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원조고문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사원조고문단(MAAG)은 미국이 동맹국에 군사적 지원과 고문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한 조직이다. 한국, 일본, 대만,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등 다양한 국가에 파견되어 군사 훈련, 장비 지원, 작전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냉전 시기에 미국의 대외 정책을 지원하고, 동맹국의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군사고문단 -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KMAG)은 대한민국 국군 창설과 전력 증강을 지원하기 위해 1949년 창설된 미국의 군사 조직으로, 한국 전쟁 기간에는 극동사령부 예하 부대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국군의 현대화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을 통한 양국 군대의 상호 운용성 및 공동 대응 능력 강화에 기여했다. - 미국의 군사고문단 - 합동군사고문단
합동군사고문단은 특정 국가의 군사력 증강을 위해 파견된 미국 군사 조직으로, 군사 훈련, 장비 지원, 군사 협력 등을 담당하며, 대한민국, 태국, 필리핀 등 여러 국가에 주둔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군사원조고문단 | |
---|---|
개요 | |
유형 | 군사 조직 |
역할 | 외국 군대 훈련 및 자문 |
창설 | 1940년대 후반 ~ 1950년대 |
해체 | 다양한 시기 (대부분 1970년대 이전) |
국가 | 프랑스 그리스 이란 대한민국 라오스 남베트남 타이 중화민국 |
상세 정보 | |
목적 | 미국의 군사적, 전략적 이익 증진을 위해 다른 국가의 군대를 훈련, 장비, 자문하는 것 |
활동 | 군사 훈련 프로그램 제공 군사 장비 지원 군사 전략 및 전술 자문 미국의 정책 목표 지원 |
중요성 | 미국의 냉전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공산주의 확산 방지 및 우방국 군사력 강화에 기여 |
관련 용어 | |
USMILGP | 미국 군사 그룹(United States Military Group) |
2. 동북아시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와이즈 대령은 난징에 본부를 두고 한커우에 연락팀을 둔 중화민국 공군 군사고문단에 모집되었다.[13]
2. 1. 대한민국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6.25 전쟁 중에는 한국군 훈련 및 작전 지원을 통해 전쟁 수행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휴전 이후에도 한국군의 현대화에 기여했다.2. 1. 1. 역사
제24(XXIV)군단이 광복 이후 한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 국군을 대상으로 설립한 군사 고문단이다. 이들은 6.25전쟁 중에도 대한민국 국군의 훈련소 등에서 업무를 계속하였으며, 휴전 이후 서울특별시의 주한 미국 대사관에 본부를 두고 있다.2. 1. 2. 역할
군사원조고문단은 광복 이후 한반도에 상륙했던 미국 제24군단에서 대한민국 국군을 대상으로 설립한 군사 고문단이다. 6.25 전쟁 중에도 대한민국 국군의 훈련소 등에서 업무를 계속하였으며, 휴전 이후 서울특별시의 주한 미국 대사관에 본부를 두고 있다.[1]2. 2. 일본
주일 미국 군사원조고문단(Military Assistance Advisory Group Japan (MAAGJ)영어)은 도쿄도에 있는 주일본 미국 대사관 산하에 조직되어 있는 미국의 군사원조고문단이다.[31] 일미상호방위원조협정(MSA)에 따라 자위대 창설 및 현대화에 기여하였다.2. 2. 1. 역사
연합군 최고사령부 산하 민사실 별관(Civil Affairs Section Annex (CASA), 民事局別室)[32]으로 창설되었다. 1954년 4월 28일에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점령군에서 주둔군으로 바뀌었다. 같은 해 5월 1일에 발효된 일미상호방위원조협정(MSA)에 따라 주일 미군은 조직을 개편하여 군사원조고문단을 창설하였다.자위대 정비로 MAAGJ의 역할이 줄어들어 1969년 7월에 상호방위원조사무실로 재편성되었다.[33]
2. 2. 2. 부서
2. 3. 중화민국 (대만)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Military Assistance Advisory Group, Taiwan (MAAG Taiwan)영어)은 중일 전쟁 이후 중화민국 공군 지원을 위해 설치되었다. 1951년부터 1978년까지 타이완 타이베이에 주둔하면서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와 함께 대만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대 군사고문단장인 윌리엄 C. 체이스 소장은 육군 67명, 해군 4명, 공군 63명의 인원으로 군사고문단을 구성했다. 이들은 중화민국 국방부 및 참모 본부와 협력하며 군사학교와 전술 부대에 대한 지원을 제공했다.
1954년 9월 3일, 진먼 포격 사건 당시 군사고문단 요원 2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군사고문단은 무기 및 군사 조언 제공, 타이완 군사 훈련 지원, 중화민국-미국 상호 방위 조약 이행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 국방부는 2022년 1월 7일,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의 재설립을 공표하였다.[22]
2. 3. 1. 역사
중일 전쟁이 끝난 뒤, 미국 육군 항공대의 와이즈 대령이 중화민국 공군을 대상으로 한 군사고문단을 모집하였다. 군사고문단은 난징에 본부를, 한커우에 연락반을 두었다.
1951년부터 1978년까지 타이완 타이페이에 중화민국에 대한 군사원조고문단이 있었다. 1955년부터는 군사원조고문단과 함께 작전을 수행하는 미국의 합동 전투 부대가 미국 타이완 방어 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육군 소장 윌리엄 C. 체이스가 지휘하는 군사원조고문단은 육군 67명, 해군 4명, 공군 63명의 인원을 승인받았다.[13] 군사원조고문단의 합동 본부에는 육군, 해군, 공군 부서가 있었다. 체이스 장군은 1951년 5월 1일 타이완 타이베이에 도착하여 중국 국민당에 부여된 모든 지원이 미국의 외교 정책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지 확인하는 임무를 맡은 팀의 군사 요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타이완에 도착한 후, 군사원조고문단은 재편성되고 확대되었다.[13] 초기에 해병대는 대표가 없었지만, 로버트 B. 카니 주니어 미 해병대 장교가 팀에 추가되었다. 이후 12명의 다른 장교와 사병이 합류하여 총 13명의 해병대 인원이 되었다.[14] 원래 세 개의 군 부서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어, 국민당 육군의 합동 군사 지원 부대(의무, 통신, 공병, 병기, 수송, 화학 및 병참 부서)에 상응하는 합동 기술 서비스 부서가 만들어져 자문을 제공했다. 4개 부서장과 같은 수준의 본부 사령관은 군사원조고문단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일상적인 업무를 담당했다. 군사원조고문단 장교들은 국민당 국방부 및 참모 본부 내의 상대방을 지원했다. 군사학교와 전술 부대에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특별팀이 만들어졌다.
1954년 9월 3일, 샤먼(아모이)과 다덩(타텅)에 있던 14문의 120mm 및 155mm 중국 공산군 포가 5시간 동안 진먼(퀘모이) 섬에 6,000발의 포탄을 발사했다.[15] 알프레드 메덴도르프 중령과 프랭크 린 중령, 두 명의 미국 군사원조고문단 요원이 포격으로 사망했다. 중화민국 육군 진먼 방어 사령부(육군금문방위지휘부)는 1992년과 2011년에 각각 진먼에 있는 이들 장교들을 위한 기념비를 세웠다.[16] 알프레드 메덴도르프 중령()은 1954년 11월에 사후 운휘훈장을 수여받았다.[17]
체이스 장군은 1955년에 은퇴했고, 이후 레스터 보크 준장이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18] 1967년에는 리차드 시콜레라 소장이 MAAG를 지휘했다.[19] 이 무렵, 1967년 CINCPAC 사령부 역사에는 이 직함이 "MAAG 중국"으로 나와 있다.
미국 군사 고문들은 무기와 군사 조언을 제공하고, 타이완 군사 훈련을 지원하며, 중화민국-미국 상호 방위 조약을 이행하고, 군사적 접촉을 유지하며, 중화민국 군대를 감시하는 임무를 맡았다. 1957년에는 타이완에 10,000명의 미국인이 있었으며, 대부분이 CIA 및 군사 요원과 그들의 가족이었다.[20]
1979년 이후, 타이베이에 있는 MAAG 본부 부지는 미국 재타이페이 협회/타이베이 본부가 사용해 왔으며, 2019년에 새로운 사무실 단지로 이전했다. 타이페이 미국 클럽은 현재 이전 MAAG 부사관 오픈 메스 - 클럽 63의 부지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2022년 1월 7일,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의 재설립을 공표하였다.[22]
2. 3. 2. 1954년 진먼 포격 사건
1954년 9월 3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샤먼(아모이)과 다덩에서 120mm 및 155mm 포 14문을 동원해 5시간 동안 진먼 섬에 6,000발의 포탄을 퍼부었다.[15] 이 포격으로 미국 군사원조고문단(MAAG) 소속 알프레드 메덴도르프 중령과 프랭크 린 중령 두 명이 사망했다.[15] 중화민국 육군 진먼 방어 사령부는 1992년과 2011년에 각각 진먼에 이들을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다.[16] 알프레드 메덴도르프 중령()은 1954년 11월 사후 운휘훈장을 받았다.[17]3.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는 여러 군사원조고문단(MAAG)이 설치되어 각국의 군사력 강화와 냉전 시기 공산주의 확산 방지에 기여했다.
- '''베트남:'''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를 지원하고, 이후 남베트남의 군사력 강화를 위해 1950년 9월 1일에 베트남 군사원조고문단(MAAG Vietnam)이 설치되었다. 1962년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가 창설되면서, 1965년 5월에 MAAG 베트남은 MACV에 통합되었다.[28]
- '''라오스:''' 1961년 프로그램 평가국을 대체하여 공산주의 파테트 라오에 맞서 싸우는 라오스 왕립군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62년 7월 23일, 여러 관련 국가들은 제네바에서 라오스의 중립과 독립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MAAG를 철수하고 이를 요구 사항 사무소로 대체했다.[10]
- '''캄보디아:''' 1955년 5월 16일 미국-캄보디아 간의 협정에 따라 1955년 6월 4일 캄보디아 군사원조고문단(MAAG 캄보디아)이 설립되었다. 1963년 11월 20일 MAAG 캄보디아의 활동은 종료되었다.[12]
- '''필리핀:''' 주필 미국 합동군사고문단(Joint US Military Assistance Group to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주필 미국 합동군사고문단영어)은 마닐라의 주필리핀 미국 대사관에 본부를 두고 있다.[30]
3. 1. 베트남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를 지원하고, 이후 남베트남의 군사력 강화를 위해 1950년 9월 1일에 베트남 군사원조고문단(MAAG Vietnam)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군사 개입 심화와 베트남 전쟁 확전으로 이어져 논란이 되었다.
MAAG 베트남은 응오딘지엠 대통령의 요청으로 군사 고문 수를 늘리고, 베트남 공화국군(ARVN) 강화에 힘썼다. 그러나 응오딘지엠은 미국 고문들이 베트남 전술 부대에 들어가는 것을 꺼렸는데, 이는 미국이 그의 군대에 대한 통제력이나 영향력을 얻을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ARVN 병력 증강과 미국의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는 MAAG 베트남의 요청에 동의했다. 케네디 행정부 시기 MAAG 베트남은 행정부 관리, USOM, 미국 정보 서비스와 협력하여 대반란 계획(CIP)을 개발했다.
1962년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가 창설되면서, 1965년 5월에 MAAG 베트남은 MACV에 통합되었다.[28] 1968년 전쟁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9,430명의 미 육군 요원과 소수의 미 해군, 미 해병대, 미 공군 및 호주 육군 요원이 지구대 및 대대 수준까지 고문으로 활동하며 베트남 공화국군, 베트남 공화국 해병대, 베트남 공화국 해군 및 베트남 공화국 공군을 훈련, 조언 및 지도했다.
MAAG 베트남의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사령관 |
---|---|
1955년 11월 - 1960년 9월 | 새뮤얼 T. 윌리엄스 중장 |
1960년 9월 - 1962년 1월 | 라이오넬 C. 맥가르 중장 |
1962년 1월 - 1964년 6월 | 폴 D. 하킨스 대장 |
3. 1. 1. 역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결과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남쪽에 새로 들어선 민주주의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1950년 9월 사이공에 베트남 군사원조고문단(MAAG Vietnam)이 설치되었다.[27]1950년 9월,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를 지원하기 위해 군사원조고문단(MAAG)을 베트남에 파견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이들이 전투 병력이 아니라, 프랑스가 베트민 세력과 싸우는 것을 돕기 위해 1000만달러 상당의 미국 군사 장비 사용을 감독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953년까지 지원 규모는 3.5억달러로 크게 늘었다.[4]
그러나 프랑스군은 미국의 조언을 따르기를 꺼렸고, 베트남군이 새 장비를 사용하는 훈련을 받는 것도 허용하지 않았다. 이는 프랑스 정책에 어긋나는 일이었다.[1] 1954년까지 미국은 프랑스 군사 작전을 지원하는 데 10억달러를 지출했으며, 전쟁 비용의 80%를 부담했다.
1954년 인도차이나 주둔 프랑스군 사령관 앙리 나바르 장군은 미국이 연락 장교를 베트남군에 파견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러나 이는 너무 늦었고,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면서 상황이 종료되었다. 제네바 협정에 따라 프랑스는 베트남 북부 절반을 포기하고 1956년 4월까지 남베트남에서 철수해야 했다.[5]
1955년 2월 12일, 미국 국무부 관리와 프랑스 해외 담당 장관 간의 회담에서, 모든 미국 원조를 남베트남에 직접 투입하고, 모든 주요 군사적 책임을 존 O'다니엘 중장 지휘 하의 MAAG로 이관하기로 합의했다. MAAG 인도차이나는 1955년 11월 1일 MAAG 베트남으로 개칭되었다.[27]
이후 몇 년 동안 남베트남에서 공산주의 반란이 일어났고, 응오딘지엠 대통령은 미국의 군사 지원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1957년 10월 22일, 사이공의 MAAG 베트남과 USIS 시설이 폭탄 공격을 받아 미국 군사 고문들이 부상을 입었다.[6] 1959년 여름, 공산 게릴라들은 비엔호아에 있는 베트남 군사 기지를 공격하여 여러 MAAG 요원을 살해하고 부상시켰다.[6]

1960년, 남베트남 정부의 요청에 따라 공식적인 미국 군사 고문 수가 327명에서 685명으로 증가했다.[6]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ARVN 병력 증강과 미국의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는 MAAG 베트남의 요청에 동의했다. 케네디는 ARVN에 2840만달러의 자금을 지원했으며, 전체 군사 원조는 연간 5000만달러에서 1961년 1.44억달러로 증가했다.[7]
1962년 2월,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가 창설되었다. 1964년 6월 MAAG 베트남은 미국 군사 지원 사령부 베트남 (MACV)에 편입되었다.[28]
3. 2. 라오스
1955년 12월 15일에 프로그램 평가국이 설립되었다. 1954년 제네바 회담에 의해 부과된 제한으로 인해 프로그램 평가국(PEO)은 군인 대신 민간인으로 구성되었다. 정치적 변화가 조약을 대체하면서, MAAG 라오스는 1961년 프로그램 평가국을 대체하여 공산주의 파테트 라오에 맞서 싸우는 라오스 왕립군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7월 23일, 여러 관련 국가들은 제네바에서 라오스의 중립과 독립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MAAG를 철수하고 이를 요구 사항 사무소로 대체했는데, 이는 CIA 활동의 편리한 은폐 수단으로 작용했다.[10]MAAG 라오스의 지휘관 중 한 명은 루벤 터커였다.
3. 3. 캄보디아
1955년 5월 16일 미국-캄보디아 간의 협정에 따라 1955년 6월 4일 캄보디아 군사원조고문단(MAAG 캄보디아)이 설립되었다. 이 협정에는 캄보디아군에게 비전투 자문을 제공하기 위한 고위급 미국 군사 요원의 투입이 포함되었다.[11] 고문단은 주로 육군 요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해군 및 공군 요원은 소규모로 배치되었다.캄보디아 지도부가 냉전 시대에 공식적인 중립 정책을 채택하면서, 캄보디아 정부는 모든 미국 원조를 취소했다. 이에 따라 MAAG 캄보디아 일반 명령 6호에 의해 1963년 11월 20일 MAAG 캄보디아의 활동은 종료되었다.[12]
3. 4. 태국
미국은 동남아시아 우호국가에 대한 군사적 지원의 일환으로, 1950년 9월 태국 방콕에 존 T. 콜 준장을 단장으로 하는 군사원조고문단(MAAG)을 창설하였다.
1953년 9월에는 주태국 미국 합동군사고문단(JUSMAGTHAI)으로 대체되었으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29][9]
3. 5. 필리핀
주필 미국 합동군사고문단(Joint US Military Assistance Group to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주필 미국 합동군사고문단영어)은 안보원조기구 중 하나로서 마닐라의 주필리핀 미국 대사관에 본부를 두고 있다. 필리핀 국군과 미군 간의 연합합동연습 프로그램과 국제군사교육훈련(IMET) 프로그램의 조정을 맡고 있다.[30]4. 중앙아시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군사원조고문단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1.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에 대한 군사원조기구는 1953년 6월 27일 다란 비행장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군사원조고문단으로 설립되었다. 1951년 방위협력조약을 맺고 USMTM 합의로도 알려진 1977년 협정으로 강화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군사원조고문단은 1957년 5월 29일자로 U.S. Military Training Mission to Saudi Arabia|미국 군사훈련임무단영어으로 재편성되었다.[23] 현재 미국 중부사령부의 작전 및 훈련부대이자 안보원조기구로 지정되어 있다.[24][25][26]5. 기타 지역
1956년 2월, 존 W. 하모니는 소장으로 진급하여 대한민국 군사고문단(임시)의 사령관이 되었다.
5. 1. 유고슬라비아
1951년 미국은 존 W. 하모니 준장[3]이 지휘하는 30명의 장교로 구성된 군사원조고문단(MAAG)을 베오그라드에 설치했다. 이 단체는 10년 동안 활동하며 군사 원조를 분배하고 유리한 조건으로 10억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를 성사시켰다. 이전된 무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무기 종류 | 수량 |
---|---|
M-4A3 전차 | 599대 |
M-47 전차 | 319대 |
M-7, M-18, M-36 자주포 | 715문 |
M-3A1 및 M-8 장갑차 | 565대 |
105mm, 155mm, 203mm 포병 | 760문 |
인도된 포병은 유고슬라비아의 8개 사단 내 포병 부대를 재무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5. 2. 그리스
1983년, 그리스 주재 미국 해군 대령 조지 찬테스(George Tsantes)가 11월 17일 혁명기구에 의해 살해되었다.[21]참조
[1]
웹사이트
Records of Interservice Agencies
https://www.archives[...]
2024-05-19
[2]
웹사이트
Federal Records Guide: Alphabetical Index – M
https://www.archives[...]
2024-05-19
[3]
간행물
How Strong is Tito's Army?,
https://books.google[...]
Combat Forces Journal
1952-05
[4]
문서
Ott 21
[5]
문서
Ott 21–22
[6]
저널
Chronology of Events Relative to Vietnam, 1954–1965
1965
[7]
저널
Ambassadorial Roles and Foreign Policy: Elbridge Durbrow, Frederick Nolting, and the U.S. Commitment to Diem's Vietnam, 1957–61
2002
[8]
서적
The US Air Force in Southeast Asia and the Vietnam War A Narrative Chronology Volume I: The Early Years through 1959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9]
웹사이트
History
http://usarsupthai.w[...]
USARSUPTHAI Association
2013-12-16
[10]
문서
Conboy, Morrison, pp. 17–18.
[11]
웹사이트
Full text of the original 1955 treaty
http://untreaty.un.o[...]
[12]
웹사이트
Records of Interservice Agencies
https://www.archives[...]
2016-08-15
[13]
웹사이트
"Selected Aspects of U.S. Military Assistance," Historical Division, Joint Secretariat, Joint Chiefs of Staff, 13 December 1961 Classified Top Secret. Declassified 1993. Extracts reproduced via
http://ustdc.blogspo[...]
[14]
잡지
Marines of Free China
https://archive.org/[...]
Headquarters Marine Corps
2024-04-06
[15]
웹사이트
The Chinese Offshore Islands
https://archive.org/[...]
CIA
2019-08-11
[16]
웹사이트
Kinmen unveils monument in honor of US officer
http://www.taipeitim[...]
2019-08-11
[17]
웹사이트
孟登道中校
https://lov.vac.gov.[...]
[18]
문서
Information furnished by BG Bork, USA Retired, to the Atlanta Taiwan Economic and Cultural Office (TECO) in November 2001.
[19]
웹사이트
CINCPAC Command History 1967
https://nautilus.org[...]
[20]
문서
Operations Coordinating Board memo, "Report on Taiwan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NSC 5723)," April 20, 1959, NatArch, Defense Dept. file 1959, box MNR2.
[21]
뉴스
U.S. Navy Captain is Shot Dead by Two Men in an Athens Suburb
https://nyti.ms/3SfL[...]
2023-10-31
[22]
웹인용
Reestablish the U.S. Military Assistance Advisory Group-Taiwan
https://warontherock[...]
War on the rocks
2023-07-03
[23]
웹인용
General Orders No.34
https://armypubs.arm[...]
Washington D.C.
2023-07-03
[24]
웹인용
United States Military Training Mission
https://www.centcom.[...]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public affair
2023-07-03
[25]
웹인용
Saudi Arabia – Security Assistance Office (SAO) Support Services, U.S. Training Mission to Saudi Arabia (USMTM)
https://www.dsca.mil[...]
2023-07-03
[26]
웹인용
About Us
https://web.archive.[...]
2024-10-29
[27]
웹인용
United States Establishes the Military Assistance Advisory Group in Vietnam: September 1, 1950 - September 30, 1950
https://www.vietnamw[...]
Vietnam War Commemoration
2023-07-03
[28]
웹인용
Records of the United States Forces in Southeast Asia, 1950-1975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23-07-03
[29]
웹사이트
History
http://usarsupthai.w[...]
USARSUPTHAI Association
2013-12-16
[30]
웹인용
Joint U.S. Military Assistance Group
https://ph.usembassy[...]
2024-10-29
[31]
저널
Briefing Memo
https://www.nids.mod[...]
National Security Policy Division, Center for Military History
[32]
저널
Change and Continuity: A Study on the Role of the Japanese Cavalry
https://www.nids.mod[...]
2024-10-29
[33]
웹인용
Japan - Defense Procurement
https://www.trade.go[...]
2024-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