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르두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르두리아는 만화 《땡땡의 모험》에 등장하는 가상의 국가이다. 실다비아의 오랜 적대국으로, 여러 작품에서 실다비아를 침략하거나 훼손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오토카 왕의 홀》에서는 파시스트 국가로 묘사되며, 쿠데타를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카르큘러스 사건》에서는 비밀 경찰과 군사 독재자가 있는 동구권 국가로 묘사되며, 《땡땡과 피카로스》에서는 남아메리카의 산 테오도르스와 동맹을 맺고 군사 고문을 파견하는 등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 보르두리아는 지리적으로 발칸 산맥을 연상시키는 산악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는 전체주의 파시즘 형태를 띤다. 군대는 시대에 따라 독일 및 소련 무기를 사용하며, 국기는 정치적 변화에 따라 디자인이 변경된다. 보르두리아어는 네덜란드어의 브뤼셀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나라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가공의 나라 - 로스로리엔
    로스로리엔은 톨킨의 중간계 소설에 등장하는 안개산맥 서쪽 엘프 숲으로, 갈라드리엘과 켈레보른이 정착하여 번성했으며, 반지 원정대가 머물렀던 아름답고 신비로운 곳이지만, 사우론 몰락 후 쇠퇴하여 버려졌다.
보르두리아
기본 정보
국기
국가명보르두리아 공화국
통치자쿠르비-타슈 원수
정치 체제준-전체주의 파시스트 독재
민족 구성보르두리아인 (혼합된 오스만 터키 및 남슬라브 뿌리)
수도쇼호드
언어보르두리아어
통화보르두리아 디나르
위치발칸 반도, 실다비아와 인접
모토
모토(알 수 없음)
국가(알 수 없음)

2. 땡땡의 모험에서의 등장

보르두리아는 《땡땡의 모험》 시리즈의 여러 편에 등장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토카 왕의 홀에서는 실다비아와 보르두리아의 역사적 관계와 갈등이 나타난다. 카르큘러스 사건에서는 쿠르비-타슈 원수가 통치하는 독재 국가로 묘사되며, 땡땡과 피카로스에서는 남아메리카의 가상 국가 산 테오도르스와 군사적 동맹을 맺는 등 국제 정세 속 보르두리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2. 1. 오토카 왕의 홀

오토카 왕의 홀에서 땡땡은 실다비아 관광 팜플렛을 통해 실다비아와 보르두리아의 관계를 알게 된다. 1195년 실다비아는 보르두리아에 병합되었으나, 1275년 알마즈아웃 남작이 보르두리아 군대를 몰아내고 오토카 1세로 즉위하면서 독립했다. 이후에도 보르두리아는 실다비아를 침략하거나 훼손하려는 시도를 계속한다.

1939년에 발표된 오토카 왕의 홀은 국왕을 제거하고 실다비아를 침략하려는 보르두리아의 쿠데타 시도를 묘사한다. 이 시도는 땡땡에 의해 실패로 돌아가고, 보르두리아는 평화를 증명하기 위해 군대를 국경에서 15마일 뒤로 철수시킨다.[1]

나치 독일 하인켈 He 118. Swastika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대체되었다.

2. 2. 카르큘러스 사건

카르큘러스 사건(1956)에서 보르두리아는 비밀 경찰 (ZEP)과 군사 독재자 쿠르비-타슈 원수가 통치하는 전형적인 동구권 국가로 묘사된다.[3] 쿠르비-타슈 원수는 요제프 스탈린과 비슷한 콧수염을 하고 나치식 경례를 하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그의 동상은 정부 청사 앞에 세워져 있다.[3] 이 시대의 보르두리아 군대는 기술적으로 서투른 모습을 보이는데, 결함이 있는 지뢰와 대전차포로는 땡땡과 그의 동료들이 탈취한 탱크를 막을 수 없었다.[3] 캘큘러스 교수는 초음파 무기를 개발한 후 보르두리아인들에게 납치되지만, 결국 구출된다.[3]

2. 3. 땡땡과 피카로스

남아메리카바나나 공화국 산 테오도르스는 타피오카 장군이 통치하며 보르두리아 정부와 동맹을 맺었고, 보르두리아 정부는 스폰즈 대령을 포함한 군사 고문들을 그에게 보냈다. 에르제는 이 책을 위해 그린 미출판 페이지에서 쿠르비-타슈 원수의 흉상이 산 테오도르스 대령의 사무실에서 보이기도 했다. 결국, 타피오카는 땡땡의 친구 알카자르 장군에 의해 폐위되고 스폰즈는 보르두리아로 송환된다.

3. 지리

보르두리아의 시골은 극적인 산악 지형에 자리 잡고 있다. 울퉁불퉁한 지형과 우뚝 솟은 봉우리는 발칸 산맥과 가장 유사하며, 모에시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보르두리아는 오늘날 불가리아세르비아의 위치에 대략적으로 설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보르두리아의 수도는 소호드이며, 이곳은 정부 소재지이기도 하다.

4. 정부와 군사

보르두리아는 전체주의적인 파시스트 정부를 가진 국가로 묘사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헝가리, 크로아티아 독립국, 알바니아, 루마니아 왕국 같은 여러 중앙 유럽 국가들은 파시스트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보르두리아도 전쟁 후 소련의 위성 국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틴틴의 전후 이야기에서 전형적인 동구권 국가는 아니지만, 파시스트 국가로 묘사된다. 국가 원수가 원수의 군사 계급을 띠는 것은 소련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 루마니아의 전쟁 지도자 이온 안토네스쿠, 유고슬라비아의 전후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를 연상시키지만, 지도자의 인격 숭배는 이오시프 스탈린과 가장 유사하다.

전후 보르두리아의 문장은 캐럿 기호와 유사하며, 원수 쿠르비-타슈의 콧수염을 본떠서 만들었다. ''카르큘러스 사건''에서 원수를 둘러싼 인격 숭배는 보르두리아의 표지판과 건물의 글자부터 보르두리아 회사 로고, 심지어 차 범퍼를 포함한 특정 특징과 세부 사항까지 그 형태가 디자인에 포함된 수많은 물건에서 발견할 수 있다.

4. 1. 국기

보르두리아 옛 국기 (1939년 흑백판 ''오토카 왕의 홀''에서)


1939년 흑백판의 다른 해석


보르두리아 옛 국기 (1947년 컬러판 ''오토카 왕의 홀''에서)


전후 보르두리아 국기 (1956년 ''카르큘러스 사건''에서)


전후 국기의 변형


''오토카 왕의 홀''에서 보르두리아 국기는 검은색 바탕에 빨간색 원과 두 개의 검은색 삼각형이 있는 형태였다. 이는 여러 파시스트 운동에서 사용된 상징을 연상시킨다. ''카르큘러스 사건''에서는 국기가 흰색 원 안에 쿠르비-타슈의 콧수염 문양이 있는 빨간색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나치 국기와 더 유사하며 보르두리아 군인들이 군용 완장으로 착용했다.

4. 2. 군사력

보르두리아 군대는 시대에 따라 사용하는 무기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인다. 초기에는 독일제 무기를 사용했지만, 후에는 소련제 무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오토카 왕의 홀''' (전쟁 전): 독일의 지원을 받아 Bf 109를 주요 항공기로 사용하고, 게베어 98, vz. 24, Karabiner 98k 볼트 액션 소총을 사용했다.[3]
  • '''카르큘러스 사건''' (전후): 소련 군대의 특징을 보이며, 군인과 요원들은 이탈리아 베레타 모델 38 기관단총으로 무장했다.[3]
  • '''틴틴과 피카로스''': 산 테오도로스 군대에 베레타 AR70/90 돌격 소총과 밀 Mi-1 헬리콥터를 지원했다.[3]


이러한 변화는 보르두리아의 국제 관계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성격과 군대의 무기로 볼 때, 보르두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추축국의 동맹국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책에서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3] 쿠르비-타슈의 콧수염이 달린 정부 관용차는 소련의 ZIL-114에서 영감을 받았다.[3]

5. 언어

실다비아어와 마찬가지로, 보르두리아어는 네덜란드어브뤼셀 방언인 마롤스어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미스터" 또는 "선생님"을 뜻하는 가 있는데, 이는 네덜란드어 mijnheer|메인헤르nl와 유사하다. 실다비아어와 달리, 보르두리아어는 라틴 문자를 전적으로 사용하며, 헝가리어에서 차용했을 가능성이 있는 이중 자음 "sz"와 "ô"를 많이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Tintin: Hergé and His Creation John Murray Press 2011
[2] 서적 The Metamorphoses of Tintin, Or, Tintin for Adult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3] 서적 Sovereignty Conflicts and International Law and Politics: A Distributive Justice Issu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