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엘 세르베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1509년 또는 1511년 아라곤 왕국에서 태어난 신학자, 의사, 지리학자이다. 그는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독자적인 신학을 주장하여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이단으로 비난받았다. 세르베투스는 유럽에서 처음으로 혈액의 폐순환을 기술하는 등 의학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장 칼뱅과의 갈등으로 인해 제네바에서 화형에 처해졌다. 그의 죽음은 종교적 자유와 양심의 자유를 옹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유니테리언주의와 뉴소트 사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재 제네바, 프랑스 안마스 등지에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스페인 사라고사에는 그의 이름을 딴 병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개신교도 - 라울 알비올
라울 알비올은 스페인 출신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를 주 포지션으로 하며 라이트 백과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뛸 수 있는 다재다능함을 갖춘 선수이며, 발렌시아 CF 유소년팀을 거쳐 프로 데뷔 후 헤타페 CF 임대, 발렌시아 CF, 레알 마드리드, SSC 나폴리를 거쳐 2019년부터 비야레알 CF에서 활약하고,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UEFA 유로 2008, 2010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12 우승 멤버이다. - 스페인의 의사 - 파울리노 알칸타라
파울리노 알칸타라는 FC 바르셀로나에서 399경기 395골이라는 기록을 세우고 스페인, 필리핀, 카탈루냐 대표팀에서 활약한 필리핀계 스페인 축구 선수이자 의사이자 정치인이다. - 스페인의 의사 -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푸가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푸가는 산부인과 의사이자 교수, 법학 및 역사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가수 훌리오 이글레시아스의 아버지이고,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으며 ETA에 납치되었다가 풀려난 후 미국 시민과 결혼하여 아들을 얻고 90세에 사망했다.
미카엘 세르베투스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미겔 세르베트 |
다른 이름 | 미셸 세르베 미셸 드 빌뇌브 |
출생 | 기원전 1509년-1511년경; 아마도 1511년 9월 29일 |
출생지 | 비야누에바 데 시헤나, 아라곤 또는 투델라, 나바라 |
사망 | 1553년 10월 27일 (42세) |
사망지 | 제네바, 제네바 공화국 |
국적 | 스페인 |
학력 | |
모교 | 파리 대학교 |
직업 정보 | |
직업 | 신학자 의사 편집자 번역가 지도 제작자 |
신학적 관점 | |
학파/전통 | 르네상스 인문주의 |
주요 관심사 | 신학 의학 |
주요 사상 | 비삼위일체론적 그리스도론 폐순환 |
2. 생애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아라곤 왕국(현재 스페인)의 비야누에바 데 시에나에서 1509년 혹은 1511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 툴루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면서 삼위일체에 대한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1530년, 세르베투스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대관식에 참석했으나, 교황과 가톨릭 교회의 사치와 타락에 실망하여 종교 개혁의 길을 걷게 된다. 그는 바젤과 스트라스부르에서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 마르틴 부처 등 종교 개혁가들을 만났다.[19][20]
1531년, 세르베투스는 《삼위일체론의 오류》(De Trinitatis erroribus libri vii)를 출간하여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예수는 인간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책은 신성모독으로 여겨져 금서가 되었고, 스페인 종교재판소는 그를 체포하려 했다. 세르베투스는 '미셸 드 빌뇌브'라는 가명으로 20여 년간 숨어 지내면서, 천문학, 신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19]
1536년,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미술과 의학 학위를 받았고, 폐순환을 최초로 기술했다. 또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신판과 《시럽에 관한 일반론》을 저술하여 지리학과 의학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인정받았다.[16]
1548년, 세르베투스는 프랑스로 귀화하여[23] 12년간 리옹 근처에서 평화롭게 살았다. 1553년, 장 칼뱅의 《기독교 강요》를 비판하는 《기독교 재건》(Christianismi Restitutio)을 출판하면서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다. 그는 이 책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교회와 국가의 결합을 비판하고, 삼위일체 교리를 부정했다. 또한 장 칼뱅에게 보낸 30통의 편지를 책에 실었다.[19]
세르베투스는 장 칼뱅과 신학적 견해 차이로 갈등을 겪었고, 결국 제네바에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그는 삼위일체와 유아 세례를 부정한 죄로 화형을 선고받고 1553년 10월 27일 처형되었다.[42]
세르베투스가 처형된 지 약 400년 후, 장로교회는 그가 처형된 장소에 기념비를 세웠다.[2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아라곤 왕국의 비야누에바 데 시에나에서 1509년 혹은 1511년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2] 9월 29일은 가톨릭 성인 달력에 따르면 성 미카엘의 날이기 때문에 그의 생일로 관례적으로 제안되었지만, 이 날짜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 일부 자료는 세르베투스가 1509년에 태어났다고 때때로 주장한 것에 근거하여 더 이른 날짜를 제시한다.[3] 그러나 2002년에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곤잘레스 에체베리아와 마리아 테레사 안신이 발표한 논문에서는 그가 나바라 왕국의 투델라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했다.[4] 또한 그의 프랑스 귀화 증서(Chamber des Comptes, Royal Chancellorship and Parlement of Grenoble)와 파리 대학교의 등록부에 따르면 그의 본명은 '데 비야누에바'였다고 여겨지기도 한다.[5]그의 아버지의 조상들은 아라곤의 피레네 산맥에 있는 작은 마을 세르베토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하위 귀족 출신의 기독교인 조상을 둔 공증인('infanzón')이었으며,[6] 근처 산타 마리아 데 시게나 수도원에서 일했다. 오랫동안 세르베투스는 두 명의 형제, 즉 가톨릭 교구 사제인 후안과 공증인인 페드로만 있었다고 믿어졌다.[7] 그러나 최근에 세르베투스에게 실제로 두 명의 형제(안톤과 프란시스코)와 최소 세 명의 자매(카탈리나, 제로니마, 후아나)가 있었다는 것이 문서로 확인되었다.[8] 세르베투스는 제네바에서의 재판에서 그의 부모가 "고대 혈통의 기독교인"이며 유대인과는 전혀 교류가 없었다고 진술했지만,[9] 그의 외가 쪽은 실제로 아라곤의 바르바스트로와 몬손 지역 출신의 부유하고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개종 유대인 가문인 사포르타스(또는 Çaportas)에서 유래했다.[10][11] 이는 1999년에 발표된 공증 기록을 통해 증명되었다.[12][13][14]
세르베투스의 가족은 스페인 시골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가족에게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 오래된 전통에 따라 "레베스"라는 별명을 사용했다. 레베스라는 별명의 기원은 레베스라는 성을 가진 (아마도 명망 있는) 비야누에바에 살던 가문의 일원이 세르베트 가문과 혈연 관계를 맺으면서 다음 세대에 두 가문의 이름을 결합하게 된 것일 수 있다.[15]
세르베투스는 1520년까지 비야누에바 데 시제나 근처 아라곤 주의 사리녜나에서 도밍고 마노벨에게 라틴어 문법을 배웠다. 1520/1521년부터 1522/1523년까지 사라고사 대학교에서 자유 교양 학문을 공부했다. 사라고사 대학교는 스투디움 제네랄레 예술 과정의 시초였다. 이 스투디움은 사라고사 대교구의 대주교, 총장, 고위 마스터("마에스트로 마요르"), 그리고 다른 중세 대학교의 예술 학부 교수와 유사한 4명의 "예술 마스터"에 의해 운영되었다. 세르베투스는 고위 마스터 가스파르 락스, 그리고 마스터 에세리치, 안시아스, 미란다에게서 배웠다. 그 시절 이 교육 기관은 에라스뮈스의 사상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안시아스와 미란다는 곧 사망했고, 후안 로렌초 카르니세르와 빌라판도가 새로운 교수로 임명되었다. 1523년 그는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이듬해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525/1526년 이후 세르베투스는 스투디움의 4명의 예술 마스터 중 한 명이 되었고, 알 수 없는 이유로 1527년 2월 살라망카로 갔다. 그러나 1527년 3월 28일, 역시 알 수 없는 이유로, 마스터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고위 마스터(이자 삼촌) 가스파르 락스와 싸움을 벌였고, 이것이 그가 스투디움에서 추방되고, 가스파르 락스의 스페인 내 스투디움 제네랄레에 대한 강한 영향력을 피하기 위해 툴루즈 스투디움을 찾아 스페인에서 추방된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16][17]
1527년경 세르베투스는 툴루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그는 이 도시에서 공부하는 동안 금지된 종교 서적, 어쩌면 일부 개신교 서적에도 접근할 수 있었을 것이다.[18]

2. 2. 종교 개혁과의 만남과 신학적 탐구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아라곤 왕국 비야누에바 데 시에나에서 1509년 혹은 1511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당대와 같이 법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법학도 시절 삼위일체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했다. 1530년 2월, 후원자였던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사 후안 데 킨타나를 따라 볼로냐에서 거행된 황제 카를 5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그러나 당시 서방교회의 타락, 교황의 허세와 사치, 그리고 세속적인 교황을 따르는 황제에 대해 실망하여 후원자를 떠나 리옹, 제네바, 바젤로 갔다. 이후 바젤과 스트라스부르에서 종교개혁 지도자인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 마르틴 부처, 볼프강 카피토 등을 만났다.[19][20]1531년, 세르베투스는 하나님이 삼위로 계시지 않으며 성경에는 삼위나 위격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예수는 사람일 뿐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며, 성신은 구별되지 않는 하나님의 영이 세상에 보내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삼위일체론의 오류:De Trinitatis erroribus libri vii》(1531)를 출간했다. 이 책은 신교에서 신성모독이자 오류로 여겨져 금서로 지정되었다. 스페인 종교재판소 최고 의회는 저자를 스페인으로 잡아오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에 세르베투스는 영국 식민지였던 미국으로 망명하려 했으나, 미셸 드 빌뇌브라는 가명을 쓰며 20여 년 동안 지냈다. 그는 천문학, 신학, 약학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약학과 신학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19] 1536년, 파리에서 미술과 의학 학위를 받고 유럽 최초로 혈액의 폐순환을 기술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 Geographia》 신판과 《시럽에 관한 일반론 : Syruporum universa ratio ad Galeni censuram diligenter expolita》를 저술하여 지리학 및 의학 분야의 전문 지식을 인정받았다.
1548년, 세르베투스는 프랑스로 귀화했다.[23] 그의 정체를 아는 사람은 없었고, 12년 동안 리옹 근처 비엔에서 평화롭게 지냈다. 1553년, 칼뱅의 《기독교 강요 :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를 비판하는 《기독교 재건 : Christianismi Restitutio》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콘스탄티누스의 회심으로 시작된 교회와 국가 간의 결합이 교회의 가장 큰 비극이자 배교행위라고 비난했다. 또한 삼위일체론자들을 악마의 세 우상을 숭배하는 것으로 묘사하며, 니케아 공의회의 삼위일체 교리 결의가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책의 뒷부분에는 장 칼뱅에게 보낸 긴 편지 30통이 실려 있었다.
2. 3. 가명 생활과 의학 연구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미셸 드 빌뇌브'라는 가명을 쓰며 20여 년 동안 지냈다. 그는 천문학, 신학, 약학 등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약학과 신학의 역사에서 잘 알려져 있다.[16] 1536년 파리에서 미술과 의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유럽에서 최초로 혈액의 폐순환을 기술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신판과 《시럽에 관한 일반론》을 기술하여 지리학, 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 지식이 인정되었다.[16]의학 공부를 마친 후 의료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비엔 대주교인 피에르 팔미에의 주치의가 되었고, 도피네의 부지사인 기 드 모지롱의 의사이기도 했다.[23] 아라곤 왕국에서 태어난 그는 툴루즈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파리에서는 해부학에서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가장 유능한 조수라고 칭했던 Jean Fernel|장 페르넬프랑스어 등에게서 의학을 배웠다.
2. 4. 칼뱅과의 갈등과 《기독교 재건》
세르베투스는 1553년에 칼뱅의 《기독교 강요》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기독교 재건》(Christianismi Restitutio)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회심으로 시작된 교회와 국가 간의 결합을 교회의 가장 큰 비극이자 배교 행위로 비난했다. 또한 삼위일체론자들을 "머리가 셋 달린 괴물" 케르베로스를 숭배하는 것으로 묘사하며, 325년 니케아 공의회의 삼위일체 교리 결의가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책의 뒷부분에는 장 칼뱅에게 보낸 30통의 긴 편지가 실려 있었다.[19]1530년, 세르베투스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수행단에 합류하여 이탈리아와 독일을 여행했고, 볼로냐에서 열린 카를 5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그는 교황과 수행단의 사치스러움에 분노하여 종교 개혁의 길을 따르기로 결심했다.[20] 1531년 7월에는 《삼위일체의 오류에 관하여》(De Trinitatis Erroribus)를 출판했고, 이듬해에는 《삼위일체에 관한 대화》(Dialogorum de Trinitate)와 《그리스도의 통치의 정의에 관하여》(De Iustitia Regni Christi)를 출판했다. 종교 재판의 박해를 피해 세르베투스는 "미셸 드 빌뇌브"라는 가명을 사용했다.[21]
세르베투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의 첫 프랑스어판을 출판했고, 의학 논문 《레오나르드 푹스에 반박하는 변론》(In Leonardum Fucsium Apologia)을 썼다. 또한 교정사로 일하면서 의학과 약리학에 관한 여러 책을 출판하여 명성을 얻었다.[22] 의학 공부를 마친 후, 세르베투스는 비엔 대주교와 도피네 부지사의 주치의가 되었다. 장 칼뱅의 지인이었던 인쇄업자 장 프렐론 2세 덕분에 세르베투스와 칼뱅은 서신을 주고받기 시작했다. 칼뱅은 "샤를 드 스페빌"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23]
1553년, 세르베투스는 《기독교 재건》을 출판하여 예정설을 강력하게 거부했다. 그는 하나님은 스스로를 정죄하지 않는 자는 누구도 정죄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책에는 폐순환에 대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이븐 알 나피스의 연구에 기초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르베투스는 칼뱅에게 《기독교 재건》의 초기 버전을 보냈고, 칼뱅은 자신의 책 《기독교 강요》를 답장으로 보냈다. 세르베투스는 비판적인 주석을 달아 돌려보냈다. 칼뱅은 세르베투스에게 "나는 당신을 미워하거나 경멸하지 않지만, 당신이 건전한 교리를 모욕하는 것을 보면 쇠처럼 굳어질 것"이라고 편지를 썼다. 그들의 서신 교환은 격해졌고, 결국 칼뱅은 중단했다.[24] 세르베투스는 칼뱅에게 불쾌한 편지를 더 보냈다.[25] 칼뱅은 1546년 2월 13일 윌리엄 파렐에게 보낸 편지에서 "세르베투스가 온다면, 제 권위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저는 그가 살아 나가도록 절대 허락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썼다.[26]
2. 5. 투옥, 재판, 그리고 화형
제네바의 한 신교도가 리옹에 사는 구교도 사촌에게 편지를 썼는데, 이 편지에는 세르베투스가 미셸 드 빌뇌브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며 교황 지지자 행세를 한다는 폭로가 담겨 있었다.[115] 이에 교회 당국은 세르베투스를 소환했으나, 그는 결백을 주장하며 거짓말과 아첨으로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 그러나 장 칼뱅이 제공한 증거로 인해 세르베투스는 탈옥했고, 교회 당국은 그를 대신하여 그의 초상을 화형시켰다.이후 세르베투스는 제네바에 나타났다가 현장에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칼뱅은 39개의 고발 조항을 제출했고, 세르베투스는 칼뱅을 이단자로 고발하며 맞섰다. 그는 칼뱅 때문에 잃은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인간이 죄 없이 태어난다는 점, 유아 세례를 부정하고, 신이 아닌 인간 스스로 구원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
세르베투스는 제네바 시민이 아니었기에 법적으로 추방될 수 있었지만, 소의회는 구실을 찾기 위해 스위스 개혁파 칸톤(취리히, 베른, 바젤, 샤프하우젠)에 자문을 구했다. 이들은 세르베투스의 교리를 비난하고 억압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며 화형을 지지했다. 칼뱅에 반대하는 방종주의자들 역시 세르베투스의 처형을 지지했다. 결국 세르베투스는 삼위일체와 유아 세례를 거부한 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칼뱅은 화형 대신 참수를 요청했으나 기각되었고, 1553년 10월 27일 세르베투스는 제네바 근교 샹펠에서 자신의 책더미 위에서 화형당했다. 그의 마지막 말은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여,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였다.[42]
1903년 처형지에 속죄비가 세워졌고, 1908년에는 프랑스 안마스에 기념상이 세워졌다.
3. 사상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삼위일체에 대한 고전적인 개념을 거부하며, 성경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삼위일체가 그리스 철학자들의 가르침에서 유래했다고 보았으며, 니케아 공의회 이전의 복음서와 초기 교부들의 가르침으로 돌아갈 것을 옹호했다.[44] 그는 신은 보편적이고 편재하며, 불가분적이고 유일한 존재라고 여겼다. 또한, 아버지, 아들, 성령은 신의 속성이며, 분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46]
세르베투스에 따르면, 삼위일체론자들은 기독교를 "다신론" 또는 세 신을 믿는 "삼신론"으로 만들었다.[44] 그는 하나님의 나타나심이며 별개의 신적 인격이 아닌 신성한 ''로고스''가 성모 마리아의 자궁에 하나님의 영이 임할 때 인간(예수)으로 화현되었다고 확언했다. 잉태의 순간부터 아들(즉, 로고스)이 실제로 생성되었고, 따라서 로고스는 영원으로부터 형성되었지만, 아들 자신은 영원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세르베투스는 예수를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것을 거부하고 그를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렀다.[44]
세르베투스는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은 신이며, 모든 것은 신의 표현이므로 인간 또한 신성하다고 보았다. 이 우주에는 이원성이 없으며, 악은 단지 결핍에 지나지 않고, 악이란 빛의 부재로 인한 어둠과 같은 것이며, 실질적인 의미는 없다고 생각했다.
3. 1. 삼위일체 부정과 독자적 신학
세르베투스는 저서 『삼위일체의 오류』, 『삼위일체에 관한 대화』, 그리고 부록 『그리스도 왕국의 정의』에서 삼위일체에 대한 고전적인 개념이 성경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부정했다.[44] 그는 삼위일체가 그리스 철학자들의 가르침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니케아 공의회 이전의 복음서와 초기 교부들의 가르침으로 돌아갈 것을 옹호했다. 세르베투스는 삼위일체 교리의 폐기가 유대교와 이슬람교 신자들에게 기독교의 매력을 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44]세르베투스에 따르면, 삼위일체론자들은 기독교를 "다신론" 또는 세 신을 믿는 "삼신론"으로 만들었다. 그는 하나님의 나타나심이며 별개의 신적 인격이 아닌 신성한 ''로고스''가 성모 마리아의 자궁에 하나님의 영이 임할 때 인간(예수)으로 화현되었다고 확언했다. 잉태의 순간부터 아들(즉, 로고스)이 실제로 생성되었고, 따라서 로고스는 영원으로부터 형성되었지만, 아들 자신은 영원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세르베투스는 예수를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것을 거부하고 그를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렀다.[44]
세르베투스는 저서 『삼위일체에 관한 논문』에서 로고스는 그리스도의 반영이며, "그리스도의 그 반영은 '하나님과 함께 있는 말씀'으로,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하나님 자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분 자신이 하나님이셨다'"[46]라고 가르쳤다. 또한 "그 말씀은 하나님의 본질, 즉 하나님의 본질의 나타남이었으며, 하나님 안에는 그분의 말씀 외에 다른 실체나 위격이 없었다."[46]라고 설명했다.
유니테리언 학자 얼 모스 윌버는 세르베투스가 양태론자라는 생각을 지지하며, 세르베투스는 아버지, 아들, 성령이 하나님의 섭리이며 별개의 개체가 아니라고 주장했다고 말한다.[47] 세르베투스는 『기독교의 회복』(1553) 서문에서 "독자여, 하나님이 실체로 나타나시고 그분의 신성이 참으로 전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보다 더 위대한 것은 없다."라고 자신의 관점을 명확히 밝혔다.[48]
그의 신학은 양자론, 아리우스주의, 사벨리우스주의와 비교되기도 했지만, 세르베투스는 저서에서 이러한 신학들을 모두 거부했다. 그는 삼위일체의 정통적 표현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지만, 매우 비정통적인 삼위일체론자로 묘사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53] 세르베투스는 신성의 세 인격 간의 구분을 부정하거나 약화시킨 것으로 보인다.[51] 그는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은 철학적 추론보다는 믿음을 통해 그리스도를 통해 알려진다."라고 하며, 성경이 믿음을 가진 자들에게 하나님을 드러내며, 그리하여 우리는 우리 안의 신성한 충동으로서 성령을 알게 된다고 보았다.[52]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심한 압박을 받은 세르베투스는 두 번째 저서인 『대화』(1532)에서 로고스가 예수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설명을 명확히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삼위일체의 교리와 한 하나님 안의 세 신적 인격 간의 구분을 고집하며 부정했기 때문에 이단으로 고발되었다. 그의 삼위일체 거부와 화형으로 인해, 유니테리언은 종종 세르베투스를 최초의 (현대적) 유니테리언 순교자로 여기지만, 그는 현대적 의미의 유니테리언은 아니었다.[53]
그의 사상은 후에 폴란드와 트란실바니아에서 유니테리언 교회를 세우거나 영감을 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53] 여호와의 증인[54]과 온니스 오순절주의와 같은 다른 비삼위일체 그룹[55] 역시 세르베투스가 그들과 유사한 비삼위일체적 견해를 가졌다고 주장한다.[56]
스웨덴보리는 세르베투스의 신학과 많은 유사점을 가진 체계적인 신학을 저술했다.[59][60]
세르베투스는 신은 보편적이고 편재하며, 불가분적이고 유일한 존재라고 여겼다. 또한, 아버지, 아들, 성령은 신의 속성이며, 분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신은 완전하고 자비로우며 선하며, 생기가 있든 없든 모든 것에 내재하며, 모든 존재는 이 "중심의 힘"에 의해 활성화되고 본성을 얻는다고 보았다.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은 신이며, 모든 것은 신의 표현이므로 인간 또한 신성하다고 보았다. 이 우주에는 이원성이 없으며, 악은 단지 결핍에 지나지 않고, 악이란 빛의 부재로 인한 어둠과 같은 것이며, 실질적인 의미는 없다고 생각했다.
3. 2. 인간의 자유 의지와 구원
세르베투스는 인간이 죄 없이 태어난다고 주장하며 유아 세례를 부정했다. 그는 신이 아닌 인간이 스스로 구원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115]그는 처음 두 권의 저서에서 삼위일체에 대한 고전적인 개념이 성경에 근거하지 않고, 그리스 철학자들에게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복음서와 초기 교부들의 가르침으로 돌아갈 것을 옹호하며, 삼위일체 교리의 폐기가 유대교와 이슬람교 신자들에게 기독교를 더 매력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르베투스는 삼위일체론자들이 기독교를 "다신론" 또는 "삼신론"으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44]
세르베투스는 신성한 ''로고스''가 성모 마리아의 자궁에 하나님의 영이 임할 때 인간(예수)으로 화현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로고스는 영원으로부터 형성되었지만, 아들 자신은 영원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예수를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라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렀다.[44]
세르베투스는 로고스가 그리스도의 반영이며,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하나님 자신"이라고 가르쳤다.[46] 유니테리언 학자 얼 모스 윌버는 세르베투스가 양태론자라는 생각을 지지한다.[47]
세르베투스는 『기독교의 회복』(1553) 서문에서 "하나님이 실체로 나타나시고 그분의 신성이 참으로 전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보다 더 위대한 것은 없다"라고 밝혔다.[48] 그의 신학은 양자론, 아리우스주의, 사벨리우스주의와 비교되기도 했지만, 세르베투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러한 신학들을 거부했다.[49][50][51] 그는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은 철학적 추론보다는 믿음을 통해 그리스도를 통해 알려진다"라고 강조했다.[52]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세르베투스는 두 번째 저서인 『대화』(1532)에서 로고스가 예수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설명을 명확히 했다. 그러나 그는 삼위일체 교리와 한 하나님 안의 세 신적 인격 간의 구분을 부정했기 때문에 이단으로 고발되었다.
세르베투스는 신은 보편적이고 편재하며, 불가분적이고 유일한 존재라고 여겼다. 또한, 아버지, 아들, 성령은 신의 속성이며, 분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은 신이며, 모든 것은 신의 표현이므로 인간 또한 신성하다고 보았다. 이 우주에는 이원성이 없으며, 악은 단지 결핍에 지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는 없다고 생각했다.
3. 3. 과학적 업적: 폐순환의 발견
세르베투스는 폐 순환의 기능을 처음으로 기술한 유럽인이었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당시 널리 인정받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그의 설명이 의학 서적이 아닌 신학 논문인 《기독교 부흥》(''Christianismi Restitutio'')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해부학과 의학에 대해 언급한 부분들은 인체와 치료법에 대한 놀라운 이해를 보여준다. 이 책의 대부분은 1553년 출판 직후 종교 당국의 세르베투스에 대한 박해로 인해 불태워졌으나, 세 권의 사본이 살아남아 수십 년 동안 숨겨져 있었다.[63]세르베투스는 《기독교 부흥》 5장에서 폐 순환에서 혈액이 심장에서 폐로 흐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기술했다. 이전에는 폐 속의 공기가 심장으로 흐른다고 생각했다. 그의 발견은 혈액의 색깔, 서로 다른 심실의 크기와 위치, 그리고 폐정맥이 매우 커서 강렬하고 초월적인 교환을 수행한다는 사실에 근거했다.[63] 세르베투스는 심장학뿐만 아니라 뇌, 소뇌, 수막, 신경, 눈, 고막, 기적 망상혈관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해부학에 대한 뛰어난 지식을 보여주었다. 이 책의 다른 부분에서는 의약품에 대해서도 언급한다.[63]
세르베투스는 《시럽 완전 해설》과 《레온하르트 푹스》에 대한 《변명》에서 매독에 대한 연구와 같이 의학 분야와 관련된 다른 출판물을 통해서도 의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64]
4. 영향
《일곱 권의 책에 담긴 삼위일체설의 오류》는 네덜란드의 지하 인쇄소에서 대량으로 인쇄되어 널리 읽혔으며, 당시 신학 사상에 매우 큰 충격과 영향을 주었다.[21] 17-18세기 과학자이자 신학자인 에마누엘 스베덴보리는 신은 생명력의 근원이자, 편재하며 모든 존재에 유입된다는 세르베투스의 중심 명제와 같은 신학 체계를 만들었다.[53] 스베덴보리의 신학은 사회 자유주의 유니테리언 연합을 통해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29]
마틴 A. 라슨은 현대에 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뉴소트 사상을 최초로 표명한 사람이 세르베투스라고 평가했다.[24] 또한 삼위일체설을 받아들이지 않은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의 신학 논문의 주요 원천이 세르베투스라고 언급했다.[21]
4. 1. 유니테리언주의에 미친 영향
세바스티안 카스텔리오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은 세르베투스의 처형을 비난했으며, 이 사건은 칼뱅에 대한 혹독한 비평으로 이어졌다.[43] 세르베투스의 죽음은 그의 저작이 더 널리 퍼지는 결과를 낳았지만, 조르조 비안드라타와 같은 이들은 자신의 이름으로 저작을 발전시켰다.[43]세르베투스의 저작은 폴란드와 트란실바니아에서 유니테리언 운동이 시작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43] 페테르 고네시우스가 세르베투스의 견해를 옹호하면서 폴란드 형제단은 폴란드의 칼뱅주의 개혁교회에서 분리되었고, 이는 초기 유니테리언을 육성한 소치니 운동의 기반이 되었으며, 존 비들과 같은 잉글랜드의 유니테리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43]
삼위일체를 거부하고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한 세르베투스는 유니테리언에게 종종 최초의 (현대적) 유니테리언 순교자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는 17세기나 현대적 의미에서 유니테리언은 아니었다. 그는 삼위일체의 정통적 표현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지만, 매우 비정통적인 삼위일체론자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53]
세르베투스의 사상—기존 삼위일체 신학 비판, 원죄 교리 평가 절하, 성경적 증거 본문 연구—은 이후 폴란드와 트란실바니아에서 유니테리언 교회를 세우거나 영감을 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53]
여호와의 증인[54]과 온니스 오순절주의와 같은 다른 비삼위일체 그룹[55] 역시 세르베투스가 그들과 유사한 비삼위일체적 견해를 가졌다고 주장한다.[56] 온니스 오순절주의는 특히 예수의 신성에 대한 세르베투스의 가르침과, 세 개의 별개 인격이 아닌 하나님의 단일성에 대한 그의 주장에 동의한다. "그의 영이 완전히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그는 하나님이라고 불리며, 그의 육신으로부터 그는 인간이라고 불린다."[57]
온니스 오순절 학자 데이비드 K. 버나드는 미카엘 세르베투스의 신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일부 역사가들은 그를 유니테리언주의 발전에 동기를 부여한 인물로 여긴다. 그러나 그는 분명히 유니테리언이 아니었는데, 그는 예수를 하나님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다."[58]
스웨덴보리는 세르베투스의 신학과 많은 유사점을 가진 체계적인 신학을 저술했다.[59][60]
4. 2. 종교적 자유와 양심의 자유 옹호
세바스티안 카스텔리오와 수많은 사람들은 미카엘 세르베투스의 처형을 비난했으며, 이 사건은 장 칼뱅에 대한 혹독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43]이 사건으로 인해 다른 일부 반(反) 삼위일체론 사상가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표현하는 데 더욱 신중해졌다. 마르틴 켈라리우스, 렐리오 소치니 등은 저술 활동을 중단하거나 개인적으로만 글을 썼다. 세르베투스의 죽음은 그의 저작이 더 널리 배포될 수 있음을 의미했지만, 조르조 비안드라타와 같은 사람들은 자신의 이름으로 저작을 발전시켰다.
세르베투스의 저작은 폴란드와 트란실바니아에서 유니테리언 운동이 시작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43] 페테르 고네시우스가 세르베투스의 견해를 옹호하면서 폴란드 형제단이 폴란드의 칼뱅주의 개혁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이는 초기 유니테리언을 육성한 소치니 운동의 기초를 놓았고, 존 비들과 같은 잉글랜드의 유니테리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일곱 권의 책에 담긴 삼위일체설의 오류》는 네덜란드의 지하 인쇄소에서 대량으로 인쇄되어 널리 읽혔으며, 당시 신학 사상에 매우 큰 충격과 영향을 주었다.
17-18세기 과학자이자 신학자인 에마누엘 스베덴보리는 신은 생명력의 근원이자, 편재하며 모든 존재에 유입된다는 세르베투스의 중심 명제와 같은 신학 체계를 만들었다. 스베덴보리의 신학은 사회 자유주의 유니테리언 연합을 통해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 뉴소트 사상을 최초로 표명한 사람이 세르베투스라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삼위일체설을 받아들이지 않은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의 신학 논문의 주요 원천이 세르베투스라고 한다.
4. 3. 현대적 재조명
세바스티안 카스텔리오와 수많은 다른 사람들은 장 칼뱅의 미카엘 세르베투스 처형을 비난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칼뱅은 혹독한 비평을 받게 되었다.[43]이 사건으로 마르틴 켈라리우스, 렐리오 소치니 등 다른 일부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사상가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더욱 신중하게 표현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집필을 중단하거나 개인적으로만 글을 썼다. 세르베투스가 죽었다는 사실은 그의 저작이 더 널리 배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지만, 조르조 비안드라타와 같은 사람들은 자신의 이름으로 저작을 발전시켰다.[43]
세르베투스의 저작은 폴란드와 트란실바니아에서 유니테리언 운동이 시작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43] 페테르 고네시우스가 세르베투스의 견해를 옹호하면서 폴란드 형제단이 폴란드의 칼뱅주의 개혁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이는 초기 유니테리언을 육성한 소치니 운동의 기초를 놓았고, 존 비들과 같은 잉글랜드의 유니테리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43]
《일곱 권의 책에 담긴 삼위일체설의 오류》는 네덜란드의 지하 인쇄소에서 대량으로 인쇄되어 널리 읽혔으며, 당시 신학 사상에 매우 큰 충격과 영향을 주었다.
17-18세기 과학자이자 신학자인 에마누엘 스베덴보리는 신은 생명력의 근원이자, 편재하며 모든 존재에 유입된다는 세르베투스의 중심 명제와 같은 신학 체계를 만들었다. 스베덴보리의 신학은 사회 자유주의 유니테리언 연합을 통해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틴 A. 라슨은 현대에 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뉴소트 사상을 최초로 표명한 사람이 세르베투스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삼위일체설을 받아들이지 않은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의 신학 논문의 주요 원천이 그라고 말한다.
5. 기념
미카엘 세르베투스 사후, 그를 기념하기 위한 움직임은 그의 처형 350년 후에도 제네바에서 논쟁거리였다. 1903년 세르베투스 지지자들은 기념비 건립 위원회를 결성, 클로틸드 로슈에게 조각상을 의뢰했다. 그러나 제네바 시의회는 칼뱅을 옹호하는 내용의 기념비가 이미 있다는 이유로 건립을 거부, 조각상은 프랑스 아네마스에 설치되었다.[67] 1942년 비시 프랑스 정부가 철거했으나 1960년 복원되었다. 2011년에는 제네바에서도 이 조각상의 복제품을 설치, 세르베투스를 기렸다.[68] 사라고사의 한 공립병원은 그의 이름을 따 '미겔 세르베트' 병원으로 명명되었으며, 이후 '미겔 세르베트 대학교 병원'으로 변경되었다.[71]
5. 1. 제네바의 속죄 기념비
[66]
제네바에서 미카엘 세르베투스를 기리는 일은 그의 처형 350년 후에도 논쟁거리였다. 1903년, 세르베투스 지지자들은 기념비 건립 위원회를 결성했다. 위원회는 프랑스 상원 의원 오귀스트 디드가 이끌었다. 위원회는 지역 조각가 클로틸드 로슈에게 고통받는 세르베투스를 묘사한 조각상을 의뢰했다. 작품은 3년 동안 제작되어 1907년에 완성되었다. 그러나 제네바의 칼뱅 지지자들은 이미 1903년에 세르베투스를 기리는 스텔레를 세웠는데, 그 내용은 장 칼뱅을 옹호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67] 스텔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우리의 위대한 개혁가 칼뱅의 충실하고 감사하는 추종자들은 그의 시대의 오류를 정죄하고 그의 개혁과 복음의 진정한 원리에 따라 양심의 자유에 강하게 헌신하며, 우리는 이 속죄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1903년 10월 27일
스텔레 근처의 짧은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7]
시의회는 이미 세르베투스 기념비가 있다는 이유로 완성된 조각상 건립을 거부했다. 위원회는 조각상을 인근 프랑스 도시 아네마스에 제안했고, 1908년 아네마스는 시청 앞에 조각상을 설치했다. 조각상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
> "세르베투스가 제네바에서 체포된 것은 그가 출판하거나 교리를 정립하지 않았고, 따라서 그 도시의 법률에 종속되지 않았기 때문에 야만적인 행위이자 국가의 권리에 대한 모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볼테르
> "부디 이 토론을 줄여주십시오. 칼뱅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나를 이 감옥에서 썩게 하려 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가 나를 살아있는 채로 먹습니다. 내 옷은 찢어졌고, 갈아입을 옷이 없고, 낡은 조끼뿐입니다."
> 세르베투스, 1553
1942년, 비시 프랑스 정부는 양심의 자유를 기념하는 조각상을 철거하고 녹였다. 1960년, 아네마스는 원래의 틀을 찾아 재주조하여 조각상을 이전 위치로 돌려놓았다.[68]
2011년 10월 3일, 제네바는 100년도 더 전에 거부했던 조각상의 복제품을 세웠다. 그것은 클로틸드 로슈의 원래 조각상 틀로 아라곤에서 주조되었다. 전 제네바 시장 레미 파가니가 조각상 제막식을 거행했다. 그는 이전에 세르베투스를 "이단의 이단자"라고 묘사했었다.[69] 제네바의 로마 가톨릭 교회 대표와 제네바 국제 종교 개혁 박물관 관장이 이 행사에 참석했다. 한 제네바 신문은 장 칼뱅의 교회인 제네바 국립 개신교 교회의 관계자 부재를 언급했다.[70]
5. 2. 프랑스 안마스의 기념상
제네바에서 세르베투스를 기리는 일은 그의 처형 350년 후에도 여전히 논쟁거리였다. 1903년, 세르베투스 지지자들은 기념비 건립 위원회를 결성했다. 위원회는 1887년 이단자와 혁명가에 관한 책을 쓴 프랑스 상원 의원 오귀스트 디드가 이끌었다. 위원회는 지역 조각가 클로틸드 로슈에게 고통받는 세르베투스를 묘사한 조각상을 의뢰, 3년 후인 1907년에 완성되었다.[66] 그러나 제네바의 칼뱅 지지자들은 이미 1903년에 세르베투스를 기리는 스텔레를 세웠는데, 주 내용은 칼뱅 옹호에 중점을 두었다.[67]
> 우리의 위대한 개혁가 칼뱅의 충실하고 감사하는 추종자들은 그의 시대의 오류를 정죄하고 그의 개혁과 복음의 진정한 원리에 따라 양심의 자유에 강하게 헌신하며, 우리는 이 속죄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1903년 10월 27일
스텔레 근처의 짧은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시의회는 이미 세르베투스 기념비가 있다는 이유로 완성된 조각상 건립 요청을 거부했다. 위원회는 인근 프랑스 도시 아네마스에 조각상을 제안했고, 1908년 아네마스는 시청 앞에 조각상을 설치했다.[68]
> "세르베투스가 제네바에서 체포된 것은 그가 출판하거나 교리를 정립하지 않았고, 따라서 그 도시의 법률에 종속되지 않았기 때문에 야만적인 행위이자 국가의 권리에 대한 모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볼테르
> "부디 이 토론을 줄여주십시오. 칼뱅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나를 이 감옥에서 썩게 하려 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가 나를 살아있는 채로 먹습니다. 내 옷은 찢어졌고, 갈아입을 옷이 없고, 낡은 조끼뿐입니다." 세르베투스, 1553
1942년, 비시 프랑스 정부는 양심의 자유를 기념하는 조각상을 철거하고 녹였다. 1960년, 아네마스는 원래의 틀을 찾아 재주조하여 조각상을 이전 위치로 돌려놓았다.
5. 3. 제네바의 복제 기념상
제네바에서 미카엘 세르베투스를 기리는 일은 그의 처형 350년 후에도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었다. 1903년, 세르베투스 지지자들은 기념비를 세우기 위한 위원회를 결성했다. 위원회는 지역 조각가 클로틸드 로슈에게 고통받는 세르베투스를 묘사한 조각상을 의뢰했고, 1907년에 완성되었다. 그러나 제네바의 칼뱅 지지자들은 이미 1903년에 세르베투스를 기리는 스텔레를 세웠는데, 그 내용은 칼뱅을 옹호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67]
1942년, 비시 프랑스 정부는 양심의 자유를 기념하는 로슈의 조각상을 철거하고 녹였다. 1960년, 아네마스는 원래의 틀을 찾아 재주조하여 조각상을 이전 위치로 돌려놓았다.[68]
2011년 10월 3일, 제네바는 100년도 더 전에 거부했던 조각상의 복제품을 세웠다. 클로틸드 로슈의 원래 조각상 틀로 아라곤에서 주조되었다. 전 제네바 시장 레미 파가니가 조각상 제막식을 거행했다.[69]
5. 4. 스페인의 병원 명칭
1984년, 사라고사 공립 병원은 명칭을 '호세 안토니오'에서 '미겔 세르베트'로 변경했다. 1999년부터 이 병원은 세르베투스의 사라고사 대학교와의 연관성을 인정하여 '미겔 세르베트 대학교 병원'으로 알려져 있다.[71]참조
[1]
서적
Servetus
http://www.dictionar[...]
[2]
서적
La restitución del cristianismo
Fundación Universitaria Española
1980
[3]
서적
The Life of Michael Servetus: The Spanish Physician, Who, for the Alleged Crime of Heresy, was Entrapped, Imprisoned, and Burned, by John Calvin the Reformer, in the City of Geneva, October 27, 1553
https://archive.org/[...]
John Chapman
[4]
학술지
Miguel Servet o Villanueva, documentalmente, navarro de Tudela
https://dialnet.unir[...]
Ediciones Eunate
2002-09
[5]
서적
Amor a la verdad. Vida y obra de Miguel Servet
Navarro y Navarro
[6]
서적
Miguel Servet: Su Vida y Su Obra
Espasa-Calpe
[7]
서적
(Unspecified)
[8]
서적
Miguel Servet en España (1506–1527). Edición ampliada
https://ssrn.com/abs[...]
[9]
서적
Calvini Opera Quae Supersunt Omnia
[10]
학술지
Los Zaporta de Barbastro
[11]
웹사이트
http://ifc.dpz.es/re[...]
2022-03
[12]
서적
Andrés Laguna and Michael Servetus: two converted humanist doctors of the XVI century
Junta de Castilla y León
[13]
학술지
Michael Servetus belonged to the famous converted Jewish family The Zaporta
[14]
학술지
On the Jewish heritage of Michael Servet
[15]
학술지
A propósito del lugar de nacimiento y origen familiar de Miguel Servet
http://dialnet.uniri[...]
Instituto de Estudios Altoaragoneses
[16]
서적
Miguel Servet en España (1506–1527). Edición ampliada
https://ssrn.com/abs[...]
[17]
학술지
Miguel Servet: su educación y los médicos con los que convivió a través de nuevos documentos
https://www.raco.cat[...]
2018-03
[18]
학술지
Jean du Bellay, les protestants et la Sorbonne
[19]
서적
(Unspecified)
[20]
서적
Hunted Heretic
[21]
서적
Ongelmat Michael yliopistossa Pariisissa
[22]
문서
Judgement at Vienne Isère against Michel de Villeneuve
[23]
학술지
La naturalisation française de Michel Servet
H.D. Tjeenk Willink & Zoon N.V.
[24]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Authority
https://web.archive.[...]
[25]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The Reformation
[26]
서적
Story of Civilization
[27]
서적
Hunted Heretic
[28]
서적
Hunted Heretic
[29]
학술지
Michael Servetus in Vienne (France): the arrest, the trial, the sentence.
[30]
서적
The Heretics
[31]
웹사이트
Complaint Against Servetus
http://history.hanov[...]
[32]
학술지
The Complaint of Nicholas de la Fontaine Against Servetus, 14 August, 1553
http://history.hanov[...]
University of Pennsylvania History Department
[33]
서적
Hunted Heretic
[34]
서적
John Calvin: His Life, Letters, and Work
https://archive.org/[...]
Hodder and Stoughton
[35]
서적
The debatable Land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https://archive.org/[...]
G.W. Carleton & Co.
[36]
서적
Letters of John Calvin
https://archive.org/[...]
Banner of Truth Trust
[37]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I: Modern Christianity: The Swiss Reformation
William B. Eerdmans Pub. Co.
[38]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I: Modern Christianity: The Swiss Reformation
William B. Eerdmans Pub. Co.
[39]
서적
John Calvin: Man of the Millennium
Vision Forum, Inc.
[40]
간행물
Verdict and Sentence for Michael Servetus (1533)
[41]
서적
John Calvin: A Biography
https://archive.org/[...]
Lion Hudson plc
[42]
웹사이트
Out of the Flames
http://dir.salon.com[...]
2007-10-14
[43]
서적
Autour de Michel Servet et de Sebastien Castellion
[44]
웹사이트
De trinitatis erroribus
http://godglorified.[...]
[45]
서적
Servetus, Swedenborg and the Nature of Go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6]
서적
The Restoration of Christianity – An English Translation of Christianismi restitutio, 1553
Edwin Mellen Press
[47]
서적
Out of the Flames
Broadway Books
[48]
서적
Restitución del Cristianismo
Fundación Universitaria Española
[49]
서적
Restitución
[50]
서적
Restitución
[51]
서적
Restitución
[52]
서적
Out of the Flames
Broadway Books
[53]
웹사이트
Michael Servetus
http://www25.uua.org[...]
2013-10-08
[54]
서적
Reasons for Faith: Making a Case for the Christian Faith
https://books.google[...]
Crossway Books
[55]
웹사이트
The Oneness of God
http://ourworld.comp[...]
Word Aflame Press
2007-11-30
[56]
웹사이트
Michael Servetus—A Solitary Quest for the Truth
https://wol.jw.org/e[...]
[57]
서적
Hunted Heretic
Blackstone Editions
[58]
서적
The Oneness of God
Pentecostal Publishing House
[59]
서적
Servetus, Swedenborg and the Nature of Go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60]
웹사이트
Servetus, Swedenborg and the Nature of Salvation
http://www.newchurch[...]
[61]
간행물
Los dos grandes legados de Servet: el radicalismo como método intelectual y el derecho a la libertad de conciencia
[62]
서적
Essays in the Philosophy of Humanism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63]
서적
Christianismi restitutio …
http://bdh-rd.bne.es[...]
Baltasar Arnoullet
[64]
서적
From Alchemy to Chemotherapy
Hermes Press
[65]
웹사이트
Galileo Galilei/Vesalius and Servetus
https://archive.org/[...]
[66]
웹사이트
Miguel Servet monument
http://himetop.wikid[...]
[67]
웹사이트
Rue Michel Servet, Genéve, Switzerland
https://maps.google.[...]
[68]
서적
Out of the Flames: The Remarkable Story of a Fearless Scholar, a Fatal Heresy, and One of the Rarest Books in the World
Broadway
[69]
웹사이트
Tribune de Geneve
http://www.tdg.ch/ge[...]
2011-10-11
[70]
뉴스
Tribune de Genève
2001-10-04
[71]
웹사이트
Historia del Miguel Servet
https://sectorzarago[...]
2015-03-19
[72]
서적
The two treatises of Servetus on the Trinity
https://archive.org/[...]
Kraus Reprint Co.
1969
[73]
서적
Claudii Ptolemaeii Alexandrinii Geographicae
Trechsel
1535
[74]
서적
Michael Servetus: A Translation Of His Geographical, Medical And Astrological Writings With Introductions And Notes
https://babel.hathit[...]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53
[75]
서적
Michael Servetus: A Translation of His Geographical, Medical and Astrological Writings
https://babel.hathit[...]
1953
[76]
서적
Michael Servetus: A Translation of His Geographical, Medical and Astrological Writings
https://babel.hathit[...]
1953
[77]
서적
Tähtitiede ja renessanssi
2008
[78]
서적
Michael Servetus: A Translation of His Geographical, Medical and Astrological Writings
https://babel.hathit[...]
1953
[79]
서적
Mélanges offerts a M. Emile Picot
[80]
서적
Miguel Serveto. Su vida y su obra
Ed. Austral
1987
[81]
서적
Obra Completas
2003
[82]
서적
Love for Truth. Life and work of Michael Servetus
Navarro y Navarro
2011
[83]
서적
Miguel Serveto. Su vida y su obra
Ed. Austral
1987
[84]
서적
Michael Servetus: Intellectual Giant, Humanist, and Martyr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2002
[85]
서적
Obra Completas
2003
[86]
서적
Mélanges offerts a M. Emile Picot
[87]
서적
Love for Truth. Life and work of Michael Servetus
Navarro y Navarro
2011
[88]
간행물
New discoveries on the work of Michael de Villanueva (Michael Servetus)
VI International Meeting for the History of Medicine. Programme book
2011
[89]
서적
Miguel Servet
Espasa calpe
1973
[89]
서적
Historia de la circulación de la sangre
Ed. Austral
1973
[90]
서적
Miguel Servet. Su vida y su obra
Ed. Austral
1989
[91]
서적
Miguel Servet. Restitución del cristianismo
Fundación universitaria española
1980
[92]
서적
Michel Servet. Hérétique et martyr, 1553–1953
Droz
1953
[93]
서적
Michael Servetus. Intellectual Giant, Humanist, and Martyr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2
[94]
서적
Miguel Servet. Obras completas
Publicaciones de la universidad de Zaragoza
2003
[95]
간행물
The discovery of Lesser Circulation and Michael Servetus's Galenism
43r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Programme Book
2012
[96]
서적
Love for Truth. Life and work of Michael Servetus
Navarro y Navarro
2011
[97]
웹사이트
http://www.archivero[...]
1999
[98]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Spanish National Distance University (UNED)
2017
[99]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00]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01]
서적
Portraits or figures from the stories of the Old Testament
Government of Navarre
2001
[102]
간행물
Discovery of new editions of Bibles and of two 'lost' grammatical works of Michael Servetus & The doctor Michael Servetus was a descendant of Jews
Abstracts, 3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History of Medicine
2000
[103]
간행물
Spanish summary of the Old Testament
Roots, Jewish Magazine of Culture
2002
[104]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05]
간행물
A Spanish work attributable to Michael Servetus: 'The Dioscorides of Sesma'
Minutes from the X Congress on History of Medicine
2001
[106]
서적
Michael Servetus, editor of the Dioscorides
Institute of Sijenenses Studies "Michael Servetus", Villanueva de Sijena, Larrosa ed. and "Ibercaja," Zaragoza
1997
[107]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08]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09]
간행물
The book of work of Michael Servetus for his Dioscorides and his Dispensarium (Le livre de travail de Michel Servet pour ses Dioscorides et Dispensarium) and The Dispensarium or Enquiridion, complement of the Dioscorides of Michael Servetus (Enquiridion, L’oeuvre Le Dispensarium ou Enquiridion complémentaire sur le Dioscorides de Michel Servet)
Book of summaries, 36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History of Medicine, Tunis (Livre des Résumés, 36ème Congrès International d' Histoire de la médicine, Tunis)
1998
[110]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11]
간행물
The 'Dispensarium' or 'Enquiridion,' the complementary work of the Dioscorides, both by Servetus and The book of work of Michael Servetus for his 'Dioscorides' and his 'Dispensarium'
Program of the congress and abstracts of the communications, XI National Congress on History of Medicine, Santiago de Compostela, University of Santiago de Compostela
1998
[112]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13]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14]
논문
Miguel Servet y los impresores lioneses del siglo XVI
http://e-spacio.uned[...]
2017
[115]
서적
This Was John Calvin
성약출판사
2007-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