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동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동윤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로, 1957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오리진회화협회 회장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그의 작품은 한국 전통 이미지와 동판화를 시작으로 한지 콜라주, 부조 추상, 3차원 서(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 국내 주요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와 과거의 조화,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탐구하는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 백승탁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교육 행정가인 백승탁은 충청남도 내 학교 교사, 예산고등학교 교장, 문교부 교육연구관, 충청남도 교육감 등을 역임하고 예덕학원 이사장과 여러 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예산군수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고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 김신호
    김신호는 교육자, 정치인으로, 대전광역시교육감, 교육부 차관을 역임하고, 국가교육위원회 국가교육과정전문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과거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다.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오혁
    오혁은 한국의 가수로, 밴드 혁오의 보컬이며, 중국 유년 시절을 보내 다양한 언어와 음악적 경험을 쌓고 독립적인 음악 활동과 밴드 혁오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독특한 음색과 패션 감각으로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뮤지션이자 패션 아이콘으로 활동하고 2024년 12월 결혼했다.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강리나
    강리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화가로, 모델로 데뷔하여 배우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화가로 전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 - 김기덕 (1960년)
    김기덕은 독창적인 연출과 사회 비판으로 국내외 주목을 받았으며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피에타》로 베니스 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나, 성폭력 의혹으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다 2020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 - 홍희표
    홍희표는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고 해병대 하사로 예편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과 12, 13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민정당과 민주자유당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광희학원 이사장과 동해대학교 총장으로 교육계에 기여했다.
박동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업실에서 박동윤 화백
이름박동윤
출생일1957년 11월 20일
출생지충청남도 공주시
분야한지회화
교육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대표작Affectionate Things(애정이 깃든 사물들)
웹사이트박동윤 인스타그램

2. 생애

1957년 11월 20일 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17번지에서 아버지 박대선(朴大善, 1914~1994)과 어머니 이수남(李守男, 1919~1983) 사이의 5남 3녀 중 5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유서 깊은 고장 공주에서 유복하게 성장했다. 공주교대부속초등학교, 공주사대부속중·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76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에 입학하여, 재학 중 박서보(1931~), 하종현(1935~), 최명영(1941~), 서승원(1942~) 교수에게 지도받았다.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선봉 역할을 했던 ‘오리진회화협회(Origin Painting Association)’에 가입하여 왕성하게 활동했고 오리진회화협회장(2007~2009)을 역임하였다. 공주교육대학교(1990~2023)에 봉직하면서 후학 양성에 매진했다. 1989년 반려자 심연숙(沈娟淑, 1966~)과 결혼했고 슬하에 1녀를 두었다.

en

3. 한국 전통 이미지와 동판화 (1986~2001)

박동윤 작가의 동판화는 해, 달, 활과 과녁, 격자창, 백자와 분청사기, 목판본 글씨, 어머니의 정화수, 목단꽃 등 한반도 자연의 아름다움과 소박미가 내재된 한국전통이미지들로 표현된다. 이 시기 이미 ‘Affectionate things(애정 어린 사물들)’명제로 정감을 불러일으켰는데 질서정연한 구성과 섬세한 묘사력의 독자성을 드러냈다.

“박동윤은 오랫동안 ‘한국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탐구해온 작가다. 그의 판화작업은 성실함과 작업에 대한 끈기 그리고 열정을 담아낸 것들이었다.[1]” “당초문의 찻잔, 잔잔한 달빛에 비쳐진 창살, 그리고 정화수에 담긴 노란 달빛 등의 이미지들은 그의 작업에 높은 장식성을 가져다주는 구실을 하는 동시에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해주고 있다.[2]

“박동윤 작품에서 ‘표적을 향해 날지 않는 화살’ 혹은 ‘표적과 평행하여 나는 화살’, 이것은 소피스트의 화살처럼 영원히 표적에 이르지 못하는 이미지를 연상시키면서, 동시에 이 사물들이 단순히 전통적 소재에 대한 천착이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의 시공간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드러낸다.[3]

60

4. 겹침·사라짐 사각평면의 입체화 (2002~2006)

서양화가 박동윤은 2000년대 초반 유화와 한지를 혼합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구성되는 기하 추상 화면을 만들고 한지 콜라주 작업을 선보였다. 평면이 입체화된 반부조 회화 형식으로 한지의 질감과 색채가 어우러져 독특한 화면을 구성한다.[4]

박동윤 작가는 판화에서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지만, 최근 유화에서는 그 대상들을 작가의 감정 속에 용해시켜 다른 추상적 형태로 전환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비정형의 선과 형태, 자유로운 선에 이끌린 듯 단아한 구성은 그의 판화 세계에서 볼 수 없었던 형식주의적인 미술의 한 면모를 강하게 드러낸다고 평가받는다.[4]

2002년 회화 개인전 이후에는 한지만의 다양한 크기의 격자와 사각을 이용하여 겹쳐짐과 사라짐을 표현하려 했다. 반듯하게 그어놓은 직선은 건조 과정에서 수축하면서 미묘하게 변형되고, 가장자리는 원래의 형태를 깨고 자연스럽고 우연적으로 자리 잡게 된다. 작가는 투박하고 조금 거칠어도 따스한 정을 느끼고자 하는 오늘을 사는 한국인의 시선으로 자신의 작품을 바라봐 주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5]

박동윤 회화는 ‘대교약졸’(大巧若拙), 즉 ‘큰 솜씨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는 심오한 미적 원리를 따른다. 그것은 비어 있으면서도 그 쓰임이 무궁무진한 도의 현묘(玄妙)한 작용과 관련된다.[6]

섬네일

5. 부조(浮彫) 추상 촉각 공간의 '날' (2006~2008)

한지 작가 박동윤은 캔버스 위에 한지를 겹쳐 바르고 다시 페인팅하거나 한지를 캐스팅하여 릴리프(relief)화한 독특한 공간 깊이를 드러낸다. 사각형의 질감은 명도와 색채를 달리하여 기억 속에 내재된 한국의 유산과 현재성을 품으며 박동윤 한지 추상화의 독자적 조형 세계로 나타난다. 2007년 두꺼운 한지를 여러 겹 붙여 평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날(blade)’이 등장한다. 그럼으로써 한지가 가지고 있는 발색과 투명성은 평면과는 또 다른 기하학적 추상으로 사물의 본성과 구조의 탐구라는 완전히 새로운 미학을 보여준다.

“근작들은 작가의 개인사와 우리 민족사에 면면히 흐르는 시간의식을 불러온다. 물질과 시간, 그리고 기억이 박동윤의 작품세계를 일구어 내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7]” “사각의 색채는 기존의 물감을 이용하지 않고 녹차가루와 치자물감, 먹물 등 자연 염료를 이용하여 순수색채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사각의 색채는 물리적 질감보다 내부에 숨겨진 비물질의 정신성, 즉 자아의 확인과 정체성 문제와 연결된다.[8]

“여기서 ‘날(blade)’은 사물의 사물 됨을 주장하기 위한 작가의 회화적 발명품이다. 관객의 편으로 날을 세운 날은 거리두기와 추상적 통일작용에서는 하나의 추상적 선이 되고, 가까이 접근하는 사람에겐 사물의 낯선 침범이다.[9]


6. 반투명성의 극대화 한지 콜라주 (2007~2017)

이 시기 박동윤 콜라주 부조 작품은 한지의 반투명성을 극대화한 입체성을 보여준다. 캔버스 공간에 튀어나오는 두껍게 겹쳐진 한지 형상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형태, 색채, 느낌이 달라지는 변환의 흐름을 느끼게 된다.

“하늘을 향하는 사찰 돌계단의 염원, 한국 여인이 바느질로 이어 만든 조각보,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 등이 영감의 원천이다. 또 현대 한국의 역동적 건축물들과 도시의 빛깔, 스마트폰에서 발산하는 빛도 내 작품의 한 요소인데 이러한 한국 전통 형상들을 추상적으로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이다.[10]

“박동윤 작가는 전통과 현대성, 동양과 서양의 미감을 융합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사물의 묘사가 사라졌다고는 하나 그 이면에는 우리에게서 점점 사라져 가는 대상들이 잠복해 있다.[11]” “박동윤 미술가는 한국의 전통적인 종이, 한지를 사용하여 얕은 돋음이 생기는 콜라주 형태로 구성한다. 그의 작품은 현대적이지만, 한국의 오천년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감동을 보여주고 있다.[12]

7. 3차원 서(書) 소리와 빛의 스펙트럼 (2018~현재)

색 한지를 수직으로 올려 겹겹이 세워 위아래로 길게 늘어뜨리는 패턴 등 이 시기 박동윤 화백의 작품 세계는 3차원 추상의 휘황찬란하고 장엄한 색채의 무한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바람결에 벼이삭이 한쪽 방향으로 기운 것 같기도 하고, 파도의 물결 혹은 나무의 나이테 같기도 하고, 아니면 모세의 기적처럼 물이 갈라진 것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그의 작업은 원형, 타원형, 계단형, 선형, 파선형 등 패턴은 각각이지만 한지가 그의 작품에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음은 두말할 것이 없다."[13]

"평면의 캔버스에 등 간격으로 직각으로 세웠다. 한지들은 인장력(引張力)으로 굽었다 펴졌다 하며 서고 누웠다. 멀리서 보면 굽고 곧은 필획(筆劃)들이 무한대로, 한없이 유동(流動)하고 유동(遊動)한다. 박동윤만의 기하 추상 언어의 유희(遊戱)는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1786~1856)의 ‘퇴촌(退村)’과 다르지 않다. 추사의 필획 간의 굽힘과 폄(屈伸)의 뜻은 박동윤의 한지 고랑 사이의 굽고 곧음(曲直)의 뜻과 겹쳐지면서 글자 없는 서(書)로도 해독된다."[14]

8. 평가

박동윤 작가의 작품은 현재와 과거 사이의 균형을 찾는다는 핵심적인 메시지를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현대적인 것을 넘어, 고대의 전통적인 형태를 참고하고 수용한 결과물이다.[15]

박동윤의 작품에서 하나의 '날'은 다른 '날'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나비효과처럼 서로의 성격에 영향을 준다. 이를 통해 그의 근작은 인공적인 자연이라는 역설을 실현한다.[16]

또한, 박동윤의 근작은 형상성과 정체성 측면에서 작가 자신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 추상 미술의 진로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그의 작품은 삼차원의 서(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시공을 초월하는 서적(書的) 유전인자가 관통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17]

9. 주요 연혁


  • 1957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
  • 1976년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 1980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1980년~1982년 해병대 병장 전역(410기)
  • 1985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 1986년 제6회 한국현대판화가협회 공모전(미술회관, 서울, 우수상), 제4회 대한민국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제5회 공간국제소형판화비엔날레(공간화랑, 서울, 가작)
  • 1989년 제7회 대한민국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우수상)
  • 2000년 Beaver college 대학원 회화 전공 수학(필라델피아)
  • 2007년~2009년 오리진 회화협회 회장
  • 2012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회화 전공 미술학 박사
  • 2013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 1990년~2023년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 2018년~2019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장
  • 2023년 홍조근정훈장 수훈

10. 개인전 및 단체전

연도제목장소
2024세종뮤지엄갤러리 개인전서울
2022그림손 갤러리 개인전서울
2021대통골 작은 미술관 개인전공주
2021갤러리H 개인전서울
2020온유갤러리 개인전안양
2020이미정 갤러리 개인전공주
2019아트스페이스 호서 개인전서울
2018A&A갤러리 개인전서울
2017이미정 갤러리 개인전공주
2017그림손 갤러리 개인전서울
2016임립미술관 개인전공주
2015이랜드 스페이스 개인전서울
2015에이블 NY 갤러리 개인전뉴욕
2014에이블 NY 갤러리 개인전서울
2011임립미술관 개인전공주
2011희수갤러리 개인전서울
2009갤러리 호 개인전서울
2009갤러리 아트사이드 개인전서울
2007인사아트센터 개인전서울
2003인사아트센터 개인전서울
2002갤러리 라메르 개인전서울
2001가나아트스페이스 개인전서울
2000La Salle 대학교 유니온 빌딩 개인전필라델피아
1999갤러리 사비나 개인전서울
1998갤러리 상 개인전서울
1998백송화랑 개인전서울
1997김내현화랑 개인전서울
1995예맥화랑 개인전서울
1992강남화랑 개인전서울
1990윤 갤러리 개인전서울
1990오원 화랑 개인전대전
1987그로리치 화랑 개인전서울



연도제목장소
1976~77INDEPENDANTS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4서울국제드로잉 비엔날레미술회관, 서울
1984서울현대미술제미술회관, 서울
1986제29회 오리진회화협회전미술회관, 서울
1986제6회 한·일현대회화전후쿠오카미술관
1986제2회 한·중현대회화전타이페이현대미술관
1988~06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헤이리예술인마을, 파주
1990~06오리진회화협회전미술회관, 서울
1993동판화의 새로운 시각전보다갤러리, 서울
1995~98서울판화미술제예술의 전당, 서울
2001한·중 국제판화교류전흑룡강성미술관
2002한국국제현대판화전성산아트홀, 창원
2004한지와 정신전세종갤러리, 서울
2007한지작가정예전갤러리 베아르떼, 서울
2010한국한지현대미술초대전함섭한지스튜디오, 춘천
2013단원미술관개관기념전단원미술관, 안산
2014한지화가 기획초대전원주한지테마파크
2021한·일 미술교류전후츄시미술관


11. 미술관 소장

기관명소재지
국립현대미술관서울
서울시립미술관서울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서울
성곡미술관서울
무역센터서울
충무아트홀서울
쉐마미술관청주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공주
정부미술은행서울
박수근미술관양구
호서대학교천안
서울안과병원안양


참조

[1] 간행물 애정이 깃든 사물들 2015
[2] 간행물 제 5회 박동윤 판화전 1997
[3] 간행물 사각 혹은 기억하는 질료 2009
[4] 간행물 박동윤의 판화에서 유화로의 도전 2002
[5] 간행물 Affectionate Things 개인전 작가노트 2007
[6] 간행물 추상적 조형어휘로 풀어낸 전통미 2016
[7] 간행물 물질과 시간, 그리고 기억 2003
[8] 간행물 사각의 결정체: 애정이 깃든 사물들 2007
[9] 간행물 애정의 연대기: 애정에서 정동으로 2016
[10] 간행물 Affectionate Things 개인전 작가노트 2015
[11] 간행물 사각 혹은 기억하는 질료 2009
[12] 간행물 애정이 깃든 것들 2015
[13] 간행물 추상적 조형어휘로 풀어낸 전통미 2016
[14] 간행물 3차원의 서(書) 2021
[15] 간행물 애정이 깃든 것들 2015
[16] 간행물 애정의 연대기: 애정에서 정동으로 2016
[17] 간행물 3차원의 서(書)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