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카마리네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카마리네스주는 루손섬 남동부에 위치한 필리핀의 주로, 비콜 지방에 속한다. 스페인 식민 시대에 카마리네스 주에서 분할되어 북카마리네스주로 독립했으며, 미국과 일본 점령기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 현재에 이르렀다. 주도는 다엣이며, 12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하며, 파인애플, 금, 철광석 등의 자원이 있다. 로마 가톨릭교가 주된 종교이며, 중앙 비콜어를 비롯해 타갈로그어, 영어가 사용된다. 반타야그 축제, 피냐산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리며, 호세 마리아 판가니반, 웬세슬라오 Q. 빈손스 등 여러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콜 지방 - 남카마리네스주
    남카마리네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비콜 지방에 위치하며, 2개의 도시와 35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사록 아그타족과 이라야 아그타족의 거주지였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를 거쳐 현재의 경계로 확정되었고, 농업을 기반으로 쌀, 옥수수, 코코넛 등을 생산하며, 주민들은 주로 로마 가톨릭교를 믿고 비콜어를 사용한다.
  • 비콜 지방 - 마스바테주
    마스바테주는 필리핀 비콜 지방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주로, 스페인 식민 시대 항로의 정박지이자 필리핀 내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이며, 농업, 축산업,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특히 소 사육 규모가 크며,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매년 로데오 축제가 열린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북카마리네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필리핀 내 카마리네스노르테 위치
필리핀 내 위치
카마리네스노르테 행정 지도
행정 지도
기본 정보
이름카마리네스노르테
현지어 표기bcl: 아미하난 나 카마리네스 (Amihanan na Camarines)
fil: 힐라강 카마리네스 (Hilagang Camarines)
지방비콜 지방
설립일1920년 3월 3일
중심지다에트
주지사리카르테 R. 파딜라 (Ricarte R. Padilla)
부주지사조셉 V. 아스쿠티아 (Joseph V. Ascutia)
면적2,320.07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0년)629,699명
인구 밀도270 명/제곱킬로미터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행정 구역
도시0개
자치시바사드
다에트
호세팡가니반
라보
메르세데스
파라칼레
필라
산로렌조루이스
산타엘레나
탈리사이
빈손
카팔롱가
바랑가이282개
하원 의원카마리네스노르테 선거구
지리
최고 고도1,544 미터 (라보산)
기타
언어중앙 비콜어
타갈로그어
영어

2. 역사

북카마리네스 주는 스페인 식민 시대, 미국 시대, 일본 점령기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스페인 식민 시대 이전에는 맘불라오와 파라칼레를 중심으로 원주민 정착지가 번성했다. 타갈로그 사람들이 주로 거주했고, 비사야 계통 사람들과 마우반 출신 이민자들도 있었다.

스페인 식민 시대, 미국 시대, 일본 점령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필리핀 독립 이후,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했고, 이는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될 때까지 14년간 지속되었다. 이 시기, 1982년 다엣 학살과 같은 인권 침해 사건이 발생했다. 1990년대에는 태풍 안젤라(현지명 로싱)와 태풍 밥스(현지명 롤랭)로 인해 큰 피해를 보았다.

2. 1. 스페인 식민 시대

1571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섬 탐험을 위해 파견한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는 타이타이와 카인타를 정복한 후 라구나와 타야바스를 거쳐 북카마리네스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원주민들로부터 금광이 존재한다는 소식을 듣고 맘불라오와 파라칼레의 풍요로운 금광 마을을 방문했다.[1]

1573년, 비콜 지방이 설립되었다. 1636년 비콜에서 카마리네스가 만들어졌고, 1829년 북카마리네스와 남카마리네스로 분할되었다.[1]

1829년 북카마리네스가 암보스 카마리네스에서 분리되었을 때, 수도인 다에트, 탈리사이, 인단(현재 빈존스), 라보, 파라칼레, 맘불라오(현재 호세 판간니반), 카팔롱가, 라가이, 루피 및 시포코트가 배정되었다.[1] 17년 후, 북카마리네스는 시루마 마을과 교환하여 시포코트, 루피, 라가이를 남카마리네스에 넘겨주었다.[1]

북카마리네스와 남카마리네스 주는 1854년부터 1857년까지 잠시 암보스 카마리네스("ambos"는 스페인어로 "둘 다"를 의미)로 합병되었다. 1858년, 이 지방들은 분리되었고 1893년에 다시 암보스 카마리네스로 합병되었다.[1]

프란시스코 데 산데가 총독으로서 레가스피의 뒤를 잇자 스페인의 영향력이 이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는 지역을 통제하고 중국과 무슬림 해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나가에 영구적인 스페인 수비대를 설립했다. 페드로 데 차베스 대위가 이 부대를 지휘하도록 임명되었다.[1]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했을 때 맘불라오와 파라칼레를 포함한 원주민 정착지는 이미 번성하고 있었다. 인단과 다에트는 카팔롱가 외에 다른 정착지였다. 그러나 파라칼레는 금광 때문에 여전히 가장 탐나는 곳이었다.[1]

이 마을에는 주로 타갈로그 사람들이 거주했고 나머지는 비사야 계통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마우반에서 왔다. 스페인 선교사들은 원주민을 기독교화하기 위해 선교를 설립했다.[1]

1898년 4월 14일부터 17일까지, 카티푸난의 지역 구성원들은 일데폰소 모레노를 비롯한 다른 애국자들의 주도 하에 스페인 당국에 대항하는 봉기를 일으켰다. 스페인 당국은 다엣에 오래 거주한 스페인 상인 플로렌시오 아라나의 집에 요새를 구축했다.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산발적인 교전이 시작되었고, 반군은 다엣을 점령하고 아라나의 집에 있는 스페인 사람들을 포위했다. 그러나 카티푸네로들은 4월 17일 누에바 카세레스에서 메르세데스로 도착한 증원군을 격퇴하지 못했다. 이 증원군은 다엣 포위를 풀었다. 이로 인해 일데폰소 모레노, 토마스 잘두아와 그의 두 아들, 호세 아바뇨, 도밍고 로자다, 아니세토 그리고리오 등 많은 애국자들이 사망하거나 처형되었다. 다엣 봉기는 실패했지만, 비콜 지역 전역에서 일련의 반란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1]

2. 2. 미국 시대

1918년 북카마리네스주 지도


미국 시대 동안, 1917년에 암보스 카마리네스주는 다시 북카마리네스주와 남카마리네스주로 분리되었다.

1919년 3월 3일 ''법률 2809''에 의거하여, F. B. 해리슨 총독은 돈 미겔 R. 루크반을 초대 주지사로 임명하여 북카마리네스주를 남카마리네스주에서 분리했다. 전 국립 역사 연구소 (NHI) 의장 세라핀 D. 퀴아손에 따르면, "기능적인 의미에서 1920년 4월 15일은 ''법률 제2809호''의 조항에 따라 1920년 3월 20일자 ''행정 명령 제22호''에 의해 지시된 북카마리네스주의 조직 날짜였다."

2. 3. 일본 점령기

태평양 전쟁 중 필리핀에서 첫 번째 게릴라전은 1941년 12월 18일에 벌어졌다. 이는 1941년 12월 7일 하와이 진주만 공습 후 11일, 1941년 12월 8일 팜팡가 클라크 공군 기지 공격 후 10일 만이었다. 이 전투는 북카마리네스 주 바수드 라니톤에서 USAFFE 부대 일부와 빈존스 게릴라 그룹이 다엣(Daet)으로 진격하는 일본 제국 육군 선봉대를 맞닥뜨리면서 시작되었다. 라니톤에는 이 역사적인 무훈을 기념하는 사당이 세워졌으며, 살아남은 참전 용사들과 전몰 용사들의 아들, 딸들은 필리핀 참전 용사 연맹 - 북카마리네스 지부(VFP-CN), 바수드 시 정부, 주 정부의 후원 하에 매년 12월 18일에 바수드와 다엣에서 이 사건을 기념한다.[1]

필리핀 연방군의 일반 본부는 1942년 1월 3일에 작전을 시작했고, 필리핀 경찰은 1944년 10월 28일에 북카마리네스 주에 설립되었다.[1] 1945년, 미군 해방군이 이 지역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은 일본 제국군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현지 필리핀 군대와 비콜 게릴라들을 도왔다.[1]

2. 4. 필리핀 독립 이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72년 9월 23일 텔레비전을 통해 북카마리네스 주를 포함한 필리핀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1] 필리핀은 1981년 1월 17일까지 공식적인 계엄 상태였지만, 마르코스는 계엄령 종료 후에도 사실상 모든 독재 권력을 유지하여 1986년 2월 피플 파워 혁명으로 축출될 때까지 총 14년간 1인 통치를 했다.[2][1][3][4]

1982년 6월 14일, 마르코스 독재정권의 인권 침해의 일환으로, 마르코스 행정부군은 코프라 가격 인상과 "가짜 선거" 및 코코페드를 규탄하는 시위대에 발포하여 4명이 현장에서 사망하고 최소 50명이 부상당했으며, 중상자 2명은 두 달 뒤 사망했다.[5] 이 사건은 "1981년 다엣 학살"로 알려졌으며, 사망자 중 4명은 반타요그 응가 마가 바이아니 기념관 추모의 벽에 헌정되었다.[6]

2. 4. 1. 현대

1972년 9월 23일 저녁,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텔레비전을 통해 북카마리네스 주를 포함한 필리핀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1] 필리핀은 1981년 1월 17일까지 공식적인 계엄 상태였지만, 마르코스는 계엄령 공식 종료 후에도 사실상 모든 독재 권력을 유지했다. 필리핀은 총 14년 동안 1인 통치를 경험했으며,[2][1] 1986년 2월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되면서 종식되었다.[2][3][4]

1982년 6월 14일, 마르코스 독재정권의 인권 침해의 일환으로, 마르코스 행정부 군대는 코프라 가격 인상을 요구하고 "가짜 선거" 및 코코페드를 규탄하기 위해 행진하던 여러 지역 출신의 시위대에 발포했다. 이 사건으로 현장에서 4명이 사망하고 최소 50명이 부상당했다. 중상을 입은 2명은 두 달 뒤 사망했다.[5] 이 사건은 "1981년 다엣 학살"로 알려졌으며, 사망자 중 4명은 이후 반타요그 응가 마가 바이아니 기념관 추모의 벽에 이름이 새겨져 헌정되었다.[6]

1990년대 북카마리네스 주는 필리핀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태풍 2개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1995년 11월에는 현지에서 로싱으로 알려진 태풍 안젤라가, 1998년 10월에는 현지에서 롤랭으로 알려진 태풍 밥스가 발생했다.[7]

3. 지리

북카마리네스주는 루손섬 남동부 비콜 반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하며, 면적은 2277.93km2이다.[8] 비콜 지방(제5지역)에 속하며, 북동쪽으로 필리핀 해, 동쪽으로 산미겔 만, 서쪽으로 라몬 만과 접한다. 남서쪽으로는 케손 주, 남동쪽으로는 카마리네스 수르 주와 경계를 이룬다.

주도 다엣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남동쪽으로 약 342km 떨어져 있으며, 버스로 8~10시간, 자가용으로 6~7시간 걸린다.

3. 1.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C)28.6°C29°C30°C31.7°C32.4°C32.6°C32°C31.8°C31.8°C30.7°C30.1°C28.9°C
평균 최저 기온 (1°C)24°C24°C24.6°C25.6°C25.7°C25.4°C25.3°C25.2°C24.9°C24.9°C25.2°C24.8°C
평균 강수 일수20141391116161517212423

[8]

3. 2. 행정 구역

북카마리네스 주는 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나뉘며, 총 12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주도는 다엣이며, 주 내에 도시는 없다.



지방 자치체선거구인구연간 성장률면적인구 밀도바랑가이 수좌표
바수드2구45,1337.2%41,0171.9%260.28km2약 260.29km2173/km2450/sqmi29style="text-align:center;" |
카파롱가1구36,2235.8%32,2152.3%290km2약 290.00km2120/km2310/sqmi22style="text-align:center;" |
다엣2구111,70017.7%104,7991.6%46km2약 46.00km22428/km26290/sqmi25style="text-align:center;" |
호세팡가니반1구63,66210.1%59,6391.3%214.44km2약 214.45km2300/km2780/sqmi27style="text-align:center;" |
라보1구109,24517.4%101,0821.5%589.36km2약 589.35km2190/km2490/sqmi52style="text-align:center;" |
메르세데스2구55,3348.8%50,8411.7%173.69km2약 173.68km2320/km2830/sqmi26style="text-align:center;" |
파라칼레1구60,1989.6%59,1490.3%197.9km2약 197.90km2300/km2780/sqmi27style="text-align:center;" |
산로렌조루이스2구15,7572.5%14,0632.3%119.37km2약 119.37km2130/km2340/sqmi12style="text-align:center;" |
산비센테2구12,5792.0%10,3963.9%57.49km2약 57.50km2220/km2570/sqmi9style="text-align:center;" |
산타엘레나1구43,5826.9%40,7861.3%199.35km2약 199.35km2220/km2570/sqmi19style="text-align:center;" |
탈리사이2구27,2444.3%25,8411.0%30.76km2약 30.77km2890/km22300/sqmi15style="text-align:center;" |
빈손스2구49,0427.8%43,4852.4%99.29km2약 99.30km2490/km21300/sqmi19style="text-align:center;" |
합계629,699583,3131.53%2277.93km2약 2277.91km2280/km2730/sqmi282



남쪽으로는 카마리네스수르주와 칼라바르손 지방케손주에 접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필리핀해가 펼쳐져 있다.

4. 인구

기준 북카마리네스 주의 인구는 명이며,[9]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PD/km2}}이다.

북카마리네스 주의 인구 조사[28]
연도인구
1903
1918
1939
1948
1960
1970
1975
1980
1990
1995
2000
2007
2010
2015
2020


4. 1. 종교

식민지화 이전 이 지역에는 다양한 신을 포함하는 복잡한 종교 체계가 존재했다. 이 신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구구랑: 마욘 산 안에 거주하며 아스왕이 훔치려던 신성한 불을 지키고 보호하는 최고신이다. 사람들이 그의 명령과 소원을 어기고 수많은 죄를 범할 때마다 그는 사람들이 잘못된 길을 고치도록 경고하는 신호로 마욘 산이 용암을 분출하게 했다. 고대 비콜라노인들은 그를 위해 아탕이라고 불리는 의식을 수행했다.[10][11]
  • 아스왕: 구구랑의 형제로서, 마욘 산의 신성한 불을 훔치려 항상 노력하는 사악한 신이다. 때때로 아스왕으로 불리며 주로 말리나오 산 안에 거주한다. 사악한 신으로서 사람들에게 불행을 초래하고 죄를 짓게 한다.[10][11] 구구랑의 적이자 달의 신 불란의 친구이다.
  • 할리야: 달빛의 가면 여신이자 바쿠나와의 숙적이며 불란의 보호자이다. 그녀의 숭배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된다. 바쿠나와에 대한 대항책으로 수행되는 그녀의 이름을 딴 의식 춤도 있다.[12]
  • 불란: 창백한 달의 신. 야만적인 짐승과 사나운 인어(마긴다라)를 길들일 정도로 비범한 아름다움을 지닌 사춘기 소년으로 묘사된다. 마긴당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지만, 마긴당이 그를 잡지 못하도록 도망치는 것으로 그를 놀린다. 그 이유는 사랑하는 남자에게 수줍음을 타기 때문이다. 마긴당이 불란을 잡으면, 할리야는 항상 그를 마긴당의 손아귀에서 풀어주기 위해 나타난다.
  • 마긴당: 바다와 모든 생물의 신. 달의 신 불란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를 잡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쫓는다. 이 때문에 비콜라노인들은 멀리 수평선에서 보았을 때 파도가 달에 닿기 위해 솟아오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가 불란을 따라잡을 때마다 할리야는 불란을 구출하고 즉시 그를 풀어준다.
  • 오코트: 숲과 사냥의 신.
  • 바쿠나와: 일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거대한 바다 뱀 신으로, 태양과 달을 삼키는 자이다. 할리야의 주된 목표가 할리야가 영원히 보호하겠다고 맹세한 불란을 삼키는 것인 바쿠나와의 적이다.[13]


대다수의 주민은 로마 가톨릭 신자로, 인구의 93%가 이 종교를 믿고 있다.

나머지 사람들의 신앙은 기독교의 여러 종교 단체, 예를 들어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얀 교회), 그리스도교회, 침례교, 감리교, 몰몬교, 여호와의 증인,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등과, 주로 민다나오에 거주하는 이슬람교 신자들로 나뉜다.

4. 2. 언어

중앙 비콜어 방언은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였다. 타갈로그어가 점차 가장 흔한 언어가 되어가고 있으며, 영어 또한 비즈니스 및 교육 분야에서 널리 이해되고 사용된다. 마니데어는 마니데 원주민 소수에 의해 사용되며, 주로 호세 팡가니반, 라보, 파라칼 마을에 집중되어 있다.[14]

카마리네스 노르테비콜 지방과의 근접성 때문에 타갈로그어 사용 지역 중에서 독특하다. 특히 교차로에서 카마리네스 노르테의 타갈로그어 사용자들과의 근접성은 음운론, 형태론, 문법 및 심지어 담화를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비콜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해진 타갈로그어의 독특한 변종을 만들어냈다. 앤드루 레이 소사 페냐가 수행한 방언학 연구에 따르면, 세 가지 방언 지역이 제안되었다.[14]

  • 첫 번째는 산타 엘레나, 카팔롱가, 호세 팡가니반, 파라칼로, 비콜어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고 인근 퀘존 주에서 사용되는 방언과 유사하다.
  • 두 번째 방언 지역은 라보와 빈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 사람들은 "살리탕 빈존스"와 "살리탕 라보"에 대해 이야기하는 독특한 방언을 발전시켰다.
  • 세 번째 방언 지역은 다에트, 산 비센테, 탈리사이, 메르세데스, 바수드, 산 로렌조 루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에는 비콜어 사용자가 많이 집중되어 있고 타갈로그어가 비콜어의 어휘, 음운론, 문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14]

5. 경제

북카마리네스 주의 경제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주요 작물로는 곡물, 채소, 코코넛, 뿌리 작물, 과일 등이 있으며, 특히 작은 크기의 단 파인애플이 유명하다.[30]

이 주의 4대 주요 제조업 및 가공 산업은 광업(특히 금과 철광석), 보석 공예, 파인애플 및 코코넛 산업이다. 또한, 관광 산업도 경제적 안정에 기여하고 있는데, 해변, 산, 종교 시설 등 다양한 볼거리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15]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북카마리네스 주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30][15]

연도200620092012201520182021
빈곤율 (%)


5. 1. 인프라

북카마리네스 주는 주요 산업 중 하나인 판 센추리 계면활성제를 위해 호세 판가니반 마을의 바랑가이 오스메냐에 국제 항구를 가지고 있다. 이 항구는 마을 중심부에서 약 5km 떨어져 있으며 주도인 다에트까지 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다.

또한 이 주는 해안 지역에 13개의 어항과 다에트의 바가스바스에 1개의 소규모 공항을 보유하고 있다.

6. 축제 및 행사

'''반타야그 축제'''

반타야그 축제는 북카마리네스 주의 역사적인 기념 축제로, 주 건립 기념일과 함께 열리며 최초의 리잘 기념비를 선보인다.[23] 이 축제는 다엣의 "피나야산", 산타 엘레나의 "팔라요간"(팔라이와 니요그에서 유래), 빈존스의 "바바카신", 파라칼 마을의 "파비릭 응 바얀", 산 비센테의 "마나납"과 같은 각 마을 고유의 축제로도 기념된다.[24]

'''반타야그 등반'''

반타야그 등반은 반타야그 축제 기간의 활동의 일환으로 오리욜 아웃도어 그룹 주식회사가 주최하는 연례 행사이다.

'''파인애플(피냐산) 축제'''

피냐산(파인애플) 축제는 북카마리네스 주의 주요 농산물인, 포르모사라고 불리는 가장 달콤한 파인애플을 선보인다.[23]


  • 서머 서프 페스트
  • 연례 카이트보딩 대회
  • 패러글라이딩 및 행글라이딩 견인 대회


'''금 채취 또는 파비릭 축제'''

파비릭 축제는 북카마리네스 주의 금광 마을로 여겨지는 파라칼의 과거 문화, 전통, 역사 및 관습을 기념하는 일주일 간의 축제이다. 파비릭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풍부한 광업을 강조하는 동시에 시에서 구할 수 있는 금 제품을 선보인다. 파비릭은 파라칼 원주민이 금 채취에 사용하는 매체인 "팬"을 의미한다.[23]

'''팔롱 축제'''

팔롱 축제는 검은 나사렛 축제와 일치하며, 거리 춤과 농업 박람회를 통해 기념된다. 이를 통해 원주민들은 수탉 볏 또는 "팔롱 마녹"으로 알려진 관상 식물의 풍요로움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23]

'''카다가탄 축제'''

카다가탄 축제는 어부들이 메르세데스 마을이 축복받은 광대한 해양 자원에 대해 존경심을 표하고, 감사를 표현하며, 자연을 인정하기 위해 기념한다.[23]

'''부시그-온 축제'''

부시그-온 축제는 라보 마을 출신의 영웅 부시그-온과 비콜라노 가치를 바탕으로 한다. 이 축제는 경쟁적인 방식으로 재능과 기술을 선보이는 동시에 마을의 명소를 보여주고 마을의 독특한 역사적 가치를 특징으로 한다.[23]

'''맘불라완 축제'''

가장 거룩한 묵주 마리아 축일과 일치하여 열리는 이 축제는 지역 사회 간의 단결과 협력, 문화 및 예술 증진, 광업 부흥, 마을의 최고의 전시, 발릭바얀의 귀향 및 참여를 목표로 하며, 이는 모두 발전과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한다.[23]

'''타크보안 축제'''

타크보안 축제는 영웅 웬세슬라오 Q. 빈존스를 기념하며, 매년 9월 28일에 시민 군사 퍼레이드, CAT & DLC 대회, 그리고 플로트 경연으로 기념된다.

북카마리네스 주 청사 앞의 빈존스 기념비


빈존스, 북카마리네스 주에 있는 빈존스 가문의 조상 가옥

7. 주요 인물


  • 호세 마리아 판가니반 — 비콜라노 선전가, 언어학자, 수필가이다. "Jomapa"와 "J.M.P."라는 필명으로 글을 쓰며 ''라 솔리다리다드''의 주요 작가이자 기고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출생지인 맘불라오는 그의 이름을 기려 개명되었다.[1]
  • 비센테 R. 룩반 장군 — 필리핀 혁명 당시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참모였으며,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사마르와 레이테의 정치-군사 지도자였다. 1901년 9월 28일, 볼로와 날카롭게 깎은 대나무 막대기만으로 무장한 필리핀 반군을 이끌고 동사마르 발랑이가에 주둔한 미군 부대를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미군 9연대 C중대 병력 중 36명만이 살아남았으며, 필리핀 반군 측에서는 16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필리핀 역사상 "발랑이가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1]
  • 웬세슬라오 Q. 빈손스, 시니어 — 변호사, 웅변가, 노동 지도자, 작가, 1935년 제헌 의회의 최연소 대표이자 25세에 헌장을 서명한 최연소 인물. 1940년 주지사이자 1941년 당선된 하원의원으로서 항복을 거부하고 일본 점령 당시 주 정부를 라보 내륙으로 대피시키고 일본군에 대항하는 게릴라 부대를 이끌었다. 그의 출생지인 인단은 그의 이름을 기려 개명되었다.[1]
  • 마누엘 콘데 — 영화 배우, 감독, 제작자, 필리핀 국가 예술가.[1]
  • 리키 리 —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 소설가, 극작가, 필리핀 국가 예술가.[1]
  • 로빈 파딜라 — 상원 의원, 제19대 의회 소속 배우[1]
  • 리와웨이 빈손스-차토 — 전 국세청 국장 및 북카마리네스 단독 선거구 하원 의원.[1]
  • Jammer Jamito — 필리핀 농구 협회 소속 메랄코 볼츠 선수.[1]
  • Justin Arana — 필리핀 농구 협회 소속 컨버지 파이버서스 선수.[1]
  • 도미나도르 S. 아시스 주지사[1]

북카마리네스 주지사 도미나도르 S. 아시스 묘

  • Precious Paula Nicole — 드래그 레이스 필리핀 시즌 1 우승자.[1]

참조

[1]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Dictatorship https://web.archive.[...] 2018-09-09
[2] 뉴스 Martial Law, the dark chapter in Philippine history 2018-06-29
[3] 뉴스 Marcos Ends Martial Law, Keeps Tight Grip 2018-09-09
[4] 웹사이트 Back to the Past: A timeline of press freedom 2018-03-02
[5] 뉴스 Martial law massacres http://opinion.inqui[...] 2018-06-18
[6] 웹사이트 Martyrs of the 1981 Daet Massacre http://www.bantayog.[...] 2020-04-10
[7] 웹사이트 THE 12 WORST TYPHOONS OF THE PHILIPPINES (A SUMMARY)..:: https://www.typhoon2[...]
[8]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Camarines Norte, Philippines http://uk.storm247.c[...] 2016-02-01
[9] 웹사이트 Census 2000; Population and Housing; Region V https://web.archive.[...] 2016-06-29
[10] 웹사이트 Asuang Steals Fire from Gugurang by Damiana L. Eugenio https://web.archive.[...] 2010-04-03
[11] Youtube The Aswang Phenomenon https://www.youtube.[...] 2011
[12] 웹사이트 Inquirer NewsInfo: Bicol Artist protest Natl. Artist awardees https://web.archive.[...] 2010-04-03
[13] 웹사이트 Eclipse; Bakunawa eats the sun behind a curtain of clouds http://www.gmanews.t[...] 2010-04-03
[14] 간행물 Tagalog at the Edges: a dialectological study http://rgdoi.net/10.[...] 2017
[15]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6] 문서 2000
[17] 문서 2003
[18] 문서 2006
[19] 문서 2012
[20] 문서 2015
[21] 문서 2018
[22] 문서 2021
[23] 웹사이트 Camarines Norte Festivals of Gold Panning, Pineapples and More {{!}} Philippine Travel Destinations http://www.philippin[...] 2017-10-03
[24] 뉴스 CamNor celebrates 'Bantayog Festival' https://web.archive.[...] 2017-10-03
[25] 웹사이트 17th Congress Senate P.S.R. No. 185 https://legacy.senat[...] 2023-10-12
[26] 웹사이트 17th Congress Senate Adopted Resolution No. 27 https://legacy.senat[...] 2023-10-12
[27] 서적 Filipinos in History Vol. II National Historical Institute
[28] 웹인용 Census 2000; Population and Housing; Region V https://web.archive.[...] 2016-06-29
[29]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Camarines Norte, Philippines http://uk.storm247.c[...] 2016-02-01
[3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31] 문서 2000
[32] 문서 2003
[33] 문서 2006
[34] 문서 2012
[35] 문서 2015
[36] 간행물 safesubst:#invoke:wd 2018
[37] 간행물 safesubst:#invoke:wd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