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스카슈티아브니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슬로바키아의 도시로, 풍부한 은 광석 매장량 채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해왔다. 신석기 시대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켈트족, 로마 제국, 헝가리인 등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헝가리 왕국의 은과 금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광업 기술 발전과 함께 1735년에는 광업 아카데미가 설립되어 세계 최초의 기술 대학교로 발전했다. 1782년에는 헝가리 왕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으나, 19세기 후반부터 광산 활동 감소로 인해 도시 발전이 둔화되었다. 현재는 역사적 유산을 바탕으로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명소로는 삼위일체 광장, 구 성과 신 성, 야외 광산 박물관, 타이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세계유산 - 레보차
    레보차는 슬로바키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건축물과 성벽으로 둘러싸인 역사적인 구시가지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성 야고보 대성당에는 레보차의 마스터 바울이 제작한 고딕 제단이 있다.
  • 슬로바키아의 세계유산 - 블콜리네츠
    블콜리네츠는 전통적인 정착지와 건축물의 뛰어난 사례이지만, 취약한 환경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곳이다.
  • 슬로바키아의 도시 - 브라티슬라바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오스트리아, 헝가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유럽의 유일한 수도이며, 도나우 강을 따라 발달하여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슬로바키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슬로바키아의 도시 - 질리나
    질리나는 슬로바키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208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1321년 자유 왕립 도시가 되었으며, 기아 자동차 공장과 질리나 대학교가 있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이자 2026년 유럽 문화 수도 후보 도시이다.
반스카슈티아브니차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반스카슈티아브니차의 삼위일체 광장 (Námestie svätej Trojice)
반스카슈티아브니차의 삼위일체 광장 (Námestie svätej Trojice)
반스카슈티아브니차 시기
반스카슈티아브니차 시기
반스카슈티아브니차 문장
반스카슈티아브니차 문장
지리 좌표북위 48° 27′ 29″, 동경 18° 53′ 47″
시장Nadežda Babiaková
최초 언급1156년
면적46.74 제곱킬로미터
해발고도621 미터
인구 (2022년 12월 31일 기준)9426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CET (UTC+1)
서머타임CEST (UTC+2)
우편 번호969 01
지역 번호+421 45
차량 번호판BS
웹사이트www.banskastiavnica.sk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식 명칭반스카슈티아브니차 역사 지구와 주변 기술 기념물
기준(iv), (v)
ID618
등재 연도1993년
민족슬로바키아인: 86.5%
롬인: 0.5%
체코인: 0.4%
헝가리인: 0.4%
기타: 0.2%
미보고: 12%
종교로마 가톨릭: 55%
루터교: 6.7%
그리스 가톨릭: 0.4%
여호와의 증인: 0.3%
재림교: 0.3%
기타: 2.3%
무종교: 19.4%
미보고: 15.6%

2. 역사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유서 깊은 도시이다. 이 도시의 역사는 풍부한 광석 매장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켈트족이 최초로 광산 정착지를 세웠으며, 이후 초기 헝가리인, 슬라브족, 카르파티아 게르만족 등이 정착했다. 1238년에는 헝가리 왕국의 왕립 도시 지위를 얻었다.

중세 시대에는 헝가리 왕국의 주요 은과 금 생산지였으며,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시기에는 강력한 요새가 건설되기도 했다. 또한, 종교 개혁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627년에는 세계 최초로 광산에서 화약이 사용되었고, 18세기에는 타이지라는 정교한 저수지와 수로 시스템이 건설되어 광산 운영에 큰 도움을 주었다. 1735년에는 헝가리 왕국 최초의 광산 학교인 광업 아카데미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훗날 세계 최초의 기술 대학교로 발전했다.

1782년에는 헝가리 왕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지만, 19세기 후반부터 광산 활동이 쇠퇴하면서 도시 발전도 점차 둔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비에트군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10]

오늘날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풍부한 역사적 유산을 바탕으로 중요한 레크리에이션 및 관광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2. 1. 중세 시대

반스카슈티아브니차의 운명은 풍부한 광석 매장량의 채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최초의 광산 정착지는 기원전 3세기에 켈트족에 의해 세워졌다. 아마도 켈트족의 코티니 부족이 점령했을 것이다.[6] 이 지역은 초기 헝가리인들도 정착했으며, 오래된 헝가리 요새 정착지가 10세기와 11세기에 이곳에 위치했다. 이 지역은 1156년부터 "terra banensium"(광부의 땅)이라고 불렸다.[6] 현지 슬라브족은 계곡의 정착지에 "Štiavnica"(산성 시내)라는 이름을 붙였고, 그 위의 언덕(Ligotavá hora, 또는 Glanzenberg - 빛나는 산)은 "Bánya"(광산)라고 불렀다. "Schebnyzbana"라는 단일 공통 이름은 1255년에 처음 문서화되었다.[6] 13세기에 도착하기 시작한 숙련된 카르파티아 게르만족 정착민들은 현지 슬라브족과 합류했다. 그들은 현지 이름을 독일어 "Schemnitz"로 변경했다.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1238년에 헝가리 왕국의 최초 도시 중 하나로 왕립 도시 지위를 얻었다.

중세 성기와 중세 말기에 이 도시는 헝가리 왕국에서 은과 금의 주요 생산지였다.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동안, 투르크족은 상헝가리 (반스카슈티아브니차, 반스카비스트리차, 크렘니차)의 부유한 광산 도시를 정복하기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 이 새로운 위협으로 인해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16세기에 두 개의 성을 포함한 강력한 요새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국내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반스카벨라, 반스카비스트리차, 크렘니차, 류비에토바, 노바바냐, 푸카네츠와 함께 프로테스탄트 "7개 광산 도시 연맹"에 속했다.

2. 2. 근세 시대

중세 성기와 중세 말기에 이 도시는 헝가리 왕국에서 은과 금의 주요 생산지였다.[6]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동안, 투르크족은 상헝가리 (반스카슈티아브니차, 반스카비스트리차, 크렘니차)의 부유한 광산 도시를 정복하기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6] 이 새로운 위협으로 인해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16세기에 두 개의 성을 포함한 강력한 요새를 건설했다.[6] 이 도시는 국내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반스카벨라, 반스카비스트리차, 크렘니차, 류비에토바, 노바바냐, 푸카네츠와 함께 프로테스탄트 "7개 광산 도시 연맹"에 속했다.[6]

반스카슈티아브니차의 학교 건물, 19세기 말 – 20세기 초


광업 및 임업 아카데미 기념 명판


이 도시는 또한 광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중심지였다.[6] 1627년, 화약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광산에서 사용되었다(프랑스 르 티요 이후).[6] 물에 잠긴 광산에서 물을 빼내기 위해 Jozef Karol Hell, Maximilian Hell, 사무엘 미코비니와 같은 현지 과학자들이 18세기에 타이지라고 알려진 정교한 저수지와 수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건설했다.[6] 타이지는 광산이 폐쇄되는 것을 막았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 초기에 에너지를 제공했다.

1735년 사무엘 미코비니에 의해 설립된 광업 아카데미는 헝가리 왕국 최초의 광산 학교였다.[7] 1763년부터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지원을 받은 비엔나의 호프캄머는 이 학교를 광업 아카데미로 개조했다.[7] 1807년, "프란츠 1세 황제의 결정에 따라" 임업 연구소가 "설립"되었고,[8] 1848년에는 학교가 광업 및 임업 아카데미로 개명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기술 대학교'였다.[8] 1919년, 체코슬로바키아가 수립된 후 아카데미는 헝가리쇼프론으로 이전되었다.[8] 아카데미의 학생 전통(셀메크의 학교 전통)은 여전히 그 후계자인 미슈콜츠 대학교,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기술 대학교,[9] 및 쇼프론, 세르게스페헤르바르, 두너우이바로시의 대학에서 살아있다.

1782년,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브라티슬라바 (오늘날 브라티슬라바)와 데브레첸에 이어 헝가리 왕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23,192명 또는 교외 포함 40,000명).[10] 그러나 이 도시의 발전은 19세기 후반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한 광산 활동과 너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10]

2. 3. 광업 기술 발전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광산업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한 도시였다. 1627년, 세계 최초로 광산에서 화약이 사용되었다(프랑스 르 티요 이후).[7] 이는 광산 채굴 기술에 있어 획기적인 발전이었다.

18세기에는 타이지라고 불리는 정교한 저수지와 수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Jozef Karol Hell, Maximilian Hell, 사무엘 미코비니 등의 과학자들이 설계하고 건설한 이 시스템은 물에 잠긴 광산에서 물을 빼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광산 폐쇄를 막고 산업화 초기 에너지원으로 활용되었다.

1735년, 사무엘 미코비니는 헝가리 왕국 최초의 광산 학교인 광업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1763년,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지원으로 이 학교는 광업 아카데미로 승격되었다.[7] 1807년에는 임업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1848년에는 광업 및 임업 아카데미로 개명되어 '세계 최초의 기술 대학교'가 되었다.[8] 1919년 체코슬로바키아 건국 이후, 아카데미는 헝가리 쇼프론으로 이전되었다. 아카데미의 전통(셀메크의 학교 전통)은 미슈콜츠 대학교,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기술 대학교,[9] 쇼프론, 세르게스페헤르바르, 두너우이바로시의 대학에 계승되고 있다.

2. 4. 광업 학교 설립

1735년 사무엘 미코비니에 의해 광업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헝가리 왕국 최초의 광산 학교였다. 1763년부터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지원을 받은 비엔나의 호프캄머는 이 학교를 광업 아카데미로 개조했다.[7] 1807년, 프란츠 1세 황제의 결정에 따라 임업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1848년에는 학교가 광업 및 임업 아카데미로 개명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기술 대학교'였다.[8] 1919년, 체코슬로바키아가 수립된 후 아카데미는 헝가리쇼프론으로 이전되었다. 아카데미의 학생 전통(셀메크의 학교 전통)은 여전히 그 후계자인 미슈콜츠 대학교,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기술 대학교,[9] 및 쇼프론, 세르게스페헤르바르, 두너우이바로시의 대학에서 살아있다.

2. 5. 근현대

중세 성기와 중세 말기에 헝가리 왕국에서 은과 금의 주요 생산지였던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동안 상헝가리의 부유한 광산 도시들을 정복하려는 투르크족의 위협에 맞서 16세기에 두 개의 성을 포함한 강력한 요새를 건설했다.[6] 이 도시는 종교 개혁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반스카벨라, 반스카비스트리차, 크렘니차, 류비에토바, 노바바냐, 푸카네츠와 함께 프로테스탄트 "7개 광산 도시 연맹"에 속했다.

1627년에는 세계 최초로 광산에서 화약이 사용되었고,[6] 18세기에 Jozef Karol Hell, Maximilian Hell, 사무엘 미코비니 등의 과학자들이 타이지라는 정교한 저수지와 수로 시스템을 설계 및 건설하여 광산의 물을 빼내고 산업화 초기에 에너지를 제공했다. 1735년 사무엘 미코비니가 설립한 광업 아카데미는 헝가리 왕국 최초의 광산 학교였으며, 1763년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지원으로 광업 아카데미로 개조되었다.[7] 1807년에는 임업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1848년에는 광업 및 임업 아카데미로 개명되어 '세계 최초의 기술 대학교'가 되었다.[8] 1919년 체코슬로바키아 수립 후 아카데미는 헝가리쇼프론으로 이전되었으며, 그 전통은 미슈콜츠 대학교,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기술 대학교,[9] 쇼프론, 세르게스페헤르바르, 두너우이바로시의 대학에서 이어지고 있다.

1782년,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브라티슬라바데브레첸에 이어 헝가리 왕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으나, 19세기 후반부터 광산 활동이 감소하면서 도시 발전도 점차 쇠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5년 3월 7일 소비에트군 제53군에 의해 점령되었다.[10]

3. 주요 명소

트리니티 광장에서 바라본 도시 전경. 왼쪽은 "신성", 가운데는 1491년의 성 카타리나 교회


시청사


''Starý zámok''


반스카슈티아브니차의 주요 명소로는 페스트 기둥이 있는 삼위일체 광장(Trojičné námestiesk), '구 성'(슬로바키아어: ''Starý zámok'')과 '신 성'(Nový zámoksk), 야외 광산 박물관, 타이히(tajchysk)라고 불리는 고대 인공 광산 저수지, 성 카타리나 교회, 칼바리아 반스카슈티아브니차 등이 있다.[11]

3. 1. 삼위일체 광장

도시의 중심은 기념비적인 페스트 기둥이 있는 역사적인 삼위일체 광장(Trojičné námestiesk)이다. 이 광장은 잦은 문화 행사에 사용되며, 광물학 박물관도 있다.

3. 2. 구 성과 신 성

도시의 중심은 기념비적인 페스트 기둥이 있는 역사적인 삼위일체 광장(Trojičné námestiesk)이다. 이 광장은 잦은 문화 행사에 사용되며, 광물학 박물관도 있다.

소위 "구" 성(슬로바키아어: ''Starý zámok'')과 "신" 성(슬로바키아어: ''Nový zámok'') 두 개의 성은 박물관으로 바뀌었다.

3. 3. 야외 광산 박물관



야외 광산 박물관은 17세기부터 존재했던 광산에서 1.5km 길이의 지하 관광을 제공한다. 방문객은 투어 중에 사용할 헬멧, 망토 및 램프를 받게 된다.[11] 미리 요청하면 영어, 독일어 또는 헝가리어 가이드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에 공개된 또 다른 고대 광산(Glanzenbergsk)은 훨씬 더 오래되었다. 도시 바로 아래에 위치한 이 광산은 신성 로마 황제 요제프 2세부터 모나코 공 알베르 2세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유명 방문객을 끌어들였다.

3. 4. 타이히(Tajchy)

이 도시는 ''타이히''라고 불리는 고대 인공 광산 저수지로 둘러싸여 있다. 15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번창하는 광업 산업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60개의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이 저수지들은 100km 이상의 긴 수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이 특별한 역사적 기념물은 현재 주로 휴식을 위해 사용된다.

3. 5. 교회

성 카테리나 교회가 있다. 칼바리아 반스카슈티아브니차에는 18세기에 예수회가 ''오스트리 부르흐'' 근처에 건설한 교회와 예배당 단지가 있다.

4. 인구 통계

연도인구
19709,118
19809,342
199110,756
200110,874
201110,409
20219,628



2005년 12월 31일 기준 반스카슈티아브니차의 인구는 10,674명이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93.9%는 슬로바키아인이었고, 2%는 롬족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중세 도시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카르파티아 독일인의 후손이다. 종교 구성은 로마 가톨릭교 65%, 종교가 없는 사람 18.9%, 루터교 7.6%였다.[12][13][14]

5. 유명인


  • 요제프 카롤 헬(Jozef Karol Hell|요제프 카롤 헬영어), 헝가리 발명가 및 광산 기술자
  • 막시밀리안 헬(Maximilian Hell|막시밀리안 헬영어), 헝가리 천문학자
  • 데조 호프만(Dezső Hoffmann|데죄 호프만영어), 사진작가
  • 안드레이 크메티(Andrej Kmeť|안드레이 크메트영어), 과학자
  • 류도비트 라치니(Ľudovít Lačný|류도비트 라치니영어), 체스 문제 작곡가
  • 사무엘 미코비니(Samuel Mikovíny|사무엘 미코비니영어), 수학자, 엔지니어, 지도 제작자
  • 알렉산데르 피투크(Alexander Pituk|알렉산더 피투크영어), 헝가리 체스 문제 작곡가
  • 마그다 바샤료바(Magdaléna Vášáryová|마그달레나 바샤료바영어), 배우, 외교관
  • 울리카 바비아코바(Ulrika Babiaková|울리카 바비아코바영어), 천문학자
  • 안톤 히키쉬(Anton Hykisch|안톤 히키쉬영어), 작가, 외교관, 정치인
  • 니콜라우스 요제프 폰 자킨(Nikolaus Joseph von Jacquin|니콜라우스 요제프 폰 자킨영어), 오스트리아 과학자
  • 이레나 카뇨바(Irena Káňová|이레나 카뇨바영어), 정치인[16]
  • 도모코스 코사리(Domokos Kosáry|도모코스 코사리영어), 헝가리 역사가
  • 마스터 MS(Master MS|마스터 MS영어), 헝가리 화가
  • 에밀리아 바샤리오바(Emília Vášáryová|에밀리아 바샤리오바영어), 배우
  • 안드레이 슬라드코비치(Andrej Sládkovič|안드레이 슬라드코비치영어), 루터교 목사, 시인, 평론가, 언론인, 번역가

6. 자매 도시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

국가도시
스위스Hünenberg|휘넨베르크de
체코Moravská Třebová|모라브스카 트르제보바cs
폴란드Olsztynek|올슈테넥pl
슬로베니아프투이
헝가리Sopron|쇼프론hu
헝가리Tatabánya|터터바녀hu


7. 유네스코 세계유산

반스카슈티아브니차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구체적인 등재 기준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7. 1. 등록 기준


  • (4)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를 보여주는 건축, 건축의 총체, 도시 계획 또는 경관의 뛰어난 사례가 될 것.
  • (5) 특히 불가역적인 변화의 위협을 받고 있는 경우, 한 문화(또는 여러 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인간 정주지, 토지 이용 또는 해상 이용의 뛰어난 사례가 될 것.

참조

[1] 웹사이트 Hustota obyvateľstva - obce https://datacube.sta[...] 2024-02-08
[2] 웹사이트 Základná charakteristika http://datacube.stat[...]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2-03-31
[3] 웹사이트 Počet obyvateľov podľa pohlavia - obce (ročne) https://datacube.sta[...] 2024-02-08
[4] 웹사이트 SODB - Banská Štiavnica, 2011 https://udaje.statis[...]
[5] 웹사이트 SODB - Banská Štiavnica, 2011 https://udaje.statis[...]
[6] 웹사이트 Banská Štiavnica - Stredovek https://web.archive.[...] 2017-03-07
[7] 문서 Memorial plaque, Academy of Mining and Forestry.
[8] 웹사이트 Slovakia in the UNESCO Treasury - Banská Štiavnica http://www.cestaunes[...] Cestaunesco.sk 2013-03-26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lovak University of Technology in Bratislava http://www.stuba.sk/[...] 2014-05-05
[10] 웹사이트 www.soldat.ru https://www.soldat.r[...] 2021-09-18
[11] 웹사이트 Banské múzeum v prírode | Slovenské banské múzeum https://web.archive.[...] 2017-03-07
[12] 웹사이트 Statistical lexikon of municipalities 1970-2011 https://slovak.stati[...]
[13] 웹사이트 Census 2021 - Population - Basic results https://www.scitanie[...]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1-01-01
[14] 웹사이트 Municipal Statistics from the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Partnerské mestá https://web.archive.[...] Banská Štiavnica 2021-04-07
[16] 서적 Slovenský biografický slovník: od roku 833 do roku 1990 https://upload.wikim[...] Matica slovenská 1989
[17] UNESCO Memory of the World Archives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