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슬라브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슬라브어군은 인도유럽어족 발토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9세기에 테살로니키에서 사용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원으로 한다. 이 언어군은 서남슬라브어군(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과 동남슬라브어군(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으로 나뉘며,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과거에는 각 지역별로 고유한 방언이 존재했으나, 20세기 이후 표준어의 영향으로 많은 방언이 사라졌다. 현재는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각 언어는 고유한 문법적 특징과 문자 체계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남슬라브어군
언어 정보
이름남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가 국어인 나라
사용 지역유럽 남동부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1발트-슬라브어파
어파2슬라브어파
하위 언어1동남슬라브어군
ISO 639-5zls
글롯톨로그sout3147
글롯톨로그 참조남슬라브어
하위 언어 (서부 남슬라브어군)
언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표준어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방언|슬라보니아 |두브로브니크|동헤르체고비나 |제타-라슈카|코소보-레사바 (스메데레보-브르샤츠)|슈마디야-보이보디나|프리렌-티모크 (프리렌-남모라바 |스블르지그-자플라네|티모크-루니차))}}}}
}}
카이카비아
|스블르지그-자플라네|티모크-루니차)}}}}
악센트에카비아
이제카비아
이카비아
언어 비교
언어슬로베니아어
방언}}
하위 언어 (동부 남슬라브어군)
언어교회 슬라브어 (고대)
언어불가리아어
방언방언
방언바나트
언어마케도니아어
방언}}
언어구어
언어표준
과도기 방언
언어 그룹세르비아-불가리아-마케도니아어
언어과도기 불가리아어
언어 그룹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어
언어카이카비아
언어 그룹불가리아-마케도니아어
언어그리스 슬라브어
문자
현대 문자
불가리아 키릴
마케도니아 키릴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역사 문자

비고바나트 불가리아어 문자 포함.

2. 역사

남슬라브어군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슬라브어군의 한 분파이다. 남슬라브어군은 발토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서슬라브어군 및 동슬라브어군과 구별되는 여러 음운론적, 형태론적, 어휘적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최근 도전을 받고 있다.[4]

모든 남슬라브어에 걸쳐 나타나는 일부 혁신은 서슬라브어가 아닌 동슬라브어와 공유된다. 이러한 혁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4]

후기 원슬라브어남슬라브어서슬라브어군동슬라브어군
재구성의미고대 교회 슬라브어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트어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체코어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
звѣзда|즈볘즈다cuzvezda|즈베즈다slzvijezda|zv(ij)ézda|즈비예즈다shзвезда|즈베즈다bgѕвезда|즈베즈다mkhvězda|흐볘즈다cshviezda|흐비에즈다skgwiazda|그비아즈다plзорка|조르카be, звязда|즈뱌즈다beзвезда|즈볘즈다ruзірка|지르카uk
꽃, 개화цвѣтъ|츠볱cucvet|츠베트slcvijet|cv(ij)ȇt|츠비옛shцвете|츠베테bgцвет|츠베트mkkvět|크볫cskvet|크베트skkwiat|크비아트plкветка|크볫카be, цвет|츠베트beцветок|츠베토크ru, цвет|츠베트ruцвіт|츠비트uk, квітка|크비트카uk
쟁기рало|랄로curalo|랄로slralo|rȁlo|랄로shрало|랄로bgрало|랄로mkrádlo|라들로csradlo|라들로skradło|라드워plарала|아랄라beорало|오랄로ru, рало|랄로ruорало|오랄로uk, рало|랄로uk
모두вьсь|비시cuves|베스slsav|sȁv|사브shвси|프시bgсиот|시옷mkvše|프셰csvšetok|프셰토크skwszystkie|프시스트키에plусе|우세be, увесь|우베시beвсе|프세ru, весь|베시ruвсі|우시uk, весь|베시uk



남슬라브어 그룹에서 독점적인 공통 혁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동질어가 확인되었으나, 주로 음운론적 특성이며, 형태론적 및 통사론적 동질어는 훨씬 적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독점적인 특성을 갖지 않으며 동슬라브어와 서슬라브어 그룹의 일부 언어 (특히,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와 공유된다.

이러한 이유로, 남슬라브어는 엄격하게 지리적 그룹일 뿐이며, 진정한 유전자적 분지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즉, 원남슬라브어는 존재하지 않았고, 모든 남슬라브 방언이 그들 특유의 광범위한 음운론적, 형태론적 또는 어휘적 변화의 독점적인 집합을 나타내는 시기도 없었다는 것이다.

남슬라브어 방언은 오늘날 남부 오스트리아에서 동남부 불가리아까지 이어지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5] 이들은 발칸 반도로의 별도의 이주를 나타내며, 한때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및 알바니아어 인구에 의해 분리되었다. 이 인구가 동화되면서 동남슬라브어와 서남슬라브어는 과도기적 방언인 토르락어와 융합되었다.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그리고 19세기와 20세기에 국가의 형성은 표준어의 개발과 규범화로 이어졌다. 표준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는 별개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6]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표준 변형[7]의 다중심 세르보크로아트어[8]는 동일한 방언 (슈토카비아어)을 기반으로 한다.[9]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국가 및 민족 경계는 방언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2. 1. 기원과 발전

남슬라브어군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언어(또한 최초로 증명된 슬라브어)는 9세기에 테살로니키에서 사용된 동남 슬라브어의 방언으로, 현재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라고 불린다. 이 언어는 슬라브 동방 정교회 교회에서 다양한 지역 교회 슬라브어 전통의 형태로 전례 언어로 유지되고 있다.[4]

슬라브어군은 발토슬라브어군의 일부이며, 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남슬라브어는 유전자 노드로 간주되어왔다. 즉, 서슬라브어군과 동슬라브어군을 구분하는 일련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어휘 혁신 (동질어)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최근 수십 년 동안 도전을 받아왔다.

모든 남슬라브어에 걸쳐있는 일부 혁신은 서슬라브어가 아닌 동슬라브어와 공유된다.[4]

  • 원슬라브어 *v 앞에 슬라브어 2차 구개음화의 일관된 적용
  • 원슬라브어 *l 앞의 *d 및 *t의 손실
  • 원슬라브어 *ś (2차 및 3차 구개음화에서 발생)와 *s의 병합


후기 원슬라브어남슬라브어서슬라브어군동슬라브어군
재구성의미고대 교회 슬라브어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트어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체코어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
звѣзда|즈볘즈다cuzvezda|즈베즈다slzvijezda|zv(ij)ézda|즈비예즈다shзвезда|즈베즈다bgѕвезда|즈베즈다mkhvězda|흐볘즈다cshviezda|흐비에즈다skgwiazda|그비아즈다plзорка|조르카be, звязда|즈뱌즈다beзвезда|즈볘즈다ruзірка|지르카uk
꽃, 개화цвѣтъ|츠볱cucvet|츠베트slcvijet|cv(ij)ȇt|츠비옛shцвете|츠베테bgцвет|츠베트mkkvět|크볫cskvet|크베트skkwiat|크비아트plкветка|크볫카be, цвет|츠베트beцветок|츠베토크ru, цвет|츠베트ruцвіт|츠비트uk, квітка|크비트카uk
쟁기рало|랄로curalo|랄로slralo|rȁlo|랄로shрало|랄로bgрало|랄로mkrádlo|라들로csradlo|라들로skradło|라드워plарала|아랄라beорало|오랄로ru, рало|랄로ruорало|오랄로uk, рало|랄로uk
모두вьсь|비시cuves|베스slsav|sȁv|사브shвси|프시bgсиот|시옷mkvše|프셰csvšetok|프셰토크skwszystkie|프시스트키에plусе|우세be, увесь|우베시beвсе|프세ru, весь|베시ruвсі|우시uk, весь|베시uk



남슬라브어 그룹에서 독점적인 공통 혁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동질어가 확인되었다. 그것들은 주로 음운론적 특성을 가지며, 형태론적 및 통사론적 동질어는 훨씬 적다. 다음과 같은 음운론적 동질어가 나열된다.


  • 예르를 슈와와 유사한 소리로 병합하여,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는 가 되었고, 앞선 자음의 유지된 경성/연성 특성에 따라 (마케도니아어) 또는 (불가리아어)로 분화되었다.
  • 원슬라브어 *ę >
  • 원슬라브어 *y > , 원슬라브어 *i의 반사형과 병합
  • 원슬라브어 음절 유동 자음 *r̥ 및 *l̥는 유지되었지만, *l̥는 모든 방언에서 이후 손실되었고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는 > ,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에서는 > 모음+ 또는 +모음), *r̥는 불가리아어에서 가 되었다. 이 발전은 유동 자음 뒤에 'yer'의 손실과 동일했다.
  • 구개음화 자음과 치경 파찰음의 경화; 예를 들어 š' > š, č' > č, c' > c.
  • 유동 자음 전위의 남슬라브어 형태 (CoRC > CRaC, CoLC > CLaC 등)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독점적인 특성을 갖지 않으며 동슬라브어와 서슬라브어 그룹의 일부 언어 (특히,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와 공유된다. 이러한 근거로, 남슬라브어는 엄격하게 지리적 그룹일 뿐이며, 진정한 유전자적 분지를 형성하지 않는다고 주장된다. 즉, 원남슬라브어는 존재하지 않았고, 모든 남슬라브 방언이 그들 특유의 광범위한 음운론적, 형태론적 또는 어휘적 변화(동질어)의 독점적인 집합을 나타내는 시기도 없었다. 또한, 원남슬라브어 혁신이 발생할 수 있는 동안 공통 남슬라브어 혁신이 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또는 정치적 통일의 시기도 없었다고 주장된다. 제안된 여러 남슬라브어 전용 어휘 및 형태론적 패턴은 공통 슬라브어 고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거나, 일부 슬로바키아어 또는 우크라이나어 방언과 공유된다.

남슬라브어 방언은 오늘날 남부 오스트리아에서 동남부 불가리아까지 이어지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5] 방언학 수준에서, 이들은 서남슬라브어(슬로베니아어 및 세르보크로아트어 방언)와 동남슬라브어(불가리아어 및 마케도니아어 방언)로 나뉜다. 이들은 발칸 반도로의 별도의 이주를 나타내며, 한때 중간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및 알바니아어 인구에 의해 분리되었다. 이 인구가 동화되면서 동남슬라브어와 서남슬라브어는 과도기적 방언인 토르락어와 융합되었다. 반면에,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그리고 19세기와 20세기에 국가의 형성은 표준어의 개발과 규범화로 이어졌다. 표준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는 별개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6]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표준 변형[7]의 다중심 세르보크로아트어[8]는 동일한 방언 (슈토카비아어)을 기반으로 한다.[9]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국가 및 민족 경계는 방언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2. 2. 고대 교회 슬라브어

남슬라브어군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언어(또한 최초로 증명된 슬라브어)는 9세기에 테살로니키에서 사용된 동남 슬라브어의 방언으로, 현재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라고 불린다. 이 언어는 슬라브 동방 정교회 교회에서 다양한 지역 교회 슬라브어 전통의 형태로 전례 언어로 유지되고 있다.

2. 3. 방언 연속체와 표준어 형성

주요 방언 집단을 나타낸 남슬라브어 방언 연속체


남슬라브어군은 일반적으로 서남 슬라브어군(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과 동남 슬라브어군(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으로 나뉜다. 하지만 실제로는 남슬라브어군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 언어 또는 언어 그룹 간에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 중간에 위치하며, 카이 방언, 차 방언, 슈토 방언, 토르라크 방언의 네 가지 주요 방언 그룹이 있다. 이 중 카이 방언은 슬로베니아어와 차 방언 사이에, 토르라크 방언은 슈토 방언과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 사이에 위치한다.

3. 분류

남슬라브어군은 슬라브어파의 한 분파로, 발트슬라브어파를 거쳐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남슬라브어는 언어학적으로, 서슬라브어군동슬라브어군을 구분하는 음운, 형태, 어휘적 특징을 공유한다.[4]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4]

남슬라브어군은 방언 연속체를 이루며,[1][2] 크게 동남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과 서남슬라브어군 (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으로 나뉜다.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는 이 연속체 내에서 단일 방언을 구성한다.[3]

발트-슬라브어족 계통도


남슬라브어는 동슬라브어와 몇 가지 혁신을 공유한다.[4]

후기 원시 슬라브어남슬라브어서슬라브어군동슬라브어군
재구성의미고대 교회 슬라브어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트어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체코어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
*gvězdaзҍѣздаzvezdazvijezda/zv(ij)ézda
звијезда/зв(иј)е́зда
звездаѕвездаhvězdahviezdagwiazdaзорка, звяздазвезда (звѣзда)зірка
*květъ꽃, 개화цвѣтъcvetcvijet/cv(ij)ȇt
цвијет/цв(иј)е̑т
цветецветkvětkvetkwiatкветка, цветцветок, цветцвіт, квітка
*ordlo쟁기ралоraloralo/rȁlo
рало/ра̏ло
ралоралоrádloradloradłoаралаорало, ралоорало, рало
*vьśь모두вьсьvessav/sȁv
сав/са̏в
всисиотvševšetokwszystkieусе, увесьвсе, весьвсі, весь



남슬라브어군만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4]


  • 예르의 슈와와 유사한 소리로의 병합
  • 원슬라브어 *ę >
  • 원슬라브어 *y > (원슬라브어 *i의 반사형과 병합)
  • 원슬라브어 음절 유동 자음 *r̥ 및 *l̥는 유지
  • 구개음화 자음과 치경 파찰음의 경화
  • 유동 자음 전위


하지만 이러한 특징 중 일부는 동슬라브어, 서슬라브어와 공유되는 부분이 있어, 남슬라브어군이 독자적인 분파가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된다.[4]

남슬라브어군은 오스트리아 남부에서 불가리아 남동부까지 이어지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5] 방언학적으로는 서남슬라브어와 동남슬라브어로 나뉘며, 이들은 발칸 반도로의 별도 이주를 나타낸다. 과거에는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으로 분리되었으나, 이들이 동화되면서 토르락 방언을 통해 동남슬라브어와 서남슬라브어가 융합되었다.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그리고 19세기와 20세기에 국가 형성은 표준어 발달로 이어졌다. 표준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는 별개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6]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는 슈토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9] 국가 및 민족 경계는 방언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3. 1. 동남슬라브어군

동남슬라브어군은 남슬라브어군의 한 분파로,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를 포함한다. 이 언어들은 발트-슬라브어족 계통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1][2]

동남슬라브어 방언 사용 지역:




동남슬라브어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1][12]

  • 정관사: 명사 뒤에 붙는 정관사가 존재한다. (예: ''книга'', 책 – ''книга'''та''''', '''그''' 책)
  • 명사 격의 부재: 명사의 격 변화가 거의 사라졌다.
  • 부정사 소실: 동사의 부정사 형태가 없다.
  • 형용사 비교급: 접두사 ''по-''를 사용하여 형용사의 비교급을 만든다. (예: ''добър, по-добър'' (불가리아어)/''добар, подобар'' (마케도니아어) – 좋다, 더 좋다)
  • 미래 시제: 동사의 현재형 앞에 ''ще/ќе''를 붙여 미래 시제를 만든다.
  • 추측법: 추측이나 간접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동사 형태가 있다. (예: ''Той ме видял.'' (불가리아어)/''Тој ме видел.'' (마케도니아어) – 그는 나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는 발칸 언어 연합에 속하여,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등 다른 발칸 반도 언어들과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11]

토르라크 방언은 세르비아 남동부,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서부 등에서 사용되며, 남슬라브어군의 서부와 동부 그룹 사이의 과도기적 언어로 간주된다. 발칸 언어 연합의 특징을 보이며, 일부 학자들은 동남슬라브어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3]

3. 1. 1. 불가리아어

동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 불가리아어의 ISO 639-1 코드는 '''bg''', ISO 639-2 코드는 '''bul''', SIL 코드는 '''bul''', Linguasphere는 '''53-AAA-hb'''이다. български език|벌가르스키 에지크bg

3. 1. 2.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는 동남슬라브어군에 속하며, 불가리아어와 함께 남슬라브어군 내에서 방언 연속체를 이룬다.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마케돈스키 야지크mk (ISO 639-1 코드: '''mk'''; ISO 639-2(B) 코드: '''mac'''; ISO 639-2(T) 코드: '''mkd'''; SIL 코드: '''mkd'''; Linguasphere: '''53-AAA-ha''')

남슬라브어군은 서남 슬라브어군(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과 동남 슬라브어군(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의 두 그룹으로 나뉘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명확한 경계는 없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 중간에 위치하며, 카이 방언, 차 방언, 슈토 방언, 토르락 방언의 네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이 중 토르락 방언은 슈토 방언과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 사이에 위치한다.

남슬라브어군은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가 되었으며, 동슬라브어군서슬라브어군에도 영향을 미쳤다.

마케도니아어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남동 마케도니아어 방언
  • 북 마케도니아어 (세 개의 토르락 방언 포함)
  • 서 마케도니아어 방언

3. 1. 3. 고대 교회 슬라브어

남슬라브어군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언어(또한 최초로 증명된 슬라브어)는 9세기에 테살로니키에서 사용된 동남 슬라브어의 방언으로, 현재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라고 불린다. 이 언어는 슬라브 동방 정교회 교회에서 다양한 지역 교회 슬라브어 전통의 형태로 전례 언어로 유지되고 있다.

3. 2. 서남슬라브어군



Западные южнославянские языки|v=supru슬로베니아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포함한다.

남슬라브어군은 서남슬라브어군(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과 동남슬라브어군(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의 두 그룹으로 나뉘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여 각 언어 또는 언어 그룹 간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 사이에 위치하며, 카이 방언, 차 방언, 슈토 방언, 토르락 방언의 네 가지 주요 방언 그룹이 있다. 이 중 카이 방언은 슬로베니아어와 차 방언의 중간, 토르락 방언은 슈토 방언과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의 중간에 위치한다.

남슬라브어군은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가 되었으며, 동슬라브어군서슬라브어군에도 영향을 미쳤다.

서남슬라브어군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과도 방언
* 차 방언 (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카이 방언 (크로아티아어)
* 슈토 방언
고 슈토 방언
* 코소보-레사바 방언 (세르비아어)
* 제타-남 산자크 방언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 슬라보니아 방언 (크로아티아어)
* 동보스니아 방언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신 슈토 방언
* 슈마디야-보이보디나 방언 (세르비아어)
* 달마티아-보스니아 방언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및 이들 각 언어의 표준어)


3. 2. 1.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주로 슬로베니아에서 사용된다. 슬로베니아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지만, 그 수에 대해서는 7개에서 50개까지 다양한 의견이 있다.[15][16][17] 가장 적은 수로 추정할때는 7개의 방언 그룹으로 구분하며, 이들 그룹은 더 세분화되지 않는다. 7개 그룹 중 일부는 다른 그룹보다 더 이질적이며, 더 많은 수로 추정할때는 방언과 하위 방언을 구분하는 다양한 기준을 반영한다. 슬로베니아어 방언은 서로 매우 달라서, 한 방언 사용자가 다른 방언 사용자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18] 특히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슬로베니아 남부의 일부 방언은 차카비아어 또는 카이카비아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전환되며, 동부 방언에서는 카이카비아로의 전환이 일반적이다. 특히 쿠파 강과 수틀라 강 상류에서는 국경 양쪽에서 사실상 동일한 언어 변종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 표는 문법적, 음운론적 특징을 비교하여 카이카비아어와 슬로베니아어의 유사성을 보여준다.

서부 남슬라브어 동어구조
슬로베니아어카이카비아어차카비아어슈토카비아어
강세 > 비최종 위치의 신강세
원시 슬라브어의 성조 소실
u- > vu-
ǫ > o
-ojo > -o (도구격 단수)
ć > č
비원형 강세
호격 소실
종결 무성음화
đ > j
žV > rV
종결 -m > -n
ľ, ň > l, n
jd, jt > đ, ć
ř > r
ə > a
čr > cr
여격/처격/조격 복수 -ma/-u (이중격에서 유래)


3. 2. 2.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슈토카비아 (ISO 639-1 코드: sh; ISO 639-2/3 코드: hbs; SIL 코드: scr; Linguasphere: 53-AAA-g)는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4개의 표준어가 있다.[3]

차카비아 방언은 크로아티아 서부, 중부, 남부 지역, 주로 이스트라, 크바르네르 만, 달마티아 및 크로아티아 내륙(예: 가츠카와 포쿠프예)에서 사용된다. 차카비아 방언에서 원 슬라브어 ''야트''의 반사음은 ''i'' 또는 때로는 ''e''(드물게 ''(i)je'')이며, ''에카비아-이카비아''처럼 혼합되기도 한다. 많은 차카비아 방언은 상당수의 달마티아어 단어를 보존했으며, 베네치아어, 이탈리아어, 그리스어 및 기타 지중해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많이 가지고 있다.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주로 오스트리아의 부르겐란트 주와 빈, 슬로바키아, 헝가리의 인접 지역에서 16세기에 이주한 크로아티아인의 후손들에 의해 사용된다. 이 방언(또는 방언군)은 독일어와 헝가리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표준 크로아티아어와 다르다. 이주민들이 모두 같은 지역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의 세 주요 방언 그룹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언어 표준은 차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서부 남슬라브어 동어 구조 비교
슬로베니아어카이카비아어차카비아어슈토카비아어
강세 > 비최종 위치의 신강세
원시 슬라브어의 성조 소실
u- > vu-
ǫ > o
-ojo > -o (도구격 단수)
ć > č
비원형 강세
호격 소실
종결 무성음화
đ > j
žV > rV
종결 -m > -n
ľ, ň > l, n
jd, jt > đ, ć
ř > r
ə > a
čr > cr
여격/처격/조격 복수 -ma/-u (이중격에서 유래)


3. 3. 과도기 남슬라브어군

토르라크 방언은 남슬라브어군의 서부 및 동부 그룹 사이의 과도기적 언어로 간주된다. 세르비아 남동부,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서부, 코소보 남동부, 루마니아 서부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13] 토르라크 방언은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와 함께 언어적 발칸 언어 연합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유전적 관계보다는 장기간의 접촉으로 인한 언어적 언어 수렴 지역이다. 이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토르라크 방언을 동남슬라브어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남슬라브어군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 언어 또는 언어 그룹 간에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의 중간에 위치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는 카이 방언, 차 방언, 슈토 방언, 토르라크 방언의 네 가지 주요 방언 그룹이 있는데, 이 중 토르라크 방언은 슈토 방언과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의 중간에 위치한 언어이다.

4. 문법

다음 표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의 문법 및 음운론적 혁신을 비교한 것이다. 카이카비아어와 슬로베니아어가 여러 면에서 유사함을 분명하게 보여준다.[11][12]

서부 남슬라브어 동어구조
슬로베니아어카이카비아어차카비아어슈토카비아어
강세 > 비최종 위치의 신강세대부분의 방언아니요아니요아니요
원시 슬라브어의 성조 소실일부 방언아니요아니요신슈토카비아어
u- > vu-일부 방언아니요아니요
ǫ > o아니요아니요
-ojo > -o (도구격 단수)아니요아니요
ć > č대부분의 방언아니요아니요
비원형 강세아니요아니요
호격 소실일부 방언아니요
종결 무성음화대부분의 방언아니요
đ > j아니요
žV > rV서부
종결 -m > -n일부 방언아니요아니요
ľ, ň > l, n대부분의 방언아니요아니요
jd, jt > đ, ć아니요아니요
ř > r아니요아니요
ə > a아니요아니요
čr > cr아니요아니요아니요
여격/처격/조격 복수 -ma/-u (이중격에서 유래)아니요아니요아니요


4. 1. 동서 방언의 차이

동남슬라브어군의 동부 그룹을 형성하는 방언은 주로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및 인접 국가(예: 우크라이나의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에서 사용되며, 다른 슬라브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공유한다.[11][12] 이러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정관사의 존재 (예: ''книга'', 책 – ''книга'''та''''', '''그''' 책)
  • 명사 격의 거의 완전한 부재
  • 부정사의 부재
  • 접두사 ''по-''로 형성된 형용사의 비교 형태 (예: ''добър, по-добър'' (불가리아어) – 좋다, 더 좋다)
  • 동사의 현재 형태 앞에 ''ще/ќе''가 붙어 형성되는 미래 시제
  • 추측법의 존재 (예: ''Той ме видял.'' (불가리아어) – 그는 나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는 발칸 언어 연합에 속하는 그리스어, 알바니아어와도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11]

동남슬라브어군의 동부 방언(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과 서부 방언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동부 방언은 명사 격변화를 거의 완전히 상실하고 분석적 언어가 되었다.[19]
  • 동부 방언은 발칸 언어 연합의 다른 언어들과 유사한 정관사 접미사를 발달시켰다.[20]
  • 동부 방언은 부정사를 상실했다. 불가리아어에서는 1인칭 단수, 마케도니아어에서는 3인칭 단수가 동사 변형의 주된 부분이 되었다. 다른 언어에서 부정사를 필요로 하는 문장은 불가리아어에서 절을 통해 구성된다. (예: ''искам да ходя (iskam da hodya)''는 "나는 가고 싶다" (직역하면 "나는 내가 가기를 원한다")이다.)


이 외에도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 서부 방언은 단수와 복수 모두에서 3개의 성(슬로베니아어는 이중수를 가짐)을 가지지만, 동부 방언은 단수에서만 성을 가진다. (예: 세르비아어 ''on''(그), ''ona''(그녀), ''ono''(그것), ''oni''(그들, 남성), ''one''(그들, 여성), ''ona''(그들, 중성) / 불가리아어 ''te''(그들), 마케도니아어 тие(''tie'', '그들')는 전체 복수를 포괄)
  • 표준 문어 불가리아어는 슬라브어 ''"on-/ov-"'' 대신 ''"to-/t-"'' 기반 대명사를 사용한다(''onzi'' – "저"와 그 파생어만 유지). 서부 불가리아어 방언과 마케도니아어는 "ov-/on-" 대명사를 가지며, 때로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한다.
  • 세르보크로아트어의 모든 방언은 "어떤"의 개념을 포함한다. (예: 세르비아어 ''neko'' "어떤 사람", ''niko'' "아무도 아님", ''iko'' "누구든지") 다른 방언은 ''some-'' 또는 ''no-'' 구성을 사용한다.[21]
  •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슈토카비아 방언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법을 가지지만, 동쪽으로 갈수록 고립어 형식이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다.
  • * 크로아티아어 - ''hoću ići'' - "나는 가고 싶다"
  • * 세르비아어 - ''hoću da idem'' - "나는 - 그것을 - 간다"
  • 슬로베니아어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 대해 원시 슬라브어 이중수를 유지하고 있다.
  • * 명사: ''volk'' (늑대) → ''volkova'' (두 늑대) → ''volkovi'' (몇몇 늑대)
  • * 동사: ''hodim'' (나는 걷는다) → ''hodiva'' (우리 둘이 걷는다) → ''hodimo'' (우리가 걷는다)
  • 마케도니아어에서 완료는 동사 "to have"를 기반으로 하는 반면, 다른 모든 슬라브어에서는 조동사로 "to be"가 사용된다.(마케도니아어 동사 참조)
  • * 마케도니아어 - ''imam videno'' - 나는 보았다 (''imam'' - "to have")
  • * 불가리아어 - ''vidyal sum'' - 나는 보았다 (''sum'' - "to be")
  • 마케도니아어에는 세 가지 유형의 정관사가 있다(기본 정관사, 화자 근처의 명사, 화자로부터 먼 명사).
  • * дете (''dete'', '어린이')
  • * детето (''deteto'', '그 어린이')
  • * детево (''detevo'', '이 어린이 [내 근처]')
  • * детено (''deteno'', '저 어린이 [저기]')

4. 2. 서부 방언 내 분열

다음 표는 문법적 및 음운론적 혁신을 비교한 것이다. 카이카비아어와 슬로베니아어의 유사성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서부 남슬라브어 동어구조
슬로베니아어카이카비아어차카비아어슈토카비아어
강세 > 비최종 위치의 신강세대부분의 방언아니요아니요아니요
원시 슬라브어의 성조 소실일부 방언아니요아니요신슈토카비아어
u- > vu-일부 방언아니요아니요
ǫ > o아니요아니요
-ojo > -o (도구격 단수)아니요아니요
ć > č대부분의 방언아니요아니요
비원형 강세아니요아니요
호격 소실일부 방언아니요
종결 무성음화대부분의 방언아니요
đ > j아니요
žV > rV서부
종결 -m > -n일부 방언아니요아니요
ľ, ň > l, n대부분의 방언아니요아니요
jd, jt > đ, ć아니요아니요
ř > r아니요아니요
ə > a아니요아니요
čr > cr아니요아니요아니요
여격/처격/조격 복수 -ma/-u (이중격에서 유래)아니요아니요아니요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의 슈토카비아 방언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법을 가지고 있지만, 그 사용은 매우 다양하다. 세 언어 모두 비교적 굴절이 심하지만, 동쪽으로 갈수록 고립어 형식이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다. 말해지지 않더라도 적어도 문어에서는 그렇다. 아주 기본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크로아티아어 - ''hoću ići'' - "나는 가고 싶다"
  • 세르비아어 - ''hoću da idem'' - "나는 - 그것을 - 간다"


슬로베니아어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 대해 원시 슬라브어 이중수를 유지하고 있다(이는 3인칭에서 ''9개''의 인칭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 명사: ''volk'' (늑대) → ''volkova'' (두 늑대) → ''volkovi'' (몇몇 늑대)
  • 동사: ''hodim'' (나는 걷는다) → ''hodiva'' (우리 둘이 걷는다) → ''hodimo'' (우리가 걷는다)

4. 3. 동부 방언 내 분열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및 인접 국가(예: 우크라이나의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동남슬라브어군의 동부 그룹 방언들은 다른 슬라브어와 구별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11][12]

  • 정관사의 존재 (예: ''книга'', 책 – ''книга'''та''''', '''그''' 책)
  • 명사 격의 거의 완전한 부재
  • 부정사의 부재
  • 접두사 ''по-''로 형성된 형용사의 비교 형태 (예: ''добър, по-добър'' (불가리아어) – 좋다, 더 좋다)
  • 동사의 현재 형태 앞에 ''ще/ќе''가 붙어 형성되는 미래 시제
  • 추측법의 존재 (예: ''Той ме видял.'' (불가리아어) – 그는 나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Той ме видя.'' – 그는 나를 보았다와 비교)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는 발칸 반도의 다른 언어, 특히 그리스어알바니아어와 몇 가지 특이한 특징을 공유한다(발칸 언어 연합 참조).[11]

동남슬라브어군의 동부 방언(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은 서부 방언과 다음과 같은 면에서 가장 크게 다르다.

  • 동부 방언은 명사 격변화를 거의 완전히 상실하고 분석적 언어가 되었다.[19]
  • 동부 방언은 발칸 언어 연합의 다른 언어들과 유사한 정관사 접미사를 발달시켰다.[20]
  • 동부 방언은 부정사를 상실했다. 따라서 불가리아어의 1인칭 단수 또는 마케도니아어의 3인칭 단수가 동사 변형의 주요 부분이 되었다. 다른 언어에서 부정사를 필요로 하는 문장은 불가리아어에서 절을 통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искам да ходя (iskam da hodya)''는 "나는 가고 싶다" (직역하면 "나는 내가 가기를 원한다")이다.


이 세 가지 주요 영역 외에도 몇 가지 작고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 서부 방언은 단수와 복수 모두에서 3개의 성을 가지지만, 동부 방언은 단수에서만 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어 ''on'' (그), ''ona'' (그녀), ''ono'' (그것), ''oni'' (그들, 남성), ''one'' (그들, 여성), ''ona'' (그들, 중성)가 있는 반면, 불가리아어 ''te'' (그들)와 마케도니아어 тие (''tie'', '그들')는 전체 복수를 포괄한다.
  • 표준 문어 불가리아어는 슬라브어 ''"on-/ov-"''를 기본 형태로 사용하지 않고, ''toy, tya, to, te'' 및 ''tozi, tuk''와 같은 ''"to-/t-"'' 기반 대명사를 사용한다. 서부 불가리아어 방언과 마케도니아어는 "ov-/on-" 대명사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이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한다.
  • 세르보크로아트어의 모든 방언은 "어떤"의 개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어 ''neko'' "어떤 사람", ''niko'' "아무도 아님", ''iko'' "누구든지"가 있다. 다른 모든 방언은 마지막 단어를 갖지 않고, 대신 ''some-'' 또는 ''no-'' 구성을 사용한다.[21]
  • 마케도니아어에서 완료는 다른 발칸 언어(그리스어, 알바니아어, 영어 등)와 마찬가지로 동사 "to have"를 기반으로 하는 반면, 다른 모든 슬라브어에서는 조동사로 "to be"가 사용된다.(마케도니아어 동사 참조)
  • 마케도니아어 - ''imam videno'' - 나는 보았다 (''imam'' - "to have")
  • 불가리아어 - ''vidyal sum'' - 나는 보았다 (''sum'' - "to be")
  • 마케도니아어에는 세 가지 유형의 정관사가 있다(기본 정관사, 화자 근처의 명사, 화자로부터 먼 명사).
  • дете (''dete'', '어린이')
  • детето (''deteto'', '그 어린이')
  • детево (''detevo'', '이 어린이 [내 근처]')
  • детено (''deteno'', '저 어린이 [저기]')

5. 문자 체계

세르비아 서쪽의 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동쪽과 남쪽의 언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세르비아는 공식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가 동등하게 사용된다. 대부분의 신문은 키릴 문자로 작성되고 대부분의 잡지는 라틴 문자로 작성된다. 세르비아 작가가 쓴 책은 키릴 문자로 작성되고, 외국 작가의 번역서는 대부분 라틴 문자로 작성되지만, 러시아를 포함한 키릴 문자를 이미 사용하는 언어는 예외이다. 텔레비전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일부로 작성되는 문자는 일반적으로 키릴 문자로 표시되지만, 광고는 일반적으로 라틴 문자로 표시된다. 이러한 구분은 부분적으로 종교에 기반을 두고 있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는 동방 정교회 국가이고,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는 로마 가톨릭교회 국가이다.[22] 이슬람교 보스니아인이 사용하는 보스니아어도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글라골 문자도 중세 시대에 사용되었지만 (특히 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에서), 점차 사라졌다.

6. 남슬라브어가 공용어인 국가


7. 남슬라브인과 방언


  • 부녜바츠인 - 부녜바츠 방언|Bunjevac dialect영어
  • 쇼카츠인 - 쇼카츠어|Šokac speech영어
  • 바나트 불가리아인 - 바나트 불가리아어|Banat Bulgarian language영어
  • 고라인 - 고라어

참조

[1] 서적 Linguistic emblems and emblematic languages: on language as flag in the Balkans Ohio State University, Dept. of Slavic and East European Languages and Literatures
[2] 서적 In honor of diversity: the linguistic resources of the Balkans Ohio State University, Dept. of Slavic and East European Languages and Literatures
[3]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문서
[5] 문서
[6] 서적 When Languages Collide: Perspectives on Language Conflict, Language Competition, and Language Coexistenc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7] 문서
[8] 서적 Deutsche Beiträge zum 14. Internationalen Slavistenkongress, Ohrid, 2008 Otto Sagner
[9] 서적 Das Serbokroatische zwischen Linguistik und Politik: mit einer Bibliographie zum postjugoslavischen Sprachenstreit Lincom Europa
[10] 서적 Български диалектен атлас (Bulgarian dialect atlas)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11]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textbooks i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09-08-31
[12] 서적 Les Langues Slaves Mouton & Co - 's-Gravenhage
[13] 서적 Balkan Syntax and Semantic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4] 학술지 Glotonim "srbohrvaški jezik" glede na "srbski, hrvaški, bosanski, črnogorski" http://bib.irb.hr/da[...]
[15]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Structure and History of the Slovene Language Slavica
[17] 서적 Karta slovenskih narečij Geodetski zavod SRS
[18]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Bulgarian grammar#Case remnants
[20] 문서 Macedonian Demonstratives
[21] 문서 Bulgarian Indefinite Pronouns
[22] 문서 Slavic Alphabet Us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