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츠만 운송 방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츠만 운송 방정식은 1872년 루트비히 볼츠만이 발표한 기체 분자 운동론을 다루는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은 입자 간 충돌 효과를 정밀하게 기술하며, 비평형 통계역학을 다룬다. 분자 혼돈 가정을 통해 충돌 항을 결정하고, H 정리를 통해 고립계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음을 증명하는 데 기여했다. 은하 역학, 일반 상대성 이론, 물리 우주론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양자 볼츠만 방정식 및 세포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2년 과학 - 폴리염화 비닐
폴리염화 비닐은 염화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만든 열가소성 수지로, 가소제 첨가를 통해 물성을 개선하여 배관재, 전선 피복, 건축 자재, 의료 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지만, 환경 및 건강 문제로 재활용 및 대체재 개발이 진행 중이다. - 1872년 과학 - 1872년 11월 30일 일식
- 수송현상 - 역수송체
역수송체는 세포막을 가로질러 두 종류 이상의 분자를 반대 방향으로 수송하는 막 단백질이며, 2차 능동 수송을 통해 세포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송현상 - 단일수송체
단일수송체는 세포막을 가로질러 특정 분자나 이온을 농도 기울기에 따라 수동 수송하는 막 단백질이며, 영양분 흡수, 이온 항상성 유지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 루트비히 볼츠만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루트비히 볼츠만 - 볼츠만 분포
볼츠만 분포는 특정 상태의 확률이 해당 상태의 에너지와 계의 온도의 함수로 주어지는 확률 분포이며, 통계역학, 수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볼츠만 운송 방정식 | |
---|---|
개요 | |
역사 | |
개발자 | 루트비히 볼츠만 |
개발 년도 | 1872년 |
유형 | |
분야 | 통계 역학 |
종류 | 적분미분방정식 |
형태 | |
일반 형태 | f(x,v,t)를 시간 t에서 위치 x와 속도 v를 갖는 입자를 찾는 확률 분포 함수라고 하자. 볼츠만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시간 변화율 | ∂f/∂t + v⋅∇xf + F⋅∇vf = C(f,f) |
설명 | f: 단일 입자 분포 함수 t: 시간 x: 위치 v: 속도 F: 힘 ∇x: 위치 공간에서의 기울기 ∇v: 속도 공간에서의 기울기 C(f,f): 충돌 항 |
활용 | |
응용 분야 | 기체 운동론 유체 역학 플라즈마 물리학 반도체 소자 모델링 |
관련 항목 | |
관련 개념 | 기체 분자 운동론 확률 분포 Liouville 방정식 |
참고 문헌 |
2. 역사
루트비히 볼츠만은 1872년 〈기체 분자의 열평형에 대한 추가 연구〉(Weitere Studien über das Wärmegleichgewicht unter Gasmolekülende)라는 논문에서 H 정리와 함께 볼츠만 운송 방정식을 발표하였다.[28][29] 기체 분자 운동론은 기체 분자의 행동을 역학적으로 설명하여 기체의 성질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맥스웰의 점성 계수 이론 등이 실험적으로 확인되며 큰 성과를 거두었지만, 직관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았다. 볼츠만 수송 방정식은 입자 간 충돌의 효과를 정밀하게 기술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체를 연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볼츠만 운송 방정식은 2입자 충돌로만 상호작용하는 이상 기체의 비평형 통계역학을 다룬다. 이 경우, 입자들이 충돌하지 않는 동안에는 고전역학적으로 근사하지만, 두 입자의 충돌은 양자역학적으로 다룬다.[27] 충돌을 다루기 위해서는 소위 '''분자 혼돈'''(分子混沌, molecular chaos영어)이라는 통계적인 가정을 추가하여야 한다.
볼츠만 방정식은 비선형 미분 적분 방정식이어서 풀이가 쉽지 않았고, 1872년 발표 이후 40년 넘게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1912년에는 힐베르트가 방정식을 풀기 위해 노력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1917년, 엔스코그가 볼츠만 방정식을 풀어 수송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으로 얻은 수송 계수는 채프먼이 다른 방법으로 얻은 결과와 일치하여 널리 받아들여졌다. 이후 채프먼 등의 연구를 통해 볼츠만 방정식에 의한 기체론은 크게 발전하였다.
3. 정의
분자 혼돈 가정은 서로 충돌하려는 두 입자의 운동량이 서로 상관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이 가정은 '''분자 혼돈 가정'''(分子混沌假定, molecular chaos assumption영어) 또는 '''슈토스찰안자츠'''(Stoßzahlansatzde, 충돌수 가설 풀이)라고 한다.[2]
루트비히 볼츠만은 충돌 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가정된 입자 간의 두 입자 충돌로부터 발생하는 충돌 항을 결정하였다. 이 가정 하에서 충돌 항은 일-입자 분포 함수의 곱에 대한 운동량 공간 적분으로 표현 가능하다.
3. 1. 분자 혼돈 가정 (슈토스찰안자츠)
볼츠만 운송 방정식은 2입자 충돌로만 상호작용하는 이상 기체의 비평형 통계역학을 다룬다. 이 경우, 입자들이 충돌하지 않는 동안에는 고전역학적으로 근사하지만, 두 입자의 충돌은 양자역학적으로 다룬다.[27] 충돌을 다루기 위해서는 소위 '''분자 혼돈'''(分子混沌, molecular chaos영어)이라는 통계적인 가정을 추가하여야 한다.
분자 혼돈 가정은 서로 충돌하려는 두 입자의 운동량이 서로 상관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이 가정은 '''분자 혼돈 가정'''(分子混沌假定, molecular chaos assumption영어) 또는 '''슈토스찰안자츠'''(Stoßzahlansatzde, 충돌수 가설 풀이)라고 한다.[2]
볼츠만은 충돌 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가정된 입자 간의 두 입자 충돌로부터 발생하는 충돌 항을 결정하였다. 이 가정 하에서 충돌 항은 일-입자 분포 함수의 곱에 대한 운동량 공간 적분으로 표현 가능하다.
4. H 정리
볼츠만은 H 정리를 통해 고립계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H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적분은 속도에 관해서는 전체 속도, 공간 좌표에 관해서는 입자계가 차지하는 전체 영역에 걸쳐 수행한다. 볼츠만 방정식의 양변에 ln ''f''영어를 곱하여 /'''''v''''', '''''r'''''}}에 대해 적분하고 변형하면 다음을 얻는다.
{{Indent영어
피적분 함수는 /(ln ''x'' − ln ''y'')(''x'' − ''y'')}} 형태를 하고 있어 항상 양 또는 0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Indent영어
이것이 볼츠만의 H 정리이다. H는 엔트로피 S와 S = -kH (k는 볼츠만 상수)로 관계되므로, 이는 입자계의 엔트로피가 시간과 함께 증가하거나 일정 값에 머물 뿐, 감소하는 일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H가 일정 값에 머물기 위해서는 전체 영역에서 ''f'' ''f''1 ''f'' ''f''1영어가 성립해야 하며, 이때 f는 맥스웰-볼츠만 분포이다.
고립계가 아니더라도 입자의 공간 분포가 균일한 경우에는 '''r'''영어의 적분을 임의의 유한 영역으로 제한함으로써 에 대해 위와 같은 형태의 식이 유도되어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공간적으로 비균일한 분포의 경우에는 여분의 항이 발생하고 위의 논의가 성립하지 않는다. 이것은 그 영역과 인접 영역 사이에 엔트로피의 교환이 일어나므로 엔트로피의 비감소는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H 정리는 볼츠만의 시대부터 역학의 가역성과의 관계에서 활발한 논의를 불러 일으켰고, 그것이 이 정리의 물리적 내용의 이해를 깊게 했다. 또한 그 개념은 그 후, 볼츠만 방정식을 벗어나 널리 논의되었다.
5. 일반 상대성 이론 및 천문학으로의 확장
볼츠만 방정식은 은하 역학에서 별들의 운동을 기술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은하는 특정한 가정 하에 연속체 유체로 근사될 수 있으며, 질량 분포는 ''f''로 표현된다. 은하에서 별들 사이의 물리적 충돌은 매우 드물고, 우주의 나이보다 훨씬 긴 시간 동안 ''중력 충돌''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의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11]
:
여기서 (''xi'', ''pi'')/Γαβγ}}는 제2종 크리스토펠 기호이다(이것은 외부 힘이 없어 입자가 충돌이 없을 때 측지선을 따라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중요한 미묘한 점은 밀도가 완전히 반변 좌표계 위상 공간에서의 함수라는 것이다.[12][13]
물리 우주론에서는 전적으로 공변적인 접근 방식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14]
6. 한계 및 추가 응용 분야
볼츠만 방정식은 몇 가지 가정을 전제로 한다. 입자는 유한한 크기를 갖지 않는 점과 같은 입자라고 가정하며, 병진 운동 외에 다른 자유도는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2체 충돌뿐만 아니라 3체 및 고차 충돌도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23]
엔스코그 방정식은 충돌 항을 수정하여 입자가 유한한 크기를 갖도록 볼츠만 방정식을 일반화한 것이다.[22] 예를 들어 고정된 반지름을 가진 구로 입자를 모델링할 수 있다. 내부 자유도가 있는 경우 비탄성 충돌을 고려하여 볼츠만 방정식을 일반화해야 한다.[22]
양자 볼츠만 방정식은 입자 수가 충돌 시 보존되지 않는 양자장론의 상대론적 양자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는 물리 우주론에서 빅뱅 핵합성의 경원소 생성, 암흑 물질 생성, 중입자 생성 등 여러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9] 양자 시스템의 상태가 고전적 위상 공간 밀도 ''f''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지 여부는 항상 명확하지 않지만, 많은 경우 ''f''의 일반화가 존재하며, 이는 양자장론의 기본 원리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유효 볼츠만 방정식의 해이다.[10]
볼츠만형 방정식은 세포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4][25] 세포는 내부 자유도를 갖는 복합 입자이므로, 이 경우 일반화된 볼츠만 방정식은 비탄성 충돌 적분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방정식은 조직 내 암 세포 침윤, 형태 발생, 주화성 관련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7. 한국의 관점 및 정책
참조
[1]
서적
Invariant Manifolds for Physical and Chemical Kinetics
https://www.academia[...]
Springer
2005
[2]
서적
Encyclopaedia of Physics
VHC publishers
1991
[3]
논문
On the Cauchy problem for Boltzmann equations: global existence and weak stability
[4]
논문
Global classical solutions of the Boltzmann equation with long-range interactions
[5]
서적
Statistical Mechanics
https://archive.org/[...]
Wiley
[6]
서적
McGraw Hill Encyclopaedia of Physics
1993
[7]
논문
A Model for Collision Processes in Gases. I. Small Amplitude Processes in Charged and Neutral One-Component Systems
1954-05-01
[8]
서적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Dover Publications Inc.
[9]
서적
The Early Universe
Westview Press
[10]
논문
The Boltzmann equation from quantum field theory
2013-01-08
[11]
간행물
General Relativity and Cosmology (Varenna)
Academic Press NY
1971
[12]
논문
General relativistic Boltzmann equation I: Covariant treatment
[13]
논문
General relativistic Boltzmann equation II: Manifestly covariant treatment
[14]
논문
Cosmic microwave background anisotropies: Nonlinear dynamics
1999
[15]
논문
Global Classical Solutions of the Boltzmann Equation without Angular Cut-off
[16]
논문
A discontinuous finite element solution of the Boltzmann kinetic equation in collisionless and BGK forms for macroscopic gas flows
https://cronfa.swan.[...]
2011-03-01
[17]
논문
Aerodynamic optimisation of a hypersonic reentry vehicle based on solution of the Boltzmann–BGK equation and evolutionary optimisation
https://cronfa.swan.[...]
2017-12
[18]
논문
Numerical Solution of the Boltzmann Equation I: Spectrally Accurate Approximation of the Collision Operator
2000-01-01
[19]
서적
Basics of Statistical Mechanics
World Scientific
2013
[20]
서적
The mathematical theory of non-uniform gases: an account of the kinetic theory of viscosity, thermal conduction, and diffusion in gas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21]
논문
Theme issue 'Hilbert's sixth problem'
[22]
웹사이트
Enskog Equation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2-05-10
[23]
arXiv
Ring Kinetic Theory for an Idealized Granular Gas
1997-06-03
[24]
논문
Modeling cell movement in anisotropic and heterogeneous network tissues
https://www.aimscien[...]
2007
[25]
논문
Multi-Cue Kinetic Model with Non-Local Sensing for Cell Migration on a Fiber Network with Chemotaxis
2022-02-12
[26]
문서
세계대백과사전
[27]
서적
http://www.mit.edu/p[...]
2014-04-06
[28]
저널
[29]
웹인용
http://plato.stanf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