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트남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가 베트남 재식민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대항하기 위해 1949년 6월 14일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건국된 국가이다. 바오다이를 국가 원수로 하여 통킹, 안남, 코친차이나를 형식적으로 통일했으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지속과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으며,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위 17도선 이남 지역만 통치하게 되었다. 1955년 응오딘지엠이 바오다이를 몰아내고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소멸되었다.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다시 식민지로 만들려고 시도했으나, 이는 독립을 추구하는 베트남 민주공화국과의 전면적인 전쟁(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이어졌다. 프랑스는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키려 했으나, 베트민의 게릴라전에 직면하여 장기화되었다.

이에 프랑스는 호찌민을 대신할 협상 상대로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를 베트남국의 수반으로 추대했다. 이는 베트남 노동당 주도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반감을 가진 반공 지식인, 민족주의자, 阮朝 시대 관료, 남베트남의 여러 종교 단체 등의 지지를 받았다.

1948년 5월 27일, 베트남의 여러 세력과 프랑스는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를 설립했다. 1949년 3월, 바오다이는 프랑스-베트남 협정을 체결했고, 6월 14일 《베트남국》이 정식 설립되었다.[14] 코친차이나 공화국 의회가 자치를 전제로 베트남국 편입을 결의하면서 베트남은 형식적으로 통일되었으나, 이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베트남국으로 분열되는 것을 의미했다.

베트남국은 반공주의 국가 운영을 목표로 하였으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계속되면서 프랑스군의 도움 없이는 실효 지배 지역을 확보할 수 없었고, 그 범위도 베트남 남부에 한정되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이 북위 17도선으로 남북으로 분할되자, 베트남국은 17도선 이남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베트남국의 국가 운영은 취약해졌다. 1955년,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이 국민투표를 통해 바오다이를 축출하고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베트남국은 소멸하였다.

2. 1.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 (1945년 이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프랑스에 대한 반(反)독립 운동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고, 1945년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처리를 실시하면서 그 일환으로 베트남 제국이 성립하였다. 일본의 항복으로 인도차이나에 권력의 공백 상황이 발생하자,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지도하에 베트민에 의한 8월 혁명이 발발하고, 각지에서 공산 세력 간의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하지만 연합국의 인도차이나 처리 방안은 이미 결정되어 있었고, 북쪽에서 중화민국군, 남쪽에서 영국군이 진주하여, 그들을 통해 프랑스가 다시 인도차이나를 장악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4]

2. 2. 베트남 8월 혁명과 권력 공백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의 항복으로 인도차이나에 권력의 공백이 발생했다. 이 틈을 타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지도하에 베트민은 8월 혁명을 일으켜 각지에서 권력을 장악하려 했다.[4] 그러나 연합국은 이미 인도차이나 처리 방안을 결정한 상태였고, 북쪽에는 중화민국군이, 남쪽에는 영국군이 진주하여 이들을 통해 프랑스가 다시 인도차이나를 장악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1945년 9월 2일, 베트민은 베트남 민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고 베트남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다.[5] 1946년 국민의회 선거에 89%의 유권자가 참여하는 등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1946년 공식적으로 베트남의 헌법적 대표가 되었다.

프랑스는 베트남에 재진주하여 베트민이 수립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 정권과 프랑스 연합의 일원으로 인정하는 합의에 일단 도달하였다. 그러나 코친차이나 공화국 수립 등으로 양측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결국 독립을 추구하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프랑스 연합 체제 유지를 추구하는 프랑스 사이에 전면적인 전쟁이 발발하였다.

프랑스는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키려 했으나, 베트민의 게릴라전에 직면하여 장기화되었다. 이에 프랑스는 호찌민을 대신할 협상 상대로 홍콩에 망명 중이던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를 베트남국의 수반으로 추대하기로 결정했다. 1948년 5월 27일, 프랑스와 베트남 여러 세력 간의 협상을 통해 잠정 정부인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가 수립되었다.

2. 3. 프랑스와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갈등 (1946년 ~ 1949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다시 식민지로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이는 독립을 원하는 베트남 민주공화국과의 전면적인 전쟁(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이어졌다. 프랑스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호찌민 대신 다른 협상 대표를 찾았고, 결국 홍콩에 망명 중이던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를 베트남국의 원수로 옹립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베트남 노동당 주도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반대하는 반공 지식인, 반공 민족주의자, 그리고 남부 베트남의 여러 종교 단체 등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1948년 5월 27일, 베트남의 여러 세력과 프랑스는 잠정 정부인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를 설립했다. 1949년 3월, 바오다이는 프랑스-베트남 협정을 체결했고, 같은 해 6월 14일에 정식으로 《베트남국》이 설립되었다.[14] 또한, 프랑스 의회와 코친차이나 공화국 의회가 자치를 전제로 코친차이나 공화국의 베트남국 편입을 결의하면서 베트남은 형식적으로 통일되었다. 그러나 이는 베트남이 두 개의 국가로 분열되는 것을 의미했다.

1948년 6월 5일, 하롱만 협정(Halong Bay Agreements)에 따라 프랑스 연합과 인도차이나 연방 내에서 탕키나(Tonkin, 북베트남)와 안남(Annam, 중부 베트남)의 정부를 대체하는 통일 베트남 정부(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코친차이나(Cochinchina, 남베트남)는 식민지이자 자치 공화국이라는 이중 지위를 가지고 있어, 베트남의 다른 지역과의 통일은 코친차이나 지방 의회와 프랑스 국민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1945년 9월 2일부터 베트남의 독립을 선포하고 베트남 영토의 대부분을 장악했다.[5]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1946년 공식적으로 베트남의 헌법적 대표가 되었다.

하롱만 협정은 여러 측면에서 호찌민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프랑스 고등판무관 티에리 다르장리외(Thierry d'Argenlieu) 제독이 서명한 1946년 3월 6일 인도차이나 독립 협약(Indochinese Independence Convention)을 시행하는 결과를 낳았다.

2. 4. 베트남국 성립 (1949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다시 식민지로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독립을 원했던 베트남 민주공화국과의 전쟁(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길어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프랑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 민주공화국호찌민 대신 다른 협상 대표를 찾았고, 결국 홍콩에 망명 중이던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를 베트남국의 국가 원수로 세우기로 결정했다.[4]

이러한 바오다이를 황제로 하는 베트남국 건국 움직임은 베트남 민주공화국에 반대하는 반공 지식인, 민족주의자, 그리고 남부 베트남의 여러 종교 단체 등의 지지를 받았다. 1948년 5월 27일, 여러 세력과 프랑스가 협상하여 잠정 정부인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를 수립했다. 1948년 6월 5일, 하롱만 협정(Halong Bay Agreements)에 따라 프랑스 연합(French Union)과 인도차이나 연방(French Indochina) 내에서 프랑스와 연관된 통킹(Tonkin, 북베트남)과 안남(Annam, 중부 베트남)의 정부를 대체하는 통일 베트남 정부(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가 수립되었다.[5]

1949년 3월, 바오다이는 프랑스-베트남 협정을 체결했고, 6월 14일에 정식으로 '''베트남국'''이 수립되었다.[14] 또한 프랑스 의회와 코친차이나 공화국 의회가 코친차이나 공화국의 베트남국 편입을 결의하면서, 베트남국은 통킹, 안남, 코친차이나를 통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베트남이 두 개의 국가, 즉 베트남국과 베트남 민주공화국으로 나뉘는 것을 의미했다.

2. 5.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국의 한계 (1949년 ~ 1954년)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다시 식민지화하려 했으나,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의 전쟁이 장기화되었다. 프랑스는 호찌민 대신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를 베트남국의 원수로 옹립했다.

1948년 5월 27일,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가 설립되었고, 1949년 3월 바오다이는 프랑스-베트남 협정을 체결, 6월 14일 정식으로 《베트남국》이 설립되었다.[14] 코친차이나 공화국 의회가 자치를 전제로 베트남국 편입을 결의하면서 베트남은 형식적으로 통일되었으나, 이는 베트남이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베트남국이라는 두 개의 국가로 분열되는 것을 의미했다.

베트남국은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국가 운영을 목표로 했지만,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계속되면서 프랑스군의 도움 없이는 실효 지배 지역을 확보할 수 없었고, 그 범위도 베트남 남부의 제한된 지역에 머물렀다.[6] 1952년 당시 베트남 영토의 약 60%는 베트민의 통제하에 있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할되면서 베트남국은 북위 17도선 이남을 통치하게 되었다. 동시에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1955년 바오다이는 응오딘지엠에게 원수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고, 같은 해 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베트남국은 소멸하였다.

2. 6. 베트남 공화국 수립과 베트남국의 소멸 (1955년)

제네바 협정으로 프랑스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한 베트남국은 북위 17도선 이남으로 영토가 제한되었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은 1955년 국민투표를 통해 바오다이를 국가원수직에서 축출했다.

이 국민투표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응오딘지엠의 형인 응오딘쥬와 개인주의 혁명 노동당(컨 라오당)은 바오다이의 명예를 훼손하는 선전 캠페인을 벌였고, 바오다이 지지자들은 선거운동을 할 수 없었으며 폭행을 당하기도 했다.[8] 공식 결과는 유권자의 98.2%가 응오딘지엠을 지지했다고 발표되었으나, 이는 매우 높은 수치로 사기 행위로 비판받았다. 총 투표수는 등록 유권자 수보다 38만 표 이상 많았으며, 사이공에서는 등록 유권자 45만 명 중 60만 5,025명이 응오딘지엠에게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8][9]

1955년 10월 26일, 응오딘지엠은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수립을 선포하고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로써 베트남국은 소멸되었고, 베트남은 1975년까지 분단 상태가 지속되었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의 친미, 반공 노선은 베트콩의 활동과 베트남 전쟁으로 이어졌다.[9]

3. 정치

Quốc gia Việt Namvi의 정치 체제는 프랑스의 영향 아래 있었다. 1948년 5월 27일 코친차이나 공화국의 응우옌반쑤언 총리는 프랑스미국 등의 동의 하에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를 세우고 코친차이나 공화국과 베트남 중부 지역의 통일을 선언하였다.[1]

1949년 6월 14일 프랑스 등의 후원으로 베트남국이 건국되면서 바오다이가 국가원수 겸 총리가 되었다. 이후 바오다이는 응우옌판롱에게 총리직을 넘기고 국가원수직만 수행하였다.[14] 1955년 응오딘지엠이 국가원수가 되었고, 같은 해 10월 26일 베트남 공화국이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베트남국의 총리였던 응오딘지엠이 공화국의 첫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3. 1.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1948년 ~ 1949년)

1948년 5월 27일 코친차이나 공화국의 대통령 르반 호아와 총리 응우옌반쑤언프랑스미국 등의 동의 하에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를 세우고 코친차이나 공화국과 베트남국 임시정부(베트남 중부 지역)에 대한 통일을 선언하였다.[1] 중앙 임시 정부의 지도자는 코친차이나의 총리였던 응우옌반쑤언이 맡았다.[1]

3. 2. 베트남국 (1949년 ~ 1955년)

1949년 6월 14일 프랑스 등의 후원으로 베트남국이 건국되면서 바오다이가 국가원수와 총리직을 겸임했다. 그 뒤 바오다이는 총리직을 응우옌판롱에게 넘기고 국가원수직만 수행하였다.[14] 1955년 응오딘지엠이 국가원수가 되었으며, 1955년 10월 26일 베트남 공화국이 정식 발족되면서 응오딘지엠이 공화국의 첫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55년 베트남국 국민투표를 통해 응오딘지엠이 바오다이를 몰아내고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베트남국은 소멸했다.[7][8][9]

3. 3. 지도자 (1948년 ~ 1955년)

순서이름취임일퇴임일직책
응우옌 반 쑤언1948년 5월 27일1949년 7월 14일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대통령
1바오 다이1949년 7월 14일1950년 1월 21일베트남국 총리 겸 국가원수
2응우옌 판 롱1950년 1월 21일1950년 4월 27일베트남국 총리
3쩐 반 후1950년 5월 6일1952년 6월 3일베트남국 총리
4응우옌 반 탐1952년 6월 23일1953년 12월 7일베트남국 총리
5응우옌푹브우록1954년 1월 11일1954년 6월 16일베트남국 총리
6응오딘지엠1954년 6월 16일1955년 10월 26일베트남국 총리


4. 군사

1949년 엘리제 조약 이후, 바오다이 황제는 방어 목적으로 국군을 창설할 수 있었다.[1]

국군은 베트남 국가의 깃발과 지휘 아래 싸웠으며, 응우옌 반 힌 장군이 지휘했다.[1]

5. 경제

프랑스 연방에서 사용된 통화는 프랑스 인도차이나 피아스트르였다. 지폐는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국가 발권소(Institut d’Emission des Etats du Cambodge, du Laos et du Viêt-Nam)에서 발행 및 관리하였다.

6. 행정 구역

1949년 베트남국은 북베트남(옛 통킹) (vi), 중베트남(옛 안남) (vi), 남베트남(옛 코친차이나) (vi)의 세 개의 광역 자치구로 나뉘었으며, 각 자치구는 수헌(vi, 주지사)이 이끄는 지방 정부를 두었다.[10]

1954년 8월 4일, 베트남국 정부는 제21법령을 제정하여 세 지역의 자치 지위와 지역 주지사직을 폐지하고 중앙 정부 대표를 전국 각지에 배치했다.[10] 이때 세 지역은 북부(vi), 중부(vi), 남부(vi)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0]

6. 1. 자치 지역

베트남국이 건국되고 정부가 수립된 후, 국가원수인 바오다이는 베트남국의 행정 및 지방 자치에 관한 두 개의 법령, 즉 제1법령("베트남의 민정 당국 조직 및 운영")과 제2법령("정부 사무소 규정")에 서명했다.[10] 이 법령들은 베트남국을 북베트남(옛 통킹) (vi), 중베트남(옛 안남) (vi), 남베트남(옛 코친차이나) (vi)의 세 개의 광역 자치구로 나누었고, 각 자치구의 지방 정부는 수헌(vi, 주지사)이 이끌었다.[10]

1954년 8월 4일, 베트남국 정부는 제21법령을 제정하여 세 지역의 자치 지위와 지역 주지사직을 폐지하고, 그 자리에 중앙 정부 대표를 전국 각지에 배치했다.[10] 세 지역은 북부(vi), 중부(vi), 남부(vi)로 이름이 바뀌었다.[10]

6. 2. 왕실령

왕실령(베트남어: Hoàng triều Cương thổ / 皇朝疆土, 프랑스어: Domaine de la Couronne)은 원래 응우옌 왕조가 킨족(Kinh people)이 다수를 차지하지 않는 속국과 공국에 대해 사용하던 지정학적 개념이었으며, 이후 베트남국의 행정 구역의 한 유형이 되었다.[11] 1950년 4월 15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고 1955년 3월 11일 해체되었다.[11] 왕실령 지역에서는 국가 원수 바오다이가 여전히 공식적으로(그리고 법적으로) "응우옌 왕조의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2]

왕실령은 이전 인도차이나 남부 산악 지방(Montagnard country of South Indochina)에서 설립된 다음 5개의 성을 포함했다.[12][13]

포함된 성
동나이 상(Đồng Nai Thượng)
람비엔(Lâm Viên)
플레이쿠(Pleiku)
다락(Đắk Lắk/Darlac)
꼰투(Kon Tum/Kontum)



베트남 북부(Bắc phần)에는 다음과 같은 성을 포함했다.[12][13]

포함된 성
호아빈성(Hòa Bình Province/Hòa Bình) (므엉 자치령(Mường Autonomous Territory))
퐁토(Phong Thổ) (십송쩌우타이(Sip Song Chau Tai)/타이 자치령(Thái Autonomous Territory))
라이쩌우성(Lai Châu Province/Lai Châu) (타이 자치령)
썬라(Sơn La) (타이 자치령)
라오까이성(Lào Cai Province/Lào Kay) (므엉 왕국(Hmong Kingdoms)/묘족 자치령(Mèo Autonomous Territory))
하장(Hà Giang) (묘족 자치령)
박칸성(Bắc Kạn Province/Bắc Kạn) (토족 자치령(Thổ Autonomous Territory))
까오방성(Cao Bằng Province/Cao Bằng) (토족 자치령)
랑선(Lạng Sơn) (토족 자치령)
하이닝성(Hải Ninh Province/Hải Ninh) (능족 자치령(Nùng Autonomous Territory))
몽까이(Móng Cái) (능족 자치령)


참조

[1] 이미지 Letter with photograph, signature, and Grand Seal of the State from his majesty the Chief of State Bảo Đại to Madame Jeanne Leveque in New York City 1952
[2] 서적 Việt sử khảo luận Nam Á 2002
[3] 논문 The Bao Dai Experiment Pacific Affair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50
[4] 웹사이트 Lễ thoái vị của Hoàng đế Bảo Đại qua lời kể của nhà thơ Huy Cận http://vnexpress.net[...] VnExpress 2016-09-08
[5] 웹사이트 Vietnam independence proclaimed – Sep 02, 1945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6-09-08
[6] 서적 L'Indochine française Tallandier 2016
[7] 서적 Unknown
[8] 서적 Unknown
[9] 서적 Unknown
[10] 웹사이트 Significant collections § Fonds of the Phủ Thủ hiến Trung Việt or Office of the Governor of Trung Viet. https://mocban.vn/en[...] The National Archives Center No. 4 (State Records and Archives Department of Vietnam) 2021-03-30
[11] 서적 Trăm núi ngàn sông: Tập I Đường Việt Hải ngoại 2003
[12] 서적 Người Thượng Miền Nam Việt Nam Văn Mới 2006
[13] 웹사이트 Hoàng đế mãn triều và "Hoàng triều Cương thổ". https://nhandan.com.[...] Nhân Dân (Communist Party of Vietnam) 2021-04-13
[14]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15] 서적 Việt sử khảo luận Nam Á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