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트로바치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트로바치키는 단어의 음절 순서를 바꾸거나, 음절을 생략하거나, 추가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단어를 변형하는 언어이다. 예를 들어, "pivo" (맥주)는 "vopi"가 된다. 샤트로바치키는 세르비아, 특히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 지역에서 사용되며, "우트로바치키", 음절 생략, 음절 추가 등 다양한 변형 형태가 존재한다. 마케도니아에서는 각 음절 뒤에 P와 모음을 추가하는 "파파갈스키" (앵무새 언어)라는 변형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어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크로아티아어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크로아티아어 -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는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지역의 차카비아 방언 기반 언어로, 크로아티아인 이주민들이 형성하여 오스트리아의 법적 보호 아래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 표준을 가진다. - 속어 - 갸루 문자
갸루 문자는 2002년경 일본 여중고생 사이에서 유행한 문자 표현 방식으로, 여러 문자를 변형하여 메시지 위장이나 감정 표현에 사용되며, 기성세대에게는 반항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했다. - 속어 - 은어 (언어학)
은어는 특정 집단 내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로, 정보 은폐와 동료 의식 강화 기능을 하지만, 외부인 소외감, 품위 저하, 사회적 소통 저해, 윤리적 문제 야기 등의 특징과 비판을 받는다.
| 샤트로바치키 | |
|---|---|
| 개요 | |
| 언어 유형 | 은어 |
| 사용 지역 | 구 유고슬라비아 |
| 어원 | 프랑스어 "샤트르"(chatre) 혹은 "자르공"(jargon) |
| 관련 용어 | 베오바치키 |
| 특징 | |
| 발달 과정 | 특정 단어의 음절을 재배열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방식 |
| 사용 목적 | 특정 집단 내 의사소통 보안 유지 외부인에게는 의미를 알 수 없도록 함 |
| 음절 재배열 방식 | 음절 순서를 바꾸거나, 새로운 음절을 추가하는 방식 사용 |
| 샤트로바치키 예시 | "카파" -> "파카" (음절 순서 변경) |
| 샤트로바치키 어휘 | 특정 계층이나 하위문화에서 유래된 경우가 많음 |
| 참고 문헌 | |
| 서적 | 토미슬라브 삽랴크, "Rječnik šatrovačkog govora" (샤트로바치키 언어 사전), Globus, 자그레브, 1981 |
2. 구성 방법
샤트로바치키는 단어의 음절 순서를 바꾸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구성 방법이다. 예를 들어 ''pivo''(맥주)는 ''vopi''가 된다. 이때 새 단어는 원래 단어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철자는 발음나는 대로 쓴다.
발음의 편의를 위해 원래 단어에 없는 모음을 추가하거나 변경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rava''(''잡풀'', 마리화나)는 ''vatra''(''불'')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vutra''가 된다.
다음은 샤트로바치키로 변환된 문장의 예시이다.
- ''Brate, neću da igram fudbal. — Tebra, ćune da grami balfud.'' ("형제, 축구하고 싶지 않아.")
- ''Zemun zakon brate. — Munze konza tebra.'' (직역: "Zemun이 법이야, 형제" - 의미: "Zemun이 최고야, 이봐")
- ''Pazi brate, murija! — Zipa tebra, rijamu!'' ("조심해, 친구 - 경찰!", ''murija''는 경찰의 속어)
2. 1. 기본 규칙
샤트로바치키는 단어의 음절 순서를 바꾸어 만드는 언어이다. 예를 들어 ''pivo''(맥주)는 ''vopi''가 된다. 이때 새 단어는 원래 단어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철자는 발음나는 대로 쓴다.발음의 편의를 위해 원래 단어에 없는 모음을 추가하거나 변경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rava''(''잡풀'', 마리화나)는 ''vatra''(''불'')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vutra''가 된다.
다음은 샤트로바치키로 변환된 문장의 예시이다.
- ''Brate, neću da igram fudbal. — Tebra, ćune da grami balfud.'' ("형제, 축구하고 싶지 않아.")
- ''Zemun zakon brate. — Munze konza tebra.'' (직역: "Zemun이 법이야, 형제" - 의미: "Zemun이 최고야, 이봐")
- ''Pazi brate, murija! — Zipa tebra, rijamu!'' ("조심해, 친구 - 경찰!", ''murija''는 경찰의 속어)
2. 2. 추가 규칙 (우트로바치키)
'''우트로바치키'''(우트로바치키/Utrovačkish)는 샤트로바치키의 더 복잡한 형태이다. 단어는 U + 마지막 부분 + ZA + 첫 번째 부분 + NJE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위키페디아'''(Wikipedia)는 u'''키페디아'''za'''위'''nje가 된다. 오늘날 우트로바치키는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다른 우트로바치키 형태는 위와 같지만 "ZA"가 없으며, 예를 들어 '''피보'''(맥주)는 u'''보피'''nje가 되거나, '''치가레'''(담배)는 u'''가레치'''nje가 된다.
2. 3. 음절 생략
샤트로바치키의 더 단순화된 버전은 단어의 첫 음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세르비아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koncert'' (콘서트)는 ''cert''로 줄어든다. 어간이 주격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새 단어를 만드는 규칙은 표준 샤트로바치키와 유사하다.예시는 다음과 같다:
- zikash - muzikash (음악)
- certsh - koncertsh (콘서트)
- Đavash - tvrđavash (페트로바라딘 요새)
- garish - drugarsh (친구)
- fikash - trafikash (신문 가판대)
- kićsh - sokićsh (주스)
- nicash - stanicash (역)
- šuljash - košuljash (셔츠)
- lonesh - pantalonesh (바지)
- tikesh - patikesh (운동화)
- njačićsh - vinjačićsh (비냑)
- tijash - kutijash (상자)
- ljarash - pepeljarash (재떨이)
- ljadash - hiljadash (천)
- bicash - torbicash (작은 가방)
- čkash - pičkash (보지, 암컷)
- pačsh - štampačsh (프린터)
- činkash - palačinkash (크레페, 팬케이크)
- lersh - dilersh (마리화나)
- ketsh - paketsh (포장)
- ćozash - kaprićozash (카프리초사 피자)
전체 문장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Drugar i ja idemo na koncert na Tvrđavi.sh (내 친구와 나는 요새에서 콘서트에 간다)
- Gari i ja idemo na cert na Đavi.sh
이것은 특히 노비사드의 청소년 하위 문화의 특징이며, 보이보디나 밖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4. 음절 추가
베오그라드(Belgrade)의 블로키(blokovi)에서 발견되는 매우 희귀하지만 존재하는 표현 형태이다. 단어는 원래 단어가 비교적 온전하게 유지되도록 다양한 접미사를 추가하여 재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샤트로바치키(šatrovački)를 기반으로 한다. 결과 단어는 일반적으로 축소형 의미를 갖는다.몇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카이블로 또는 키치블로''' - 블록 (교외 블로코비 또는 노비베오그라드의 블록)
- '''키치소 또는 카이소''' - 소크 (주스)
- '''파이도''' - 도프 (헤로인)
이러한 축약형은 나중에 '''샤트로바츠키'''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카이블로'' 또는 ''키치블로''와 같은 단어를 생성한다. 이 도시 방언의 기원을 찾기는 어렵지만, 이는 카라부르마, 제문 및 노비베오그라드의 지역에서 발견된다.
샤트로바치키의 또 다른 유형은 각 음절 뒤에 삽입된 P 앞에 모음을 추가하여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마케도니아에서는 이 유형의 언어를 ''파파갈스키'' (앵무새 언어)라고 부른다. 음절은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므로 해당 모음은 삽입된 P 뒤에 반복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샤파트로포바치키피 (샤+'''파'''-트로+'''포'''-바+'''파'''-치키+'''피''')
2. 5. 파파갈스키 (Parrots' language)
3. 사용 예시
샤트로바치키는 다양한 단어에 적용된다.
예시:
- 젤디 - 디젤 (디젤, 채브s)
- 치바 - 바치 (던지다; 명령형)
- 모이네 - 네모이 (하지마; 명령형)
- 로마 - 말로 (조금, 적은)
- 테브라 - 브라테 (형제; 호격)
- 간치 - 치간 (집시)
- 략세 - 셀략 (농부, 촌뜨기)
- 지파 - 파지 (조심해, 주의를 기울여; 명령형)
- 텐크레 - 크레텐 (정신지체)
- 자브르 나흐라 - 브르자 흐라나 (패스트푸드)
- 홉시 - 프시호 (사이코패스)
- 부글라 - 글라바 (머리, 대격에서 파생)
- 랴드로 - 드롤랴 (걸레)
- 부트라 - 트라바 (대마초, 마리화나)
- 푸카 - 카파 (커피)
- 구드라 - 드로가 (마약)
- 보피 - 피보 (맥주)
- 술랴 - 파술 (콩)
- 보즈드라 - 즈드라보 (안녕)
- 디스므르 - 스므르디 (악취가 나다)
- 지카 - 카지 (말해, 말하다; 명령형)
- 콘자 - 자콘 (법, 훌륭한, 훌륭한)
- 발푸드 - 푸드발 (축구)
- 부스프라 - 스프라바 (장치, 스플리프)
- 추피 - 피차 (예쁜 여자, 일반적으로 경멸어)
- 리야무 - 무리야 (경찰, 경멸어)
- 샤이시 - 시사이 (빨아; 명령형)
- 쇼네 - 네쇼sh (애칭, 일반적으로 호격)
- 쇼미 - 미쇼sh (애칭, 일반적으로 호격)
- 키조 - 조키sh (애칭)
- 리야마 - 마리야sh
- 크블로 콘자 - 블록 자콘 (블록 규칙)
- 문제 콘자 - 제문 자콘 (제문 규칙)
- 토즐라 - 즐라토 (금)
- 팍슈 - 슈팍 (개자식)
- 라츠쿠 - 쿠라츠 (자지, 페니스)
- 츠카피 - 피츠카 (보지, 엿)
- 즈무 - 무즈 (남편)
- 라이보사 - 사라예보
- 네 리세 - 네 세리 (헛소리 하지마; 명령형)
- 세프라 - 프라세 (돼지)
- 시푸 - 푸시 (피다, 블로우; 명령형)
- 지카 - 무지카 (음악)
- 체르트 - 콘체르트 (콘서트)
- 다바 - 트브르다바 (요새, 주로 노비 사드의 페트로바라딘 요새를 지칭)
- 가리 - 드루가르 (친구)
- 피카 - 트라피카 (신문 가판대)
- 키츠 - 소키츠 (주스의 애칭)
- 니차 - 스타니차 (역)
- 술랴 - 코술랴 (셔츠)
- 로네 - 판탈로네 (바지)
- 티케 - 파티케 (운동화)
- 냐치츠 - 비냐치츠 (알코올 음료인 비냑의 애칭, 코냑과 유사)
- 티야 - 쿠티야 (상자)
- 랴라 - 페펠랴라 (재떨이)
- 랴다 - 힐랴다 (천)
- 비차 - 토르비차 (작은 가방)
- 츠카 - 피츠카 (보지, 암컷)
- 파츠 - 슈탐파츠 (프린터)
- 친카 - 팔라친카 (크레페, 팬케이크)
- 레르 - 딜레르 (마약 딜러, 주로 마리화나)
- 케트 - 파케트 (포장 또는 포장된 모든 것)
- 초자 - 카프리초자 (주로 카프리초사 피자를 지칭하지만, 모든 종류의 피자에 사용될 수 있음)
- 카이블로 또는 키치블로 - 블록 (교외 블로코비 또는 노비베오그라드의 블록)
- 키치소 또는 카이소 - 소크 (주스)
- 파이도 - 도프 (헤로인)
이러한 축약형은 ''카이블로'' 또는 ''키치블로''와 같은 단어를 생성하기 위해 샤트로바츠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도시 방언은 카라부르마, 제문, 노비베오그라드 지역에서 발견된다.
샤트로바치키의 또 다른 유형은 각 음절 뒤에 삽입된 P 앞에 모음을 추가하여 단어를 재구성하는 방식이며, 마케도니아에서는 이 유형의 언어를 ''파파갈스키''(앵무새 언어)라고 부른다.
샤트로바치키의 앵무새 언어(파파갈스키)버전 예시:
- 디피제페ㄹ - 디젤(diesel)
- 바파치피 - 바치(던지다)
- 네페모포이 - 네모이(하지마)
- 마파로포 - 말로(약간)
- 브라파테페 - 브라테(형제)
- 치피가파ㄴ - 치간(집시)
- 페페데페ㄹ - 페데르(동성애자)
- 세페랴파크 - 셀랴크(농부)
- 파파지피 - 파지(주목해)
- 크레페테페ㄴ - 크레텐(바보)
4. 사회적 기능
5. 지역별 사용
샤트로바치키는 지역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나며, 베오그라드, 노비사드 등 특정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된다.
예시:
- '''카이블로 또는 키치블로''' - 블록 (교외 블로코비 또는 노비베오그라드의 블록)
- '''키치소 또는 카이소''' - 소크 (주스)
- '''파이도''' - 도프 (헤로인)
이러한 축약형은 ''카이블로'' 또는 ''키치블로''와 같은 단어를 생성하기 위해 샤트로바츠키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도시 방언의 기원은 카라부르마, 제문 및 노비베오그라드의 지역에서 발견된다.
또한 각 음절 뒤에 삽입된 P 앞에 모음을 추가하여 단어를 재구성하는 또 다른 유형의 샤트로바치키가 있다. 마케도니아에서는 이 유형의 언어를 ''파파갈스키''(앵무새 언어)라고 부른다. 음절은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므로 해당 모음은 삽입된 P 뒤에 반복된다. (예: 샤파트로포바치키피)
참조
[1]
서적
Karadzić: list za srpski narodni život, običaje i predanje
n.p.
1900
[2]
서적
Njemačko-hrvatski rječnik s gramatičkim podacima i frazeologijom
https://books.google[...]
Školska knjiga
1954
[3]
서적
Rječnik šatrovačkog govora
https://www.antikvar[...]
Globus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