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는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지역에 거주하는 크로아티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크로아티아어를 탈출한 난민들의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차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는 자체적인 문어 표준을 가지고 있으며, 크로아티아어 알파벳과 유사한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이 언어는 슬로베니아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문학 작품과 신문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어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크로아티아어 - 샤트로바치키
샤트로바치키는 세르비아의 언어 기법으로, 단어의 음절 순서를 바꾸거나 모음을 추가/변경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며, 언어유희로서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하위 문화에서 정체성 형성 및 소통에 기여한다. - 오스트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오스트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
원어 이름 | gradišćanskohrvatski jezik |
사용 국가 |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
사용자 |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19,412명 (2001년 통계) 전체 사용자: 50,000–60,000명 |
소수 언어 | 오스트리아 헝가리 |
민족 |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슬라브어군 |
하위 어군 | 남슬라브어군 |
세부 어군 | 서부 남슬라브어군 |
방언 | 차카비아어 |
지도 정보 | |
![]() | |
언어 코드 | |
Glotto code | burg1244 |
Glotto code 이름 |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
IETF | ckm-AT |
관련 정보 | |
다른 이름 | gradišćanskohrvatski jezik Burgenländisch-Kroatisch Burgenlandkroatisch burgenlandkroatische Sprache burgenländisch-kroatischen Sprache gradistyei horvát nyelv |
2. 방언
- 슈토이 방언: 슈토이는 귈텐바흐, 슈티나츠, 노이베르크의 크로아티아 민속 그룹이다.[6][3] 이들의 방언은 일부 서부 슈토카비아 특징을 가진 남부 차카비아 방언이다.
- 블라 방언: 바이덴 바이 레흐니츠, 추버바흐, 알토디스, 샨도르프, 뒨바흐, 알레르스도르프 등 "블라히"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3][4][5] 몇몇 특징으로 인해 서부 슈토카비아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4][5] 신 슈토카비아 억양이 없고, 서부 이카비아 방언과 슬라보니아 방언과 유사성을 가진 차카비아 이카비아 방언이지만, 인접한 부르겐란트 방언의 영향도 받았다.[3][4][5]
- 돌린치 방언: 돌린치 방언은 운터풀렌도르프, 프랑케나우, 클라인무첸 등에서 사용되는 중부 차카비아 방언이다.[6]
- 폴얀 방언: 노이지들러 호수 근처 폴얀치의 방언으로, 중부 차카비아 방언이다.[6]
- 하티 방언: 하티 방언은 노이지들러 호수 근처 하티의 중부 차카비아 방언이다.[6]
- 그롭 방언: 그롭 방언은 중부 차카비아 방언,[6][7][8] 또는 혼합 차카비아-카이카비아 방언으로,[9] 슬로바키아의 초르바츠키 그롭 등에서 사용된다.
2. 1. 슈토이 방언
슈토이는 귈텐바흐, 슈티나츠, 노이베르크의 크로아티아 민속 그룹이다.[6][3] 이들의 방언은 일부 서부 슈토카비아 특징을 가진 남부 차카비아 방언이다.2. 2. 블라 방언
바이덴 바이 레흐니츠, 추버바흐, 알토디스, 샨도르프, 뒨바흐, 알레르스도르프 등 "블라히"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3][4][5] 몇몇 특징으로 인해 서부 슈토카비아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4][5] 신 슈토카비아 억양이 없고, 서부 이카비아 방언과 슬라보니아 방언과 유사성을 가진 차카비아 이카비아 방언이지만, 인접한 부르겐란트 방언의 영향도 받았다.[3][4][5]2. 3. 돌린치 방언
돌린치 방언은 운터풀렌도르프, 프랑케나우, 클라인무첸 등에서 사용되는 중부 차카비아 방언이다.[6]2. 4. 폴얀 방언
노이지들러 호수 근처 폴얀치의 방언으로, 중부 차카비아 방언이다.[6]2. 5. 하티 방언
하티 방언은 노이지들러 호수 근처 하티의 중부 차카비아 방언이다.[6]2. 6. 그롭 방언
그롭 방언은 중부 차카비아 방언,[6][7][8] 또는 혼합 차카비아-카이카비아 방언으로,[9] 슬로바키아의 초르바츠키 그롭 등에서 사용된다.3. 역사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인들이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 동안 크로아티아를 탈출하여 당시 헝가리 서부에 정착한 난민들의 언어였다. 그들은 현재까지도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6][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크로아티아어의 세 방언(슈토카비아어, 차카비아어, 카이카비아어)을 모두 사용했으며, 대부분 차카비아어 화자였다. 그들 중 일부는 원래 달마티아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은 우나 계곡에서 이주했다.[6][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19세기에 현재의 표준 크로아티아어 형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주로 현지 차카비아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문어 표준을 만들었고, 수정된 라틴 문자인 크로아티아 문자를 사용했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를 고유한 슬라브 소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방언은 대부분 크로아티아어의 고립된 방언으로 간주된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프레크무르예와 헝가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미쳤다. 최초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작품 (예: 마르티안치 옛 찬송가)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책에 적용되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로 글을 쓴 사람들 중 일부는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출신이었고 (야캅 사바르),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기도 했다 (요제프 피치코).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던 지역은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로 분할되었다. 1921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고,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라는 새로운 주를 설립했는데, 이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1922년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 사도 행정부'를 설립하고 모든 초등학교에 독일어 교육을 도입하여 이중 언어 학교를 폐지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크로아티아어 초등학교를 허용한 '국민 교육법' 채택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히틀러의 1938년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이 법은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이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이 교육, 사법 및 공공 행정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76년 '국가 소수 민족법'의 채택으로 공공 생활에서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더욱 제한되었다. 1987년 헌법 소원이 받아들여진 결과, 법의 일부가 변경되었고 부르겐란트의 7개 구 중 6개 구에서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로 도입되었다.[10]
3. 1. 기원과 정착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인들이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 동안 크로아티아를 탈출하여 당시 헝가리 서부에 정착한 난민들의 언어였다. 그들은 현재까지도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6][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크로아티아어의 세 방언(슈토카비아어, 차카비아어, 카이카비아어)을 모두 사용했으며, 대부분 차카비아어 화자였다. 그들 중 일부는 원래 달마티아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은 우나 계곡에서 이주했다.[6][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19세기에 현재의 표준 크로아티아어 형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주로 현지 차카비아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문어 표준을 만들었고, 수정된 라틴 문자인 크로아티아 문자를 사용했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를 고유한 슬라브 소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방언은 대부분 크로아티아어의 고립된 방언으로 간주된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프레크무르예와 헝가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미쳤다. 최초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작품 (예: 마르티안치 옛 찬송가)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책에 적용되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로 글을 쓴 사람들 중 일부는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출신이었고 (야캅 사바르),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기도 했다 (요제프 피치코).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던 지역은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로 분할되었다. 1921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고,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라는 새로운 주를 설립했는데, 이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1922년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 사도 행정부'를 설립하고 모든 초등학교에 독일어 교육을 도입하여 이중 언어 학교를 폐지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크로아티아어 초등학교를 허용한 '국민 교육법' 채택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히틀러의 1938년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이 법은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이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이 교육, 사법 및 공공 행정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76년 '국가 소수 민족법'의 채택으로 공공 생활에서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더욱 제한되었다. 1987년 헌법 소원이 받아들여진 결과, 법의 일부가 변경되었고 부르겐란트의 7개 구 중 6개 구에서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로 도입되었다.[10]
3. 2. 독자적인 발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인들이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 동안 크로아티아를 탈출하여 당시 헝가리 서부에 정착한 난민들의 언어였다. 그들은 현재까지도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6][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크로아티아어의 세 방언(슈토카비아어, 차카비아어, 카이카비아어)을 모두 사용했으며, 대부분 차카비아어 화자였다. 그들 중 일부는 원래 달마티아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은 우나 계곡에서 이주했다.[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19세기에 현재의 표준 크로아티아어 형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주로 현지 차카비아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문어 표준을 만들었고, 수정된 라틴 문자인 크로아티아 문자를 사용했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를 고유한 슬라브 소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방언은 대부분 크로아티아어의 고립된 방언으로 간주된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프레크무르예와 헝가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미쳤다. 최초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작품 (예: 마르티안치 옛 찬송가)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책에 적용되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로 글을 쓴 사람들 중 일부는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출신이었고 (야캅 사바르),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기도 했다 (요제프 피치코).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던 지역은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로 분할되었다. 1921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고,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라는 새로운 주를 설립했는데, 이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1922년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 사도 행정부'를 설립하고 모든 초등학교에 독일어 교육을 도입하여 이중 언어 학교를 폐지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크로아티아어 초등학교를 허용한 '국민 교육법' 채택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히틀러의 1938년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이 법은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이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이 교육, 사법 및 공공 행정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76년 '국가 소수 민족법'의 채택으로 공공 생활에서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더욱 제한되었다. 1987년 헌법 소원이 받아들여진 결과, 법의 일부가 변경되었고 부르겐란트의 7개 구 중 6개 구에서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로 도입되었다.[10]
3. 3.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와의 관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인들이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 동안 크로아티아를 탈출하여 당시 헝가리 서부에 정착한 난민들의 언어였다. 그들은 현재까지도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크로아티아어의 세 방언(슈토카비아어, 차카비아어, 카이카비아어)을 모두 사용했으며, 대부분 차카비아어 화자였다. 그들 중 일부는 원래 달마티아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은 우나 계곡에서 이주했다.[6][3]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19세기에 현재의 표준 크로아티아어 형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주로 현지 차카비아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문어 표준을 만들었고, 수정된 라틴 문자인 크로아티아 문자를 사용했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를 고유한 슬라브 소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방언은 대부분 크로아티아어의 고립된 방언으로 간주된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프레크무르예와 헝가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미쳤다. 최초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작품 (예: 마르티안치 옛 찬송가)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책에 적용되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로 글을 쓴 사람들 중 일부는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출신이었고 (야캅 사바르),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기도 했다 (요제프 피치코).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던 지역은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로 분할되었다. 1921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고,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라는 새로운 주를 설립했는데, 이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1922년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 사도 행정부'를 설립하고 모든 초등학교에 독일어 교육을 도입하여 이중 언어 학교를 폐지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크로아티아어 초등학교를 허용한 '국민 교육법' 채택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히틀러의 1938년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이 법은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이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이 교육, 사법 및 공공 행정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76년 '국가 소수 민족법'의 채택으로 공공 생활에서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더욱 제한되었다. 1987년 헌법 소원이 받아들여진 결과, 법의 일부가 변경되었고 부르겐란트의 7개 구 중 6개 구에서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로 도입되었다.[10]
3. 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1918년에 해체된 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던 지역은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로 분할되었다.[10] 1921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고,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라는 새로운 주를 설립했는데, 이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의 이름이 유래되었다.[10]1922년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 사도 행정부'를 설립하고 모든 초등학교에 독일어 교육을 도입하여 이중 언어 학교를 폐지하기 시작했다.[10] 이 과정은 크로아티아어 초등학교를 허용한 '국민 교육법' 채택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10] 히틀러의 1938년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이 법은 폐지되었다.[10]
1955년에 체결된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이 교육, 사법 및 공공 행정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0] 1976년 '국가 소수 민족법'의 채택으로 공공 생활에서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더욱 제한되었다.[10] 1987년 헌법 소원이 받아들여진 결과, 법의 일부가 변경되었고 부르겐란트의 7개 구 중 6개 구에서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로 도입되었다.[10]
3. 5. 언어 사용 제한과 권리 보장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은 19세기에 현재의 표준 크로아티아어 형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주로 현지 차카비아어를 기반으로 자체적인 문어 표준을 만들었고, 수정된 라틴 문자인 크로아티아 문자를 사용했다.[6][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를 고유한 슬라브 소수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방언은 대부분 크로아티아어의 고립된 방언으로 간주된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프레크무르예와 헝가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미쳤다. 최초의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 작품 (예: 마르티안치 옛 찬송가)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책에 적용되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로 글을 쓴 사람들 중 일부는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출신이었고 (야캅 사바르),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기도 했다 (요제프 피치코).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후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던 지역은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로 분할되었다. 1921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고,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라는 새로운 주를 설립했는데, 이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1922년 오스트리아는 '부르겐란트 사도 행정부'를 설립하고 모든 초등학교에 독일어 교육을 도입하여 이중 언어 학교를 폐지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크로아티아어 초등학교를 허용한 '국민 교육법' 채택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히틀러의 1938년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이 법은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이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들이 교육, 사법 및 공공 행정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76년 '국가 소수 민족법'의 채택으로 공공 생활에서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더욱 제한되었다. 1987년 헌법 소원이 받아들여진 결과, 법의 일부가 변경되었고 부르겐란트의 7개 구 중 6개 구에서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로 도입되었다.[10]
4. 문어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의 문어는 주로 부르겐란트에서 사용되는 다른 크로아티아 방언의 영향을 받은 지역 차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11] 이 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크로아티아어 알파벳과 동일한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한다.[11] 언어 발전 과정에서 표준 크로아티아어와는 다른 고유한 전문 어휘를 습득했다.[11]
인기 있는 소설 ''어린 왕자''도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로 번역되었으며(1998년), 특히 이반 로터의 표준 버전이 번역되었다.[11]
4. 1. 어휘 특징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의 문어는 주로 부르겐란트에서 사용되는 다른 크로아티아 방언의 영향을 받은 지역 차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11] 이 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크로아티아어 알파벳과 동일한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한다.[11] 언어 발전 과정에서 표준 크로아티아어와는 다른 고유한 전문 어휘를 습득했다.[11]인기 있는 소설 ''어린 왕자''도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로 번역되었다(1998년).[11]
영어 | 표준 크로아티아어 |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
---|---|---|
검은색 | crna | črna |
단어 | riječ | rič |
예수 그리스도 | Isus Krist | Jezuš Kristuš |
낮은 | donji | dolnji |
4. 2. 문학 작품
문학의 시작은 '''클림푸슈키 미살'''(클림푸슈 미사)(1501), S. 콘술 히스트리아누스와 안툰 달마틴의 '''포스틸라'''(단식)(1568), '''두셰브네 페스네'''(''두세브네 페스네'', 영적 찬가)(1609) 그리고 그르구르 메키니치 피티레우스의 '''드루게 크니게 두셰브니 페산'''(''드루게 크니게 두셰브니 페산'', 영적 찬가의 다른 책들)(1611)과 관련이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문학은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고 주로 농민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주요 작가는 사제와 수녀였다. 19세기 후반에는 교사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 덕분에 많은 교과서와 달력이 작성되었다.
4. 3.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로 쓰인 최초의 책
문학의 시작은 '''클림푸슈키 미살'''(클림푸슈키 미사)(1501), S. 콘술 히스트리아누스와 안툰 달마틴의 '''포스틸라'''(단식)(1568), '''두셰브네 페스네'''(''두세브네 페스네'', 영적 찬가)(1609) 그리고 그르구르 메키니치 피티레우스의 '''드루게 크니게 두셰브니 페산'''(''드루게 크니게 두셰브니 페산'', 영적 찬가의 다른 책들)(1611)과 관련이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 문학은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고 주로 농민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주요 작가는 사제와 수녀였다. 19세기 후반에는 교사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 덕분에 많은 교과서와 달력이 작성되었다.
4. 4.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신문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이 발행하는 신문은 다음과 같다. ''크리크베니 글라스니크(Crkveni glasnik)''(교회 소식지)는 1946년에 창간되었다. ''나셰 셀로(Naše selo)''(우리 마을)는 1947년에 창간되었다. ''나슈 톄드니크(Naš tjednik)''(우리 주간지)는 1947년에 창간되었다. ''나샤 도모비나(Naša domovina)''(우리 조국)는 1952년에 창간되었다. ''글라스(Glas)''(목소리)는 1957년에 창간되었다. ''노비 글라스(Novi glas)''(새로운 목소리)는 1969년에 창간되었다. ''푸트(Put)''(길)는 1981년에 창간되었다.4. 5.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작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작가 중 가장 유명한 작가로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 J. 물리흐 (1694–1754)
- 고데프리드 팔코비치 (1714–78)
- L. 보고비치 (1719–89)
- E. M. 크라겔 (1725–88)
- M. 라아브 (cca. 1746–1823)
- J. 피코 (1772–1843)
- M. 드로빌리치 (1808–91)
- T. 요르단 (1815–93)
- G. 글라바니치 (1833–72)
- M. 나코비치 (1840–1900)
- I. 무슈코비치 (1848–1930)
- M. 보레니치 (1850–1939)
- 이반 추코비치 (1865–1944)
- P. 얀드리셰비치 (1879–1938)
- I. 블라제비치 (1888–1946)
- 마테 메르시치 밀로라디치 (1850–1928)
- 이그나츠 호르바트 (1895–1973)
- 마틴 메르시치
- A. 블라조비치 (1921–2004)
- 프란츠 프로브스트 (1919–93)
- N. 벤치치 (1938년 출생)
- 이반 (라브) 수치치 (1938년 출생)
- 마틸다 뵘츠 (1949년 출생)
- J. 체나르 (1956년 출생)
- P. 티란 (1955년 출생)
- H. 가스너 (1955년 출생)
5. 주기도문 비교
슬로베니아어 |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1830)[12] |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2021) | 크로아티아어 |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
참조
[1]
웹사이트
Geschichte der kroatischen Volksgruppe in Österreich
http://www.hrvatskic[...]
2016-10-06
[2]
웹사이트
Bevölkerung 2001 nach Umgangssprache, Staatsangehörigkeit und Geburtsland
http://www.statistik[...]
[3]
서적
Hrvatska dijalektologija 1 – Hrvatski dijalekti i govori štokavskog narječja i hrvatski govori torlačkog narječja
Golden marketing – Tehnička knjiga
[4]
간행물
O štokavskim elementima u iseljeničkim hrvatskim govorima u Gradišću
https://hrcak.srce.h[...]
2024-04-27
[5]
간행물
O štokavskim osobinama u hrvatskim govorima Bandola i Nove Gore u južnom Gradišću
https://hrcak.srce.h[...]
2024-04-27
[6]
서적
Hrvatska Dijalektologija 2. Čakavsko narječje
Golden Marketing-Tehnička knjiga
2009
[7]
간행물
Znali su horvacki njegova mati (Review of "Sanja Vulić, Bernardina Petrović, ''Govor Hrvatskoga Groba u Slovačkoj'', 1999)
https://hrcak.srce.h[...]
2023-02-16
[8]
간행물
Razlike u čakavskim ikavsko-ekavskim govorima sjevernoga i srednjega Gradišća
https://hrcak.srce.h[...]
2023-02-14
[9]
간행물
Usmena kajkavska književnost u kritičkom izboru i obzorju časopisa Kaj
https://hrcak.srce.h[...]
2023-02-14
[10]
웹사이트
gradišćanski Hrvati - Hrvatska enciklopedija
http://www.enciklope[...]
[11]
웹사이트
Antoine de St Exupery - The Little Prince / Croatian Burgenland dialect / 1998, Hrvatsko Stamparsko Drustvo, Eisenstadt
http://www.petit-pri[...]
[12]
문서
The pater-noster in Kroatisch der Raaber Diöcese, vulgo Wasserkroatisch
https://books.google[...]
Franz Sarto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