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시 (도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시는 부싯돌과 강철을 이용하여 불을 피우는 도구이다. 철기 시대부터 1800년대 초 성냥이 발명되기 전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강철을 쳐서 발생하는 불꽃으로 부싯깃에 불을 붙이는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캠핑이나 생존 기술의 하나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화 - 성냥
    성냥은 마찰 등의 방법으로 불을 얻는 작은 막대기로, 다양한 종류와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는 안전 성냥이 주로 사용되지만, 특수 성냥이나 파이어 스타터 등도 사용되며 성냥갑 수집과 같은 취미 문화도 존재한다.
  • 점화 - 부싯돌
    부싯돌은 퇴적암 지층에서 생성되는 이산화규소 성분의 단단한 암석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도구 제작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 강철 - 깡통
    깡통은 피터 듀란드가 특허를 받은 금속 용기로, 초기에는 납 중독 위험이 있었으나 강철 사용과 위생적인 디자인 발전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내용물을 담는 데 널리 사용되지만, 유해 물질 및 폐기물 관련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 강철 -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을 10.5% 이상 첨가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합금으로, 다양한 종류와 뛰어난 내식성, 강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100% 재활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소재이다.
  • 문장학의 도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문장학의 도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부시 (도구)
부싯돌쇠
부싯돌쇠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사용된 부싯돌쇠
종류도구
용도불을 피우는 데 사용
관련 항목부싯돌, 약모
설명
재료탄소강
작동 방식탄소강 조각을 날카로운 부싯돌 모서리에 빠르게 부딪히게 함
생성된 스파크를 약모 또는 다른 가연성 물질 더미로 향하게 함
불씨를 일으켜 불을 붙임
역사적 맥락철기 시대부터 사용됨
현대의 페로세륨 "부싯돌" 점화기가 등장하기 전까지 불을 피우는 일반적인 방법이었음
현대적 용도부시크래프트
서바이벌 기술
재현사
전통 기술 시연에 사용됨
추가 정보
참고일부에서 "파이어 스틸"로 지칭되지만, 이 용어는 부정확함.
"스틸"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합금을 포함하지만, 부싯돌쇠는 특별히 탄소강으로 만들어짐.
부시 (도구)
수확용 부시
수확용 부시
종류도구
용도초목을 자르거나 덤불을 정리하는 데 사용됨
관련 항목
빌훅
파체트
설명
형태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공됨
일반적으로 강철 날과 손잡이로 구성됨
사용법한 손으로 휘둘러 초목을 베거나 자름
참고지역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이름으로 알려져 있음

2. 역사

철기 시대부터 1800년대 초 존 워커가 마찰 성냥을 발명하기 전까지, 부싯돌강철을 사용하는 것이 흔한 불 피우기 방법이었다. 타악기 불 붙이기는 고대, 중세 시대 및 바이킹 시대 동안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3][6] 강철이 등장하기 전에는 다양한 철 황화물 또는 마카사이트를 부싯돌 및 기타 돌과 함께 사용하여 고온의 불꽃을 생성, 불을 만들 수 있었다.[4] 외치로 알려진 아이스맨이 불을 만드는 데 철 황화물을 사용했을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5]

티베트몽골에서는 부싯돌과 강철을 chuckmuck이라고 불리는 가죽 주머니에 넣어서 다녔다.

일본에서는 마노나 석영을 사용하여 타악기 불 붙이기를 수행했다. 또한 행운을 가져오거나 악을 물리치는 의식으로도 사용되었다.[7][8] 닌자들은 우치타케(打竹)를 사용했다.[9][10][11]

2. 1. 고대

철기 시대 이전에는 철 황화물이나 마카사이트를 부싯돌과 함께 사용하여 불을 피웠다.[4] 외치로 알려진 아이스맨도 철 황화물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5]

2. 2. 중세 및 바이킹 시대

철기 시대부터 1800년대 초 존 워커가 마찰 성냥을 발명하기 전까지, 부싯돌과 강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불 피우는 방법이었다. 타악기 불 붙이기는 중세 시대 및 바이킹 시대 동안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3][6] 강철이 등장하기 전에는 다양한 철 황화물 또는 마카사이트를 부싯돌 및 기타 돌과 함께 사용하여 고온의 불꽃을 생성, 불을 만들 수 있었다.[4] 외치로 알려진 아이스맨이 불을 만드는 데 철 황화물을 사용했을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5]

2. 3. 근대

1800년대 초 존 워커가 마찰 성냥을 발명하기 전까지, 부싯돌강철을 사용하는 것이 흔한 불 붙이기 방법이었다. 타악기 불 붙이기는 고대, 중세 시대 및 바이킹 시대 동안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3][6] 강철이 등장하기 전에는 다양한 철 황화물 또는 마카사이트를 부싯돌 및 기타 돌과 함께 사용하여 고온의 불꽃을 생성, 불을 만들 수 있었다.[4] 외치로 알려진 아이스맨이 불을 만드는 데 철 황화물을 사용했을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5]

2. 4. 한국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부싯돌과 부시(강철)를 사용한 불 피우기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3][6] 조선시대에는 휴대용 부싯돌 세트인 '서화통'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임진왜란 때 중요한 군수품 중 하나였다.

3. 작동 원리

3. 1. 마찰열 발생

3. 2. 금속 입자 산화

3. 3. 부싯깃 점화

4. 사용 방법

먼저 부싯돌, 강철, 부싯깃을 준비한다.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강철을 대고 빠르게 긁어 불꽃을 튀긴다. 이때 사용되는 강철은 고탄소강이 불꽃을 쉽게 발생시키기 때문에 좋다.[12] 합금은 불꽃 발생량이 적다.[12] 튀긴 불꽃을 부싯깃에 옮겨붙여 불씨를 만든다. 숯 천이나 아마두는 저온 불꽃을 포착하는데 유용하다. 마지막으로 불씨를 키워 불을 피운다. 부싯돌 외에도 사암, 석영, 마노, 벽옥 또는 옥수와 같이 날카로운 모서리를 낼 수 있는 단단한 암석을 사용할 수 있다.[2]

1916년 스웨덴 달라나에서 사용된 부싯돌과 부싯깃.

4. 1. 도구



사용되는 강철의 종류와 경도는 중요하다. 고탄소강(1060, W1, 공구강 등)은 쉽게 불꽃을 발생시킨다.[12] 합금(예: 스테인리스강, 5160 등)은 더 어렵고 불꽃 발생량이 적다.[12] 강철은 경화되어야 하지만 불꽃을 튀기는 부싯돌과 같은 재료보다 부드러워야 한다.[12] 오래된 줄, 잎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녹슨 정원 도구는 종종 부싯돌로 재사용된다.

부싯돌 외에도 날카로운 모서리를 낼 수 있는 다른 단단하고 다공성이 없는 암석, 예를 들어 사암, 석영, 마노, 벽옥 또는 옥수를 사용할 수 있다.[2]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는 금속의 작은 입자를 떼어내거나 깎아내기 위해 예각으로 부싯돌을 격렬하게 쳐서 사용된다. 강철의 발화성으로 인해 깎여나간 쇳조각이 공기 중에서 산화된다. 용융된 산화 불꽃은 솜털을 점화시킨다. 솜털은 강철 부싯돌을 부싯돌에 빠르게 밀어 넣으면서 부싯돌 옆에 두는 것이 가장 좋으며, 솜털에 불꽃을 튀긴다. 숯 천 또는 아마두("솜털 곰팡이")는 종종 저온 불꽃을 포착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다른, 더 굵은 솜털에 가져와 불을 지필 수 있다.

4. 2. 보관

5. 현대의 사용

현대에는 캠핑, 부시크래프트 등 야외 활동에서 생존 기술의 하나로 부시가 활용된다.[2] 라이터나 성냥이 없을 때 비상용 불 피우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강철의 종류와 경도는 중요한데, 고탄소강이 불꽃을 쉽게 발생시킨다.[12] 합금은 불꽃 발생량이 적다.[12] 부싯돌 외에도 사암, 석영, 마노 등 날카로운 모서리를 낼 수 있는 암석을 사용할 수 있다.[2]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금속 입자를 떼어내면, 발화성으로 인해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불꽃이 발생한다. 이 불꽃으로 숯 천이나 아마두 등에 불을 붙일 수 있다.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Traditional Firestarting Part I: How to Make Fire with Flint and Steel http://www.artofmanl[...] Art of Manliness 2015-07-27
[2] 웹사이트 Do you have 5 Ways to Make Fire? http://survivalcache[...] 2015-07-27
[3] 웹사이트 Fire from Steel - Custom forged fire steels from Roman through Fur Trade time periods https://www.angelfir[...] Angelfire.com 2013-07-21
[4] 웹사이트 Flint and Marcasite Fire Making http://www.primitive[...]
[5] 웹사이트 Ötzi, l'Uomo venuto dal ghiaccio http://www.iceman.it[...] 2014-01-18
[6] 웹사이트 Viking Answer Lady Webpage - Viking Age Fire-Steels and Strike-A-Lights http://www.vikingans[...] Vikinganswerlady.com 2013-07-21
[7] 웹사이트 Do-it-yourself kiribi https://alicegordenk[...] 2010-12-23
[8] 웹사이트 Kiribi http://www.japantime[...] 2010-12-16
[9] 웹사이트 https://www.insideni[...]
[10] 웹사이트 https://www.pathfind[...]
[11] 웹사이트 https://medium.com/c[...]
[12] 웹사이트 Materials and Heat Treatment for Fire Strikers https://www.spa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