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투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투이는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철기 시대 후반부터 켈트족이 정착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콜로니아로 승격되었으며, 450년 훈족에게 약탈당하기 전까지 4만 명의 인구가 거주했다. 이후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지배를 거쳐 프랑크 왕국에 편입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도시 특권을 부여받아 경제적으로 발전했다. 오스만 전쟁 중에는 격전지였으며, 19세기에는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 건설로 인구와 중요성이 감소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독일어 사용자가 많았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고, 슬로베니아인들이 추방된 후 독일인들이 거주했으며, 종전 후에는 슬로베니아인들이 다시 정착했다. 프투이는 봄에 열리는 카니발의 중심지이며, 쿠렌토바니예라는 고대 슬라브 신화 의식이 열린다. 주요 명소로는 프투이 성,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 등이 있으며, 주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리조트 - 모라우스케토플리체
    모라우스케토플리체는 슬로베니아의 온천 휴양지로, 테르메 3000과 테르메 비바트 온천, 청각 장애인 편의 시설을 갖춘 비바트 호텔, 그리고 루터교회가 위치해 있다.
  • 슬로베니아의 리조트 - 렌다바
    렌다바는 슬로베니아 북동부의 레다바 강에서 유래된 도시로, 과거 헝가리 왕국에 속했으며 유대인 공동체 역사와 렌다바 성을 지니고 습윤 대륙성 및 해양성 기후 특징을 가지며 헝가리 절러에게르세그와 자매 도시 관계이다.
  • 슬로베니아의 도시 - 마리보르
    마리보르는 슬로베니아 북동부 드라바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며 도시 특권 획득 후 성장, 합스부르크 왕가 지배,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재건을 거쳐 현재 슬로베니아의 주요 산업 및 문화 중심지로서 유럽 문화 수도 선정, 유서 깊은 건축물, 축제, 포호리예 산맥 겨울 스포츠를 자랑한다.
  • 슬로베니아의 도시 - 코페르
    코페르는 슬로베니아 남서부 코페르 만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로마 시대에는 'Insula Caprea' 또는 'Capro',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유스티노폴리스',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에는 'Caput Histriae'로 불렸으며, 현재는 슬로베니아 유일의 상업 항구이자 프리모르스카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 온천 마을 - 합살루
    합살루는 에스토니아 서해안의 도시로, 중세 시대 주교령 수도였으며, 진흙 치료와 차이콥스키의 방문으로 제정 러시아 귀족 휴양지로 발전했고, 현재는 역사 건축물과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 온천 마을 - 패르누
    패르누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에스토니아의 항만 및 관광 도시로, 여러 차례의 외세 지배를 거쳐 1918년 에스토니아에 귀속되었으며, 19세기 중반부터 휴양지로 발전했다.
프투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드라바 강 너머의 프투이 문화유산 지역
드라바 강 너머의 드라바 강 프투이 문화유산 지역
프투이 시청
프투이 시청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
쿠렌토바녜 카니발
쿠렌토바녜 카니발
미노리테 수도원
미노리테 수도원
프투이 성에서 바라본 프투이 남부 교외
프투이 성에서 바라본 프투이 남부 교외
공식 명칭Ptuj
다른 이름Pettau (독일어)
Poetovio/Poetovium (라틴어)
전통 지역슈타이어마르크
통계 지역드라바
행정 구역
지방 자치체프투이 시
정부
시장누슈카 가이셰크 (SD)
역사
최초 언급69년
도시 권한 획득1376년
설립자베스파시아누스
지리
면적25.6km2
해발 고도232m
인구 통계
인구 (2023년)17,98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오프셋+01
하계 시간 (DST)CEST
협정 세계시 오프셋 (DST)+02
기타 정보
우편 번호2250
차량 등록 번호MB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기타 언어 표기
독일어Pettau
라틴어Poetovio, Poetovium
헝가리어Potoly
이탈리아어Poetovio

2. 역사

프투이는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다.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철기 시대 후반부터 켈트족이 정착했다.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69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이곳에 주둔한 군단에 의해 로마 황제로 추대되면서 프투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한다.

1555년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에 편입되었으며,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중에 격전지였으며 1684년, 1705년, 1710년, 1744년에 화재를 겪었다. 19세기에는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의 -트리에스테 노선이 마리보르를 지나가면서 인구와 중요성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투이 구시가지 인구의 86%가 독일어를 사용했고, 주변 마을은 주로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면서 프투이는 단명한 독일 오스트리아 공화국에 포함되었다. 이후 루돌프 마이스터 슬로베니아 장군의 군사 개입으로 슈타이어마르크 전체 지역이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 (유고슬라비아)에 포함되었다.

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프투이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이 도시의 슬로베니아인 주민들은 쫓겨나거나 국외로 추방되었다. 1945년 이후, 프투이는 거의 완전히 슬로베니아인 주민들로 채워졌다.[8]

2. 1. 초기 역사

슬로베니아에서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도시 가운데 하나로,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철기 시대 후반부터 켈트족이 살았다. 기원전 1세기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되었고, 서기 69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이곳에서 로마 황제로 추대되었다. 같은 해 프투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한다. 당시 트라야누스 황제는 이 정착지에 콜로니아 지위를 부여하고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포에토비오'라고 명명했다.

450년 훈족에게 약탈당하기 전까지 인구는 4만 명에 달했다. 570년에는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게 점령되었다. 8세기 말 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840년부터 874년까지는 발라톤 공국에 속했다. 874년부터 890년까지는 잘츠부르크 대주교의 관할이었다. 1376년 도시 특권이 부여되면서 경제적 발전이 시작되었다. 1555년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에 병합되었다.[8]

2. 2. 로마 제국 시대

기원전 1세기 경, 이 정착지는 고대 로마의 판노니아 속주 일부로 통제되었다. 서기 69년, 베스파시아누스는 프투이에서 다뉴브 군단에 의해 로마 황제로 선출되었으며, 프투이 도시가 처음으로 언급된 기록도 같은 해에 등장한다. ''포에토비움''은 제13 ''쌍둥이'' 군단의 기지였으며, 이곳에 군단 요새 또는 ''카스트라''가 있었다. 이 이름은 황제 트라야누스 시대에 유래되었으며, 그는 103년에 이 정착지에 도시 지위를 부여하고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니아 포에토비오''라고 명명했다. 교부 문학가 빅토리누스는 303년 또는 304년 순교하기 전에 포에토비움의 주교였다. 카이사르 콘스탄티우스 갈루스는 354년 폴라에서 처형되기 전에 포에토비움에서 황제의 옷을 벗고 체포되었다.[2] 포에토비움 전투는 388년 테오도시우스 1세가 찬탈자 막시무스를 상대로 승리한 전투였다.

이 도시는 450년 훈족에게 약탈당하기 전까지 4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2]

2. 3. 중세 시대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프투이는 철기 시대 후반부터 켈트족이 정착했다.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69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이곳에 주둔한 군단에 의해 로마 황제로 추대되면서 프투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한다. 당시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103년에 프투이에 식민시 특권을 부여하고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포에토비오라고 명명했다. 450년 훈족에게 약탈당하기 전까지 4만 명의 인구가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8]

570년,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이 도시를 점령했다.[8] 8세기 말 아바르족 국가가 붕괴되면서 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2] 840년부터 874년까지는 프리비나와 코첼이 통치한 슬라브계 발라톤 공국에 속했다. 874년부터 890년 사이에는 잘츠부르크 대주교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으며,[2] 1376년 도시 권리를 부여받아 경제가 부흥하기 시작했다.

1555년, 독일어 명칭 페타우로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에 병합되었다.[8] 오스만 제국의 유럽 침략 시기에는 전장이 되기도 했으며, 1684년, 1705년, 1710년, 1744년에 큰 화재를 겪기도 했다.[8]

2. 4. 근세 시대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철기 시대 후반부터 켈트족이 살았다.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69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푸투이에 주둔한 그의 보병 군단에 의해 로마 황제로 선출되었고, 푸투이 마을에 대해 처음 기록된 것도 같은 해부터이다. 당시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이 정착지에 식민시(콜로니아) 특권을 부여하고, 103년에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포에토비오라고 명명했다. 450년에 훈족에게 약탈당하기 전까지, 이 도시에는 4만 명의 인구가 있었다.

570년, 이 도시는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게 점령되었다. 푸투이는 8세기 말 아바르족 국가가 붕괴되면서 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840년부터 874년까지는 프리비나와 그의 아들 코첼이 2대에 걸쳐 통치한 슬라브족 국가 발라톤 공국에 속했다. 874년부터 890년까지 푸투이는 점차 잘츠부르크 대주교 관할 아래로 들어갔다. 도시로서의 특권은 1376년에 부여되었고, 정착지의 경제적 발전이 시작되었다. 1555년에는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에 병합되었다.[8]

페타우(프투이)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침략 시기에 전장이 되었으며, 1684년, 1705년, 1710년, 1744년에 대화재를 겪었다.[8] 그 인구와 중요성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의 트리에스테 구간이 완성된 후, 그 노선이 마리보르까지 연장되었다.

1910년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푸투이 구시가지 인구의 86%가 독일어 사용자인 반면, 주변 마을은 압도적으로 슬로베니아어 사용자가 많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된 후, 페타우는 단명 국가 도이치-오스트리아 공화국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슬로베니아인 장군 루돌프 마이스터의 군사적 개입 이후, 운터슈타이어마르크 지방 전체가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 (후의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포함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푸투이로 개명한 도시에 살던 자신을 독일인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비교적 강력한 소수 독일인이 잔류했음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감소했다.

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푸투이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이 도시의 슬로베니아인 주민들은 쫓겨나거나 국외로 추방되었다. 그들의 집은 남티롤과 고트셰 지방 (크라니스카 지방)에서 온 독일어 사용자들이 차지했다. 그들은 아돌프 히틀러베니토 무솔리니의 합의에 의해, 조상의 땅에서 쫓겨났던 것이다. 이들 신규 독일인 이민자들은, 현지 출신 자칭 페타우어(Pettauer, 페타우인)인 독일인과 마찬가지로, 1945년의 독일인 추방으로 오스트리아로 쫓겨났다. 대부분은 이후 북미로 이주했다.

1945년 이후, 푸투이는 거의 완전히 슬로베니아인 주민들로 채워졌다.

2. 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와 유고슬라비아

1555년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에 편입되었다.[2]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중에 격전지였으며 1684년, 1705년, 1710년, 1744년에 화재를 겪었다.[2] 19세기에는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의 -트리에스테 노선이 마리보르를 지나가면서 인구와 중요성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투이 구시가지 인구의 86%가 독일어를 사용했고, 주변 마을은 주로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다.[3]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면서 프투이는 단명한 독일 오스트리아 공화국에 포함되었다. 이후 루돌프 마이스터 슬로베니아 장군의 군사 개입으로 슈타이어마르크 전체 지역이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 (유고슬라비아)에 포함되었다. 전간기 동안, 프투이로 개명된 이 도시에서 독일계로 정체성을 밝히는 사람들의 수와 비율은 빠르게 감소했지만, 비교적 강력한 독일계 소수 민족은 남아있었다.

2. 6.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프투이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이 도시의 슬로베니아인 주민들은 쫓겨나거나 국외로 추방되었다.[8] 그들의 집은 아돌프 히틀러베니토 무솔리니의 합의에 의해 조상의 땅에서 쫓겨난 남티롤과 지방 (크라니스카 지방) 출신 독일어 사용자들이 차지했다. 이들 신규 독일인 이민자들은, 현지 출신 자칭 페타우어(Pettauer, 페타우인)인 독일인과 마찬가지로, 1945년 독일인 추방으로 오스트리아로 쫓겨났으며, 대부분 이후 북아메리카로 이주했다.[8]

1945년 이후, 푸투이는 거의 완전히 슬로베니아인 주민들로 채워졌다.[8]

3. 문화

쿠렌티 (프투이)


프투이는 봄에 열흘 동안 열리는 카니발 행사이자, 고대 슬라브 신화의 봄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인 쿠렌토바니예의 중심지이다.

3. 1. 쿠렌토바니예 (코란토바니예)

프투이는 봄에 열흘 동안 진행되는 카니발의 중심지이며, 고대 슬라브 신화의 봄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인 쿠렌토바니예 또는 코란토바니예가 열리는 곳이다. 쿠렌트는 고대 쾌락주의의 신, 즉 그리스 신 프리아포스에 해당하는 슬라브 신의 이름으로 여겨지지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쿠렌트 또는 코란트는 양털 가죽을 입고 가면, 긴 붉은 혀, 쇠고리, 그리고 머리에는 여러 색깔의 리본을 착용한 인물이다. 프투이와 인근 마을의 쿠렌트들은 깃털을 착용하며, 할로제와 란초바 바스 출신들은 뿔을 착용한다. 쿠렌트들은 무리를 지어 마을을 돌아다니며, 집집마다 방문하여 종과 나무 막대기로 소리를 내어 악령과 겨울을 상징적으로 쫓아낸다.

4. 주요 명소

프투이 시청


타워 및 극장


프투이의 본당 교회는 성 게오르기우스에게 봉헌되었으며 마리보르 로마 가톨릭 대교구에 속한다. 13세기와 14세기 초에 지어진 세 개의 신도로 이루어진 고딕 건축물이지만, 이 구조는 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훨씬 더 오래된 구조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4]

  • 프투이 성 - 12세기에 헝가리인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워졌다.[9] 마을을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있으며, 마을의 상징이 되었다.
  •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
  • 작은 성
  • 프투이 시청
  • 프투이 시립 극장
  • 타워
  • 도미니크 수도원
  • 오르페우스 기념비
  • 프란체스코 수도원
  • 어퍼 맨션
  • 성 오스왈드 교회

5. 도시 구역

프투이의 도시 구역과 인구
도시 구역인구
센터3681
브레그-투르니슈체3743
류드스키 브르트5903
예제로1581
파노라마2072
로고즈니차3867
그라예나2390
스푸할랴872


6. 교통


  • '''철도'''

:* 프투이 역 - 프라게르스코-스레디스체 선

  • '''항공'''

:* 가장 가까운 공항은 프투이 스포츠 공항으로 시에서 7km 떨어져 있으며, 마리보르 에드바르드 루시얀 공항은 18km 떨어져 있다.

7. 자매 도시

도시국가체결 연도
아란젤로바츠Aranđelovac|아란젤로바츠sr
반스카슈티아브니차Banská Štiavnica|반스카슈티아브니차sk2002
부르크하우젠Burghausen|부르크하우젠de2001
오흐리드Охрид|오흐리드mk2006
생시르쉬르루아르Saint-Cyr-sur-Loire|생시르쉬르루아르프랑스어1998
바라주딘Varaždin|바라주딘hr2004


8. 저명한 출신 인물


  • 브리지타 브레조바츠 (1979년 출생), 보디빌더
  • 나스티야 체흐 (1978년 출생), 슬로베니아 국가대표 축구 선수
  • Laris Gaiser|라리스 가이세르sl (1977년 출생), 지정학 분석가이자 국제 관계 전문가
  • 팀 가이세르 (1996년 출생), 모토크로스 레이서
  • 루이지 카시미르 (1881−1962), 예술가
  • 벤카 풀코 (1967년 출생), 장거리 오토바이 여행가, 작가, 사진 작가, 인도주의자,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자
  • 미하 레메츠 (1920−2020), SF 작가
  • 안젤라 살로커 (1913−2006), 배우
  • 알야즈 스코르야네츠 (1990년 출생), 댄서 및 안무가
  • 빅토르 스크라바르 (1877–1938), 변호사이자 고고학자[5][6]
  • 알레시 스테게르 (1973년 출생), 시인
  • 페타우의 빅토리아누스 (303년 사망), 주교이자 순교자
  • 데얀 자베츠 (1976년 출생), 권투 선수

참조

[1] 뉴스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POETOVIO (Ptuj) Yugoslavia. https://www.perseus.[...] 2017-06-25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tuj http://www.ptuj-tour[...] 2006-11-08
[3] 서적 Leksikon občin kraljestev in dežel zastopanih v državnem zboru, vol. 4: Štajersko C. Kr. Dvorna in Državna Tiskarna 1904
[4] 웹사이트 Slovenian Ministry of Culture register of national heritage http://rkd.situla.or[...]
[5] 웹사이트 Skrabar, Viktor (1877–1938) https://www.slovensk[...] Slovenska akademija znanosti in umetnosti 2023-09-23
[6] 뉴스 130 let Pokrajinskega muzeja Ptuj – Ormož: Povod za nastanek je bil ohranitev arheološke zbirke https://www.rtvslo.s[...] 2023-09-23
[7] 뉴스 LETTERS; Clouds saved the bridge in historic Ptuj http://pqasb.pqarchi[...] Los Angeles Times 2005-07-31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tuj http://www.ptuj-tour[...] 2006-11-08
[9]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