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출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출론은 모든 것이 절대자 또는 신성에서 흘러나온다는 우주론적 이론이다. 이는 무로부터의 창조에 반대되며, 모든 것이 항상 존재해 왔다고 주장한다. 주요 옹호자로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누스가 있으며, 오컬트 및 비전주의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신지학은 발출론에 기반하여 절대자로부터의 분리와 회귀, 업과 윤회를 통한 인류와 우주의 진화론적 이론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신론 - 고트글로이비히
고트글로이비히는 나치 독일에서 기독교 교파에 속하지 않으면서 게르만 민족의 도덕 감각에 반하지 않는 신을 믿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나치당의 탈종교화 정책의 일환으로 장려되었으며 기독교에서 이탈한 다양한 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1939년 독일인 3.5%를 차지했다. - 범신론 - 범신론 논쟁
18세기 말 레싱, 야코비, 멘델스존을 중심으로 촉발된 범신론 논쟁은 스피노자의 철학 해석을 둘러싸고 이성과 믿음의 관계, 계몽주의 합리주의의 한계 등에 대한 논의를 낳았으며, 당대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독일 낭만주의와 관념론 철학 발전에 기여했다. - 신플라톤주의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신플라톤주의 - 다이몬
다이몬은 고대 그리스에서 필멸자와 신 사이의 중간적 존재인 작은 신성체 또는 정령을 의미하며, 위대한 인물이 죽은 후 존경받는 존재, 개인에게 부여되는 존재, 선과 악으로 나뉘는 존재,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심리적 성장에 기여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 밀교 우주론 - 세계축
세계축은 천상과 지상을 잇는 상징적인 축으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우주의 중심이나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되며, 질서와 혼돈, 신성함과 세속됨, 인간과 초월적 존재 사이의 연결을 상징하고 심리적 안정, 사회적 질서 유지, 영적인 깨달음 추구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 밀교 우주론 - 고대 원소
고대 원소는 엠페도클레스에 의해 체계화되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발전된 흙, 물, 불, 공기로, 서양 철학, 과학, 의학, 연금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과학적 중요성은 퇴색했으나 인간 심리와 상상력 영역에서 재평가되었고 동양 철학의 유사한 원소 개념에도 나타난다.
발출론 | |
---|---|
개요 | |
유형 | 형이상학적 이론 |
분야 | 철학, 종교 |
핵심 개념 | 일자 유출 존재론 |
역사적 맥락 | |
기원 |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신플라톤주의 |
발전 | 헬레니즘 철학 중세 철학 르네상스 철학 |
주요 인물 | 플로티노스 프로클로스 이븐 시나 알 파라비 솔로몬 이븐 가비롤 이븐 아라비 |
철학적 내용 | |
기본 원리 | 모든 존재는 최고 원리인 '일자'로부터 단계적으로 유출되어 나온다고 설명함. |
유출 과정 | '일자'는 완전하고 무한하며, 스스로를 드러내어 다른 존재를 생성함. 이 과정은 필연적이며, '일자'의 본질에서 비롯됨. 각 단계에서 생성된 존재는 이전 단계보다 덜 완전하며, '일자'로부터 멀어짐. |
존재의 단계 | '일자' (The One): 가장 완전하고 근원적인 존재. '지성' (Nous): '일자'를 반영하며, 이데아의 세계를 포함함. '영혼' (Soul): '지성'을 반영하며, 물질 세계를 움직이는 원리. '자연' (Nature): 영혼의 가장 낮은 단계이며, 물질 세계를 형성함. |
특징 | 계층적 구조: 존재는 '일자'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위 계층을 형성함. 연속성: 모든 존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자'로 향하는 경향을 가짐. 신비주의적 요소: '일자'와의 합일을 추구하는 신비주의적 경험을 강조함. |
종교적 맥락 | |
영향 | 기독교 신학: 특히 동방 기독교에서 신의 창조 과정을 설명하는 데 영향을 줌. 이슬람 신학: 수피즘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데 영향을 줌. 유대교 신학: 카발라에서 신의 속성을 설명하는 데 영향을 줌. |
현대적 해석 | |
중요성 |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하며, 현대 철학 및 종교 연구에 영향을 미침. |
2. 기원
유출설은 의지적으로 유출시킨다는 의미도 있지만, 세계의 본원이 가진 에너지와 질료가 흘러넘쳐서 만물이 성립되었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다. 반면 '''발출론'''(發出論)은 세계의 본원이 의지적으로 에너지와 질료를 내보내어 세계와 만물을 성립시킨다는 의미가 더 뚜렷하다.[1] 발출론은 모든 것이 근본 원리 또는 실체(주로 절대자 또는 신성)에서 "흘러나온다"고 주장하는 우주론적 이론이다. 또한, 모든 것이 항상 존재해 왔으며 무에서 "창조"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로부터의 창조에 반대된다.
유출설은 의지적으로 유출시킨다는 의미도 있는 반면, 발출론은 세계의 본원이 의지적으로 에너지와 질료를 내보내어 세계와 만물을 성립시킨다는 의미가 더 뚜렷하다. 발출론은 모든 것이 근본 원리, 실체, 보통 절대자 또는 신성에서 "흘러나온다"고 주장하는 우주론적 이론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모든 것이 항상 존재해 왔으며 무에서 "창조"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기에 무로부터의 창조에 반대된다.[1]
오컬트 및 비전주의 저술에서 발출론은 흔히 발견되는 가르침이다.[3] 오웬(2005)에 따르면, 신지학은 신플라톤주의 발출론, 특히 절대자로부터의 분리와 절대자로의 회귀 개념에 의존하며, 업과 윤회에 대한 동양적 개념을 재해석하여 인류와 우주 모두의 진화론적 이론을 제공한다.[3]
[1]
서적
Four Faces of the Universe: An Integrated View of the Cosmos
Lotus Press
클라인함(2007)에 따르면, 전통적인 우주론의 세계관은 우주가 단일한 신성한 원리의 발현이라는 생각에 기초한다. 비록 이 아이디어가 주요 일신교의 계시된 창조론 교리와 혼합되었지만, 정통 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신비주의, 범신론, 오컬트의 영역으로 여기며 의심스럽게 보았다.[1]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누스는 발출론의 주요 고전적 옹호자였다. 그는 저서 ''엔네아드''에서 모든 현상적 존재와 그렇지 않은 존재를 일자 (ἕν, ''hen'')에서 발현(ἀπορροήel ''아포로에'' (Ennead ΙΙ.3.2) 또는 ἀπόρροιαel ''아포로이아'' (II.3.11))된 것으로 묘사했다. 플로티누스는 5.1.6에서 발출론을 일자로부터의 확산에 비유하며, 지성 (νοῦς, ''누스''), 영혼 (ψυχή, ''프시케'')의 세 가지 주요 위격을 제시했다.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발출론의 또 다른 옹호자였는데, 그는 자신의 비삼위일체론 우주론 때문에 화형에 처해졌다.[2]
일자(토 헨)로부터 단계를 거쳐 세계가 유출되어 생겨났다는 사상에 따르면, 고차원적이고 순수한 세계에서 저차원적이고 물질적인 혼탁으로 가득 찬 세계로 유출이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이 세계가 형성되었다. 플로티노스는 이 유출 과정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순수하고 정신적인 고차원 세계로 귀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그는 생애에 여러 차례 엑스터시 체험을 했으며, 그것은 바로 이 정신에서의 '귀환'이었다고 여겨진다.
3. 전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누스는 발출론의 주요 고전적 옹호자였다. 그는 자신의 저서 ''엔네아드''에서 모든 현상적 존재와 그렇지 않은 존재를 일자 (ἕν, ''hen'')에서 발현(ἀπορροή|아포로에el (Ennead ΙΙ.3.2) 또는 ἀπόρροια|아포로이아el (II.3.11))된 것으로 묘사했다. 플로티누스는 일자로부터의 확산에 비유되는 발출론에서 일자, 지성 (νοῦς, ''누스''), 영혼 (ψυχή, ''프시케'')의 세 가지 주요 위격을 제시했다.[1] 그는 완전한 일자(토 헨)로부터 단계를 거쳐 세계가 유출되어 생겨났다고 보았다. 고차원적이고 순수한 세계에서 저차원적이고 물질적인 혼탁으로 가득 찬 세계로 유출이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이 세계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플로티노스는 이 유출 과정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순수하고 정신적인 고차원 세계로 귀환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생애에 여러 차례 엑스터시 체험을 통해 이를 경험했다고 여겨진다.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자신의 비삼위일체론 우주론 때문에 화형에 처해진 발출론의 또 다른 옹호자였다.[2]
오컬트 및 비전주의 저술에서 흔히 발견되는 발출론은, 신지학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신지학은 신플라톤주의 발출론에 의존하여 절대자로부터의 분리와 회귀 개념을 제시하고, 업과 윤회에 대한 동양적 개념을 재해석하여 인류와 우주 모두의 진화론적 이론을 제공한다.[3] 신지학은 동물과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와 물질이 절대자의 순수한 영적 형성에서 물질화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질적 형성으로 "흘러나와" 이후 우주의 생명 주기가 끝나면 절대자로 돌아간다고 주장한다.[4] 마담 블라바츠키의 발출론적 우주론에 따르면 모든 모나드는 우주 주기의 시작에서 신성한 통일성에서 나타나 그 끝에서 이 근원으로 돌아간다.[5] 블라바츠키는 자신의 저서 ''신지학의 열쇠''(1889)에서 "우리는 모든 것이 나오며, 모든 것이 위대한 존재 주기의 끝에 있을 보편적인 신성한 원리를 믿는다."라고 썼다.[6]
오컬티스트 사마엘 아운 베오르는 카발라와 영지주의 연구를 통해 발출론을 가르쳤다. 그는 절대자에 존재하는 모든 다른 존재의 평면에서 흘러나오는 물질과 함께 복잡한 비밀 우주론을 구성했다. 베오르는 우주가 혼돈적인 원시적인 물질에 대한 절대자의 질서 정연한 활동에서 시작되어, 창조된 질서의 후속 평면(플레로마)이 (발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7]
4. 오컬트에서의 발출론
신지학은 동물과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와 모든 물질이 절대자의 순수한 영적 형성에서 물질화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질적 형성으로 "흘러나와" 이후 우주의 생명 주기가 끝나면 절대자로 돌아간다고 주장한다. 모건은 "'비밀 교리'는 물리적 우주의 발전에 대한 발출론적 관점을 제시했는데, 이는 정신이 점차 물질 속에서 전개되어 의식을 얻고, 더 높고 더 실현된 형태로 정신으로 돌아가는 썰물과 흐름의 과정이다."라고 요약한다.[4] 마담 블라바츠키의 발출론적 우주론에 따르면 모든 모나드는 우주 주기의 시작에서 신성한 통일성에서 나타나 그 끝에서 이 근원으로 돌아간다.[5] 블라바츠키는 자신의 저서 ''신지학의 열쇠''(1889)에서 "우리는 모든 것이 나오며, 모든 것이 위대한 존재 주기의 끝에 있을 보편적인 신성한 원리를 믿는다."라고 썼다.[6]
오컬티스트 사마엘 아운 베오르는 카발라와 영지주의 연구를 통해 발출론을 가르쳤다. 그는 절대자에 존재하는 모든 다른 존재의 평면에서 흘러나오는 물질과 함께 복잡한 비밀 우주론을 구성했다. 도슨(2007)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일반적으로 비전적 사고와 마찬가지로 베오르는 우주가 혼돈적인 원시적인 물질에 대한 절대자의 질서 정연한 활동에서 시작되어, 창조된 질서의 후속 평면(플레로마)이 (발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7]
참조
[2]
서적
Michael Servetus: a case study in total heresy
[3]
서적
The place of enchantment: British occultism and the culture of the modern
[4]
서적
Women, gender and religious cultures in Britain, 1800–1940
[5]
서적
The Dictionary of Modern American Philosophers
[6]
서적
Divine feminine: theosophy and feminism in England
[7]
서적
New era, new religions: religious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Braz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