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기어는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주를 중심으로 약 30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부기어는 18세기부터 기록되었으며, 론타라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고, 18세기에는 선교사에 의해 성경이 번역되기도 했다. 부기어는 6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론타라 문자와 로마자를 모두 사용한다. 부기어에는 4가지 인칭 대명사 세트와 다양한 문법적 양상이 존재하며,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술라웨시어군 - 만다르어
- 남술라웨시어군 - 마카사르어
마카사르어는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주 마카사르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로 약 187만 명이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마카사르 문자와 론타라 문자로 기록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Ethnologue는 세대 간 전승의 위험으로 6b(위협받는) 언어로 분류한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부기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부기어 |
고유 이름 | Basa Ugi |
고유 이름 (부기 문자) | ᨅᨔ ᨕᨘᨁᨗ |
사용 국가 | |
사용 지역 | |
사용자 | |
민족 | 부기족 |
모어 사용자 | 352만 7800명 (2015년 UNSD) |
제2 언어 사용자 | 50만 명 |
총 사용자 | 400만 명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남술라웨시어군 |
하위 어군 | 부기스-타만어군 |
세부 언어 | 부기어 |
문자 | |
언어 코드 | |
ISO 639-2 | bug |
ISO 639-3 | bug |
Glottolog | bugi1244 |
Glottolog (이름) | Buginese |
지도 정보 | |
![]() | |
음운 정보 | |
IPA | /basa.uɡi/ |
2. 역사
부기어의 초기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부기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기록된 부기족의 창조 신화인 수레 갈리고이다.[10]
부기어는 , , , , 와 중설 모음 6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부기어는 야자나무 잎에 론타라 문자로 기록된 역사 기록인 '론타라'의 형태로도 남아 있다. 론타라라는 이름은 문자를 가리키기도 하고, 그 문자로 적은 기록을 가리키기도 한다. 가장 오래된 론타라 역사 기록은 17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된다.[1]
18세기에 선교사 B. F. 매튜스는 성서를 부기어로 번역했으며, 부기어와 마카사르어에 관한 사전, 문법서 등을 저술하여 두 언어 연구의 기초 자료를 남겼다.[10]
네덜란드인의 식민 지배 이후, 부기족 일부는 더 나은 삶을 찾아 남술라웨시를 떠났고,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에 부기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집단이 생겨났다.[2][3]
3. 분포
부기어 모어 화자의 대부분(약 300만 명)은 인도네시아의 남술라웨시주에 몰려 있지만, 인도네시아의 자와섬, 사마린다, 수마트라 동부와 말레이시아의 사바주 동부와 말레이반도, 필리핀 남부에도 소규모 집단이 있다. 이 같은 부기족의 디아스포라는 17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주로 계속되는 전쟁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
4. 음운론
다음 표는 부기어 자음 음소들과 그 론타라 문자 표기를 나타낸 것이다.colspan=2| 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선비음화 파열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파열음 [b] [d] [ɟ] [g]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마찰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colspan=2 style="background:#ccc"| colspan=2 style="background:#ccc"| R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colspan=6 style="background:#ccc"| 접근음 colspan=4 style="background:#ccc"|
부기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인도네시아어에서 흔한 관습에 따라 [ɲ]은 "ny", [ŋ]은 "ng", [ɟ]은 "j", [j]은 "y"로 적는다. 성문 파열음 [ʔ]은 대개 아포스트로피(')로 적지만(예: "ana′" [anaʔ] "아이") 가끔 "q"로 적기도 한다.
5. 문자
부기어는 전통적으로 브라흐미 문자군에 속하는 론타라 문자로 쓰여졌으며, 이는 마카사르어와 만다르어에도 사용된다. '론타라'라는 이름은 말레이어로 야자의 일종인 lontarms(론타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잎은 인도,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의 전통적인 필사본 재료였다.[1] 그러나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5. 1. 론타라 문자
부기어 론타라(현지에서는 로 알려짐)는 다른 론타라 문자와 약간 다른 발음을 가진다. 다른 인도 계열 문자와 마찬가지로, 기본 자음 문자는 고유 모음 /a/ (실제로는 [ɔ]로 발음됨)를 가지며, 별도의 기호를 사용하여 다른 모음 [i], [u], [e], [o], [ə]를 나타낸다.그러나 다른 대부분의 인도의 브라흐미 계열 문자와 달리, 부기어 문자는 전통적으로 고유 모음을 억제하기 위한 비라마 기호가 없어, 자음 클러스터, 중복 자음 또는 종성 자음을 표기하기 어렵다.
6. 문법
부기어는 인도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 문법 체계도 유사한 점이 많다. 부기어는 대명사와 상(Aspect)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하위 섹션에서 부기어의 대명사 체계와 상(Aspec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6. 1. 대명사
부기어는 4가지 인칭 대명사 세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독립형이고 나머지 셋은 결합형이다.[6]colspan="2" | | 독립형 | 후치사형 | 전치사형 | 접미사형 | |
---|---|---|---|---|---|
1인칭 | 단수 | ||||
복수 | |||||
2인칭 | 존칭 | ||||
친칭 | |||||
3인칭 | |||||
1인칭 복수 배제 (고어) |
후치사형은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전치사형은 타동사의 주어에 사용된다. 접미사형은 주로 소유의 기능을 한다.
6. 2. 상(Aspect)
부기어의 문법적 양상은 다음과 같다.[4]지속상 | 완료상 | 조건상 | 의문 | 강조 | 장소 |
---|---|---|---|---|---|
kaq | naq | paq | gaq | si | é |
kiq/ko | niq/no | piq/po | giq/go | sa | tu |
kiq | niq | piq | giq | to | ro |
i | ni | pi | gi | mi | |
na | pa | ga |
7. 방언
부기스족은 여전히 주요 식민지 이전 국가인 본](Bone state), 와조, 소펭 및 시덴렝 또는 소규모 국가 집단(파레파레, 신자이 및 수파 주변)에 따라 스스로를 구분한다. 이 지역의 언어는 서로 비교적 사소한 차이만을 보이며 언어학자들에 의해 방언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최근 언어 연구에 따르면 11개의 방언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은 2개 이상의 하위 방언으로 구성된다.
''Ethnologue''에는 다음과 같은 부기스어 방언이 나열되어 있다:[5]
- 본 (팔라카, 두아 보코에, 마레)
- 팡켑 (팡카자네)
- 캄바
- 시드랍 (시덴렝, 북 핀랑, 알리타)
- 파상카유 (우기 리아와)
- 신자이 (에나, 팔라타에, 불루쿰바)
- 소펭 (케시)
- 와조
- 바루 (파레파레, 네포, 소펭 리아자, 톰포, 타네테)
- 사위토 (핀랑)
- 루우 (루우, 부아 폰랑, 와라, 말랑케-우수)
8. 수사
숫자 | 론타라 문자 | 라틴 문자 |
---|---|---|
1 | ᨔᨙᨉᨗ|seddibug | |
2 | ᨉᨘᨓ|duabug | |
3 | ᨈᨛᨒᨘ|təllubug | |
4 | ᨕᨛᨄ|əppa'bug | |
5 | ᨒᨗᨆ|limabug | |
6 | ᨕᨛᨊᨛ|ənnəŋbug | |
7 | ᨄᨗᨈᨘ|pitubug | |
8 | ᨕᨑᨘᨓ|aruábug | |
9 | ᨕᨙᨔᨑ|aserábug | |
10 | ᨔᨄᨘᨒᨚ|səppulobug | |
20 | ᨉᨘᨓᨄᨘᨒᨚ|duappulobug | |
30 | ᨈᨛᨒᨘᨄᨘᨒᨚ|təlluppulobug | |
40 | ᨄᨈᨄᨘᨒᨚ|patappulobug | |
50 | ᨒᨗᨆᨄᨘᨒᨚ|limappulobug | |
60 | ᨕᨛᨊᨛᨄᨘᨒᨚᨊ|ənnəppulonabug | |
70 | ᨄᨗᨈᨘᨄᨘᨒᨚ|pituppulobug | |
80 | ᨕᨑᨘᨓᨄᨘᨒᨚᨊ|aruá pulonabug | |
90 | ᨕᨙᨔᨑᨄᨘᨒᨚᨊ|aserá pulonabug | |
100 | ᨔᨗᨑᨈᨘ|siratu'bug | |
1,000 | ᨔᨗᨔᨛᨅᨘ|sisəbbubug | |
10,000 | ᨔᨗᨒᨔ|silassabug | |
100,000 | ᨔᨗᨀᨚᨈᨗ|sikəttibug |
참조
[1]
논문
The Bugis-Makassarese: From Agrarian Farmers to Adventurous Seafarers
Universitas Hassanuddin
[2]
논문
Bugis Migration and Modes of Adaptation to Local Situstions
https://www.jstor.or[...]
2002
[3]
웹사이트
Bugis trade {{!}} Infopedia
https://eresources.n[...]
2020-09-05
[4]
문서
Ritumpanna wélenrénngé: sebuah episoda sastra Bugis klasik Galigo
[5]
문서
Buginese
[6]
서적
The Buginese language
Akademia Nauk
[7]
간행물
Leiden, the Dutch city of poems
http://www.thejakart[...]
2001-07-15
[8]
에스놀로그
Buginese
https://www.ethnolog[...]
에스놀로그
[9]
에스놀로그
Bugis
https://www.ethnolog[...]
에스놀로그
[10]
논문
The Bugis-Makassarese: From Agrarian Farmers to Adventurous Seafarers
Universitas Hassanuddin
[11]
서적
The Buginese language
Akademia Na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