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꼬리열대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꼬리열대새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열대새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95~104cm이며, 붉은색 꼬리 깃털이 특징이다. 분류학적으로는 흰꼬리열대새와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이며, 4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붉은꼬리열대새는 어류, 오징어 등을 먹고, 일부일처제로 번식하며, 둥지를 짓고 한 개의 알을 낳는다. 붉은꼬리열대새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며, 서식지 파괴, 포식자, 해충 유입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새과 - 붉은부리열대새
붉은부리열대새는 붉은색 부리와 긴 흰색 꼬리깃털을 가진 열대새과의 새로,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어류와 오징어를 먹지만, 침입종과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레위니옹의 새 - 레위니옹따오기
레위니옹따오기는 레위니옹 섬에 서식했던 멸종된 조류로, 흰색과 회색 깃털을 가지고 날지 못하며, 아프리카사다새와 유전적으로 관련 있으며,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18세기 초에 멸종되었다. - 모리셔스의 새 - 도도
도도는 모리셔스 섬에 서식했던 날지 못하는 대형 조류로, 네덜란드인들의 도착 후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17세기 후반에 멸종되었으며, 니코바비둘기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멸종의 상징과 모리셔스의 국가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붉은꼬리열대새 | |
---|---|
분류 | |
학명 | Phaethon rubricauda |
명명자 | Boddaert, 1783 |
동의어 | Phaethon phoenicuros Gmelin 1789 Phaëthon novae-hollandiae Brandt, 1840 |
한국어 이름 | 아카오네타이초 |
영어 이름 | Red-tailed tropicbird |
보전 상태 | |
IUCN | LC (최소 관심) |
참고 | IUCN Red List |
분포 | |
![]() | |
서식지 | 열대 인도양 및 태평양 |
생태적 특징 | |
종류 | 바닷새 |
꼬리깃 | 꼬리 장식깃 |
설명 | 열대 인도양과 태평양에 서식한다. |
2. 분류
붉은꼬리열대새는 1769년 제임스 쿡의 첫 번째 항해에 동행한 조지프 뱅크스 경이 처음 발견했다. 뱅크스 경은 이 새가 붉은부리열대새와는 다른 종임을 언급하며 ''Phaeton erubescens''라는 이름을 부여했다.[3] 1781년 조르주루이 르클레르크, 뷔퐁 백작은 ''Histoire Naturelle des Oiseaux''에서 이 종을 공식적으로 기술하며 모리셔스 고유종이라고 언급했다.[4] 1783년 피터 보데르트는 이항명명법 ''Phaethon rubricauda''를 만들었다.[6]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 ''phaethon''(''태양'')에서, 종의 형용사는 라틴어 ''ruber''(''붉은'')와 ''cauda''(''꼬리'')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존 라담,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 등이 붉은꼬리열대새를 연구했다. 월터 로스차일드는 1900년 기존 기술된 이름과 표본을 검토하고 ''P. erubescens''의 원래 사용은 무자격명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는 로드 하우 섬, 노퍽 섬, 케르마덱 제도의 개체군을 별개의 아종 ''P. rubicauda erubescens''로 분류했다.[10]
붉은꼬리열대새는 국제 조류 학회(IOC)에서 공식 명칭으로 지정되었다.[12] 다른 이름으로는 붉은꼬리 보슨새, 은색 보슨새, 빨대 꼬리 등이 있다. 마오리족은 ''amokura'',[13] 하와이 원주민은 ''koae ula''라고 부른다.[14]
붉은꼬리열대새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흰꼬리열대새이며, 이들의 조상은 약 4백만 년 전에 분리되었다.[15]
2. 1. 아종
아종 | 명명자 및 연도 | 분포 지역 | 비고 |
---|---|---|---|
P. r. rubricauda | 보데르트, 1783 | 인도양 서부 | 기준 아종. 코코스(킬링) 제도 채집 표본이 해당.[17] |
P. r. westralis | 매튜스, 1912 | 인도양 동부 | 날개가 더 크다는 특징이 있었으나,[16] 기준 아종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 색상 강도가 유일한 구별 특징.[17] |
P. r. roseotinctus | 매튜스, 1926 | 레인 섬 포함 남서 태평양 | |
P. r. melanorhynchos | 그멜린, 1789 | 쿡 제도, 통가, 사모아, 마르키즈 제도, 소시에테 제도 포함 서부, 중부, 남부 태평양 |
붉은꼬리열대새는 전체 길이 95cm~104cm(꼬리 깃털 포함), 날개 길이 111cm~119cm이며, 몸무게는 약 800g이다.
조류학자 마이크 타버튼은 1989년 아종들을 검토하며 종 크기의 클라인 변화 (쿠레 환초에서 최소, 케르마덱 제도에서 최대)를 들어 유효성을 부정했다. 또한 분홍색 색조는 새 깃털에서 강렬하고 박물관 표본에서 퇴색된다고 언급했다.[17]
2012년 일본 조류 목록 개정 제7판은 미크로네시아, 이오 섬, 하와이 제도 번식 아종으로 붉은꼬리열대새 ''P. r. rothschildi''를 등재했지만,[52] 2020년 IOC World Bird List는 인정하지 않는다.[51]
3. 형태
갓 부화한 새끼는 얇고 길며 회색빛을 띤 흰색 솜털로 덮여 있으며, 머리 부분은 더 옅다. 눈앞은 비어 있다. 솜털은 더 어린 새끼일수록 더 회색빛이 강하다. 첫째날개깃, 꼬리 깃털 및 어깨깃은 3주차에 뚜렷해지며, 새끼는 6주 후에 밑부분과 날개 아래에 잔류하는 솜털을 제외하고 대부분 깃털이 나고, 11주가 되면 완전히 깃털이 난다.[56]
호주 해역에서 붉은꼬리열대새는 은갈매기(''Chroicocephalus novaehollandiae'') 또는 다양한 제비갈매기 종류와 혼동될 수 있지만, 더 크고 묵직하며 쐐기 모양의 꼬리를 가지고 있다. 붉은 부리와 더 온전한 흰색 날개는 성체 흰꼬리열대새와 구별된다. 마찬가지로 미성숙한 붉은꼬리열대새는 부분적으로 빨간색 부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미성숙한 흰꼬리열대새와 구별된다.[54]
붉은꼬리열대새는 일반적으로 날 때 조용하다. 구애 과시를 제외하고, 새는 둥지에 도착하거나 떠날 때 짝에게 짧은 인사 소리를 낼 수 있다. 새는 방어 소리로서 낮은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며, 어린 새는 부모가 근처에 있을 때마다 구걸 소리인 반복적인 재잘거림을 낸다.[57]
3. 1. 성체
붉은꼬리열대새의 몸길이는 평균 95cm에서 104cm이며, 여기에는 35cm 길이의 꼬리 깃털이 포함된다. 무게는 약 800g이고, 날개 길이는 111cm에서 119cm이다. 날렵하면서도 탄탄한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깃털은 거의 흰색이고 종종 분홍빛을 띤다.[53][54] 암수의 깃털은 비슷하다.[53] 눈앞에서 시작하여 눈을 지나 귀의 덮깃털까지 짙은 갈색 콤마 모양의 줄무늬가 이어진다.[54] 홍채는 짙은 갈색이다.[55] 부리는 밝은 빨간색이며, 기저부는 약간 옅고 콧구멍 주변은 검은색이다. 다리와 발가락 기저부는 옅은 파란색-자주색을 띠는 반면, 물갈퀴와 나머지 발가락은 검은색이다.[55] 머리와 엉덩이의 흰색 깃털은 어두운 갈색 기저부를 숨기고 있으며, 등, 꼬리 꼬리 깃털 및 꼬리 덮깃털은 어두운 갈색의 줄기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긴 꼬리 깃털은 주황색 또는 붉은색이며, 길이의 약 10분의 1이 흰색 기저부를 가지고 있고,[56] 새가 날 때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흰색 날개에는 셋째날개깃에 갈매기 모양의 짙은 반점이 있으며, 첫째날개깃의 어두운 줄기가 보인다.[54] 분홍빛은 위쪽 날개의 날개깃에서 더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다.[56] 털갈이는 번식기 외에 이루어지며, 꼬리 깃털이 깃털의 나머지 부분보다 먼저 교체된다. 꼬리 깃털은 언제든지 교체되며, 하나가 자라는 동안 다른 하나가 빠진다. 오래된 꼬리 깃털은 번식 군집 주변에 흩어져 있을 수 있다.[55]
전체 길이는 90~105cm이고,[53] 꼬리깃을 제외한 전체 길이는 약 46cm이다.[55] 몸 전체는 흰색이며,[53] 눈 주위와 꼬리깃 기부 아래쪽을 덮는 깃털(하미우)에 검은 반점이 있다.[53] 중앙의 꼬리깃 2개는 붉은색이다.[54] 종소명 ''rubricauda''는 "붉은 꼬리의"라는 뜻이다. 부리는 붉은색이고,[53] 발가락은 검은색이다.[53]
3. 2. 어린 새
어린 붉은꼬리열대새는 광택이 있는 흰색 이마, 턱, 목,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으며,[53] 머리, 목덜미, 등, 엉덩이 및 위쪽 날개 덮깃털에는 눈에 띄는 검은색 줄무늬와 비늘 무늬가 있다.[56] 부리는 검은 회색이며 밝은 파란색-회색 기저부를 가지고 있고, 다리와 발은 회색이다.[53]
4. 분포 및 서식지
붉은꼬리열대새는 남부 인도양, 서부 및 중부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18] 동아프리카 해안에서 인도네시아, 일본 남부 해역, 칠레, 그리고 하와이 제도까지 분포한다.[18] 수온 24°C~30°C, 염도 33.5~35‰ (남반구에서는 35‰ 미만, 북반구에서는 33.5‰ 미만)인 해역을 선호하며,[18] 태평양에서는 분포 지역의 남쪽 경계가 22°C의 여름 표면 등온선을 따라 형성된다.[18]
번식 후에는 널리 흩어지는데, 인도양의 새들은 주로 서풍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19] 강한 바람은 가끔 이들을 육지로 몰아내기도 한다.[18]
팔라우에도 가끔 방문하며, 팔라우 남서부 제도에서 번식이 기록되었다.[25] 1992년 괌에서 처음 기록되었고,[26] 뉴질랜드 본토에는 드물게 나타난다.[2] 북미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캘리포니아와 밴쿠버 섬에서 기록이 있다.[27] 일본에서는 북이오 섬, 서노 섬, 남조도, 남이오 섬에서 번식하며,[54] 오가사와라 제도와 나카노카미 섬에 날아들며, 혼슈 연안부에서도 관찰된 바 있다.[53]
4. 1. 주요 번식지
붉은꼬리열대새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여러 섬에서 번식한다. 주요 번식지는 다음과 같다.해역 | 주요 번식지 |
---|---|
태평양 | 존스턴 환초, 노퍽섬, 로드하우섬, 레이디 엘리엇 섬, 케르마데크 제도, 피지, 뉴칼레도니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하와이, 쿡 제도, 피트케언 섬, 일본 및 칠레 인근 섬[18][20][21][47][53][54] |
인도양 | 유로파 섬, 알다브라, 크리스마스 섬, 마다가스카르, 세이셸, 모리셔스, 코코스 제도, 애쉬모어 암초, 로트네스트 섬, 서호주 주거프록 바위[19][22][23][24] |
4. 2. 한국에서의 관찰
한국에서는 매우 희귀한 나그네새로, 관찰 기록이 드물다.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이오 섬 등지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이 관찰될 가능성이 있다.[53][54]5. 생태
붉은꼬리열대새는 비행 능력이 뛰어나지만, 땅 위에서는 어색하게 뒤뚱거리며 걷는다.[28] 바람을 등지고 정지 비행을 할 수 있으며, 짝짓기 구애 시에는 거꾸로 날거나 서로를 맴돌기도 한다.[29]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한다.[53]
주로 잠수하여 먹이를 찾으며, 수면 위 6m에서 50m 높이에서 잠수하여 약 4.5m 깊이까지 들어간다. 크리스마스 섬 연구에 따르면 평균 26.6초 동안 잠수하며, 보통 먹이를 삼킨 후 수면으로 떠오른다.[36] 때로는 공중에서 날치를 잡기도 한다.[33] 오징어와 날치는 이 새 식단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지역에 따라 일부 갑각류도 포함된다.[33]
체온 조절의 경우 그늘진 둥지에서 낮 동안 알을 품을 때 평균 체온이 39°C이고, 밤에는 37.1°C이다. 둥지 안의 새와 공기 온도는 이 시간 동안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이러한 체온 차이는 활동 수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행 후 평균 체온은 40.9°C이다. 발의 온도는 비행 중에 항상 체온보다 낮지만, 항상 공기 온도보다는 높다. 따라서 붉은꼬리열대새는 발을 통해 비행 중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보인다.[30]
5. 1. 번식
붉은꼬리열대새는 일부일처제로 번식하며, 번식기가 거듭될 때에도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이들은 떨어진 섬, 암석 절벽, 산호 환초, 좁은 섬 등에서 느슨한 집단을 이루어 둥지를 튼다.[36] 둥지는 그늘진 모래[30]나 바위 틈새,[33] 관목 아래에 얕게 긁어 놓은 곳[31]이다. 붉은꼬리열대새는 걷는 데 익숙하지 않아 둥지는 걷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목 가장자리에서 1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31]


번식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33] 적도 근처 섬에서는 보통 6월부터 11월까지 산란이 일어나며, 대부분의 병아리는 1월에서 2월경에 둥지를 떠난다.[33] 퀸즐랜드 외곽의 레이디 엘리엇 섬에서는 겨울에 둥지를 트는데, 이는 시끄러운 제비꼬리바다오리와 같은 철새의 번식 시기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21]
암컷은 알을 한 개 낳으며, 양쪽 부모가 모두 42~46일 동안 알을 품는다.[30][33] 수컷은 일반적으로 알을 낳은 후 처음으로 알을 맡는다. 알은 옅은 황갈색이며 갈색과 적흑색 무늬가 있고, 타원형으로 길이는 5.4cm에서 7.7cm, 너비는 4.5cm에서 4.8cm이다.[41]
무력하게 태어난 병아리는 처음에는 눈을 뜨지 못하다가 2~3일 후에 눈을 뜬다. 양쪽 부모 모두 새끼에게 먹이를 주며,[39] 병아리는 67~91일 동안 둥지에 머물다가 둥지를 떠난다.[33]
5. 2. 먹이
붉은꼬리열대새는 주로 잠수하여 먹이를 찾으며, 수면 위 6m에서 50m 높이에서 잠수하여 약 4.5m 깊이까지 들어간다.[33] 잠수 시에는 잠시 동안 물 속에 머무르는데, 크리스마스 섬 연구에 따르면 평균 26.6초 동안 잠수하며, 보통 먹이를 삼킨 후 수면으로 떠오른다.[36] 때로는 공중에서 날치를 잡기도 한다.[33]오징어와 날치는 이 새 식단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지역에 따라 일부 갑각류도 포함된다.[33] 모잠비크 해협 연구에서는 무게 면에서는 주로 물고기였지만, 물고기와 오징어의 수는 같았다. 기록된 물고기 종류는 mirrorwing flyingfish (''Hirundichthys speculiger'')와 spotfin flyingfish (''Cheilopogon furcatus'') 및 날치과의 몇몇 다른 미확인 종, pompano dolphinfish (''Coryphaena equiselis'')와 만새기 (''C. hippurus''), houndfish를 포함한 바늘고기, 그리고 Hemiramphidae, Scombridae, Carangidae의 미확인 종들이었다. 보라등날개오징어 (''Sthenoteuthis oualaniensis'')가 가장 흔하게 먹히는 두족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common blanket octopus (''Tremoctopus violaceus'')가 뒤를 이었다.[38]
하와이 연구에서는 날치가 먹이 종을 지배했으며, 열대 두날개 날치와 ''Cypselurus'' 속의 종들이 두드러졌고, 그 다음으로는 보라등날개오징어와 유리 오징어를 포함한 Ommastrephidae과의 오징어, 그리고 shortfin scad를 포함한 전갱이류 물고기들이 뒤따랐다.[39] 가시복 (Diodontidae)을 먹는 것으로도 기록되었지만, 성체는 희생된 물고기가 팽창하여 급하게 토해내야 하는 경우 어려움을 겪었다.[40]
크고 강력한 날개와 큰 입, 부리를 가진 붉은꼬리열대새는 크기에 비해 비교적 큰 먹이를 운반할 수 있으며, 부모 새들은 종종 자신의 몸무게의 16%인 120g의 만새기를 새끼에게 물어다 준다.[38]
5. 3. 체온 조절
붉은꼬리열대새는 그늘진 둥지에서 낮 동안 알을 품을 때 평균 체온이 39°C이고, 밤에 알을 품을 때는 평균 체온이 37.1°C이다. 둥지 안의 새와 공기 온도는 이 시간 동안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이러한 체온 차이는 활동 수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행 후 평균 체온은 40.9°C이다. 발의 온도는 비행 중에 항상 체온보다 낮지만, 항상 공기 온도보다는 높다. 따라서 붉은꼬리열대새는 발을 통해 비행 중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보인다.[30]6. 인간과의 관계
마오리족에게 붉은꼬리열대새의 꼬리 깃털은 매우 귀중하게 여겨졌다. 노스랜드 지방의 응아푸히 부족은 동풍이 불어온 후 해안가로 밀려온 죽거나 길 잃은 새들로부터 깃털을 찾아 수집하여, 남쪽 부족들과 그린스톤을 교환했다.[41] 영국의 박물학자 앤드루 블록섬은 하와이에서도 이 깃털을 소중히 여겨, 현지인들이 둥지를 트는 새들로부터 깃털을 뽑아갔다고 기록했다.[42]
붉은꼬리열대새의 생존 개체수는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멸종될 위험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50] 한편 번식지에 쥐류가 침입하는 것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50]
일본에서 최대 번식지인 남이오 섬에서는 해발 300미터 부근까지 둥지를 틀 가능성이 있다는 점, 쥐류의 침입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 등으로 번식지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54] 2017년 시점에서 오키나와현 레드 리스트에서는 위급종 IB류로 판정되었다.[57] 1982년에는 남이오 섬에서 53쌍과 남이오 섬 주변에서 199마리가 확인되었고, 생존 개체수는 200마리 이상으로 추정된다.[54] 북이오 섬에서는 2001년에 6쌍이 확인되었다.[54] 서도에서는 1981년에 번식 사례가 있었지만, 2014년 시점에서는 이후 번식이 확인되지 않았다.[54] 나카노고 섬에서는 1970년대 이후 단독 또는 수 마리가 날아왔지만, 2014년 시점에서는 2000년대 이후 비래수가 감소 추세에 있으며, 날아오지 않는 해도 있다.[54]
7. 보전 상태
붉은꼬리열대새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따르면 20000km2에 달하는 넓은 서식지를 근거로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1] 동태평양 지역의 개체수는 41,000~80,000마리, 유로파 섬에서는 약 9,000마리,[43] 하와이 제도에서는 9,000~12,000마리가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
생존 개체수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멸종될 위험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50]
7. 1. 위협 요인
붉은꼬리열대새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따르면 넓은 서식지를 근거로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1] 하지만 인간의 활동은 일반적으로 서식지 파괴나 외래종 유입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호주에서는 일부 개체군 감소, 인간의 영향, 노란 광대 개미의 크리스마스 섬 점령으로 인해 '준위협'으로 분류되며,[45] 뉴사우스웨일스에서는 취약종으로 지정되어 있다.[46]
- 포식자: 흰배바다수리와 동부 물수리 같은 대형 맹금류, 갈매기, 까마귀, 까마귀속은 알과 새끼를 노린다. 방황하는 붉은부리 열대새가 하와이에서 알 손실을 유발하기도 한다.[18]
- 외래종: 야생 개와 들고양이는 크리스마스 섬에서 둥지를 튼 새를 잡아먹고, 들고양이는 노퍽 섬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쥐는 쿠레 환초에서 큰 피해를 입혔다.[47] 2010년 존스턴 환초에서 발견된 노란 광대 개미는 떼를 지어 번식지를 점령하고 분비물로 새들의 시력을 잃게 한다.[48]
- 화학 물질 오염: 존스턴 환초에서는 존스턴 환초 화학 작제 폐기 시스템(JACADS)이 2000년까지 화학 무기를 소각했다. 연구 결과 생존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공장 하류의 어린 새들은 돌아올 가능성이 낮았다.[49]
- 기후 변화: 2020년 퀸즐랜드 해안 레이디 엘리엇 섬에서 연구자들은 환경 변화가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DNA 샘플 채취, 밴드 부착, GPS 추적 장치 등을 활용하고 있다.[21]
''P. r. rothschildi'' 붉은꼬리열대새는 일본에서 최대 번식지인 남이오 섬에서 쥐류의 침입이 확인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54] 2017년 오키나와현 레드 리스트에서는 위급종 IB류로 판정되었다.[57]
다음은 일본 내 번식 현황이다.
섬 | 번식 현황 |
---|---|
남이오 섬 | 1982년 53쌍, 주변에서 199마리 확인. 200마리 이상 생존 추정.[54] |
북이오 섬 | 2001년 6쌍 확인.[54] |
서도 | 1981년 번식 사례, 2014년 이후 번식 확인 안됨.[54] |
나카노고 섬 | 1970년대 이후 단독 또는 수 마리 비래, 2000년대 이후 감소 추세.[54] |
참조
[1]
간행물
"''Phaethon rubricauda''"
2021-11-19
[2]
서적
Checklist of the birds of New Zealand, Norfolk and Macquarie Islands, and the Ross Dependency, Antarctica
Te Papa Press and Ornithological Society of New Zealand
[3]
서적
Journal of the Right Hon. Sir Joseph Banks Bart., K.B., P.R.S.: During Captain Cook's First Voyage in HMS Endeavour in 1768–71 to Terra Del Fuego, Otahite, New Zealand, Australia, the Dutch East Indies, Etc.
https://biodiversity[...]
Macmillan
1896
[4]
서적
Histoire Naturelle des Oiseaux
De L'Imprimerie Royale
[5]
서적
Planches Enluminées D'Histoire Naturelle
De L'Imprimerie Royale
[6]
서적
Table des Planches Enluminéez d'Histoire Naturelle, de M. d'Aubenton. Avec les denominations de M.M. de Buffon, Brisson, Edwards, Linnaeus et Latham, precédé d'une Notice des Principaux Ouvrages Zoologiques enluminées
https://www.biodiver[...]
Boddaert
[7]
서적
A General Synopsis of Birds
https://biodiversity[...]
Benj. White
[8]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Caroli a Linné
https://biodiversity[...]
Impensis Georg. Emanuel. Beer
1788
[9]
서적
A General History of Birds
https://biodiversity[...]
Jacob and Johnson
[10]
서적
The avifauna of Laysan and the neighbouring islands : with a complete history to date of the birds of the Hawaiian possessions
https://biodiversity[...]
R.H. Porter
[11]
저널
On some changes in names
https://biodiversity[...]
[12]
웹사이트
Kagu, Sunbittern, tropicbirds, loons, pengui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1-27
[13]
백과사전
Amokura
A. R. Shearer, Government Printer
1971
[14]
웹사이트
"Koa'e 'ula or Red-tailed Tropicbird"
https://dlnr.hawaii.[...]
2018-02-19
[15]
저널
Phylogenies of the frigatebirds (Fregatidae) and tropicbirds (Phaethonidae), two divergent groups of the traditional order Pelecaniform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16]
저널
Additions and corrections to my Reference List to the Birds of Australia
https://www.biodiver[...]
[17]
저널
Subspeciation in the red-tailed tropicbird
https://notornis.osn[...]
[18]
저널
The Red-billed Tropicbird ''Phaethon rubricauda'' in Hawaii, with notes on interspecific behavior of tropicbirds
https://www.research[...]
[19]
저널
Transoceanic dispersion of the Red-tailed Tropicbird in the Indian Ocean
https://www.research[...]
[20]
저널
Checklist and Images Documenting the Biodiversity of Johnston Atoll National Wildlife Refuge
2020-03-21
[21]
웹사이트
Lady Elliot Island, Great Barrier Reef sees return of one of world's oldest-known red-tailed tropicbirds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08
[22]
저널
Ecological significance and conservation priorities of Europa Island (western Indian Ocean), with special reference to seabirds
[23]
저널
The biology of tropicbirds at Aldabra Atoll, Indian Ocean
https://sora.unm.edu[...]
[24]
서적
Wildlife of Madagasca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저널
Observations of migrants and other birds in Palau, April–May 2005, including the first Micronesian record of a Richard's Pipit
http://micronesica.o[...]
[26]
저널
Recent bird records for the southern Mariana Islands, with notes on a colony of Black Noddies on Cocos Island, Guam
https://www.research[...]
[27]
서적
Rare Birds of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Red-tailed Tropicbird ''Phaethon rubricauda''
https://www.oiseaux-[...]
Oiseaux-Birds
[29]
웹사이트
Red-tailed Tropicbird ''Phaethon rubricauda''
https://ebird.org/sp[...]
Cornell Lab of Ornithology
[30]
저널
Temperature regulation in the red-tailed tropic bird and the red-footed booby
https://sora.unm.edu[...]
[31]
저널
Nest-site selection by the red-tailed tropicbird
https://sora.unm.edu[...]
[32]
저널
Assortative mating by tail streamer length in red-tailed tropicbirds ''Phaethon rubricauda'' breeding in the Coral Sea
[33]
웹사이트
Red-tailed Tropicbird (''Phaethon rubricauda'')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18-02-11
[34]
저널
Experiments on nesting behavior of the red-tailed tropicbird, ''Phaethon rubricauda''
https://sora.unm.edu[...]
[35]
저널
Diving depths of two tropical Pelecaniformes: The red-tailed tropicbird and the red-footed booby
https://sora.unm.edu[...]
[36]
논문
The Normal Food of Tropic-birds (''Phaëthon'' spp.)
[37]
논문
Comparison of trip duration, activity pattern and diving behaviour by red-tailed tropicbirds (''Phaethon rubricauda'') during incubation and chick-rearing
[38]
논문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 in the feeding ecology of a tropical oceanic seabird, the red-tailed tropicbird ''Phaethon rubricauda''
https://www.int-res.[...]
[39]
논문
Hawaiian Seabird Feeding Ecology
[40]
논문
Comparative Feeding Ecology of Sea Birds of a Tropical Oceanic Island
http://peabody.yale.[...]
[41]
서적
A History of the Birds of New Zealand
http://nzetc.victori[...]
Self
[42]
서적
Voyage of H.M.S. Blonde to the Sandwich islands, in the years 1824–1825
https://archive.org/[...]
John Murray, Albemarle-Street.
[43]
논문
At-sea distributions and abundance of tropicbirds in the eastern Pacific
[44]
논문
Breeding seasons of seabirds at Europa Island (southern Mozambique Channel) in relation to seasonal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45]
서적
The Action Plan For Australian Birds 2000
http://155.187.2.69/[...]
Environment Australia
2018-02-19
[46]
웹사이트
Red-tailed tropicbird – vulnerable species listing
http://www.environme[...]
2011-02-28
[47]
논문
The natural history of Kure Atoll,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https://biodiversity[...]
[48]
웹사이트
One Remote Island's Battle Against Acid-Spewing Ants
http://www.audubon.o[...]
2015-07
[49]
논문
Dispersal and survival rates of adult and juvenile Red-tailed tropicbirds (''Phaethon rubricauda'') exposed to potential contaminants
http://abc.museucien[...]
[50]
간행물
Phaethon rubricauda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51]
웹사이트
Kagu, sunbittern, tropicbirds, loons, penguins, petrels
https://www.worldbir[...]
2020
[52]
문서
アカオネッタイチョウ
日本鳥学会
[53]
문서
ネッタイチョウ・ペリカン・カツオドリ・グンカンドリ類種名表
平凡社
[54]
서적
アカオネッタイチョウ
ぎょうせい
[55]
서적
絶滅危惧の野鳥事典
東京堂出版
[56]
서적
山渓ハンディ図鑑7 新版 日本の野鳥
山と溪谷社
[57]
문서
アカオネッタイチョウ
沖縄県文化環境部自然保護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