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발바르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발바르 조약은 1920년 파리에서 체결된 조약으로, 스발바르 제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국제적으로 인정한다. 이 조약은 스발바르를 노르웨이의 일부로 규정하며, 과세, 환경 보호, 비차별, 군사적 제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조약 가맹국은 스발바르에서 경제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군사적 이용은 금지된다. 현재 40개국 이상이 가맹국이며, 대한민국은 2012년에 가입했다. 노르웨이와 러시아는 스발바르 주변 해역의 어업권을 두고 분쟁을 겪고 있으며, 천연 자원 관련 분쟁도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발바르 제도의 역사 - 하우데즌 작전
하우데즌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이 북극해에서 연합군의 해상 수송로를 파악하고 잠수함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기상 관측 부대 '하우데즌'의 활동을 지원하고 스발바르 제도 등지에 기상 관측소를 건설 및 운영한 작전으로, 연합군의 작전과 대립했으며 독일군은 수집된 기상 정보를 군사 작전에 활용했고, 작전에 투입된 독일군은 1945년 5월 8일 마지막으로 항복했다.
스발바르 조약 | |
---|---|
조약 정보 | |
명칭 | 스발바르 조약 |
정식 명칭 | 스피츠베르겐 군도 (베어 섬 포함)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 승인 조약 |
원어 명칭 | Traité reconnaissant la souveraineté de la Norvège sur l'archipel du Spitsberg, y compris l'île aux Ours (프랑스어) |
서명일 | 1920년 2월 9일 |
서명 장소 | 파리, 프랑스 |
효력 발생일 | 1925년 8월 14일 |
효력 발생 조건 | 모든 서명국의 비준 |
당사국 | 48개국 (목록 참고) |
기탁국 | 프랑스 외무부 |
사용 언어 | 프랑스어, 영어 |
원문 | 스피츠베르겐 조약 (위키문헌) |
2. 조약의 명칭
원래 조약의 이름은 '스피츠베르겐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이다. 이 조약은 전체 군도를 1596년 이후 일반적인 명칭(철자상의 약간의 변형 포함)이었던 "스피츠베르겐"으로 지칭한다.[11][12] 1925년, 노르웨이 당국은 이 섬들의 이름을 "스발바르"로 공식적으로 개칭했다. 이 새로운 이름은 1194년 이전에 노르드 사가에서 증명된 고대 지명 Svalbarðinon를 현대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그 후 이명 '스피츠베르겐'은 군도의 본섬에 적용되었다.[11][12] 따라서 현대의 역사 서술에서는 명칭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스피츠베르겐 조약'을 흔히 스발바르 조약이라고 시대착오적으로 부른다.
스발바르 제도는 1596년 네덜란드 탐험가 빌렘 바렌츠에 의해 발견되었다.[13] 이 제도는 '뾰족한 산'을 의미하는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으로 명명되었으며,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었다.[14] 1920년대에 노르웨이는 이 섬들을 스발바르(Svalbard)로 개명했다.[15]
스발바르 제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 협상 기간 중 1920년 2월 9일 파리에서 서명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6]
3. 역사적 배경
스피츠베르겐/스발바르는 처음에는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는 영토로 시작되었으며,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어업, 고래잡이, 광업, 연구, 그리고 나중에는 관광업에 참여했다. 어떤 국가에도 속하지 않아 규제나 법률에서 대체로 자유로웠지만, 17세기 전반에는 잉글랜드 왕국, 네덜란드 공화국, 덴마크-노르웨이 사이의 고래잡이 권리와 주권 분쟁으로 인해 갈등이 있었다.[16] 20세기에는 주요 섬에서 광물 매장량이 발견되었고, 광부와 소유주 간의 지속적인 갈등으로 정부의 필요성이 생겨났다.[17]
4. 조약의 내용
조약 가입국 국민들은 스발바르 제도에서 어업, 사냥, 해상, 산업, 광업, 무역 등 모든 종류의 경제 활동을 동등하게 할 수 있으며, 사증 없이 입도할 수 있다. 스발바르 제도 내에서 징수되는 세금은 제도 내에서만 사용되어야 하며, 노르웨이 본토로 유용될 수 없다.
20세기 초까지 노르웨이뿐만 아니라 러시아 제국을 포함한 유럽 각국과 미국이 탐험과 영유권 주장, 석탄 채굴 등을 행했다. 이러한 역사적 경위로 인해, 조약은 노르웨이의 영유권을 인정하는 한편, 모든 가맹국은 동등하게 이 섬에서 경제 활동을 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했다.
원 가맹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웨덴, 영국, 미국이다. 1924년에 소비에트 연방, 1925년에 독일이 가맹했다. 현재 가맹국은 40개국이 넘지만, 실제로 제도에서 경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노르웨이와 러시아뿐이다.
4. 1. 천연 자원 관련 분쟁
노르웨이와 러시아(과거 소련)는 스발바르 제도의 어업권을 두고 오랜 분쟁을 겪고 있다.[20][21] 1977년, 노르웨이는 스발바르 주변 200nmi 해역에 규제된 어업을 설정했지만, 외국인의 접근을 막지는 않았다.[20]
노르웨이는 조약의 평등한 경제적 접근 조항이 섬과 섬의 영해(당시 4 해리)에만 적용되며, 더 넓은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대륙붕이 노르웨이 본토 대륙붕의 일부이며, 1958년 대륙붕에 관한 협약의 적용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21]
그러나 소련과 러시아는 이 입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스피츠베르겐 조약이 해당 구역 전체에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1978년 모스크바에서 회담이 열렸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20] 핀란드와 캐나다는 노르웨이의 입장을 지지하며, 다른 대부분의 조약 서명국들은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20]
조약의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
> 모든 고당사국의 선박과 국민은 제1조에 명시된 영토와 영해에서 어업과 수렵의 권리를 동등하게 누린다. (제2조)
> 그들은 육상 및 영해에서 모든 해양, 산업, 채광 또는 상업 기업의 수행 및 실시에 동등한 조건으로 허용되며, 어떤 이유로든 어떤 기업에 대해서도 독점권이 설정되지 않는다. (제3조)
노르웨이 최대 신문인 ''아프텐포스텐''에 따르면, "주로 이 분쟁은 스발바르 조약이 12해리 영해 밖에서도 효력이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2011년 ''아프텐포스텐''은 조약이 이 구역 밖에서 효력을 발휘하면 노르웨이는 석유 및 가스 채취 수익의 78%를 온전히 주장할 수 없다고 보도했다.[22]
5. 서명국
다음은 스발바르 조약 서명국 목록이며, 각 국가가 조약 비준을 완료한 날짜(비준일)순으로 정렬되어 있다.[29]
국가 | 비준일 | 비고 |
---|---|---|
네덜란드 | 1920년 9월 3일 | |
미국 | 1924년 4월 2일 | |
덴마크 | 1924년 1월 24일 | |
프랑스 | 1924년 9월 6일 | |
스웨덴 | 1924년 9월 15일 | |
노르웨이 | 1924년 10월 8일 | |
이탈리아 | 1924년 8월 6일 | |
영국 | 1923년 12월 29일 | |
오스트레일리아 | 1923년 12월 29일 | 영국령 |
캐나다 | 1923년 12월 29일 | 영국령 |
인도 | 1923년 12월 29일 | 영국령 |
뉴질랜드 | 1923년 12월 29일 | 영국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23년 12월 29일 | 영국령 |
아일랜드 | 1923년 12월 29일 | 영국령 |
일본 | 1925년 4월 2일 | |
벨기에 | 1925년 5월 27일 | |
스위스 | 1925년 6월 30일 | |
중국 | 1925년 7월 1일 | 중화민국으로 가입, 중화인민공화국 승계 |
루마니아 | 1925년 7월 10일 | |
사우디아라비아 | 1925년 9월 2일 | 헤자즈 왕국으로 가입 |
이집트 | 1925년 9월 13일 | |
불가리아 | 1925년 10월 20일 | |
그리스 | 1925년 10월 21일 | |
독일 | 1925년 11월 16일 |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가입 |
스페인 | 1925년 11월 12일 | |
도미니카 공화국 | 1927년 2월 3일 | |
아르헨티나 | 1927년 5월 6일 | |
헝가리 | 1927년 10월 29일 | |
포르투갈 | 1927년 10월 24일 | |
베네수엘라 | 1928년 2월 8일 | |
칠레 | 1928년 12월 17일 | |
아프가니스탄 | 1929년 11월 23일 | |
알바니아 | 1930년 4월 29일 | |
오스트리아 | 1930년 3월 12일 | |
에스토니아 | 1930년 4월 7일 | |
폴란드 | 1931년 9월 2일 | |
러시아 | 1935년 5월 7일 | 소련으로 가입 |
대한민국 | 2012년 9월 11일 | |
리투아니아 | 2013년 1월 22일 | |
라트비아 | 2016년 6월 13일 | |
북한 | 2016년 3월 16일 | [30] |
슬로바키아 | 2017년 2월 21일 | |
체코 | 2006년 6월 21일 | 체코슬로바키아 승계 |
아이슬란드 | 1994년 5월 31일 | |
세르비아 | 2022년 9월 5일 | |
튀르키예 | 2024년 4월 11일 |
참조
[1]
간행물
The Svalbard Treaty and Norwegian Sovereignty
https://arcticreview[...]
Cappelen Damm
2023-01-21
[2]
서적
The Genesis of the Spitsbergen/Svalbard Treaty, 1871–192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3]
뉴스
Immigrants warmly welcomed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06-07-04
[4]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5]
문서
Nederland’s historische rechten op Spitsbergen
1919
[6]
웹사이트
Original Spitsbergen Treaty
http://www.lovdata.n[...]
2021-08-08
[7]
웹사이트
Spitsbergen Treaty and Ratification
http://www.lovdata.n[...]
[8]
웹사이트
Traités et accords de la France
https://basedoc.dipl[...]
Ministry for Europe and Foreign Affairs (France)
2024-08-01
[9]
웹사이트
Treaty concerning the Archipelago of Spitsbergen, including Bear Island
https://verdragenban[...]
Treaty Database of the Netherlands
2024-08-01
[10]
웹사이트
Kundmachung: Geltungsbereich des Vertrages über Spitzbergen
https://www.ris.bka.[...]
Bundesgesetzblatt (Austria)
2024-07-30
[11]
웹사이트
Norwegian place names in polar regions
http://www.npolar.no[...]
Norwegian Polar Institute
[12]
웹사이트
History – Spitsbergen – Svalbard
https://www.spitsber[...]
[13]
서적
Svalbard: International Relations in an Exceptionally International Territory
https://www.academia[...]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4]
서적
Svalbard: vårt nordligste Norge
Forlaget Det Beste
[15]
서적
Guide to Spitsbergen
Bradt
[16]
문서
Torkildsen (1984), pp. 34–36
[17]
서적
Svalbards historie
Aschehoug
[18]
웹사이트
A Battle for the Arctic Is Underway. And the U.S. Is Already Behind.
https://www.politico[...]
2022-12-17
[19]
웹사이트
Svalbard: NATO's Arctic 'Achilles' Heel'
https://perconcordia[...]
2021-09-08
[20]
서적
The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 Case Study of the Russian Federation
Martinus Nijhoff
[21]
서적
Northern Waters: Security and Resource Issues
Routledge
[22]
뉴스
USA snuser på Svalbard-olje
Aftenposten
[23]
뉴스
ノルウェー領「最北のロシア」 北極開発へ布石 スピッツベルゲン島
読売新聞
2017-03-23
[24]
웹사이트
Traités et accords de la France
https://basedoc.dipl[...]
Ministry for Europe and Foreign Affairs (France)
2024-08-01
[25]
문서
Nederland’s historische rechten op Spitsbergen
1919
[26]
웹사이트
Original Spitsbergen Treaty
http://www.lovdata.n[...]
[27]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28]
웹사이트
Spitsbergen Treaty and Ratification
http://www.lovdata.n[...]
[29]
웹인용
Treaty concerning the Archipelago of Spitsbergen, including Bear Island
http://www.minbuza.n[...]
2012-03-01
[30]
문서
조선이 쓰발바르조약에 가입
KCNA
1920-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