기지로서도 이용 가능했다.
4. 교통
나르비크는 이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자 교통 요충지로, 철도 수송과 해운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북노르웨이에서 생산된 화물은 나르비크를 경유하여 운송된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북동미국으로 향하는 선박의 중계지로 활용하는 계획도 있으며, 이는 중앙유럽의 철도 수송이 과밀하고 거리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1]
나르비크에는 두 개의 공항이 있다. 나르비크 공항(프람네스)은 시가지 근처에 위치하며 소형 항공기 전용이다. 하슈타/나르비크 공항(에베네스)은 나르비크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시내 중심 버스터미널에서 항공편 시간에 맞춰 버스가 운행된다.[1]
4. 1. 철도
나르비크로 가는 육상 교통의 현재와 역사적 핵심은 스웨덴 북부에서 이 항구 도시까지 산맥을 가로지르는 오포텐 철도이다. 이 철도를 통해 수송되는 철광석과 같은 상품은 나르비크를 중요한 항구 도시로 만들었다. 이 철도는 비외른페예역, 카테라트역, 쇠스테르베크역, 그리고 나르비크역에 정차한다.
극한의 지형 때문에 나르비크 북쪽이나 노르웨이 나머지 철도망의 북쪽 끝에 있는 보되 남쪽으로는 철도가 없다. 그러나 스웨덴 철도 시스템을 통해 스톡홀름에서 약 20시간 1540km 기차 여행을 하면 ''철광석 노선''을 이용하여 나르비크에 도착할 수 있다.
철도와 대규모 항만 시설과 관련된 활동은 여전히 나르비크에서 중요하며, 노르웨이 북부, 스웨덴, 핀란드로부터 오고 가는 상품은 종종 나르비크를 통해 배포된다. 동아시아에서 동부 북아메리카로 향하는 상품의 항구로 나르비크를 사용하려는 계획은 "북동서 화물 회랑"이라고 불리는 제안된 프로젝트이자 유라시아 육상 교량의 일부이다. 그 이유는 이 경로를 이용하는 철도 및 해상 거리가 중앙 유럽을 거쳐 서유럽 항구로 가는 것보다 짧기 때문이다. 나르비크는 이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자 교통 요충지로, 철도 수송과 해운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북노르웨이에서 생산된 화물은 나르비크를 경유하여 운송된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북동미국으로 향하는 선박의 중계지로 활용하는 계획도 있다. 이는 중앙유럽의 철도 수송이 과밀하고, 거리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며, 첫 번째 선박은 2006년 출항 예정이었다.[1]
나르비크는 1887년 킬리나 광산의 선적 항구로 설립되었고, 1898년에는 도시 이름이 빅토리아하븐에서 현재의 나르비크로 변경되었다. 오프달 철도는 노르웨이와 스웨덴을 가르는 산맥을 지나 킬리나(스웨덴)와 나르비크를 잇는 철도이다. 나르비크와 보두 사이에는 철도가 없기 때문에, 나르비크에서 다른 도시로 철도를 이용하여 이동하려면 반드시 국경을 넘어야 한다.[2]
4. 2. 항만
나르비크 항구는 결빙되지 않고 기상으로부터 잘 보호된다. 항구는 세 개의 해안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LKAB 벌크 항구, 부두와 파게르네스의 심해 항구가 있는 중앙 항구 지역 및 연결화물 시설이 있다. 나르비크 항구에서는 매년 약 16000000ton의 화물이 운송된다. 2015년까지 항구는 11억 톤의 광석을 처리했다. 이 중 대부분은 철광석이다. 2015년, 항구에는 선박을 계선하기 위해 18개의 흡착컵이 있는 부두가 설치되었는데, 이로 인해 계선 시간을 40분 단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 컵의 크기는 2m이다.[12]항만 당국은 노르웨이 최대 터미널인 오슬로의 현재 처리량의 두 배가 넘는 약 45000m2의 컨테이너 구역 확장을 시작했다. 2005년 나르비크 항구는 EU 시스템에서 해상 고속도로 지위를 얻었다. 노르웨이에서는 나르비크에 더하여 오슬로만이 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오포텐 철도를 통해 수송되는 철광석과 같은 상품은 나르비크를 중요한 항구 도시로 만든다. 극한의 지형 때문에 나르비크 북쪽이나 노르웨이 나머지 철도망의 북쪽 끝에 있는 보되 남쪽으로는 철도가 없다. 그러나 스웨덴 철도 시스템을 통해 스톡홀름에서 약 20시간 1540km 기차 여행을 하면 ''철광석 노선''을 이용하여 나르비크에 도착할 수 있다.
철도와 대규모 항만 시설과 관련된 활동은 여전히 나르비크에서 중요하며, 노르웨이 북부, 스웨덴, 핀란드로부터 오고 가는 상품은 종종 나르비크를 통해 배포된다. "북동서 화물 회랑"이라고 불리는 제안된 프로젝트, 유라시아 육상 교량의 일부에는 동아시아에서 동부 북아메리카로 향하는 상품의 항구로 나르비크를 사용하려는 계획이 있다. 그 이유는 이 경로를 이용하는 철도 및 해상 거리가 중앙 유럽을 거쳐 서유럽 항구로 가는 것보다 짧기 때문이다.
4. 3. 도로
유럽 고속도로 E6는 스키오멘 교, 베이스피오르 교, 할로갈란드 교 세 개의 다리를 이용하여 나르비크를 통과한다. 2018년까지 E6에 사용되었던 롬바크 교도 있다. 나르비크에서는 산맥을 동쪽으로 가로질러 스웨덴의 아비스코와 키루나로 가는 도로 연결망이 있으며, 유럽 고속도로 E10을 이용한다.[13]흥미롭게도 나르비크 시민 한 명이 다른 시민들이 마을 주변을 운전할 수 있도록 자신의 테슬라 자동차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허용한다.[13]
4. 4. 항공
나르비크는 도로로 57km 떨어진 에브네스 공항 (Harstad/Narvik Airport, Evenes)을 이용하며, 이 공항에서는 오슬로, 트론헤임, 보되, 트롬쇠, 안데네스로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1] 나르비크에는 두 개의 공항이 있는데, 시가지 근처에 위치한 나르비크 공항(프람네스)은 소형 항공기 전용이다.[1] 에베네스에 있는 하슈타/나르비크 공항은 나르비크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시내 중심 버스터미널에서 항공편 시간에 맞춰 버스가 운행된다.[1]5. 자매 도시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Narvik (Nordland)
https://www.yr.no/pl[...]
yr.no
2019-01-08
[3]
웹사이트
Informasjon om stadnamn
https://stadnamn.kar[...]
Kartverket
2024-08-26
[4]
백과사전
Narvik – tettstedet
https://snl.no/Narvi[...]
Kunnskapsforlaget
2019-01-08
[5]
웹사이트
Urban settlements. Population and area, by municipality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3-12-23
[6]
서적
Norske gaardnavne: Nordlands amt
https://books.google[...]
W. C. Fabritius & sønners bogtrikkeri
2015-10-29
[7]
웹사이트
Key facts about Narvik
http://www.visitnorw[...]
VisitNorway.com
2008-11-24
[8]
웹사이트
Narvik, Norway
https://www.bbc.co.u[...]
BBC
2008-11-24
[9]
웹사이트
Historisk oversikt over endringer i kommune- og fylkesinndelingen
http://www.ssb.no/em[...]
Statistisk sentralbyrå
[10]
서적
The Second World War: The Gathering Storm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1]
서적
The First and the Last
Cerberus Publishing
[12]
웹사이트
Nå skal de suge fast skipene til kaia
http://www.tu.no/art[...]
2016-04-18
[13]
웹사이트
Elon Musk: - Derfor har ikke Tesla satset på hydrogenbiler
http://www.tu.no/art[...]
2016-04-21
[14]
웹사이트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http://sharki.oslo.d[...]
[15]
웹인용
eKlima Web Portal
http://eklima.met.no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2012-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