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스카비스트리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슬로바키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광산"을 의미하는 슬로바키아어 '반스카'와 "급류"를 뜻하는 '비스트리차'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구리 광산으로 번성했으나 현재는 관광, 목재, 기계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며, 슬로바키아 국립 우체국과 국립 산림 서비스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1920년 공식 도시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의 중심지였다. 마테이 벨 대학교가 위치한 교육 도시이며, 4개의 극장, 박물관, 스포츠 시설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R1 고속도로, 철도, 대중교통을 통해 슬로바키아 내 다른 지역 및 유럽 여러 도시와 연결되며, 시장과 시의회가 통치하는 슬로바키아의 행정 중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도시 - 브라티슬라바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오스트리아, 헝가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유럽의 유일한 수도이며, 도나우 강을 따라 발달하여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슬로바키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슬로바키아의 도시 - 질리나
질리나는 슬로바키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208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1321년 자유 왕립 도시가 되었으며, 기아 자동차 공장과 질리나 대학교가 있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이자 2026년 유럽 문화 수도 후보 도시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반스카비스트리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공식 명칭 | 반스카비스트리차 |
원어 명칭 | Banská Bystrica |
어원 | 채굴 개울 |
별칭 | (정보 없음) |
행정 구역 | |
국가 | 슬로바키아 |
지역 | 반스카비스트리차 주 |
구역 | 반스카비스트리차 구 |
지리 정보 | |
면적 | 103.38km² |
해발 고도 | 368m |
인구 통계 | |
인구 (2022년) | 74,59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거주민 | (정보 없음) |
정치 및 행정 | |
시장 | 얀 노스코 |
시간대 | |
시간대 | CET (+1) |
하계 시간대 | CEST (+2) |
기타 정보 | |
최초 언급 | 1255년 |
우편 번호 | 974 01 |
지역 번호 | +421 48 |
차량 번호판 | BB |
웹사이트 | eng.banskabystrica.sk |
2. 어원
슬로바키아어 지명 "반스카비스트리차"는 "광산"을 뜻하는 "반스카"와 "급류"를 뜻하는 "비스트리차"가 합쳐진 이름이다.[5][6] 1255년 헝가리 국왕 벨라 4세가 부여한 문서에 라틴어 이름 ''빌라 노바 비스트리체''(Villa Nova Bystrice)로 처음 등장했으며,[8][9][10] 16세기 말까지 여러 변형된 이름으로 불렸다. 초기 정착민들이 즈볼렌에서 온 영향으로 고대 고지 독일어 이름 ''노이졸''(Neusohl)과 라틴어 버전 ''네오솔리움''(Neosolium)도 함께 사용되었다. 16세기 말부터 광산을 뜻하는 형용사가 자주 사용되면서 현재 이름 형태로 진화했고, 1773년 ''반스카 비스트리차''(Banska Bystrica)로 처음 기록되었다. 오스트리아 제국 시기에는 독일어 이름 ''노이졸''이,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에는 헝가리어 이름 ''베스테르체바냐''(Besztercebánya)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1920년 최종적으로 "반스카비스트리차"가 도시의 공식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2. 1. 이름의 기원
슬로바키아어 지명 "반스카비스트리차"(Banská Bystrica)는 두 개의 어근을 포함한다. 슬로바키아어 ''바냐''(baňa)에서 유래한 형용사 ''반스카''(Banská)는 "광산"을 의미하며,[5] 지역 강 이름인 비스트리차(Bystrica) (슬라브어 ''비스트리차'' - "급류")에서 유래되었다.[6] 헝가리어 이름 베스테르체바냐|Besztercebányahu 또한 ''베스테르체'' 강(슬라브어 비스트리차의 이름에서 유래)에서 유래되었으며, 접미사 ''바냐''(bánya)는 이 도시의 광산과 관련이 있다.[7] 이 강은 1255년에 이미 도시의 이름을 빌려주었는데, 그때 라틴어 이름 ''빌라 노바 비스트리체''(Villa Nova Bystrice) ( "비스트리차의 새로운 도시"를 의미)가 헝가리 국왕 벨라 4세가 이 도시에 왕실 특권을 부여한 문서에 기록되었다.[8][9][10]이후, 16세기 말까지 광산 도시임을 나타내는 형용사 없이 여러 변형된 이름(Byztherze, Bystrice, Bystrzice 등)이 정기적으로 사용되었다. ''Byzterchebana''라는 이름의 첫 번째 기록은 1263년에 기록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11] 고대 고지 독일어 이름 ''노이졸''(Neusohl) ("새로운 즈볼렌", 1300년에 처음 기록됨)과 이후 라틴어 버전(''네오솔리움''(Neosolium))은 일부 초기 정착민들이 인근 도시 즈볼렌 (당시 독일어로 ''알트소흘''(Altsohl), 문자 그대로 "오래된 즈볼렌"으로 알려짐)에서 왔다는 사실을 반영했다. 두 이름은 도시 역사 전체에서 병행적으로, 심지어 보완적으로 사용되었다(예: ''노비졸리 비스트리치엔시스''(Novizolii Bistriciensis)). 16세기 말에 광산 형용사의 사용이 더 빈번해졌다(예: ''비스트르지체 나 바니에흐''(Bystrzicze na baniech) 또는 ''비스트리체 반스카''(Bystricze Banska), 둘 다 1530년).[11] 이러한 진화의 결과로 현재의 이름 형태가 되었으며, 1773년에 처음 ''반스카 비스트리차''(Banska Bystrica)로 기록되었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까지 독일어 이름 ''노이졸''(Neusohl)이 사용되었고, 그 이후 헝가리어 이름 ''베스테르체바냐''(Besztercebánya)가 공식 이름이 되었다.[12] 그러나 기록에서 슬로바키아어 또는 독일어 이름의 병행 사용은 이 기간에 중단되지 않았다.[18] ''반스카 비스트리차''(Banská Bystrica)는 1920년에 이 도시의 공식 이름이 되었다.
2. 2. 이름의 변천
슬로바키아어 지명 반스카비스트리차(Banská Bystrica)는 슬로바키아어 ''바냐''(baňa, "광산")에서 유래한 형용사 ''반스카''(Banská)와[5] 지역 강 이름인 비스트리차(Bystrica, 슬라브어 ''비스트리차'' - "급류")에서 유래한 두 개의 어근을 포함한다.[6] 헝가리어 이름 베스테르체바냐hu 또한 ''베스테르체'' 강(슬라브어 비스트리차에서 유래)에서 유래되었으며, 접미사 ''바냐''(bánya)는 이 도시의 광산과 관련이 있다.[7] 1255년 헝가리 국왕 벨라 4세가 이 도시에 왕실 특권을 부여한 문서에 라틴어 이름 ''빌라 노바 비스트리체''(Villa Nova Bystrice, "비스트리차의 새로운 도시")가 기록되면서, 이 강은 이미 도시의 이름을 빌려주었다.[8][9][10]16세기 말까지 광산 도시임을 나타내는 형용사 없이 여러 변형된 이름(Byztherze, Bystrice, Bystrzice 등)이 정기적으로 사용되었다. 1263년에 ''Byzterchebana''라는 이름이 처음 기록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11] 고대 고지 독일어 이름 ''노이졸''(Neusohl, "새로운 즈볼렌", 1300년에 처음 기록됨)과 이후 라틴어 버전(''네오솔리움''(Neosolium))은 일부 초기 정착민들이 인근 도시 즈볼렌(당시 독일어로 ''알트소흘''(Altsohl), 문자 그대로 "오래된 즈볼렌")에서 왔다는 사실을 반영했다. 두 이름은 도시 역사 전체에서 병행, 보완적으로 사용되었다(예: ''노비졸리 비스트리치엔시스''(Novizolii Bistriciensis)). 16세기 말에 광산 형용사의 사용이 더 빈번해졌다(예: ''비스트르지체 나 바니에흐''(Bystrzicze na baniech) 또는 ''비스트리체 반스카''(Bystricze Banska), 둘 다 1530년).[11] 1773년 처음 ''반스카 비스트리차''(Banska Bystrica)로 기록된 현재의 이름 형태는 이러한 진화의 결과이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까지 독일어 이름 ''노이졸''(Neusohl)이 사용되었고, 그 이후 헝가리어 이름 ''베스테르체바냐''(Besztercebánya)가 공식 이름이 되었다.[12] 그러나 이 기간에도 슬로바키아어 또는 독일어 이름의 병행 사용은 중단되지 않았다.[18] 1920년에 ''반스카 비스트리차''(Banská Bystrica)가 이 도시의 공식 이름이 되었다.
3. 역사
반스카비스트리차는 구리 매장량이 풍부하여 초기 역사가 시작되었다. 스퍄니아 돌리나에서 기원전 2000~1700년경의 선사 시대 도구가 발견되었다.[13] 이후 루사티안 문화, 켈트 부족, 게르만 부족 등이 거주했다.
현재의 도시는 슬라브 정착지를 기반으로 헝가리 왕국에 편입되었다. 1255년 벨라 4세는 도시에 특권을 부여했고, 독일 이민자들이 이주해 오면서 광업 중심지로 번성했다. 1494년 푸거 가문과 투르초 가문이 "웅가리셔 한델" 회사를 설립, 세계적인 구리 생산 업체로 성장했다.[19]
16세기에는 개신교 종교 개혁의 중심지가 되었고, 종교의 자유와 자치권을 위해 합스부르크 왕가, 오스만 제국 등과 맞서 싸웠다. 1620년 가브리엘 베틀렌이 헝가리 왕으로 선출되었다. 1655년 라드반에서 연례 박람회가 시작되었다. 18세기에는 구리 산업이 쇠퇴했지만, 다른 산업들이 발전하면서 졸욤 주 수도, 로마 가톨릭 주교직 소재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시립 병원, 극장, 박물관 등이 설립되고 철도가 연결되며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 중심지였으며, 전쟁 후 중부 슬로바키아 중심 도시로 성장했다. 1992년 마테이 벨 대학교가 설립되었고, 1993년 슬로바키아 독립 후 현재에 이른다.
3. 1. 고대와 중세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초기 역사는 구리 매장량(은, 금, 철 등도 소량 포함) 채굴과 관련이 깊다. 스퍄니아 돌리나 지역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도구들은 기원전 2000~17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13] 루사티안 문화 사람들이 스퍄니아 돌리나, 호르네 프르샤니, 말라호프, 사소바 등에 정착촌을 건설했다. '흐라도크'라는 지명은 고대 언덕 요새가 있던 자리임을 나타내며, "작은 요새(성)"를 의미한다.[14] 기원전 3세기에는 켈트 부족인 코티니 (푸코프 문화)가 이 지역에 거주했다. 게르만 부족 콰디는 로마 시대에 이곳을 점령하고 '네토피에르스카 야스키냐'(박쥐 동굴) 등에 은 유물을 남겼다.현재의 도시는 이전 슬라브 정착지를 기반으로 건설되었다.[14] 카르파티아 분지의 헝가리 정복 이후 헝가리 왕국 졸욤 주에 편입되었다. 13세기 전반, 색슨족 이민자들이 최초의 석조 교회를 건설했으며, 당시 이 지역은 왕에게 속해 있었고 사소바는 독립적인 정착지였다.[15] 슬로바키아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반스카비스트리차는 9세기에 영구적인 정착지로 시작되었다. 1255년 헝가리 왕 벨라 4세는 숙련된 정착민 유치를 위해 반스카비스트리차에 광범위한 도시 특권을 부여했다.[15][16] 이 지역으로 이주한 독일 이민자들의 후손은 카르파티아 독일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도시는 지역 광업 중심지로 번성했다.[16][19] 13세기 후반에는 성모 마리아의 후기 로마네스크 건축 교회가 건설되었다. 같은 시기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아르파드 왕조 문장에서 영감을 얻은 자체 문장을 획득했다.[8][17] 지역 장인들은 50개의 길드로 조직되었으며, 육가공업자 길드가 가장 오래되었다.[18]
부유한 푸거 가문과 투르초 가문은 1494년에 "웅가리셔 한델"(헝가리 무역) 회사를 설립했다. 반스카비스트리차 주변 광산에 의존한 이 회사는 16세기까지 세계 최고의 구리 생산 업체로 성장했다.[19] "웅가리셔 한델"은 유럽에서 가장 정교한 채굴 기술, 진보된 회계 시스템, 1,000명의 직원에게 건강 관리를 포함한 혜택을 제공하는 초기 자본주의 기업 중 하나였다.[19][20]
3. 2. 근세
반스카비스트리차는 16세기에 헝가리 왕국에서 개신교 종교 개혁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21] 이 도시는 종교의 자유를 위해 오스트리아 로마 가톨릭 합스부르크 왕가와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고, 헝가리 왕국의 강력한 귀족에 맞서 자치권을 위해 노력했다.[21] 오스만 제국이 북쪽으로 진출하면서 1589년에 도시의 요새를 현대적인 석조 벽으로 개선했지만, 터키군은 이 지역을 점령하지 못했다.[18] 1620년, 트란실바니아 공국 (1570–1711)의 개신교도 가브리엘 베틀렌 공작은 반스카비스트리차에서 열린 헝가리 의회에서 헝가리 왕으로 선출되었다.현재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자치구인 라드반 마을은 1655년에 연례 박람회(''라드반스키 야르모크'')를 개최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 박람회는 20세기에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주요 광장으로 옮겨졌다. 18세기에는 구리 매장량이 거의 고갈되었지만, 목재, 종이, 섬유와 같은 새로운 산업이 발전했다. 1766년에 이 도시는 졸욤 주의 수도가 되었으며,[16] 1776년에는 로마 가톨릭 주교직 소재지가 되었다.[18]
3. 3. 근대와 현대
19세기에는 영구적인 시립 병원(1820년), 시립 극장(1841년), 시립 박물관(1889년)이 설립되는 등 공공 서비스가 확장되었다. 1873년에는 즈볼렌에서 이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가 개통되었다.[16]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패배한 후, 반스카비스트리차는 1920년 트리아농 조약에 의해 헝가리 왕국의 북부 전체와 함께 체코슬로바키아에 넘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슬로바키아에서 반나치 저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1944년 8월 29일 유럽에서 가장 큰[22] 반나치 저항 사건 중 하나인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가 이 도시에서 시작되었다.[16] 반군은 10월 27일에 패배했으며,[23] 반스카비스트리차는 1945년 3월 26일 소련 및 루마니아 군대에 의해 해방되기 전에 잠시 독일군에 점령되었다.[18]
전쟁 후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중부 슬로바키아의 행정, 경제,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1950년대부터 대학 도시가 되었으며, 1992년에는 마테이 벨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벨벳 이혼으로 분리된 후, 슬로바키아 영토가 되었다.
4. 지리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온대 대륙성 기후대에 위치하며, 4계절이 뚜렷하다. 덥고 습한 여름과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 사이의 큰 변동이 특징이다.[26] 연평균 강수량은 714.9mm이다.
4. 1. 위치
반스카비스트리차는 해발 362m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103.37km2이다.[24] 브라티슬라바에서 북동쪽으로 208km, 코시체에서 서쪽으로 217km 떨어져 있어 슬로바키아의 두 개의 가장 큰 도시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남쪽으로 20km 떨어진 곳에는 또 다른 주요 도시인 즐레논이 있다.반스카비스트리차는 흐론 강(Pohroniesk)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흐론 강은 도시를 동쪽에서 남쪽으로 굽이쳐 흐른다. 이 도시는 북동쪽의 낮은 타트라 산맥, 북서쪽의 벨카 파트라, 서쪽의 크렘니차 산맥 등 세 개의 산맥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세 곳 모두 환경적 가치로 인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낮은 타트라 국립공원 본부가 반스카비스트리차에 있다. 이러한 산맥이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풍경은 인기 있는 휴양 장소인 510m 높이의 우르핀 산이 지배하고 있다.[25]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온대 기후대에 위치하며, 뚜렷한 4계절을 가진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덥고 습한 여름과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 사이의 큰 변동이 특징이다.[26]
4. 2. 기후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온대 대륙성 기후대에 위치하며, 4계절이 뚜렷하다. 덥고 습한 여름과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 사이의 큰 변동이 특징이다.[26] 연평균 강수량은 714.9mm이다.
5. 인구
2013년,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인구는 79,368명으로 슬로바키아에서 6번째로 큰 도시였다.[24][4] 2005년 기준으로 인구 밀도는 제곱킬로미터당 790명이었다.[29]
인구는 15세 미만 13.2%, 생산 연령(여성 15~54세, 남성 15~59세) 68.2%, 생산 후 연령(여성 54세 이상, 남성 59세 이상) 18.6%로 분포되어 있었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89.5명이었다. 2005년에는 사망자 수(727명)가 출생자 수(673명)보다 많았고, 순이동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인구가 소폭 감소(423명)했다.[24] 2001년 기준 기대 수명은 75.1세로, 유럽 연합의 평균 기대 수명과 거의 비슷했다.[4]
5. 1. 인구 변화
반스카비스트리차는 18세기 초 2천여 명에서 20세기 말 8만여 명으로 크게 증가했으나, 21세기 들어 인구가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2013년에는 79,368명으로 슬로바키아에서 6번째로 큰 도시였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종교 구성은 로마 가톨릭 교회 46.6%, 종교 없음 30.2%, 루터교 13.9%였다. 민족 구성은 슬로바키아인 94.7%, 체코인 1.4%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카르파티아 독일인, 헝가리인, 유대인 소수 민족도 거주했었다.
연도 | 슬로바키아인 | 독일인 | 헝가리인 |
---|---|---|---|
1715년 | 1,899명 | 873명 | 279명 |
1850년 | 4,221명 | 978명 | 44명 |
1910년[31] | 4,388명 | ? | 5,261명 |
1919년 | 8,265명 | 406명 | 1,565명 |
2001년 | 78,700명 | 53명 | 446명 |
5. 2. 인구 구성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인구는 83,056명이었다. 이 중 94.74%가 슬로바키아인이었고, 1.39%는 체코인, 0.54%는 헝가리인이었다.[72] 종교 구성은 로마 가톨릭 교회 신자가 46.57%, 무교인이 30.17%, 루터교 신자가 13.94%였다.[72]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카르파티아 독일인, 헝가리인, 유대인 등이 상당수 거주했으며, 이들 중 다수는 슬로바키아어, 독일어, 헝가리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었다.[39] 유대인들은 도시 출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라드반에 거주했다. 1867년에 건립된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유대교 회당은 1983년에 철거되었다.
민족별 역사적 인구[29] | |||
연도 | 슬로바키아인 | 독일인 | 헝가리인 |
---|---|---|---|
1715 | 1,899 | 873 | 279 |
1850 | 4,221 | 978 | 44 |
1910[31] | 4,388 | ? | 5,261 |
1919 | 8,265 | 406 | 1,565 |
2001 | 78,700 | 53 | 446 |
6. 경제
과거 반스카비스트리차는 구리 광산으로 번영했지만, 현재 지역 경제의 가장 중요한 분야는 관광, 목재, 기계 산업이다.[4] 슬로벤스카 포슈타(공공 우편 서비스)와 레시 SR(국립 산림 서비스) 등 슬로바키아의 주요 기관들이 반스카비스트리차에 본사를 두고 있다.[32]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즈볼렌 및 인근 지방 자치 단체와 협력하여 슬로바키아의 주요 수도권 중 하나를 공동 개발할 계획을 추진했다.[33] 시의 경제 개발 전략은 반스카비스트리차를 관광, 서비스, 행정 및 기업가 정신의 지역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33]
2001년 1인당 GDP는 3643EUR로 슬로바키아 평균(4400EUR)보다 낮았다.[4] 2004년 반스카비스트리차 주의 1인당 GDP는 PPP 10148.7유로로 슬로바키아 평균(PPP 12196.2유로)보다 낮았다.[34] 2006년 12월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실업률은 6.2%로 전국 평균(9.4%)보다 낮았다.[35]
이 도시는 이상(약 3300만유로)의 균형 예산을 가지고 있으며, 의 소규모 적자를 기록했다.[38] 예산의 5분의 1 이상이 투자에 사용되었으며,[38] 가장 큰 수입원은 개인 소득세(2006년 )이다.[38]
6. 1. 과거
과거 반스카비스트리차의 번영은 구리 광산에서 비롯되었지만, 현재 지역 경제의 가장 중요한 분야는 관광, 목재, 기계 산업이다.[4]6. 2. 현재
과거 반스카비스트리차는 구리 광산으로 번영했지만, 현재는 관광, 목재, 기계 산업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분야이다.[4] 슬로벤스카 포슈타(공공 우편 서비스)와 레시 SR(국립 산림 서비스) 등 슬로바키아의 주요 기관들이 반스카비스트리차에 본사를 두고 있다.[32]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즈볼렌 및 인근 지방 자치 단체와 협력하여 슬로바키아의 주요 수도권 중 하나를 공동 개발할 계획을 추진했다.[33] 시의 경제 개발 전략은 반스카비스트리차를 관광, 서비스, 행정 및 기업가 정신의 지역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33]2001년 1인당 GDP는 3643EUR로 슬로바키아 평균(4400EUR)보다 낮았다.[4] 2004년 반스카비스트리차 주의 1인당 GDP는 구매력 평가(PPP) 기준 10148.7유로로 슬로바키아 평균(PPP 12196.2유로)보다 낮았다.[34] 2006년 12월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실업률은 6.2%로 전국 평균(9.4%)보다 낮았다.[35]
이 도시는 이상(약 3300만유로)의 균형 예산을 가지고 있으며, 의 소규모 적자를 기록했다.[38] 예산의 5분의 1 이상이 투자에 사용되었으며,[38] 가장 큰 수입원은 개인 소득세(2006년 )이다.[38]
7. 문화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역사적 기념물 대부분은 도시 중심부의 SNP 광장(Námestie SNPsk) 근처에 모여있다. 이 광장은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다. 광장에는 1552년에 지어진 시계탑이 있는데, 수직에서 40cm 벗어나 기울어진 탑으로 알려져 있다.[18] 18세기에는 흑사병을 이겨낸 것에 대해 성모 마리아에게 감사하는 의미로 페스트 기둥이 세워졌다. 이 기둥은 1964년 니키타 흐루쇼프 방문 당시 종교적 상징물이라는 이유로 일시 철거되기도 했다.[39]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대성당은 로마 제수 교회를 본떠 만든 것으로, 1776년부터 반스카 비스트리차 로마 가톨릭 교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18] 광장에는 아르 누보 분수와 1945년 도시 해방 중 사망한 소련 군인을 기리는 검은 오벨리스크 등 여러 기념물이 있다.
광장과 주변 거리에는 고딕 건축, 르네상스 건축, 바로크 건축 양식의 귀족 저택과 부유한 부르주아 주택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베니키 하우스와 투르조 하우스가 대표적이며, 투르조 하우스에는 지역 고고학 유물과 고딕 프레스코를 소장한 박물관이 있다.[18] 시내 중심가 건물들은 대부분 고급 상점, 레스토랑, 카페로 사용되고 있으며,[39] SNP 광장은 1994년에 재건되었다.[39]
SNP 기념관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탱크, 포병, 항공기, 장갑 열차 등 군사 장비들이 전시되어 있다.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주변에 잘 조성된 하이킹 코스를 갖추고 있으며, 겨울에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다운힐 스키를 즐길 수 있는 도노발리를 포함한 여러 스키 리조트가 있어 겨울 스포츠 애호가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특히 도노발리는 개썰매 경주로 유명하다.
이 도시는 1895년에 출판된 칼만 믹사트의 소설 성 베드로의 우산의 배경이기도 하다.
1959년에는 처음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영화 페스티벌이 반스카비스트리차에서 열렸으나, 공산당의 검열로 인해 여러 영화가 상영 금지되기도 했다.[52]
반스카비스트리차에는 성인 4개, 어린이 3개의 민속 앙상블이 활동하며,[53] 슬로바키아 민속 전통, 특히 민속 음악을 보존하고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1957년에 설립된 우르핀 민속 앙상블과 마테이 벨 대학교 소속의 믈라도스트 민속 앙상블이 대표적이다.[54][55]
7. 1. 극장
반스카비스트리차에는 4개의 극장이 있다. 1959년에 설립된 국립 오페라(Štátna opera v Banskej Bystricisk)는 여러 명의 디바를 배출했으며, 에디타 그루베로바가 가장 유명하다.[43] 국립 오페라 하우스는 매년 여름 즈볼렌 성에서 야외 축제를 개최한다.[43] 1998년에 설립된 ''Štúdio tanca''는 전문 현대 무용 극장이다.[44] 1960년에 설립된 ''Bábkové divadlo na Rázcestí''(길목의 인형 극장)는 전문 마리오네트 극장으로, 슬로바키아에서 유일한 마리오네트 축제를 개최한다.[45] 패세지 극장(슬로바키아어: ''Divadlo z Pasáže'')은 발달 장애가 있는 배우들로 구성된 슬로바키아 유일의 극장으로, 발달 장애인들의 사회 통합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46]7. 2. 박물관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박물관은 1889년에 설립된 중앙 슬로바키아 박물관(Stredoslovenské múzeumsk)이다.[47] 이 박물관의 역사 전시관은 SNP 광장의 투르조 하우스에 있으며, 자연사 전시관은 반스카비스트리차 라드반의 티하니 저택에 있다. 시립 성의 구 시청 건물에는 슬로바키아 현대 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국립 미술관(Štátna Galériask)이 있다.[48] 슬로바키아 국립 봉기 박물관 (Múzeum Slovenského národného povstaniask)에는 203,000점의 군사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화기 야외 전시회도 포함되어 있다.[49] 기타 주목할 만한 박물관으로는 지역 문학 및 음악 박물관(Literárne a hudobné múzeumsk)[50]과 슬로바키아 유일의 우편 박물관(Poštové múzeum Slovenskej poštysk)이 있다.[51]
7. 3. 스포츠
FK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는 반스카비스트리차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며, 국립 육상 경기장(Národný Atletický Štadión)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67] 이 경기장은 1959년에 건설되어 2018년에 전면 재건축되었다.[67] 1959년부터 1966년까지는 경기장 주변에서 모터사이클 스피드웨이 경기가 열렸고, 1959년과 1960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개인 스피드웨이 선수권 대회(Czech Republic Individual Speedway Championship) 결승전이 개최되기도 했다.[69]반스카비스트리차는 겨울 스포츠, 특히 스키가 활발한 도시이다. 겨울에는 스키를 즐기려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8. 교육
반스카비스트리차에는 마테이 벨 대학교(Univerzita Mateja Belask)가 있으며 16,460명의 학생(416명의 박사 과정 학생 포함)이 재학 중이다.[58] 반스카비스트리차 예술원(슬로바키아어: ''Akadémia umení'')에는 490명의 학생이 다니며 공연 예술과 순수 미술을 전문으로 한다.[59] 슬로바키아 의과대학교의 분교도 이 도시에 있다.
15개의 공립 초등학교, 2개의 사립 초등학교, 2개의 종교 초등학교가 있으며, 총 7,029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60] 중등 교육 시스템은 5개의 김나지움(3,280명), 7개의 전문 고등학교(2,873명), 6개의 직업 학교(1,884명)로 구성되어 있다.[61][63][64]
가장 큰 도서관은 2백만 권의 장서를 보유한 국립 과학 도서관이다.[65]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의 지질 연구소는 반스카비스트리차에 분원을 두고 있으며, 작은 반스카비스트리차 지역 천문대는 우르핀 산에 있다.
9. 교통
반스카비스트리차는 슬로바키아 국내 다른 지역뿐만 아니라 여러 유럽 도시와 버스 및 기차로 연결되어 있다.
9. 1. 도로
R1 고속도로는 반스카비스트리차를 즈볼렌과 슬로바키아의 수도인 브라티슬라바와 연결한다. 그 외에 66번 국도는 브레즈노, 59번 국도는 루좀베로크, 14번 국도는 투르치안스케 테플리체와 연결된다.9. 2. 철도
반스카비스트리차 기차역은 질리나 및 브라티슬라바와 연결되는 브루트키-즈볼렌 철도와 동쪽으로 코시체로 향하는 반스카비스트리차-체르베나 스칼라 철도 사이의 분기점이다.[66] 반스카비스트리차 메스토 기차역은 시내 중심가에 더 가까이 위치한 작은 역으로, 브루트키-즈볼렌 노선의 기차가 운행한다.[66]슬로바키아 각지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도인 브라티슬라바와 동부 슬로바키아의 중심 도시인 코시체까지는 모두 4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
9. 3. 대중교통
반스카비스트리차의 시내 대중교통은 두 개의 다른 회사에서 관리한다.[66] 반스카비스트리차시 교통 공사는 시에서 운영하는 공공 서비스로, 트롤리버스와 미니버스를 운행한다. 사기업 SAD 즈볼렌은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정규 노선 외에도 급행 및 야간 노선도 제공한다. 30%의 사람들이 자가용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며, 평균 출퇴근 시간은 35분이다.[4]10. 정치
이 도시는 시장(primátorsk)과 시의회(슬로바키아어: ''mestské zastupiteľstvo'')에 의해 통치된다. 시장은 도시의 수장이자 행정 책임자이다. 임기는 4년이다. 2014년 지방 선거 이후 현 시장은 무소속의 얀 노스코이다. 반스카비스트리차는 다음과 같은 구역으로 구성된 4개의 선거구로 나뉜다.[56]
선거구 | 구성 구역 | 시의원 수 |
---|---|---|
1 | 스타레 메스토, 우흘리스코, 프레드나드라지에, 샬코바, 세니차, 마예르 | 7명 |
2 | 크랄로바, 일리아스, 크렘니치카, 라키토브체 | 4명 |
3 | 라드반, 폰초르다, 포들라비체, 스쿠빈 | 11명 |
4 | 사소바, 루들로바, 울란카, 야쿱, 코스티비아르스카 | 10명 |
반스카비스트리차는 8개의 자치 슬로바키아 지역 중 하나의 수도이다.[57] 1996년에 반스카비스트리차 지역과 질리나 지역, 그리고 트렌친 지역의 일부로 분할되었다. 반스카비스트리차는 또한 더 작은 슬로바키아 구의 수도이기도 하다. 반스카비스트리차 구(슬로바키아어: ''okres Banská Bystrica'')는 반스카비스트리차 지역(슬로바키아어: ''Banskobystrický kraj'') 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다.
여러 국가 공공 기관이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곳은 슬로바키아 공화국 세무국과 슬로바키아 공공 우체국(슬로벤스카 포슈타)이다.[4] 이 도시는 또한 슬로바키아 국립은행의 지역 지점도 유치하고 있다.
11. 자매 도시
반스카비스트리차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70]
국가 | 도시 | 체결 연도 |
---|---|---|
이탈리아 | 알바 | 1967년 |
영국 | 더럼 | 1967년 |
체코 | 흐라데츠크랄로베 | 1967년 |
헝가리 | 셜고터랸 | 1967년 |
러시아 | 툴라 | 1967년 |
이스라엘 | 헤르츨리야 | 1995년 |
그리스 | 라리사 | 1988년 |
불가리아 | 몬타나 | 1995년 |
폴란드 | 타르노브제크 | 1995년 |
크로아티아 | 자다르 | 1995년 |
이탈리아 | 아스콜리피체노 | 1998년 |
독일 | 할버슈타트 | 1998년 |
헝가리 | 더버시 | 2000년 |
몬테네그로 | 부드바 | 2001년 |
폴란드 | 라돔 | 2001년 |
세르비아 | 코바치차 | 2002년 |
세르비아 | 브르샤츠 | 2004년 |
프랑스 | 생테티엔 | 자료 없음 |
미국 | 찰스턴 | 2010년 |
핀란드 | 위뷰스퀼레 | 2006년 |
우크라이나 | 수미 | 2016년[71] |
중국 | 선양 | 2006년 |
참조
[1]
웹사이트
Hustota obyvateľstva - obce
https://datacube.sta[...]
2024-02-08
[2]
웹사이트
Základná charakteristika
http://datacube.stat[...]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2-03-31
[3]
웹사이트
Počet obyvateľov podľa pohlavia - obce (ročne)
https://datacube.sta[...]
2024-02-08
[4]
웹사이트
Urban Audit
http://www.urbanaudi[...]
2007-12-14
[5]
논문
Význam a pôvod slov báň – baňa
http://www.juls.savb[...]
[6]
논문
Názvy potokov v Banskej Bystrici a okolí
2003-06
[7]
웹사이트
TravelGuide.sk
https://archive.toda[...]
[8]
논문
"K najstaršej podobe erbu Banskej Bystrice'' (On the oldest form of the coat of arms of Banská Bystrica)"
http://www.banskabys[...]
2007-06-02
[9]
서적
Zólyom vármegye rövid története
http://www.belvedere[...]
Belvedere, University of Szeged, Hungary
[10]
서적
Slovakia: The Bradt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11]
논문
"Malé zamyslenie nad najstaršími podobami pomenovania Banskej Bystrice'' (A little contemplation over the oldest forms of the name of Banska Bystrica)"
http://www.permon.eu[...]
2008-07-03
[12]
문서
Die Poststempel auf der Freimarken-Ausgabe 1867 von Österreich und Ungarn
[13]
논문
Počiatky prospektorstva a ťažby medenej rudy na Španej Doline
2003-06
[14]
웹사이트
Archeológia
http://www.stredoslo[...]
Stredoslovenské múzeum v Banskej Bystrici
2007-05-03
[15]
뉴스
Besztercebánya – Hungarian Catholic Lexicon
http://www.lexikon.k[...]
Pazmany Peter Catholic University
2013-02-12
[16]
웹사이트
Banská Bystrica – History
http://eng.banskabys[...]
City of Banská Bystrica
2007-09-01
[17]
서적
Klíc k našim mestum'
Práce
[18]
서적
Poznaj svoje mesto – Banská Bystrica: Výberová regionálna bibliografia dejín mesta od najstarších čias po súčasnosť
http://vkmk.sk.neutr[...]
R.G.T. PRESS
[19]
논문
Mineral and political wealth of Banská Bystrica mining region has flown
http://www.spectator[...]
2007-12-15
[20]
논문
"Banskobystrický mediarsky podnik'' (Banska Bystrica Copper Company)"
2003-04
[21]
서적
Slovensko: Dejiny
Obzor
[22]
서적
Questions of identity : Czech and Slovak ideas of nationality and personality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3]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2019-10-31
[24]
웹사이트
Municipal Statistics
http://www.statistic[...]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07-05-03
[25]
논문
Urpín = odveký strážca mesta
2003-10
[26]
웹사이트
Monthly Averages for Banská Bystrica, Slovakia
http://weather.msn.c[...]
MSN
2007-11-15
[27]
웹사이트
Sliač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20
[28]
웹사이트
Sliač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20
[29]
논문
Banská Bystrica vo svetle posledného sčítania obyvateľstva domov a bytov
http://www.banskabys[...]
2007-06-03
[30]
웹사이트
Beniczky
http://www.kislexiko[...]
2009-07-03
[31]
웹사이트
Szlovákiai Magyar Adatbank, Fórum Kisebbségkutató Intézet (Szlovákia)
http://www.foruminst[...]
foruminst.sk
2013-03-26
[32]
뉴스
Najväčší zamestnávatelia Slovenska
http://firmy.etrend.[...]
2007-12-14
[33]
웹사이트
Program hospodárskeho a sociálneho rozvoja mesta Banská Bystrica
http://banskabystric[...]
2007-12-14
[34]
간행물
Gross domestic product indicators – ESA95.
Eurostat
[35]
웹사이트
Miera nezamestnanosti v okresoch regiónu Banská Bystrica
http://www.slovakinv[...]
SlovakInvest Agency
2007-12-15
[36]
웹사이트
Evidovaná nezamestnanosť
http://portal.statis[...]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07-12-15
[37]
웹사이트
Kangal
https://www.upsvr.go[...]
Ústredie práce, sociálnych vecí a rodiny
2019-12-18
[38]
웹사이트
Plnenie rozpočtu Mesta Banská Bystrica za rok 2006
http://banskabystric[...]
Mestský úrad Banská Bystrica
2007-12-14
[39]
논문
Transformations of a city centre in the light of ideologies: the case of Banská Bystrica, Slovakia
[40]
서적
Lonely Planet Czech & Slovak Republics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41]
웹사이트
Banská Bystrica hrad
http://www.zamky.sk/[...]
2007-12-18
[42]
웹사이트
The town castle of Banská Bystrica
http://www.slovakia.[...]
Slovak Tourist Board
2007-09-01
[43]
웹사이트
State opera
http://www.stateoper[...]
2007-12-12
[44]
웹사이트
Studio tanca
http://www.studiotan[...]
2007-12-13
[45]
웹사이트
História divadla
http://www.bdnr.sk/d[...]
2007-12-13
[46]
웹사이트
Divadlo z Pasáže
http://www.divadlozp[...]
2007-12-13
[47]
웹사이트
Central – Slovakian Museum Banska Bystrica
http://www.muzeum.sk[...]
2007-12-14
[48]
웹사이트
Štátna Galéria v Banskej Bystrici
http://www.isternet.[...]
2007-12-14
[49]
웹사이트
Museum of the Slovak National Uprising
http://www.muzeumsnp[...]
2007-12-14
[50]
웹사이트
Literarne a hudobne muzeum pri SVK (LHM) Banska Bystrica
http://www.muzeum.sk[...]
2007-12-14
[51]
웹사이트
Informácie o múzeu
http://www.posta.sk/[...]
2007-12-14
[52]
간행물
Filmari a komunistická moc v Československu. Vzrušený rok 1959.
Iluminace
[53]
웹사이트
Kultúrne inštutúcie v meste
http://www.banskabys[...]
2007-12-14
[54]
웹사이트
Folklorny Subor URPIN
http://www.urpin.szm[...]
2008-01-17
[55]
웹사이트
History
http://www.ufsmlados[...]
2008-01-17
[56]
웹사이트
Zoznam volebných obvodov s príslušnými ulicami
http://www.banskabys[...]
2007-06-18
[57]
논문
Between EU Requirements, Competitive Politics, and National Traditions: Re-creating Regions in the Accession Countri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58]
웹사이트
Univerzita Mateja Bela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59]
웹사이트
Akadémia umení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60]
웹사이트
Prehľad základných škôl v školskom roku 2006/2007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61]
웹사이트
Prehľad gymnázií v školskom roku 2006/2007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62]
웹사이트
Prehľad stredných odborných škôl v školskom roku 2006/2007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63]
웹사이트
Prehľad združených stredných škôl v školskom roku 2006/2007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64]
웹사이트
Prehľad stredných odborných učilíšť a učilíšť v školskom roku 2006/2007
http://www.uips.sk/s[...]
Ústav informácií a prognóz školstva
2007-11-21
[65]
웹사이트
State Scientific Library Banska Bystrica
http://www.svkbb.sk/[...]
State Scientific Library
2007-10-24
[66]
웹사이트
"Sieť liniek MHD Banská Bystrica\" (Public transport network of Banská Bystrica)"
http://www.imhd.sk/b[...]
imhd.sk
2007-11-21
[67]
웹사이트
Zrekonštruovaný štadión Dukly na Štiavničkách je už k dispozícii športovcom, kvalitou dosahuje medzinárodné štandardy :: Ministerstvo obrany SR
https://www.mosr.sk/[...]
Mosr.sk
2024-04-01
[68]
웹사이트
Historia
http://www.speedway.[...]
2024-04-01
[69]
웹사이트
Individual Czechoslovak Championship
http://www.historysp[...]
2024-04-01
[70]
웹사이트
Partnerské mestá
https://www.banskaby[...]
Banská Bystrica
2019-09-01
[71]
웹사이트
Banská Bystrica sa pripravuje na pomoc ľuďom z Ukrajiny
https://www.banskaby[...]
Banská Bystrica
2022-02-25
[72]
웹사이트
Municipal Statistics
http://www.statistic[...]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08-02-17
[73]
웹인용
Monthly Averages for Banská Bystrica, Slovakia
http://weather.msn.c[...]
MSN
2007-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