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오안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중국 간쑤성에서 사용된다. 음운론적으로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자음은 유성 대립을 보인다. 6개의 모음을 가지며, 명사에는 5개의 격 표지가 존재한다. 동사의 형태론은 복잡하며, 단정성은 직설법에서 "확정" 또는 "불확정"으로 표시된다. 통사적으로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따르지만, 목적어 도치도 나타나며, 서술어를 이중으로 표시하는 특징이 있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바오안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보안어 |
고유 이름 | , |
화자 수 | 6,000명 (1999년 기준) |
사용 국가 | 중국 |
사용 지역 | 간쑤성, 칭하이성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제안) 몽골어족 남부 몽골어 시롱골어군 바오안어군 |
문자 | 티베트 문자 (사용) |
언어 코드 (ISO 639-3) | peh |
언어 코드 (Glottolog) | bona1250 |
생존 상태 | 심각한 위기 (UNESCO) |
2. 음운
바오안어의 음운론은 티베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자음은 유성 대립을 가지며, 고유어에는 주로 음소 배열이 하강하는 초성 자음군이 존재한다. 복모음도 존재하지만 둘 다 그 수가 많지 않다. 바오안어에서 가능한 단어 초성 자음군은 이다.
냠토 바오안어는 6개의 모음을 가지며, /ə/를 제외한 모든 모음에 장모음이 존재한다.[6][7]
- 다음 소리는 기식 자음 변이음 /ʰp, ʰt, ʰtʰ, ʰt͡s, ʰt͡sʰ, ʰt͡ʂ, ʰt͡ʂʰ, ʰt͡ɕ, ʰt͡ɕʰ, ʰk, ʰkʰ/; /ʰz, ʰʑ/; /ʰn, ʰɲ, ʰŋ/; /ʰl, ʰj/을 가질 수 있다.
- 파열음은 /ᵐp, ᵐb, ⁿt, ⁿd, ⁿt͡s, ⁿd͡z, ᶯt͡ʂ, ᶯd͡ʐ, ᶮt͡ɕ, ᶮd͡ʑ, ᵑk, ᵑɡ/와 같이 비음화된 변이음을 가질 수 있다.
- /ɹ/은 권설음 [ɻ]로도 들릴 수 있다.
- /w/는 [ʋ]로도 들릴 수 있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