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과대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과대장은 특정 병과를 지휘하는 장군에게 부여되는 계급 또는 직책을 의미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불가리아, 핀란드, 독일, 폴란드,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각 나라의 군대 조직과 계급 체계에 따라 그 의미와 역할이 달랐다. 독일에서는 국방군과 연방군에서 병과대장 제도가 운영되었고, 폴란드에서는 중장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에서는 보병대장과 기병대장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비에트 연방에서도 병과대장 외 다양한 병과 관련 계급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과대장 | |
|---|---|
| 개요 | |
| 유형 | 군대 계급 |
| 설명 | |
| 내용 | 일부 군대에서 사용되는 계급 |
| 특징 | 미국에서는 삼ツ星 (미츠보시)에 해당 미국에서는 四ツ星 (요츠보시)에 해당 |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에는 세 종류의 병과대장이 있었다.
- 보병대장 (General der Infanterie|게네랄 데어 인판터리de)
- 기병대장 (General der Kavallerie|게네랄 데어 카팔레리de)
- 야전대포장 (Feldzeugmeister|펠트차이히마이스터de)
이 중 야전대포장(Feldzeugmeisterde)은 문자 그대로 '전장의 병기 총책임자' 또는 '포병 총책임자'[2](Táborszernagyhu)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중장에 해당하는 계급이었다.[3][8][5] 프랑스의 포병 총책임자(grand maître d'artillerie프랑스어)나 영국의 병기총감(Master-General of the Ordnance영어)과 유사한 개념에서 유래했다.
1908년 보병대장 계급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보병과 포병 장군 모두 야전대포장으로 임명되었다.[1]
3. 불가리아
불가리아 제3국 시절인 1878년에 최고위 계급으로 "대장(генералbg)" 계급이 도입되었다. 이후 1897년에는 이 대장 계급이 다음과 같은 세 종류의 병과대장으로 나누어졌다.
- 보병대장 (불가리아) (генерал от пехотатаbg)
- 기병대장 (불가리아) (генерал от кавалериятаbg)
- 포병대장 (불가리아) (генерал от артилериятаbg)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친 후, 불가리아가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 아래 위성국이 되면서 병과대장 제도는 폐지되었고, 다시 일반적인 대장 계급으로 통합되었다.
4. 핀란드
핀란드군의 4성장군(대장)은 NATO 계급 코드 OF-9에 해당하며, 역사적으로 병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었다.
- 보병대장 (jalkaväenkenraali|얄카배엔켄랄리fi)
- 기병대장 (ratsuväenkenraali|라트수배엔켄랄리fi)
- 엽병대장 (jääkärikenraali|얘캐리켄랄리fi)
- 포병대장 (tykistönkenraali|튀키스퇸켄랄리fi)
근대 육군이 보병, 기병, 포병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던 영향으로 여러 국가에서 병과 대장 제도를 두었으나, 전술과 전쟁 양상이 변화한 현대에는 이러한 구분이 대부분 사라졌다. 핀란드 방위군에서도 현재 이 명칭들은 명예 칭호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현역으로 활동하는 4성 장군은 동시에 한 명만 존재할 수 있다.
5. 독일
독일 국방군 시절에는 병과대장을 General der Waffengattung|게네랄 데어 바펜가퉁de이라고 불렀다. 이는 전쟁해군의 제독(Admiral), 무장친위대의 상급집단지도자(SS-Obergruppenführer)와 동등한 3성장군에 해당하는 계급이었다. 주로 군단장급 사령관이 이 계급에 해당했다. 육군과 공군에 각각 다양한 병과별 대장 계급이 존재했으며,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독일 국방군 3성장군 계급장 | ||||
|---|---|---|---|---|
| 견장 | ![]() | ![]() | ||
| 금장 | (해당 없음) | |||
| 소속군 | 육군 | 공군 | 전쟁해군 | 무장친위대 |
제2차 세계 대전 후 나치 독일이 패망하고 독일 국방군이 해체되면서, 새로 창설된 독일 연방군(서독군)과 국가인민군(동독군)에서는 계급으로서의 병과대장이 폐지되었다. 육군 및 공군 대장의 호칭은 독일 연방군에서는 General|게네랄de[6], 국가인민군에서는 Generaloberst|게네랄오버스트de[7]로 통일되었다.
다만 현대 독일 연방군에서는 각 병과의 훈련 및 장비에 책임을 지는 장교의 보직 명칭으로 '병과대장'이 사용되고 있다. 이 보직은 통상 준장 계급의 장교가 맡으며, 계급이 아닌 직책을 의미한다.
5. 1. 독일 국방군 (육군)
독일 국방군 시절에는 병과대장을 General der Waffengattung|게네랄 데어 바펜가퉁de이라고 불렀다. 이 계급은 전쟁해군의 제독(Admiral) 및 무장친위대의 상급집단지도자(SS-Obergruppenführer)와 동등한 3성장군에 해당하며, 주로 군단장급 사령관(Kommandierender Generalde 또는 Befehlshaberde)에게 부여되었다. 오늘날 NATO 기준으로 OF-8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육군에는 다음과 같은 7종류의 병과대장 계급이 존재했다.
| 병과대장 종류 | 독일어 명칭 |
|---|---|
| 포병대장 | General der Artilleriede |
| 산악병대장 | General der Gebirgstruppede |
| 보병대장 | General der Infanteriede |
| 기병대장 | General der Kavalleriede |
| 통신병대장 | General der Nachrichtentruppede |
| 기갑대장 | General der Panzertruppede |
| 공병대장 | General der Pionierede |
위생부(군의), 수의부, 법무부 장교의 경우, 각각의 최고 계급인 Generaloberstabsarzt|군의대장de, Generaloberstabsveterinär|수의대장de, Generaloberstabsrichter|법무대장de이 병과대장과 동급으로 취급되었다. 이들 병과에는 상급대장이나 원수에 해당하는 계급은 없었다.
1940년 이후 무장친위대 장교에게도 육군과 유사한 계급 체계가 적용되어, General der Waffen-SS|무장친위대 대장de이 병과대장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간주되었다.
5. 2. 독일 국방군 (공군)
독일 국방군의 공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병과대장 계급이 있었다. 이는 육군의 병과대장, 전쟁해군의 제독, 무장친위대의 상급집단지도자와 동등한 3성 장군 상당의 계급으로, 주로 군단급 부대의 지휘관에게 부여되었다.- 강하병대장 (General der Fallschirmtruppe|게네랄 데어 팔쉬름트루페deu)
- 대공포병대장 (General der Flakartillerie|게네랄 데어 플라카르틸레리deu)
- 항공대장 (General der Flieger|게네랄 데어 플리거deu)
- 공군통신병대장 (General der Luftnachrichtentruppe|게네랄 데어 루프트나흐리흐텐트루페deu)
- 공군대장 (General der Luftwaffe|게네랄 데어 루프트바페deu)
5. 3. 독일 연방군 (현대)
나치 독일의 패전과 독일 국방군 해체 이후 재건된 독일 연방군( Bundeswehr|분데스베어de , 서독군)과 국가인민군(동독군)에서는 계급으로서의 병과대장이 폐지되었다. 육군 및 공군 대장의 호칭은 독일 연방군에서는 General|게네랄de[6], 국가인민군에서는 Generaloberst|게네랄오버스트de[7]로 통일되었다.한편, 현대 독일 연방군에서는 각 병과의 훈련과 장비에 책임을 지는 장교의 보직으로서 병과대장 명칭이 사용된다. 이 보직은 통상 준장 계급의 장교가 맡으며, 각 병과 학교의 교장직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계급이 아닌 직책을 의미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대령이 특정 병과의 '대장'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들을 호칭할 때는 단순히 'Herr General'(장군님) 또는 'Herr Oberst'(대령님)를 사용하며, 계급 명칭이 아니므로 'Herr General der + 병과명' 형태의 호칭은 적절하지 않다.
6. 폴란드

폴란드군에서는 중장(3성 장군) 계급의 명칭이 ''generał broni''|게네라우 브로니pol(병과대장)이다.
7. 러시아

표트르 1세는 1699년 러시아 제국 육군에 보병대장 및 기병대장 계급을 도입했다.
러시아에서 병과대장은 러시아어로 Генера́л ро́да во́йск|게네랄 로다 보이스크ru라고 불린다. 표트르 대제는 1700년대 초 러시아 제국군에 보병대장과 기병대장 계급을 만들었지만, 18세기 대부분 동안에는 제너럴 인 셰프(general-en-chef)라는 단일 계급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계급은 계급표에서 2등급에 해당했다.
근대 육군은 주로 보병, 기병, 포병을 중심으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병과대장 계급을 두었던 많은 국가에서는 이를 보병대장, 기병대장, 포병대장으로 나누었다. 그러나 전술과 전쟁 방식이 크게 변화한 현대에는 병과대장 계급을 유지하고 있는 군대는 매우 드물다.
참조
[1]
서적
The First World War: Germany and Austria-Hungary 1914-1918
https://books.google[...]
Arnold
2018-06-27
[2]
문서
[3]
서적
The Rebirth of the Habsburg Army: Friedrich Beck and the Rise of the General Staff
https://books.google[...]
ABC-CLIO
[4]
문서
[5]
서적
The Rebirth of the Habsburg Army: Friedrich Beck and the Rise of the General Staff
https://books.google[...]
ABC-CLIO
[6]
문서
[7]
문서
[8]
서적
The Rebirth of the Habsburg Army: Friedrich Beck and the Rise of the General Staff
http://books.google.[...]
ABC-C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