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표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표준시는 베트남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현재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7시간 빠른 UTC+07:00을 사용한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는 현지 평균시, 프랑스 표준시, UTC+07:00, UTC+08:00, 도쿄 표준시(UTC+09:00) 등 다양한 표준시가 사용되었다. 베트남이 독립한 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은 각기 다른 표준시를 사용하다가, 1975년 통일 이후 UTC+07:00으로 통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시간 - 베트남의 연호
베트남의 연호는 군주들이 통치 기간을 구별하고 정통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고유 칭호로, 여러 왕조들이 정치적 상황과 왕권 변화를 반영하여 다양한 연호를 사용했다. - 베트남의 시간 - UTC+07:00
UTC+07:00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남극 일부에서 사용되는 표준시로, 몽골 서부, 인도네시아 서부,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 크리스마스섬, 러시아 일부 지역 등에서 사용되며 과거에는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거나 시간대가 변경되었고, 시간대 경계는 지리적 경도와 일치하지 않고 정치, 경제, 행정적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 베트남의 지리 - 안남산맥
안남산맥은 베트남, 라오스 등에서 불리는 산맥으로, 안남 산맥 습윤림 생태지역을 형성하며 안남 토끼 등 희귀 생물들의 서식지이다. - 베트남의 지리 - 메콩강 삼각주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비옥한 충적 평야 지대로서 껀터 직할시와 12개 성을 포함하며, 복잡한 수로망을 통해 쌀 생산과 어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과 외세의 영향을 받았으나, 현재는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베트남 표준시 | |
---|---|
개요 | |
이름 | 베트남 표준시 |
약칭 | IC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UTC+07:00 |
사용 국가 | 베트남 |
상세 정보 | |
시간대 | 인도차이나 시간 |
2. 역사
베트남의 표준시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에 처음 도입된 이후,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의 분단 및 통일 과정을 거치며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프랑스 파리 경도를 기준으로 한 독자적인 시간대(UTC+07:06:30)를 사용했으나, 1911년부터는 국제 표준에 맞춰 UTC+07:00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 정권과 일본 제국의 점령 하에서 각각 UTC+08:00과 UTC+09:00으로 강제로 변경되는 과정을 겪었다.
일본 패망 후 베트남 민주공화국은 UTC+07:00을 공식 표준시로 선포[2]했지만, 인도차이나 전쟁과 제네바 협정에 따른 남북 분단으로 인해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북베트남은 UTC+07:00을 유지[4]한 반면, 남베트남은 UTC+08:00을 주로 사용하였다.[3]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북베트남이 사용하던 UTC+07:00이 베트남 전역의 단일 표준시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남베트남 지역은 표준시를 1시간 늦추게 되었다.
2. 1.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
19세기 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북베트남의 통킹, 중베트남의 안남, 남베트남의 코친차이나, 캄보디아, 라오스, 광저우만 조차지 등으로 구성되었다. 푸리엔 (Phủ Liễn) 천문대가 완공되면서 이 지역들의 표준시가 논의되기 시작했다. 당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프랑스 본토 파리의 경도인 동경 2°20′14″를 기준으로 동쪽 104°17′17″에 위치하며, 그리니치 표준시 기준으로는 동경 106°37′30″에 해당하는 시간대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1906년 7월 1일 자정부터 이를 적용하였다.1911년 프랑스 본토는 UTC±00:00 (그리니치 태양시)을 공식 표준시로 채택하였고, 여름철에는 일광절약제를 적용하여 UTC+01:00를 사용하기도 했다(1916년~1940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1911년 5월 1일 자정부터 UTC+07:00을 표준시로 공식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가 독일에 점령당하고 비시 프랑스 정부가 들어서면서 표준시가 변경됨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역시 1942년 12월 31일 오후 11시를 기해 기존 표준시에서 1시간을 앞당긴 UTC+08:00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일본 제국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완전히 점령하면서, 1945년 3월 14일 오후 11시부터는 다시 1시간을 더 앞당겨 일본 표준시와 동일한 UTC+09:00을 강제로 사용하게 되었다.
2. 2. 독립과 분단, 그리고 통일
8월 혁명과 베트남 제국의 멸망, 베트남 독립선언을 거쳐 정권을 장악한 베트남 민주공화국 임시 통일정부는 1945년 9월 2일을 기해 공식 표준시를 UTC+07:00으로 공포하였다.[2] 그러나 인도차이나 전쟁 중 프랑스군의 공격을 받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지역은 UTC+08:00을 사용했고, 공격을 받지 않은 지역은 1947년 4월 1일부터 UTC+07:00을 채택했다. 이러한 시간대 구분은 1954년 제네바 회담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라오스는 1954년 4월 15일부터, 하노이는 1954년 10월부터, 하이퐁은 1955년 5월부터 UTC+07:00을 사용하기 시작했다.한편, 베트남국의 통제 하에 있던 남베트남 지역은 1955년 7월 1일 00:00를 기준으로 UTC+07:00을 채택했다.[3] 하지만 1959년 12월 31일 오후 11시를 기해 표준시를 1시간 늦춘 UTC+08:00으로 변경하였다.
북베트남은 1968년 1월 1일부터 공식 표준시를 UTC+07:00으로 확정했다.[4] 이후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전국적으로 UTC+07:00 표준시가 유지되었다. 이에 따라 사이공을 포함한 남베트남 지역은 1975년 6월 13일을 기해 표준시를 기존 UTC+08:00에서 UTC+07:00으로 60분 늦추게 되었다.
2. 3. 역대 표준시
베트남의 표준시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인 1906년, 파리 경도를 기준으로 한 동경 106°37′30″에 해당하는 시간(UTC+07:06:30)을 표준시로 처음 도입하였다. 이후 1911년에는 프랑스 본토의 표준시 변경에 발맞춰 UTC+07:00으로 조정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표준시가 다시 변경되었다. 비시 프랑스 정부 하에서 1942년 말 UTC+08:00으로 변경되었고, 일본 제국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점령한 1945년에는 도쿄 표준시인 UTC+09:00을 강제로 사용하게 되었다.
일본 패망 후 베트남 민주공화국 임시 정부는 1945년 9월, UTC+07:00을 공식 표준시로 선포했다.[2] 그러나 인도차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프랑스군 점령 지역(UTC+08:00)과 비점령 지역(UTC+07:00) 간에 다른 시간대가 혼용되기도 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된 후, 북베트남은 UTC+07:00을 유지했으며 1968년에 이를 공식 표준시로 확정했다.[4] 반면, 남베트남은 베트남국 시기부터 UTC+08:00을 사용하다가 1955년 UTC+07:00으로 변경했고,[3] 1960년부터는 다시 UTC+08:00을 표준시로 사용했다.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북베트남이 사용하던 UTC+07:00이 베트남 전역의 단일 표준시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UTC+08:00을 사용하던 남부 지역은 1975년 6월 13일부터 표준시를 1시간 늦춰 현재까지 UTC+07:00을 사용하고 있다.
2. 3. 1.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19세기 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북베트남의 통킹, 중베트남의 안남, 남베트남의 코친차이나, 캄보디아, 라오스, 광저우만 조차지 등으로 구성되었다. 푸리엔 천문대(Phủ Liễnvie) 완공을 계기로 이 지역들의 표준시가 논의되었다. 당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프랑스 파리의 경도인 동경 2°20′14″를 기준으로 동쪽 104°17′17″에 위치하며, 그리니치 표준시 기준으로는 동경 106°37′30″에 해당한다고 보아 1906년 7월 1일 자정부터 이 시간을 표준시로 적용하였다. 이는 UTC+07:06:30에 해당한다.1911년 프랑스 본토가 UTC±00:00 (그리니치 태양시)을 공식 표준시로 채택함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도 1911년 5월 1일 자정부터 UTC+07:00을 표준시로 사용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항복한 비시 프랑스 정부의 표준시 변경 결정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역시 1942년 12월 31일 오후 11시에 시간을 1시간 앞당겨 UTC+08:00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일본 제국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완전히 점령하면서, 1945년 3월 14일 오후 11시를 기해 인도차이나 전역은 다시 1시간을 앞당겨 도쿄 표준시(UTC+09:00)를 강제로 따르게 되었다. 일본의 패망 이후 1945년 9월 2일부터는 다시 UTC+07:00 표준시로 복귀하여 1954년 제네바 협정 비준 시까지 사용되었다.
사용기간 | 협정세계시 기준 | 비고 |
---|---|---|
~ 1906년 7월 1일 | UTC+07:06:40 | 현지 평균시 |
1906년 7월 1일 ~ 1911년 4월 30일 | UTC+07:06:30 | ''106°3730"E 프랑스 표준시''' |
1911년 5월 1일 ~ 1942년 12월 30일 | UTC+07:00 | 표준시 |
1942년 12월 31일 ~ 1945년 3월 13일 | UTC+08:00 | 표준시 |
1945년 3월 14일 ~ 1945년 9월 1일 | UTC+09:00 | 도쿄 표준시 |
1945년 9월 2일 ~ 제네바 협정 비준 | UTC+07:00 | 표준시 |
2. 3. 2. 북베트남
8월 혁명과 베트남 독립선언 이후 수립된 베트남 민주공화국 임시 통일정부는 1945년 9월 2일을 기해 공식 표준시를 UTC+07:00으로 공포하였다.[2] 그러나 인도차이나 전쟁 중 프랑스군의 공격을 받던 지역에서는 UTC+08:00을 사용했고, 공격을 받지 않은 지역은 1947년 4월 1일부터 UTC+07:00을 채택했다.1954년 제네바 회담으로 베트남이 분단된 이후, 북베트남 지역은 기본적으로 UTC+07:00을 유지했다. 하노이는 1954년 10월부터, 하이퐁은 1955년 5월부터 UTC+07:00을 적용하였다. 북베트남 정부는 1968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공식 표준시를 UTC+07:00으로 최종 확정하였다.[4]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통일된 후, 북베트남이 사용하던 UTC+07:00이 베트남 전체의 표준시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UTC+08:00을 사용하던 사이공을 포함한 구 남베트남 지역은 1975년 6월 13일부터 표준시를 1시간 늦추어 UTC+07:00으로 통일하였다.
사용기간 | 협정세계시 기준 | 비고 |
---|---|---|
1945년 9월 2일 ~ 1947년 3월 31일 | UTC+07:00 | 하노이 표준시 |
1947년 4월 1일 ~ 1954년 제네바 협정 비준 | UTC+07:00 UTC+08:00 | 평화지대: UTC+07:00 작전지대: UTC+08:00 |
1954년 제네바 협정 비준 ~ 1967년 12월 31일 | UTC+07:00 | 북베트남 표준시 (하노이 기준 1954년 10월부터 적용) |
1968년 1월 1일 ~ 1975년 6월 12일 | UTC+07:00 | 하노이 표준시 (공식 확정) |
2. 3. 3. 남베트남
베트남국의 통제 하에 있던 남베트남은 1955년 7월 1일 00:00를 기준으로 UTC+07:00을 채택했다.[3] 이후 1959년 12월 31일 오후 11시를 기해서는 기존 표준시를 1시간 늦은 UTC+08:00으로 변경하였다.1975년 4월~5월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통일된 후에도 통일 정부는 UTC+07:00을 표준시로 유지했다. 이에 따라 과거 남베트남 지역이었던 사이공과 그 일대는 1975년 6월 13일을 기해 표준시를 UTC+08:00에서 UTC+07:00으로 60분 늦추게 되었다.
사용기간 | 협정세계시 기준 | 비고 |
---|---|---|
제네바 협정 비준 ~ 1955년 6월 30일 | UTC+08:00 | 사이공 표준시 |
1955년 7월 1일 ~ 1959년 12월 31일 | UTC+07:00 | 사이공 표준시 |
1960년 1월 1일 ~ 1975년 6월 12일 | UTC+08:00 | 사이공 표준시 |
2. 3. 4. 통일 베트남
북베트남은 1968년 1월 1일부터 UTC+07:00을 공식 표준시로 사용하고 있었다.[4] 반면, 남베트남은 1959년 12월 31일 오후 11시부터 UTC+08:00을 표준시로 채택하여 사용 중이었다.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북베트남이 사용하던 UTC+07:00을 전국 표준시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과거 남베트남 지역이었던 사이공을 포함한 남부 지역은 1975년 6월 13일을 기점으로 표준시를 기존보다 1시간 늦추어 북부 지역과 동일한 시간대를 사용하게 되었다. 통일 이후 베트남은 현재까지 UTC+07:00을 단일 표준시로 사용하고 있다.참조
[1]
웹인용
TCVN-6398-1-1998-Dai-luong-va-don-vi-Khong-gian-va-thoi-gian – bản lưu trữ
https://thuvienphapl[...]
2019-03-24
[2]
웹인용
Nghị định ngày 1 tháng 9 năm 1945 của Bộ Nội vụ
http://baochi.nlv.go[...]
Bộ Nội vụ
2024-01-22
[3]
웹인용
Dụ số 46 ngày 25 tháng 6 năm 1955
http://ddsnext.crl.e[...]
2024-01-22
[4]
문서
Quyết định số 121-CP của Chính phủ Việt Nam Dân chủ Cộng hòa ngày 8 tháng 8 năm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