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재자 투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재자 투표는 선거일에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없는 유권자를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우편 투표, 대리 투표, 인터넷 투표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각 국가별로 제도가 상이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사전 투표 제도가 도입되면서 우편 투표와 선상 투표가 주로 활용되며, 일본에서는 선거관리위원회 외 장소나 병원, 시설 등에서 투표가 가능하다. 부재자 투표는 투표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투표 과정에서의 오류나 부정행위 발생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외선거 - 대한민국의 재외국민 선거권
대한민국의 재외국민 선거권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재외국민에게 선거 참여 권리를 주는 제도로, 1966년 처음 실시 후 폐지되었으나 헌법재판소 판결로 재외국민 선거권 보장이 확대되어 2012년부터 재외선거가 시행되었다. - 투표 - 투표율
투표율은 특정 지역의 투표 참여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민주주의의 중요한 요소이며, 조직표, 부동표,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투표 - 분리투표
분리투표는 여러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서로 다른 정당의 후보를 선택하는 현상으로, 정치적 양극화 심화와 함께 주목받으며, 권력 견제와 균형을 위한 전략적 투표 행위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선거 결과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부재자 투표 | |
---|---|
부재자 투표 | |
개요 | |
설명 | 지정된 투표소 이외의 장소에서 투표하는 방식 |
유형 | 사전 투표 우편 투표 |
미국에서의 부재자 투표 | |
관련 법규 | 주별로 상이 |
방법 |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요청하고 우편으로 받음 투표를 완료한 후 우편으로 반송 |
유권자 유형 | 여행 중인 유권자 해외 거주 유권자 군 복무 중인 유권자 |
부정행위 위험 | 부재자 및 우편 투표 시 부정행위 위험 증가 |
각국의 부재자 투표 제도 | |
대한민국 | 선거일 전에 투표하는 제도 (사전투표 제도) 지정된 장소에서 우편으로 투표하는 제도 (거소투표 제도) |
일본 | 선거일 전에 투표하는 제도 (기일전 투표 제도) 지정된 장소에서 투표하는 제도 (부재자 투표 제도)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선거 투표 기일전 투표 제도 사전투표 제도 |
2. 부재자 투표 방법
부재자 투표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에 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2013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부재자 투표 제도가 사전 투표 제도로 변경되어 폐지되었다. 다만, 사전 투표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우편을 통한 거소 투표, 선상 투표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우편투표법에 의한 부재자 투표의 일종이다.
투표용지는 내봉투에 넣고, 그 내봉투를 다시 외봉투에 넣어 자필 서명을 해야 한다.[94] 선거일에 만 18세가 된다면, 부재자투표를 하려는 날 17세라도 투표할 수 있다. 부재자투표된 봉투는 투표구의 투표소로 보내지며, 선거일에 투표 참관인의 의견을 듣고 선거권이 확인되면 봉투에서 투표용지를 꺼내거나 팩스로 보내진 경우 스티커를 제거하여 투표관리자가 투표함에 넣는다.
부재자 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가능하며, 여행 중에도 투표할 수 있다.[96] 단, 미리 등록지 선거관리위원회에 투표용지 등을 우편으로 신청해야 한다. 투표 후에는 투표한 곳의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주민등록지 선거관리위원회로 투표용지가 우편 발송되어 투표일 당일에 투표소로 보내진다.
병원, 요양원[97] 등 선거관리위원회가 지정한 시설이나 미결 구류 중인 피의자 또는 피고인 등은 병원장이나 형사시설의 장을 통해 부재자투표가 가능하다. 선원은 지정항이나 선박 내에서 투표할 수 있다.
신체장애인, 전상병자, 요양이 필요한 자 중 장애가 심해 투표소에 오기 어려운 사람은 미리 선거관리위원회에 신청하여 우편 투표를 할 수 있다. 해외 파견 자위대 등, 해상 투표, 남극 관측대 등은 해외나 팩스를 이용한 부재자투표가 가능하다.[98]
2. 1. 투표소 투표
일부 국가에서는 유권자가 선거일에 다른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한다. 유권자를 특정 투표소에 배정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물류상의 이유 때문이다. 다른 투표소에서의 부재자 투표는 예를 들어 일부 대규모 투표소를 부재자 투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정하고 그러한 투표소에 부재자 투표에 적용 가능한 투표용지(또는 투표용지를 생산할 수단)를 갖추는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2. 2. 우편 투표
우편 투표는 투표 용지를 유권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하여 투표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유권자가 요청해야 투표 용지가 발송된다. 유권자는 투표 용지에 기입한 후 다시 보내야 하며, 유권자의 서명과 때로는 증인의 서명이 필요하다.[4] 그러나 서명 확인 작업은 완벽하지 않아, 최고 수준의 학계 연구자들도 10~14%의 오류율을 보인다.[5] 일부 지역에서는 위조 투표 용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 용지, 투표 추적, 특수 인쇄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6][7]2. 2. 1. 전면 우편 투표
전면우편투표(All-postal voting)는 모든 유권자가 부재자 투표 신청 여부와 관계없이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받는 방식의 우편투표이다. 유권자는 시스템에 따라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반환하거나, 지정된 장소에 직접 제출할 수도 있다.이 방법은 직접 투표하거나 우편투표를 신청해야 하는 경우보다 투표율이 더 높다는 증거가 있다.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이것이 일시적인 영향일 뿐이며, 다른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사용하는 위험이 있다고 주장한다.
영국에서는 많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에서 이 방식이 시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004년에는 영국 4개 지역의 유럽 의회 및 지방자치단체 선거에 적용되었다. 2016년에는 호주 결혼 법 우편 설문조사(Australian Marriage Law Postal Survey)가 전면우편투표 방식으로 실시되어 79.5%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2. 3. 대리 투표
대리 투표를 하려면, 사용자는 자신을 대신하여 투표하거나 투표를 확보하도록 다른 사람을 대리인으로 지정하여 위임해야 한다. 비밀 투표에서는 대리인이 올바른 후보에게 투표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투표자는 대리인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이 선택한 정당의 관계자를 대리인으로 지명하는 경우가 많다.2. 4. 인터넷 투표
보안 전문가들은 온라인 투표를 시도할 때마다 모든 경우에 보안 문제를 발견했다.[8][9][10][11] 여기에는 오스트레일리아,[12] 에스토니아,[13][14] 스위스,[15] 러시아,[16][17][18] 및 미국의 시스템도 포함된다.[19][8]온라인 투표는 주주 투표를 위해 사적으로 널리 사용된다.[20][21] 선거 관리 회사는 정확성이나 개인 정보 보호를 약속하지 않는다.[22][23][24] 실제로 한 회사는 연구를 위해,[25] 그리고 광고를 타겟팅하기 위해 개인의 과거 투표 기록을 사용한다.[26]
3. 국가별 부재자 투표 제도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공화국, 이스라엘, 이탈리아, 말레이시아, 멕시코, 네덜란드, 필리핀, 폴란드, 스페인, 스위스, 태국, 영국, 미국, 우루과이,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재자 투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 2012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2013년부터 기존 부재자 투표 제도가 사전 투표 제도로 변경되었다. 다만, 사전 투표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우편을 통한 거소 투표, 선상 투표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우편 투표와 사전 투표 제도를 운영한다. 우편 투표는 1902년 연방 선거를 위해 도입되었으며, 여러 차례 수정 및 보완을 거쳤다.
- '''캐나다''': 1917년 연방 ''군인 투표법(Military Voters Act)''에 따라 군인과 그 배우자에게 처음으로 부재자 투표 권리가 부여되었으며, 이후 공무원, 캐나다군 기지 민간 지원 인력 등으로 확대되었다. 1993년부터는 모든 캐나다 시민에게 우편을 통한 특별 투표가 허용되었다.
- '''에스토니아''': 2005년부터 인터넷 투표를 허용하고 있다. 2019년에는 유권자의 44%가 인터넷 투표를 이용했다. 에스토니아 인터넷 투표 시스템은 각 유권자에게 고유한 PIN이 연결된 에스토니아 국가 신분증을 사용한다.
- '''핀란드''': 2019년에 우편투표를 도입했지만, 해외에 영구 거주하거나 선거 당시에 해외에 체류하는 유권자에게만 허용된다.
- '''프랑스''': "위임 투표"(procuration)를 허용하며, 이는 대리 투표를 의미한다. 2012년 프랑스 총선에서는 해외 거주 프랑스 시민들에게 전자투표를 허용했지만, 2017년에 사이버 공격 위험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 '''독일''': 1957년부터 부재자 투표가 시행되었으며, 처음에는 고령자, 환자, 장애인, 해외 거주 독일 시민들을 위해 도입되었다. 2008년부터는 모든 사람이 우편 투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헝가리''': 해외 거주 중이며 헝가리에 공식 주소가 없는 헝가리 시민에게 우편 투표를 허용한다. 이들은 지역 대표가 아닌 정당 명부에만 투표할 수 있다.
- '''인도''': 선거 감시원, 군인과 주 경찰 및 그 배우자, 해외에 공식적으로 파견된 인도 정부 직원, 대통령 등 특정 부류의 사람들에게 우편 투표를 허용한다. 인도 선거위원회의 전자 전송 우편 투표 용지(ETPB) 시스템을 통해 우편 투표가 이루어진다.
- '''인도네시아''': 해외 거주 자격을 갖춘 인도네시아 국민은 거주 국가의 인도네시아 해외 선거위원회에 등록하여 우편으로 국가 선거에 투표할 수 있다.
- '''아일랜드 공화국''': 상원(Seanad Éireann) 선거에서 대학교 선거구와 직업 패널에 대해 우편 투표가 사용된다. 그 외에는 제한된 상황에서만 우편 투표가 가능하다.
- '''이스라엘''': 군인, 수감자, 선원, 해외 주재 외교관, 장애인, 입원 환자에게만 부재자 투표를 허용한다.
- '''이탈리아''': 2001년부터 해외에 거주하는 이탈리아 시민들은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모든 국가 선거와 국민투표에서 우편 투표를 할 권리가 있다.
- '''말레이시아''': 선거구를 벗어나 근무하는 교사, 군인, 경찰만 우편투표를 할 수 있다.
- '''멕시코''': 2006년 연방 선거부터 해외 거주자를 위한 우편 투표가 허용되었다.
- '''네덜란드''': 자유로운 대리 투표가 가능하다. 우편 투표와 인터넷 투표는 해외에 거주하거나 선거일에 해외에서 근무하는 네덜란드 국민에게만 허용된다.
- '''필리핀''': 재외국민투표법에 따라, 재외 필리핀 근로자나 다른 이민자처럼 특정한 상황에만 부재자 투표가 허용된다.
- '''폴란드''': 지역 유권자 명부에 등록된 모든 시민이 '부재자 투표 증명서'(AVC)를 발급받아 국내 모든 투표소와 해외(폴란드 대사관 및 영사관)에서 투표할 수 있다. 우편 투표와 대리 투표도 가능하다.
- '''스페인''': 선거일에 거주지가 아닌 곳에 있거나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유권자는 우체국에서 우편 투표를 신청할 수 있다.
- '''스위스''': 모든 연방 선거 및 국민투표에서 우편투표를 허용하며, 모든 주(州)도 주 차원의 투표 문제에 대해 우편투표를 허용한다.
- '''태국''': 2000년 총선거에서 처음으로 부재자 투표가 실시되었다. 선거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지만 선거일에 선거구에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선거일 90일 전부터 선거구가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선거일에 선거구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 부재자 투표를 할 수 있다.
- '''영국''': 모든 선거인에게 대리 투표 또는 우편 투표(요청 시 우편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북아일랜드를 제외하고는 우편 투표를 신청할 때 특별한 이유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
- '''미국''': 유권자가 조기 투표를 하거나 우편 투표용지를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특별한 사유가 필요하지 않다. 5개 주와 일부 카운티에서는 모든 선거가 우편 투표로 진행된다.
- '''우루과이''': 우편 투표, 온라인 투표, 대리 투표를 시행하지 않는다. 모든 시민은 18세가 되면 법에 따라 유권자로 등록해야 하며, 사진이 포함된 유권자 신분증("Credencial Cívica")을 발급받는다.
- '''러시아''': 부재자 투표가 투표 감시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16][17][18]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기존의 부재자 투표 제도가 2012년에 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2013년 1월 1일부터 사전 투표 제도로 변경되어 폐지되었다.다만, 사전 투표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우편을 통한 거소 투표, 선상 투표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두 제도는 우편투표법에 의한 부재자 투표의 일종이다. 이 중 거소 투표는 대리투표로 인한 부정선거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103]
3.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우편 투표와 사전 투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편 투표는 1902년 연방 선거를 위해 도입되어 1903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피셔 정부는 우편 투표가 남용되고 농촌 유권자에게 편향되어 있다는 주장에 따라 1910년에 이를 폐지했다. 쿡 정부의 우편 투표 부활 법안은 1914년 선거 이전의 중의원 해산의 "촉매" 중 하나였다. 우편 투표는 휴즈 정부에 의해 1918년에 부활되었고 그 이후로는 폐지되지 않았지만, 조항과 요건은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29]1901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이전에 서호주 식민지는 1877년 엄격한 자격 기준을 가진 우편 투표 형태를 도입했다. 남호주 식민지는 1890년 선원들을 위한 우편 투표를 도입했고,[30] 1896년 추가 법률에 따라 투표일에 집에서 약 24.14km 이상 떨어져 있는 모든 유권자와 "건강상의 이유"로 여행할 수 없는 모든 여성에게 우편 투표가 허용되었다. 빅토리아 식민지는 1899년에 유사한 법률을 통과시켰고, 최초의 연방 우편 투표 법률 또한 1896년 남호주 법률을 모델로 했다.[29]
연방 차원의 우편 투표는 「1918년 연방 선거법(Commonwealth Electoral Act 1918)」에 따라 규정되며, 호주 선거 위원회(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AEC)에서 관리한다. 우편 투표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 제공된다.[31]
- 여행으로 인해 자신의 선거구에 부재중인 사람
- 질병, 질환, "출산 임박"
- 돌봄 책임
- 안전에 대한 합리적인 우려
- 종교적 신념
- 수감
- 익명 유권자 지위
- 고용 사유로 인해 투표소에 참석할 수 없는 사람
자격을 갖춘 유권자는 각 선거 전에 우편 투표 신청(PVA)을 하거나 "일반 우편 투표자" 지위를 신청하여 자동으로 우편 투표용지를 받을 수 있다. 우편 투표자는 자신의 이름과 주소가 기재된 우편료가 지불된 봉투와 PVA에서 제공받은 미리 정해진 보안 질문이 포함된 투표용지를 받는다. 유권자는 봉투에 서명하고 보안 질문에 정확하게 답해야 한다. 또한 증인의 서명과 날짜를 봉투에 기재해야 한다.[32] 2016년 기준으로 우편 투표는 선거일 이후 최대 13일까지 접수되어 개표에 포함될 수 있었다. 2016년 선거 이후 우편 투표에 적용되는 엄격한 조사 절차가 접전 지역 선거 결과 발표 지연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 관찰되었다.[16]
3. 3. 캐나다
현장 투표가 불가능한 경우 투표할 수 있는 권리는 1917년 연방 ''군인 투표법(Military Voters Act)''에 따라 처음으로 도입되어 모든 캐나다 군인과 그 배우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 공무원은 1970년에 자격을 얻었으며, 1977년에는 캐나다군 기지의 민간 지원 인력으로 그 권리가 더욱 확대되었다. 1993년, 법안 C-114는 우편을 통한 특별 투표(특별 투표 규정)를 모든 캐나다 시민에게 확대했다.[34]우편 투표를 포함한 특별 투표 규정의 사용은 선거가 있을 때마다 증가했다. 제42차 총선거(2015년)에서 투표자 수는 이전 선거보다 117% 증가하여 약 61만 9000명에 달했다.[35] 이 수치는 제43차 선거(2019년)에서 약 66만 명으로 증가하여 선거인의 3.6%를 차지했다.[36]
3. 4. 에스토니아
2005년부터 에스토니아는 유권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투표할 수 있도록 허용해왔다.[37] 초기에는 에스토니아 유권자의 2%가 인터넷을 통해 투표했고, 2019년에는 44%가 인터넷 투표를 이용했다.[37] 에스토니아 인터넷 투표 시스템은 각 유권자에게 고유한 PIN이 연결된 에스토니아 국가 신분증을 사용한다. "모든 에스토니아인에게는 스캔 가능한 칩과 고유한 온라인 신원을 제공하는 PIN 번호가 포함된 정부 발행 신분증이 발급되며, 이 신원을 사용하여 세금을 신고하거나 도서관 벌금을 지불하거나 버스 카드를 구입할 수 있다."[38]에스토니아 인터넷 투표 시스템의 보안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3. 5. 핀란드
핀란드는 2019년에 우편투표를 도입했지만, 해외에 영구 거주하거나 선거 당시에 해외에 체류하는 유권자에게만 허용되었다. 핀란드에 거주하는 유권자는 우편투표를 이용할 수 없다.[39]3. 6. 프랑스
프랑스는 "위임 투표"(procuration)를 허용하는데, 이는 말 그대로 대리 투표를 의미한다.[40]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하여 위임 투표 접근이 용이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41]2012년 프랑스 총선에서 해외 거주 프랑스 시민들은 의회 선거에서 전자투표를 허용받았지만(대통령 선거는 제외), 2017년 프랑스 국가정보보안청이 2016년 미국 대선 러시아 개입 이후 사이버 공격의 "매우 높은 위험성"을 평가하면서 해당 시스템이 폐지되었다.[42]
3. 7. 독일
독일에서는 1957년부터 부재자 투표가 시행되어 왔다. 당초에는 특히 고령자, 환자, 장애인, 그리고 해외 거주 독일 시민들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43] 처음에는 우편 투표를 하는 유권자들이 선거일에 직접 투표할 수 없는 이유를 밝혀야 했지만, 2008년에 이 요건이 삭제되어 모든 사람이 우편 투표를 할 수 있게 되었다.[43] 다른 많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거주하는 젊은층과 장애가 없는 시민들 사이에서도 우편 투표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43] 따라서 국내외 시민들이 우편 투표를 더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43]3. 8. 헝가리
헝가리에서는 해외 거주 중이며 헝가리에 공식 주소가 없는 헝가리 시민에게 우편 투표를 허용한다.[44] 이들은 지역 대표가 아닌 정당 명부에만 투표할 수 있다.[45] 2018년 헝가리 국회의원 선거에서 총 투표수의 4.6%인 267,233표가 우편으로 제출되었다. 이 중 48%는 루마니아 거주 헝가리인들이 제출한 것이다.[46][47]3. 9. 인도
특정 부류의 사람들만 우편 투표를 신청할 수 있다. 인도 선거법(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1950[48](RPA) 20조 8항은 선거 감시원, 군인과 주 경찰 및 그 배우자, 해외에 공식적으로 파견된 인도 정부 직원, 대통령에게 우편 투표를 허용한다. 이들은 또한 '선거 공무원 유권자'(service voters)라고 불린다.[49][50][51] 게다가, 예방적 구금 상태에 있는 사람, 장애인, 65세 이상의 사람들은 우편 투표를 사용할 수 있다. 수감자는 투표할 수 없다.[52][53][54]인도의 우편 투표는 인도 선거위원회의 전자 전송 우편 투표 용지(ETPB) 시스템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이 시스템에서는 등록된 유권자들에게 투표 용지가 배포되고, 유권자들은 우편으로 투표 결과를 보낸다. 개표가 시작되면 다른 유권자들의 전자 투표기 투표 결과 집계 전에 이러한 우편 투표부터 먼저 집계된다.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는 우편 투표가 "다수 유권자의 검증 가능성에 악영향을 미쳐 투표 과정의 투명성과 무결성을 해칠 것"이라고 주장하며 우편 투표의 "조작 및 부정 행위 사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55][56][57]
3. 10. 인도네시아

해외 거주 자격을 갖춘 인도네시아 국민은 거주 국가의 인도네시아 해외 선거위원회에 등록하여 우편으로 국가 선거에 투표할 수 있다. 대통령 선거 외에도 인민대표회의 (DPR) 선거에도 투표할 수 있다. 모든 해외 인도네시아 유권자는 중앙 자카르타와 남부 자카르타를 포함하는 자카르타 제2 선거구에 포함된다.[62]
3. 11.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상원(Seanad Éireann) 선거에서 대학교 선거구와 직업 패널에 대해 우편 투표가 사용된다. 이 두 선거구는 모두 제한된 선거권을 갖고 있다. 그 외에는 제한된 상황에서만 우편 투표가 가능하다. 아일랜드 헌법은 비밀 투표를 요구하며, 법원은 이를 매우 좁게 해석해 왔다. 직업 때문에 정상적으로 투표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우편 투표가 허용된다.[4] 또한 집을 떠나 있는 학생, 장애인, 수감자(2007년 1월부터), 그리고 병원, 요양원 및 기타 유사 시설의 장기 거주자에게도 우편 투표가 허용된다.3. 12.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모든 시민에게 부재자 투표를 허용하지 않는다. 부재자 투표는 군인, 수감자, 선원, 해외 주재 외교관, 장애인, 입원 환자에게만 허용된다.[4] 투표는 투표자의 신원 정보가 기재된 이중 봉투에 넣어 진행되며, 투표자가 공식 투표소에서 투표하지 않았음을 확인한 후 선거위원회에서 개표한다. 대부분의 부재자 투표는 선거 당일 다른 투표소에서 이루어진다. 사전 투표는 해외 공무원으로 제한되며, 우편 투표는 허용되지 않는다.3. 13. 이탈리아
2001년부터 해외에 거주하는 이탈리아 시민들은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모든 국가 선거와 국민투표에서 우편 투표를 할 권리가 있다(단, 해당 영사관에 해외 거주지를 등록한 경우).[4]
3. 14.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야당 지도자이자 전 부총리인 안와르 이브라힘이 여당인 국민전선(Barisan Nasional) 연합이 특정 선거구에서 의석을 확보하는 데 우편투표를 이용했다고 주장했다.[63] 그는 또한 세티아왕사 선거구에서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 당시 자신의 당인 인민정의당(Parti Keadilan Rakyat)이 실제로 승리했으나, 1만 4천 표의 우편투표가 집계되면서 현직 국민전선 의원이 8천 표 차이로 승리했다고 주장했다.[64] 말레이시아에서는 선거구를 벗어나 근무하는 교사, 군인, 경찰만 우편투표를 할 수 있다.3. 15. 멕시코
멕시코에서는 2006년 연방 선거부터 해외 거주자를 위한 우편 투표가 허용되었다.[4] 국가선거위원회에 신청하면 위원회에서 해외로 투표 용지를 보낸다.3. 16.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자유로운 대리 투표가 가능하다. 유권자는 등록 절차 없이 다른 사람에게 투표를 위임할 수 있으며, 자신의 투표와 함께 최대 2표까지 대리 투표를 할 수 있다. 우편 투표와 인터넷 투표는 해외에 거주하거나 선거일에 해외에서 근무하는 네덜란드 국민에게만 허용된다.[65]2007년 네덜란드에서는 전자 투표가 금지되었고, 2017년에는 외국 세력의 선거 개입을 막기 위해 전자 개표도 중단하고 모든 투표를 종이로 수동 집계하였다.[66]
3. 17. 필리핀
재외국민투표법에 따라, 필리핀 선거에서 부재자 투표는 재외 필리핀 근로자나 다른 이민자처럼 특정한 상황에만 허용된다.[67] 투표는 영사관 사무소와 같은 특정 투표소에서 직접 해야 하며, 일부 국가의 필리핀인에게는 우편투표가 허용된다. 공화국 법률 제7166호와 행정 명령 제157호에 따라 지역 부재자 투표는 선거일에 근무하는 필리핀군, 필리핀국립경찰, 그리고 정부 직원에게만 허용된다.[67] 해외 및 지역 부재자 투표는 모두 수동 개표 방식을 사용한다.최근 홍콩과 싱가포르에서는 COMELEC 결의안 제8806호에 따라 2010년 총선에서 광학식 투표가 실시되었다.[68]
부재자 투표는 대통령, 부통령, 상원 의원, 정당 명부 대표와 같이 전체 유권자가 선출하는 후보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3. 18. 폴란드
폴란드에서는 지역 유권자 명부에 등록된 모든 시민이 개인 정보와 지방 정부의 도장이 찍힌 '부재자 투표 증명서'(AVC)를 발급받을 수 있다.[4] 이 증명서를 사용하면 국내 모든 투표소와 해외(폴란드 대사관 및 영사관; 해외 투표소는 매 선거 전 외무부 장관이 설치)에서 투표할 수 있다. AVC는 폴란드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유럽 의회 선거에만 발급된다. EU 시민의 경우 폴란드 내 투표소, 폴란드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서 폴란드 국회의원이나 자국 국회의원을 위해 투표할 수 있다. 단, EU 시민이 폴란드 유권자 명부에 등록하면 지역 공무원이 자국 해당 기관에 통보한다. 상원 보궐선거의 경우 AVC는 해당 단일 선거구에 거주하고 등록된 유권자에게만 발급될 수 있다.우편 투표와 대리 투표도 가능하다. 우편 투표는 국내외 모두 가능하지만 대리 투표는 폴란드 내에서만 가능하다. 대리인은 유권자와 동일한 지역 유권자 명부에 등록되어야 한다. 폴란드에서는 우편 투표 시 유권자 투표용지 우편 발송이 무료이지만, 해외 거주 유권자는 해당 영사관에 투표용지를 보내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3. 19. 스페인
스페인에서는 유럽, 지역 및 지방 선거의 경우, 선거일에 거주지가 아닌 곳에 있거나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유권자는 우체국에서 우편 투표를 신청할 수 있다.[4] 신청은 본인이 직접 하거나, 질병이나 장애의 경우 의사의 진단서를 통해 대리인을 통해 할 수 있다.3. 20. 스위스
스위스 연방법은 모든 연방 선거 및 국민투표에서 우편투표를 허용하며, 모든 주(州)도 주 차원의 투표 문제에 대해 우편투표를 허용한다.[69] 모든 유권자는 우편으로 개인 투표용지를 받으며, 투표소에서 투표하거나 우편으로 반송할 수 있다. 2019년 기준으로 스위스 유권자의 약 90%가 원격 우편 투표를 이용하여 투표했다.[70]3. 21. 태국
태국에서 부재자 투표가 처음으로 실시된 것은 2000년 총선거였다. 이는 1997년 헌법의 조항에 따라 공포되었다. 부재자 투표는 태국 내와 태국이 외교 공관을 설치한 외국에서 할 수 있다. 유권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에 부재자 투표를 할 수 있다.[72][73]# 선거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지만 선거일에 선거구에 있지 않아 사전 투표를 원하는 경우
# 선거일 90일 전부터 선거구가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선거일에 선거구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
두 경우 모두 부재자 투표를 원하는 유권자는 총선거일 30일 전에 선거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태국 내 유권자는 해당 도의 부재자 투표 지정 구청에서 투표하거나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외 유권자는 거주 국가의 태국 공관에 투표 등록을 하거나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보낼 수 있다. 부재자 투표일은 일반적으로 총선거일 1주일 전으로 지정된다.[72][73]
3. 22. 영국
영국에서는 모든 선거인에게 대리 투표 또는 우편 투표(요청 시 우편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북아일랜드를 제외하고는 우편 투표를 신청할 때 특별한 이유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74] 북아일랜드에서는 고용, 장애 또는 교육 등의 이유로 투표일에 투표소에 가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만 우편 투표가 허용된다.대리 투표는 부재, 직무 또는 질병으로 인해 투표소에 갈 수 없는 사람들에게 허용된다.[75] 선거에서 투표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가까운 친척과 관계없는 두 사람을 대신하여 투표할 수 있다.[76]
2003년 5월, 35개 지방 당국이 모든 유권자에게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보내는 전면 우편 투표 방식을 시범적으로 운영했다. 영국 선거관리위원회는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영국 지방 선거에서 전면 우편 투표를 표준 투표 방식으로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 이는 유권자 투표율을 높이고(일부 지역에서는 투표율이 두 배로 증가), 선거 부정이 늘어났다는 증거가 없었기 때문이다.[77]
2016년 정부 검토에서는 우편 투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일부 소수 민족 공동체에서 취약한 구성원(특히 여성과 청년)들이 장로들의 의지에 따라 투표하도록 압력을 받았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또한 부당한 영향력 행사, 우편 투표 용지 도난, 투표 완료 후 조작 가능성 등이 여전히 위험 요소로 남아있다고 언급했다.[78]
3. 23. 미국
미국에서는 유권자가 조기 투표를 하거나 우편 투표용지를 받을 수 있다. 우편 투표용지는 우편으로 보내거나, 안전한 투표함이나 사무소에 직접 제출할 수 있다.[79]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특별한 사유가 필요하지 않다.[80] 5개 주와 일부 카운티에서는 모든 선거가 우편 투표로 진행된다.[80][81] 우편 투표는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시행하는 방식이지만,[83] 2020년 정치적 논쟁이 되었다. 우편 투표를 하면 투표율이 높아진다.[82][83][84]미국 외 거주 미국인과 군인, 상선 선원, 그리고 그들의 가족은 군인 및 해외 시민 부재자 투표법(UOCAVA)에 따라 등록하고 투표할 수 있다. 거의 절반의 주에서는 이러한 투표용지를 우편으로 반환해야 한다. 다른 주에서는 우편과 함께 팩스나 이메일을 허용하며, 4개 주에서는 웹 포털을 허용한다.[85]
우편 투표의 보안은 일부 지역에서는 특수 용지를 사용하여,[6] 더 자주 유권자의 서명과 때로는 증인의 서명을 요구함으로써 관리된다. 그러나 서명 비교는 완벽하지 않으며, 최고의 학계 연구자들조차 10~14%의 오류율을 보인다.[5] 수천 장의 투표용지가 서명 확인에 실패하여 기각된다.[2] 사기의 증거는 드물지만, 우편 투표는 직접 투표보다 사기 위험이 더 크다.[3] 모든 주가 서명 검토에 대한 표준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86] 젊은 유권자와 소수 민족 유권자의 서명이 다른 유권자보다 더 높은 비율로 부적절하게 기각되고, 유권자가 기각에 대해 항소할 수 있는 능력이 없거나 제한적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87] 다수의 투표용지와 서명 확인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은 사기 외에도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89][87][90]
2016년 미국 대선에서 약 3,300만 장의 투표용지가 우편 투표로 제출되었으며(모든 투표용지의 약 4분의 1),[91] 2020년 선거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조기 투표 또는 우편 투표를 한 사람의 수가 기록을 경신했다.[92]
3. 24. 우루과이
우루과이에서는 우편 투표, 온라인 투표, 대리 투표를 시행하지 않는다. 모든 시민은 18세가 되면 법에 따라 유권자로 등록해야 하며, 사진이 포함된 유권자 신분증("Credencial Cívica")을 발급받는다.[1] 각 시민은 등록된 주소 근처의 특정 투표구에 배정되며, 다른 투표구에 배정된 선거 관계자를 제외하고는 다른 곳에서 투표할 수 없다.[1] 투표 시에는 직접 투표구에 가서 선거 관계자에게 실물 유권자 신분증을 제시해야 하며, 신분증 번호를 기억해야 할 수도 있다.[1] 두 경우 모두 투표구에 있는 신분증 사본과 데이터를 비교한다.[1] 만약 신분증 번호가 기억나지 않으면 지문과 국가 신분증을 제시하여 투표할 수 있다.[1] 모든 부재자 투표는 선거일 이후 수동으로 관리되어 동일 유권자가 두 번 이상 투표하는 것을 방지한다.[1] 이 시스템은 조작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며, 관련 당사자 모두 안전하고 익명성이 보장된다고 인정한다.[1]3. 25.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부재자 투표가 투표 감시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16][17][18]4. 일본
일본은 1925년(다이쇼 14년) 중의원 의원 선거법 개정(소위 보통선거법)을 통해 부재자 투표 제도를 도입했다.[95] 당시에는 선박, 철도 승무원, 군인 등 특정 직업군에 한정되었으나, 이후 대상이 확대되었다.[95]
2003년(헤이세이 15년) 12월 1일부터 사전투표제도가 신설되었지만, 부재자 투표 제도가 폐지된 것은 아니다.[95] 사전 투표는 선거인이 직접 투표함에 투입하여 투표가 확정되는 반면, 부재자 투표는 투표용지를 봉투에 넣어 선거관리위원회로 보내 투표함에 투입하는 방식이다.[94]
일본의 부재자 투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다.
- 선거관리위원회에서의 투표: 전국 어디서든 가능하며, 여행 중에도 투표할 수 있다.[96]
- 병원·시설 등에서의 투표: 선거관리위원회가 지정한 병원, 요양원 등에서 가능하다.[97]
- 선원 투표: 지정항 또는 선박 내에서 투표할 수 있다.
- 우편 투표: 신체 장애 등으로 투표소에 가기 어려운 경우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다.
- 해외 파견 자위대원 등: 해외에서도 부재자 투표가 가능하다.
- 해상 투표: 지정된 선박의 승무원은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투표할 수 있다. (단, 중의원 의원 총선거 및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한정)[98]
- 남극 지역 투표: 남극 관측 대원은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투표할 수 있다. (단, 중의원 의원 총선거 및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한정)[98]
선거일에 만 18세가 되는 경우, 부재자 투표를 하는 날 17세라도 투표할 수 있다.[94] 투표용지는 내봉투와 외봉투에 넣어 자필 서명을 해야 한다.[94]
4. 1. 부재자 투표의 문제점
담당자의 실수로 부재자 투표 용지가 투표함에 넣어지지 않아 무효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100] 우편 배달 지연으로 인해 부재자 투표 용지가 늦게 도착하여 무효표가 발생할 수도 있다. 2021년 10월 31일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후쿠시마현(현내 119명), 아오모리현(아오모리시내 18명), 아키타현(아키타시내 13명), 이와테현(모리오카시내 9명), 미야기현(센다이시내 33명)에서 투표 마감 시한까지 부재자 투표 용지가 도착하지 않아 무효가 되는 사태가 발생했다.[99] 이는 2020년 10월부터 토요일 배달이 폐지되는 등 우편 배달 사정이 변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부재자 투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99]참조
[1]
웹사이트
State Laws Governing Early Voting
https://www.ncsl.org[...]
2020-07-31
[2]
웹사이트
Election Administration and Voting Survey (EAVS) 2018 Comprehensive report
https://www.eac.gov/[...]
2020-06-12
[3]
뉴스
A Complete Guide To Early And Absentee Voting
https://www.npr.org/[...]
2020-06-15
[4]
웹사이트
Verification of Absentee Ballots
https://www.ncsl.org[...]
2020-07-02
[5]
서적
2017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Theory, Tools and Applications (IPTA)
2017-10-16
[6]
뉴스
'We've got to get going.' States under pressure to plan for the general election amid a pandemic
https://www.pbs.org/[...]
2020-07-25
[7]
뉴스
Trump's Shaky Warning About Counterfeit Mail-In Ballots
https://www.factchec[...]
2020-07-25
[8]
웹사이트
Democracy Live internet voting: unsurprisingly insecure, and surprisingly insecure
https://freedom-to-t[...]
2020-06-23
[9]
웹사이트
Internet Voting
https://www.verified[...]
2020-06-20
[10]
서적
Securing the Vote: Protecting American Democracy
https://www.nap.edu/[...]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2020-06-23
[11]
웹사이트
RISK MANAGEMENT FOR ELECTRONIC BALLOT DELIVERY, MARKING, AND RETURN
http://s3.amazonaws.[...]
Election Assistance Commission,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FBI, Cybersecurity &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
2020-06-23
[12]
학회발표
E-Voting and Identity
2015-08-13
[13]
학회발표
Proceedings of the 2014 ACM SIGSAC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https://jhalderm.com[...]
2017-12-03
[14]
웹사이트
ESTONIA PARLIAMENTARY ELECTIONS OSCE/ODIHR Election Assessment Mission Report
https://www.osce.org[...]
2011-03-06
[15]
웹사이트
Researchers Find Critical Backdoor in Swiss Online Voting System
https://www.vice.com[...]
2020-06-20
[16]
뉴스
Russia's Blockchain Voting Turned Into A Fiasco
https://cryptotrends[...]
[17]
학회발표
Breaking the Encryption Scheme of the Moscow Internet Voting System
http://fc20.ifca.ai/[...]
2020-02-10
[18]
저널
Electronic voting systems
http://catless.ncl.a[...]
2020-02-21
[19]
뉴스
'Sloppy' Mobile Voting App Used in Four States Has 'Elementary' Security Flaws
https://www.vice.com[...]
2020-06-23
[20]
뉴스
Maine system combined with shareholder-style voting could overcome false fraud fears, boost turnout
https://www.penbaypi[...]
2020-07-29
[21]
웹사이트
Standing Voting Instructions: Empowering the Excluded Retail Investor
https://scholarship.[...]
2017
[22]
웹사이트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http://www.elections[...]
2020-07-29
[23]
웹사이트
Terms of Use & Linking Policy
https://www.broadrid[...]
2020-07-29
[24]
웹사이트
Online Service Terms & Conditions
https://www.computer[...]
2020-07-29
[25]
웹사이트
Retail Shareholder Participation in the Proxy Process: Monitoring, Engagement, and Voting
http://higherlogicdo[...]
2019-11
[26]
웹사이트
Proxy Services for Mutual Funds and ETF Providers
https://www.broadrid[...]
2020-07-29
[27]
웹사이트
Voting within Australia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aec.gov.[...]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9-05-15
[28]
뉴스
The 2016 federal election
https://www.aph.gov.[...]
Australian Parliamentary Library
2020-04-11
[29]
저널
Postal and Absent Voting: A Democratic Dilemma
[30]
서적
Australia: The State of Democracy
https://books.google[...]
Federation Press
2013-06-13
[31]
뉴스
Commonwealth Electoral Act 1918
https://www.legislat[...]
Federal Register of Legislation
2020-05-27
[32]
뉴스
How to vote by mail: easy to read guide
https://www.aec.gov.[...]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20-05-27
[33]
웹사이트
Nationalratswahl 2017
https://www.bmi.gv.a[...]
2020-08-06
[34]
서적
Access to Electoral Rights Canada
EUDO Citizenship Observatory Robert Schuman Centre for Advanced Studies
[35]
웹사이트
Report on the 42nd General Election of October 19, 2015
https://www.election[...]
Elections Canada
2018-08-27
[36]
웹사이트
Report on the 43rd General Election of October 21, 2019
https://www.election[...]
2020-02-18
[37]
웹사이트
Voting results in detail
https://rk2019.valim[...]
2020-11-05
[38]
뉴스
Estonia gets to vote online. Why can't America?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2-11-06
[39]
웹사이트
Postal voting
https://vaalit.fi/en[...]
2020-08-06
[40]
웹사이트
Vote par procuration
https://www.service-[...]
2020-08-13
[41]
뉴스
What It's Like to Hold an Election in the Middle of a Pandemic
https://www.citylab.[...]
2020-03-13
[42]
뉴스
France drops electronic voting for citizens abroad over cybersecurity fears
https://www.reuters.[...]
Reuters
2017-03-06
[43]
웹사이트
Wahlrecht – News – Briefwahl nun ohne Hinderungsgrund möglich
https://www.wahlrech[...]
[44]
웹사이트
Home country elections - Hungary
https://europa.eu/yo[...]
[45]
웹사이트
Kékcédulás levélszavazás
https://atlatszo.blo[...]
[46]
웹사이트
Országos listák
https://www.valaszta[...]
[47]
웹사이트
Levélszavazás jegyzőkönyve
https://www.valaszta[...]
[48]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1950
http://gulbarga.nic.[...]
[49]
웹사이트
Who can vote by postal ballot?
http://articles.econ[...]
[50]
웹사이트
Election Commission to ensure postal votes don't get invalid
http://www.dnaindia.[...]
2013-11-07
[51]
웹사이트
Pranab to become first president to cast vote via postal ballot
http://news.oneindia[...]
2014-04-29
[52]
웹사이트
Postal ballots: Who can vote through ETPB, how to get registered and how the voting is done; an explainer
https://www.firstpos[...]
2019-04-02
[53]
뉴스
Maharashtra, Haryana Elections 2019: Can You Vote By Postal Ballot If You Aren't Living At Home?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9-09-26
[54]
웹사이트
People over 80 years of age, disabled can now vote through postal ballot.
https://www.jagranjo[...]
2019-10-29
[55]
웹사이트
Twitter
https://mobile.twitt[...]
[56]
웹사이트
Latest changes on postal ballots to favour ruling party: Sitaram Yechury to EC
https://www.deccanhe[...]
2020-06-30
[57]
뉴스
Postal ballots for voters over 64 gives ruling party an edge: Yechury
https://www.thehindu[...]
2020-06-29
[58]
뉴스
Govt. issues notification for NRI voting rights
http://www.thehindu.[...]
2010-11-24
[59]
웹사이트
Petition for Absentee Voting in Indian Elections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THE CITY OF BRIDGES
http://tanushreebagr[...]
2008-12-08
[61]
웹사이트
Welcome nrivotingrights.info - Hostmonster.com
http://www.nrivoting[...]
[62]
웹사이트
Luar Negeri Tetap Dapil DKI 2, Jaksel Masuk Dapil DKI 1
https://mediaindones[...]
2017-06-03
[63]
뉴스
Malaysian oppn accuse govt of postal vote fraud
http://www.abc.net.a[...]
2008-03-03
[64]
뉴스
One foot in the door
http://www.malaysian[...]
The Sun (Malaysia)
2008-03-27
[65]
웹사이트
Homepage Parlement & Politiek
http://www.parlement[...]
[66]
뉴스
Netherlands Abandons Electronic Vote Counting Amid Hacking Fears
http://www.newsweek.[...]
Newsweek
2017-03-06
[67]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166 - AN ACT PROVIDING FOR SYNCHRONIZED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AND FOR ELECTORAL REFORMS, AUTHORIZING APPROPRIATIONS THEREFOR,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comelec.g[...]
[68]
웹사이트
GENERAL INSTRUCTIONS FOR THE SPECIAL BOARD OF ELECTION INSPECTORS AND SPECIAL BALLOT RECEPTION AND CUSTODY GROUP ON THE VOTING, COUNTING, AND TRANSMISSION OF RESULTS FOR OVERSEAS ABSENTEE VOTING IN HONGKONG AND SINGAPORE IN CONNECTION WITH THE 10 MAY 2010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http://www.comelec.g[...]
[69]
법률
Federal Statute on Political Rights
[70]
서적
The Swiss Postal Voting Process and its System and Security Analysis
Communication Systems Group CSG, Department of Informatics IfI, Universitat Zurich UZH
[71]
웹사이트
Electronic voting
https://www.egovernm[...]
[72]
웹사이트
การเลือกตั้งนอกเขตจังหวัด [The procedure of absentee ballot voting]
https://web.archive.[...]
2011-01-15
[73]
웹사이트
วิธีการเลือกตั้งนอก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 [The procedure of absentee ballot voting in foreign countries]
https://web.archive.[...]
2011-01-15
[74]
웹사이트
Postal Voting & Electoral Fraud
https://web.archive.[...]
Parliament and Constitution Centr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0-01-19
[75]
웹사이트
How to vote
https://www.gov.uk/v[...]
2020-07-31
[76]
웹사이트
Application to vote by proxy at a particular election or referendum
https://assets.publi[...]
2020-04-27
[77]
논문
Fewer Costs, More Votes? United Kingdom Innovations in Election Administration 2000–2007 and the Effect on Voter Turnout
2011-03-01
[78]
웹사이트
Securing the ballot, Report of Sir Eric Pickles' review into electoral fraud
https://assets.publi[...]
2016-08-11
[79]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bsentee and mail-in voting?
https://www.washingt[...]
2020-08-18
[80]
웹사이트
Voting Outside the Polling Place: Absentee, All-Mail and other Voting at Home Options
https://www.ncsl.org[...]
[81]
웹사이트
VOPP: Table 18: States With All-Mail Elections
https://www.ncsl.org[...]
[82]
뉴스
We Should Never Have to Vote in Person Again
https://www.nytimes.[...]
2020
[83]
뉴스
Which Party Would Benefit Most From Voting by Mail? It's Complicated
https://www.nytimes.[...]
2020-05-25
[84]
논문
Universal vote-by-mail has no impact on partisan turnout or vote share
2020-06-09
[85]
웹사이트
Electronic Transmission of Ballots
https://www.ncsl.org[...]
[86]
웹사이트
Vote at Home Policy Actions: 1 and 2 Stars
https://web.archive.[...]
2020-05
[87]
웹사이트
Vote-By-Mail Ballots Cast in Florida
https://www.aclufl.o[...]
2018-09-18
[88]
뉴스
Exclusive: High Rate of Absentee Ballot Rejection Reeks of Voter Suppression
https://whowhatwhy.o[...]
2018-10-12
[89]
웹사이트
Signature Verification and Mail Ballots: Guaranteeing Access While Preserving Integrity
https://web.archive.[...]
2020-04-15
[90]
뉴스
Inside Wisconsin's Election Mess: Thousands of Missing or Nullified Ballots
https://www.nytimes.[...]
2020-04-09
[91]
뉴스
Voting by Mail in November? States Need to Prepare Now
https://www.wsj.com/[...]
2020-05-23
[92]
뉴스
Tracking Absentee Votes in the 2020 Election
https://www.nytimes.[...]
2020-09-22
[93]
논문
Hitting Them With Carrots: Voter Intimidation and Vote Buying in Russia
2019
[94]
문서
공직선거법 10조 2항 관련 판례 해석
[95]
간행물
在宅投票制度の沿革-身体障害者等の投票権を確保する制度-
2003-04
[96]
문서
선거인 명부 등록 및 삭제 관련 설명
[97]
웹사이트
不在者投票指定施設(病院・老人ホーム等)について
https://www.pref.miy[...]
宮城県
2018-10-11
[98]
웹사이트
南極選挙人
http://www.nipr.ac.j[...]
2013-07-13
[99]
뉴스
不在者投票、間に合わない例が相次ぐ 郵便事情の悪化が影響か
https://kahoku.news/[...]
2021-11-10
[100]
뉴스
瀬戸内市選管ミスで122票無効 総社でも転記で誤り
http://www.sanyo.oni[...]
2013-07-22
[101]
문서
기간 전 투표 후 거주지 변경 등의 예시
[102]
뉴스
不在者投票は六八% 山梨勝山村長選
1968-03-03
[103]
뉴스
장애인 거소투표 부정행위 근절하려면
http://www.ablenews.[...]
2016-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