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엽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엽상은 기온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상 관측 장비로, 햇빛, 빗물, 바람 등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온도계를 보호하여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19세기 영국에서 처음 개발되어, 이중 루버 구조, 흰색 페인트, 통풍 구조 등을 갖추고 있다. 백엽상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학교 교육 및 기상 관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자동 기상 관측 장비의 발전으로 활용도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상 계측기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기상 계측기 - 풍속계
    풍속계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구로, 다양한 과학자들의 연구를 거쳐 컵 풍속계, 날개 풍속계, 열선 풍속계, 초음파 풍속계, 레이저 도플러 풍속계, 압력 풍속계 등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기상 관측, 풍력 발전, 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백엽상

2. 역사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백엽상 연구가 시작된 이후, 여러 차례 개선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했다. 토머스 스티븐슨이 초기 디자인을 고안했으며, 에드워드 모울리가 수정한 설계는 영국 기상청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스코틀랜드의 기상학자 존 에이트켄(John Aitken)은 스티븐슨 스크린(백엽상)의 측정값에 의문을 제기하며, 상자의 열 관성으로 인한 복사 영향을 지적했다.[13]

현재는 복사 영향 때문에 백엽상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이다.[11] 기술적인 단순성으로 인해 세계 각지에서 여전히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본 기상청1993년부터 백엽상 관측을 폐지했다.[11] 최근에는 복사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하우징 재료, 센서 소형화, 통풍량 증가 등 다양한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11]

2007년 현재 기상대 기상 관측 시스템 관측 지점은 지상 1.5m 높이에 설치된, 팬이 있는 통풍통에 담긴 전기온도계(백금 저항 온도계)와 전기식 습도계(정전 용량 습도계)로 측정한다.

2. 1. 초기 역사 (영국)

19세기 중반 영국의 시민 공학가 토머스 스티븐슨(1818–1887)과 그의 아버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에 의해 백엽상 연구가 시작되었다. 1864년에 보고된 스티븐슨의 초기 백엽상은 사방이 이중 판으로 덮여 있었고, 마루는 없었다.[27] 영국 내 다른 차양막과 비교를 거쳐 스티븐슨의 원래 설계는 수정되었다.[28] 1873년부터 현재 볼 수 있는 상자형 백엽상(스티븐슨 형 백엽상)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미국식 변형 (Cotton Region 백엽상)


1884년 영국 왕립 기상 학회의 에드워드 모울리는 이중 지붕, 경사진 널빤지로 된 바닥, 그리고 이중 격벽을 가진 백엽상 설계를 발표했다.[29] 이 설계는 영국 기상청으로부터 채택되었고, 캐나다와 같은 다른 나라에도 국가적인 적용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각 국가 기관은 미국의 단일 루버 방식의 Cotton Region 백엽상과 같은 자체적인 변형을 개발했다.[30]

기온(대기 온도) 측정 방법의 표준화, 즉 측정 시 환경에 대한 배려가 제대로 이루어지게 된 것은 19세기에 들어서부터이다. 18세기 전반에 특히 영국에서 널리 사용된 것은 영국의 기상학자 제임스 글레이셔(James Glaisher)가 개발한 글레이셔 스탠드(Glaisher stand)라고 불리는 햇빛 가리개용 지붕이 달린 오픈형 스탠드이다.[10] 이것은 그가 그리니치 천문대의 기상 부장일 때 고안한 것으로, 온도계는 스탠드의 차광판 뒷면에 부착되어 있었지만, 일정 시간마다 사람이 돌려야 했다.[11]

그래서 1863년 스코틀랜드의 등대 설계자 토머스 스티븐슨(Thomas Stevenson)이 스티븐슨 스크린(Stevenson Screen)을 발명했다. 이것은 일종의 이중 덧문이 달린 나무 상자로, 햇빛을 차단하면서 통풍도 고려되었다. 영국 기상 학회(Britain’s Meteorological Society)에서 1873년에 각종 차광판과 기상 관측 상자가 비교 검토된 결과, 스티븐슨 스크린이 기온 관측에 사용되도록 권장되었다.[12]

2. 2. 일본의 도입과 발전

1874년 7월, 내무성의 측량가가 영국에서 백엽상을 도입한 것이 일본 백엽상의 시초이다. 처음에는 판렴(板簾)으로 번역되었다.[14] 1886년에 제정 공포된 기상법에서 ‘백엽상’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였다.[14]

1953년 과학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문부성의 장려로 전국의 초등학교 운동장에 백엽상이 설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초등학교에 백엽상이 설치되어 기상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1993년 1월, 일본 기상청은 자동 관측 기기 보급에 따라 백엽상 관측을 폐지했다. 그 후, 직원들이 자원봉사로 보수 및 유지 관리를 맡아왔지만, 노후화로 인해 유지 관리가 어려워져 백엽상은 점차 철거되었다. 초·중학교에는 여전히 백엽상이 설치된 곳이 많지만, 이 역시 노후화로 유지 관리가 어려워져 철거되는 추세이다. 최근 젊은 교원들 중에는 백엽상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늘고 있다.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지하 플랫폼에도 백엽상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이용객 및 전차 운행 빈도 증가가 역 구내 온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최초 구간인 미도스지선 개업 다음 해인 1934년 요도야바시역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오사카뿐만 아니라 전국 지하 냉방 정비 계획 입안에도 기여했다.[17]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측정 기기를 백엽상에 넣을 필요가 없어지면서 2012년 이후 철거가 진행되었다.[17]

이용자들의 아쉬움 섞인 목소리를 반영하여, 오사카 시 고속 전기 궤도(Osaka Metro)는 2012년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미도스지선우메다역・요도야바시역덴노지역, 다니마치선덴마바시역, 요츠바시선니시우메다역, 주오선미도리바시역, 센니치마에선쓰루하시역, 사카이스지선사카이스지혼마치역에서 총 8대의 백엽상을 보존하였다.[18] 하지만 2024년도 말에 리뉴얼 공사가 완료될 모리노미야역 서쪽 콘코스에 백엽상이 전시될 예정이어서, 8개 역의 8대도 모두 철거될 예정이다.

오사카 시영 지하철 플랫폼에 있는 백엽상
(2007년 3월·요도야바시역)

2. 3. 한국의 도입과 발전

한국에서 백엽상은 1874년 7월에 일본 내무성의 측량가가 영국에서 도입한 것이 시초이다. 처음에는 판렴(板簾)으로 번역되었다가, 1886년 일본 기상법에서 '백엽상'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27]

일제강점기 초등학교에 백엽상이 설치되어 기상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한국의 기상 관측 체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당시 축적된 관측 자료는 현재까지도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1953년 과학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문부성의 장려로 전국의 초등학교 운동장에 백엽상이 설치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이미 초등학교에 백엽상이 설치되어 기상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1993년 1월 일본 기상청은 자동 관측 기기 보급에 따라 백엽상 관측을 폐지했다. 한국에서도 자동 관측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백엽상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하지만 백엽상은 오랫동안 기상 관측의 중요한 도구였으며,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교육용으로 활용되어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에 기여했다.

3. 규격

태양광을 피해 그늘에, 주로 잔디 위에 설치 된다.


전통적인 스티븐슨형 백엽상은 나무로 만들어진 상자형이며, 이중 격벽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피라미드와 같이 다른 재료와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6] 세계기상기구(WMO)는 온도계의 높이를 지상 1.25m에서 2m 사이로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정했다. 각 지점의 관측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세계 기상 기구의 기준에 따라 지상 1.25m에서 2m (일본 기상청에서는 1.5m) 높이에서 측정해야 한다.[9]

3. 1. 구조 및 재료

전통적인 백엽상은 이중 루버 디자인으로 나무로 제작된 상자 모양이다.[6] 하지만 피라미드와 같이 다른 재료와 형태로 백엽상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계 기상 기구(WMO)에서 합의한 온도계의 표준 높이는 지상 1.25m 에서 2m 사이이다.

백엽상의 내부 크기는 사용될 기기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단일 백엽상의 크기는 이며, 이중 백엽상은 이다. 이 장치는 4개의 금속 또는 나무 다리 또는 나무 기둥으로 지지된다.

백엽상의 상단은 원래 두 개의 석면 보드로 구성되었으며, 그 사이에 공기 공간이 있었다. 이 석면 보드는 보건 및 안전상의 이유로 라미네이트로 대체되었다. 전체 백엽상은 여러 겹의 흰색 페인트로 칠해져 태양 복사선을 반사하며, 일반적으로 2년에 한 번씩 재도색이 필요하다.[9]

보다 정확한 기온 측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양질의 목재로 제작된다. 이는 의 전달을 줄이기 위함이다.
  • 복사열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외부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 정확한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풍이 필요하기 때문에 측면은 이중 세로살 창문, 천장과 바닥은 널빤지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 측면의 세로살 창문에는 쌍엽식과 단엽식이 있다.
  • 지붕에는 양지붕식과 외지붕식이 있다.
  • 문쪽에서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도록 설치한다. 문은 북반구에서는 쪽을 향하게, 남반구에서는 남쪽을 향하게 설치된다.

3. 2. 설치 조건

보다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태양광을 반사하여 열을 가두지 않도록 흰색 페인트로 칠한다.
  • 열을 가운데로 전달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나무로 만든다.
  • 바람 통기를 좋게 하고, 햇빛과 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어 있다.
  • 직사광선이 연결되지 않도록 문은 북반구에서는 북쪽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남향으로 설치한다.
  • 열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잔디 등 흙 위에 설치한다.
  • 일반적으로 지상 1.2 ~ 1.5 m 높이에 설치한다. 세계기상기구의 규칙은 지상 1.25m에서 2m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6]


백엽상의 설치는 지면, 건물, 나무의 영향으로 인한 데이터 저하를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세계 기상 기구(WMO)의 2010년 권고는 불완전할 경우에도 훌륭한 기반이 된다.[7] 또한, 캐나다 환경부는 스크린을 물체의 높이의 최소 두 배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높이가 10m인 나무에서 20m 떨어져 설치해야 한다.

북반구에서는 온도계에 직사광선이 닿는 것을 막기 위해 스크린의 문이 항상 북쪽을 향해야 한다. 24시간 햇빛이 비치는 극지방에서는 관찰자가 온도계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관찰자의 체온으로 인한 온도 상승을 피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지붕에 아이볼트가 있는 특수한 유형의 백엽상은 선박에서 사용된다. 이 장치는 위에서 매달려 선박의 움직임에도 수직을 유지한다.

일반적인 스티븐슨식 백엽상에서는 보다 정확한 기온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장치가 사용된다.[9]

장치설명
목재의 전달을 줄이기 위해 양질의 목재로 제작된다.
흰색 페인트복사열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외부는 흰색으로 칠한다.
이중 구조정확한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풍이 필요하기 때문에 측면은 이중 세로살 창문, 천장과 바닥은 널빤지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문 방향문쪽에서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도록 설치한다. 문은 북반구에서는 쪽을 향하게, 남반구에서는 남쪽을 향하게 설치된다.
지면백엽상을 설치하는 장소의 지면은 잔디 또는 해당 지역의 자연 지표면으로 한다.
높이각 지점의 관측 데이터 상호 비교를 위해 세계 기상 기구에서는 지상 1.25m에서 2m (일본 기상청에서는 1.5m)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4. 특징 (관측값의 오차)

백엽상으로 관측하면 낮에는 실제 기온보다 약간 높고, 밤에는 약간 낮게 측정되어 오차가 발생한다.[9] 일본 기상청에서는 1993년까지 천장에 팬을 설치해 강제 통풍을 하는 백엽상을 사용했으며,[9][20] 이후에는 강제통풍통을 이용해 관측하고 있다.[15]

4. 1. 오차 발생 원인

백엽상 내부의 기온은 가능한 한 외부 기온과 일치하도록 통풍이 필요하다.[9] 그러나 백엽상의 통풍은 측면이나 바닥면 등에서의 자연 통풍이 일반적이므로, 관측되는 값은 낮에는 약간 높고 밤에는 약간 낮아져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낮의 경우, 실제 기온보다 연평균 기온은 약 0.1°C, 최고 기온의 연평균값은 약 0.2°C, 맑고 바람이 약한 날의 낮 최고 기온은 약 1°C 높게 관측되는 특징이 있다.[19]

4. 2. 오차 보정 노력

백엽상 내부의 기온은 가능한 한 외부 기온과 일치하도록 통풍이 필요하다.[9] 그러나 백엽상의 통풍은 측면이나 바닥면 등에서의 자연 통풍이 일반적이므로, 관측되는 값은 낮에는 약간 높고, 밤에는 약간 낮아져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낮의 경우, 실제 기온보다 연평균 기온에서는 약 0.1°C, 최고 기온의 연평균값에서는 약 0.2°C, 맑고 바람이 약한 날의 낮 최고 기온에서는 약 1°C 높게 관측되는 특징이 있다.[19]

일본 기상청에서는 천장에 팬을 설치하여 강제 통풍을 하도록 한 백엽상을 사용하였으며,[9] 1993년까지 사용되었다.[20] 이후에는 강제통풍통에 의한 관측을 하고 있다.[15]

5. 현대적 활용

현대 사회에서 백엽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동 기상 관측 장비의 발달로 일부 지역에서는 백엽상을 대체하는 자동 기상 관측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백엽상은 여전히 교육 및 기타 목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된다.

백엽상을 설치할 때는 지면, 건물, 나무 등의 영향으로 데이터가 부정확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세계 기상 기구(WMO)의 권고와 캐나다 환경부의 지침을 참고하여, 주변 물체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높이가 10m인 나무에서는 20m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한다.

북반구에서는 온도계에 직사광선이 닿는 것을 막기 위해 백엽상의 문을 항상 북쪽으로 향하게 설치한다. 극지방과 같이 24시간 햇빛이 비치는 곳에서는 관찰자가 온도계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체온으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선박에서는 지붕에 아이볼트가 있는 특수한 유형의 백엽상을 사용한다. 이 장치는 위에서 매달려 있어 선박이 움직여도 수직을 유지한다.

5. 1. 학교 교육

일본에서는 1953년 이과 교육 진흥법 시행 이후, 문부성의 권장으로 전국 초등학교 운동장에 백엽상이 설치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도 초등학교에 백엽상이 설치되어 기상 관측이 이루어지기도 했다.[15] 1947년 학습지도요령 "시안"부터 게재가 허용되었고, 1954년부터 시행된 이과교육진흥법 관련 성령에 백엽상이 실리면서 전국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기상 관측이 이루어졌다.[20]

현행 성령[21]에는 "기상 학습용구"라고만 기재되어 있어 반드시 백엽상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공간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백엽상이 개발되거나[22], 동일본 대지진 관련 사립학교 시설 재해 복구 사업 보조 대상에 포함되어 오래된 백엽상은 갱신되고 있다.[23]

도쿄의 열섬 현상 관측을 위해 2002년 7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도쿄도 초등학교 100개교 (2003년도부터는 106개교)의 백엽상 내에 데이터 로거 부착 온습도계를 설치한 METROS100이 운용되기도 했다.[24] 이처럼 백엽상은 눈에 띄기 쉽고 친근한 측정 기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백엽상을 사용하여 교육 목적으로 관측하는 경우, 그 데이터는 기상업무법에 규정된 기상 관측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인터넷 등에 공표할 경우에는 교육 목적임을 명시해야 한다.[25]

5. 2. 자동 기상 관측 장비와의 비교

자동 기상 관측 장비의 발달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백엽상 및 기타 독립형 기상 장비를 대체하는 단일 장치 자동 기상 관측소가 사용되고 있다.

5. 3. 기타 활용 사례

백엽상은 지면, 건물, 나무 등의 영향으로 데이터가 부정확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세계 기상 기구(WMO)의 2010년 권고는 불완전하지만 좋은 참고 자료가 되며,[7] 캐나다 환경부는 백엽상을 물체 높이의 최소 두 배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높이가 10m인 나무에서 20m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한다.

북반구에서는 온도계에 직사광선이 닿는 것을 막기 위해 백엽상의 문이 항상 북쪽을 향해야 한다. 24시간 햇빛이 비치는 극지방에서는 관찰자가 온도계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관찰자의 체온으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선박에서는 지붕에 아이볼트가 있는 특수한 유형의 백엽상을 사용한다. 이 장치는 위에서 매달려 있어 선박이 움직여도 수직을 유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tevenson Screen http://www.on.ec.gc.[...] Environment Canada 2007-12-04
[2] 논문 New Description of Box for Holding Thermometers https://hdl.handle.n[...] 1864-06
[3] 서적 A History of the Thermometer and Its Uses in Meteorolog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Press
[4] 논문 Report on Temperatures in Two Different Patterns of Stevenson Screens http://babel.hathitr[...] 1884-01
[5] 논문 The Effect of Thermometer Screen Design on the Observed Temperature https://library.wmo.[...] World Meteorological Society 1972
[6] 간행물 High May Temperatures in London https://books.google[...] 1913-06
[7] 웹사이트 Commission for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https://library.wmo.[...] 2010-09-02/2010-09-08
[8] 웹사이트 森田さんのお天気ですかァ? お天気Q&A http://www.tbs.co.jp[...] TBSテレビ 2008-05-14
[9] 웹사이트 気象観測の手引き https://www.jma.go.j[...] 気象庁 2016-10-20
[10] 논문 Description of thermometer stand
[11] 웹사이트 気象学と気象予報の発達史: 気温測定の難しさ (Difficulty of atmospheric temperature measurement) https://korechi1.blo[...] 2019-11-05
[12] 논문 Thermometer screens and the geographies of uniformity in nineteenth-century meteorology https://royalsociety[...] 2019-06-20
[13] 논문 Thermometer screens
[14] 웹사이트 C153 東京気象台1875(明治8)年観測開始期のメタ情報(2)(大気と海洋のデータレスキューの現状とその利活用,専門分科会) https://dl.ndl.go.jp[...] 日本気象学会 2015-04-30
[15] 웹사이트 気温を正確に測るには https://web.archive.[...]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6-10-20
[16] 뉴스 【fileいい話】「百葉箱」の現代版 好調/屋外用温湿度検出器・相互電機 日刊工業新聞 2017-06-27
[17] 웹사이트 編集長敬白:消える大阪市交の「百葉箱」。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2-07-25
[18] 웹사이트 まだあったのか! 大阪の地下鉄ホームで懐かしの百葉箱に遭遇 設置から90年…役割を終えても撤去されない理由 そして中には何が?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ニュース 2023-09-09
[19] 웹사이트 温暖化と都市緑化Q&A https://www.asahi-ne[...]
[20] 논문 日本における百葉箱の歴史と現状について https://doi.org/10.1[...] 日本気象学会
[21] 문서 理科教育のための設備の基準に関する細目を定める省令 https://laws.e-gov.g[...]
[22] 웹사이트 壁掛け型など多様に…百葉箱 https://www.yomiuri.[...] 読売オンライン 2016-05-24
[23] 웹사이트 東日本大震災に係る私立学校施設災害復旧事業に対する補助について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13-08-25
[24] 논문 東京における高密度気象観測システム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5] 문서 気象の観測を行う場合に~気象観測の技術上の基準と届出・検定制度 https://www.jma.go.j[...]
[26] 웹사이트 백엽상(百葉箱) 기상청 2015-09-17
[27] 문서 New Description of Box for Holding Thermometers 1864-06
[28] 서적 A History of the Thermometer and Its Uses in Meteorology Johns Hopkins Press
[29] 저널 Report on Temperatures in Two Different Patterns of Stevenson Screens http://babel.hathitr[...] 1884-01
[30] 문서 The Effect of Thermometer Screen Design on the Observed Temperature World Meteorological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