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날다람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날다람쥐는 다리와 팔 사이에 비막이 있어 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아시아 토착종이다. 털은 짙은 붉은색을 띠며, 아프가니스탄, 인도 북부, 파키스탄, 자와섬, 대만 등지에 분포하며, 18종의 아종이 존재한다. 아종과 지역에 따라 외모가 다르며, 흰배날다람쥐, 윈난날다람쥐 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 붉은날다람쥐는 주로 야행성이며, 나무 구과, 잎, 가지 등을 먹고, 100~150m, 최대 450m까지 활공한다. 일 년에 두 번 짝짓기를 하며, 타이완에서는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다람쥐속 - 메추카날다람쥐
메추카날다람쥐는 붉은날다람쥐 또는 인도날다람쥐의 일부로 여겨졌으나,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별개의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제기된 날다람쥐이며, 현재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 - 날다람쥐속 - 미슈미날다람쥐
- 1766년 기재된 포유류 - 야크
야크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산 환경에 적응한 육중한 체격의 소속 포유류이며, 젖, 털, 고기 등을 얻기 위해 몽골과 티베트 등지에서 가축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전통 축제나 관광 상품으로도 활용된다. - 1766년 기재된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붉은날다람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속 | 날다람쥐속 |
종 | 붉은날다람쥐 (P. petaurista) |
명명 | |
학명 | Petaurista petaurista |
명명자 | (Pallas, 1766) |
보전 상태 | |
IUCN | 관심 필요 |
IUCN 기준 | 3.1 |
IUCN 참고 | Duckworth, J.W. (2016). "Petaurista petaurist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16723A22429343. 2020년 2월 14일에 확인함. |
분포, 모습 및 분류 | |
분포 | IUCN에 의해 보고된 붉은색 범위는 본문 참조 |
아종 | |
하위 | 본문 참조 |
설명 | Petaurista petaurista albiventer Petaurista petaurista bidoupensis Petaurista petaurista brachyura Petaurista petaurista candidula Petaurista petaurista caroli Petaurista petaurista castanea Petaurista petaurista cicur Petaurista petaurista electilis Petaurista petaurista grandis Petaurista petaurista hainana Petaurista petaurista melanotus Petaurista petaurista nigrescens Petaurista petaurista nitida Petaurista petaurista petaurista Petaurista petaurista philippensis Petaurista petaurista pygerythra Petaurista petaurista rubicunda Petaurista petaurista senescens Petaurista petaurista tawiensis Petaurista petaurista yunanensis |
이미지 | |
![]() | |
![]() |
2. 특징
다른 날다람쥐류와 마찬가지로 다리와 팔 사이에 비막이 있어서 나무 사이를 활강할 수 있다. 진한 붉은색 털과 큰 눈이 특징적이다. 다른 다람쥐류와 비교하여 크며, 평균 몸길이가 42cm이고 가늘고 긴 꼬리를 갖고 있다. 검은 코와 턱, 귀 뒤, 발과 꼬리 끝 등을 제외하고 몸 전체적으로 짙은 붉은색을 띤다.[42]
아프가니스탄부터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을 거쳐 자와섬과 대만, 스리랑카에서도 발견된다. 보르네오섬 일부 지역, 페낭과 티오만섬, 싱가포르를 포함한 말레이 반도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43] 키나바탄간 강 북쪽의 산다칸 만 주변 지역 숲에서만 알려져 있는 아종 ''P. p. nigrescens''의 분포 지역을 제외하고, 사바와 사라왁 전역과 키나발루 산 해발 최대 900m 높이까지 많은 지역에서도 보고된다.[44] 날다람쥐속(''Petuarista'' sp.)는 동남아시아에서 종 다양성과 개체수 다양성이 가장 높다.[45]
붉은날다람쥐는 18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으며, 외형과 분포 지역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일부 아종 그룹은 별도의 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붉은날다람쥐는 가장 큰 날다람쥐 중 하나이자 가장 긴 다람쥐 중 하나이다. 머리와 몸통 길이는 28.5cm이며, 꼬리 길이는 34cm이고, 무게는 약 990g이다.[3][6] 각 지역 내에서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약간 작다(적어도 무게면에서).[5][7]
외모는 아종과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3]
3. 분포
4. 아종
아종 P. p. petaurista P. p. albiventer P. p. batuana P. p. candidula P. p. cicur P. p. interceptio P. p. lumholtzi P. p. marchio P. p. melanotus P. p. nigrescens P. p. nigricaudatus P. p. nitidula P. p. penangensis P. p. rajah P. p. rufipes P. p. stellaris P. p. taylori P. p. terutaus
4. 1. Nominate subspecies group
붉은날다람쥐(''엄밀한 의미에서'')는 명명 아종 그룹(''P. p. petaurista'' 및 이 그룹에서 언급된 아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종)을 지칭한다. 이 그룹은 순다 열도와 분포가 거의 일치하는데, 자바, 수마트라, 보르네오, 태국-말레이 반도, 인근의 작은 섬들과 싱가포르를 포함한다. 싱가포르의 마지막 기록은 1986년이며, 아마 절멸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5][8][9] 이들은 보통 해발 900m 미만의 저지대와 산기슭에 서식한다.[3][10]
명명 그룹에 속하는 붉은날다람쥐는 등쪽이 중간에서 어두운 적갈색을 띠며, 얼굴을 포함한 하체는 밝은 오렌지빛 갈색에서 황갈색을 띤다. 꼬리는 적갈색 또는 오렌지빛 갈색이고 꼬리 끝은 검은색이다. 발/손, 눈 주위, 코 근처는 검은색이다. 이 그룹의 여러 아종들은 대개 매우 유사하며, 주로 상체와 하체의 정확한 색조와 크기 차이로 구분된다. 가장 어두운 종의 경우, 상체는 적갈색 털과 섞여 검은색 털을 가진다.[5][8][10] 자바에서는 꼬리의 대부분(꼬리 끝뿐만 아니라)이 검은색일 수도 있다.[5]
태국 본토에서 안다만 해의 코 타루타오에 서식하는 ''terutaus''와 미얀마 남부 테나세림 주 및 인접한 태국 서부에 분포하는 ''taylori'' 두 아종은 명명 아종 그룹과 ''barroni–candidula'' 아종 그룹의 중간 형태를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명명 아종 그룹과 비슷하지만, 상체에 회색 반점이 있고 머리 부분이 더 흰색을 띠어 ''barroni–candidula'' 그룹에 더 가깝다.[8][11]
명명 아종 그룹에 속하는 아종들은 상당히 유사하며 같은 종으로 보이지만, 순다 열도 지역 밖의 모든 개체군(그룹)에 대해서는 상당한 분류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2][4]
4. 2. ''Barroni–candidula'' subspecies group
''barroni–candidula'' 아종 그룹은 태국 중부 및 남동부, 라오스 남부, 미얀마, 태국 북부, 인도 북동부(동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 동부 아삼주 및 나갈랜드주)와 방글라데시 동부에 분포한다.[8][11][12][18][19][20][21]
이 아종 그룹에 속하는 붉은날다람쥐는 목덜미에서 엉덩이까지 몸 중앙 부분이 흰색 털로 덮여 있어 얼룩덜룩한 밤색을 띤다. 목을 포함한 하체는 흰색이다. 꼬리 끝은 검은색이며, 꼬리 자체는 황갈색-회색(''candidula'') 또는 회갈색(''barroni'')을 띤다. 머리 대부분은 회백색이지만, 눈 주위에는 검붉은 고리가 있다.[8][11][19] 이러한 특징 때문에 남다파날다람쥐와 혼동되기도 한다.[19]
''barroni–candidula'' 아종 그룹은 붉은날다람쥐 중에서도 중간에서 큰 크기에 속하며, 붉은날다람쥐 전체 측정 범위 중 상위권에 해당한다.[8][19]
4. 3. 흰배날다람쥐 (''P. albiventer'')
흰배날다람쥐(''P. albiventer'')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에서 시작하여 서부 및 중앙 히말라야 지역을 거쳐 파키스탄 북부, 인도 북부, 그리고 네팔까지 분포한다.[23] 과거에는 중국 윈난성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별도의 종(윈난자이언트날다람쥐)으로 인식된다.[23][24] 네팔에서는 해발 150m에서 1500m 고도 사이에서 발견되지만, 파키스탄에서는 1350m에서 3050m 고도에서 발견되며, 서식지의 상한선은 수목 한계선과 일치한다.[3][23]
등 쪽은 붉은 마호가니 또는 붉은 밤색이며, 흰색 털이 많아 얼룩덜룩하다. 배 쪽은 옅은 황갈색에서 흰색이며, 목과 뺨은 흰색이다. 꼬리는 갈색이고 종종 끝이 검은색이며, 발과 손은 검은색이다.[3][23][25] 파키스탄 카간 계곡에서는 흑색증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23] 흰배날다람쥐는 중간에서 큰 크기로, 붉은날다람쥐의 측정치 중간에서 상위 범위에 해당한다.[3]
1950년대 이후 대부분의 학자들은 ''albiventer''를 붉은날다람쥐의 아종으로 분류했다.[4] 그러나 2000년대 초 여러 유전자 연구 결과, ''albiventer''는 ''yunanensis'' 그룹의 구성원과 비교적 가깝지만 다른 날다람쥐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4][15] 그 결과, 최근에는 흰배날다람쥐(''P. albiventer'')를 별도의 종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barroni'' 또는 ''yunanensis'' 그룹의 구성원을 아종으로 포함하기도 한다.[3][23][24]
4. 4. 윈난날다람쥐 (''P. yunanensis'')
윈난날다람쥐(''P. yunanensis'')는 인도 북동부 고지대(적어도 아루나찰프라데시 북부 및 동부[27]), 중국 윈난성 북서부 및 시짱 자치구 남동부[24], 미얀마, 라오스 북부, 베트남 북부에 분포한다. 하지만 마지막 세 국가에서의 정확한 분포 범위는 불확실하다.[11]
이 그룹에 속하는 날다람쥐들은 짙은 적갈색 등, 등 윗부분과 머리 쪽으로 더 어두워지는 특징, 회색 또는 적갈색 기저부를 가진 검은색 꼬리, 갈색-검은색 발/손, 주둥이 및 눈 주위를 가진다. 아랫부분은 밝은 황토색-황갈색이며 목은 희끄무레하다. ''yunanensis''의 경우, 머리 꼭대기에서 엉덩이까지 이어지는 중앙 윗부분에 크림색-흰색 가드 헤어가 넓게 흩어져 있어 얼룩덜룩하게 보인다.[3][24]
윈난날다람쥐는 중간에서 큰 크기이며, 붉은날다람쥐의 측정값 중 중간에서 상위 범위에 속한다.[3][12][24]
이전에는 ''yunanensis''만이 인식되었고, 붉은날다람쥐 또는 인도 거대날다람쥐의 아종으로 취급되었으며, ''hainana'', ''rubicundus'', ''rufipes'' 등을 동의어로 포함하기도 했다.[4][29] 2006년 유전 연구를 통해 ''yunanensis''가 흰배날다람쥐(''albiventer'')와는 가깝지만 다른 날다람쥐들과는 관련이 멀다는 것이 밝혀졌다.[15] 이에 따라 최근 일부 학자들은 윈난날다람쥐를 별도의 종(''P. yunanensis'')으로 인정하고 있다.[3][26]
4. 5. ''Rubicundus'' and ''rufipes''
''rubicundus''와 ''rufipes''는 모두 중국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rubicundus''는 간쑤성, 산시성, 쓰촨성의 중앙 지역에, ''rufipes''는 푸젠성,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윈난성의 남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rufipes''는 라오스 북부 및 베트남 북부 국경과 매우 가까운 지역에서도 발견되지만, 두 국가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5][12][30]
이들은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아종 그룹의 구성원과 유사하지만, 갈색(검은색 아님) 발/손을 가지고 있다. 특히 ''rufipes''는 윗부분이 더 녹슨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꼬리 전체가 녹슨색 또는 황갈색(검은색 꼬리 끝 없음)이다.[5]
4. 6. 포르모사큰날다람쥐 (''P. grandis'')
포르모사큰날다람쥐(''P. grandis'')는 타이완(역사적으로 포르모사로 알려짐)에 서식하며, 해발 100m~2500m에서 발견되지만 주로 500m~2000m에서 발견된다.[30][32] 타이완큰날다람쥐(''P.'' (''alborufus'') ''lena'')와 서식지가 상당 부분 겹치고 함께 나타나기도 하지만, 포르모사큰날다람쥐가 더 낮은 고도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타이완 섬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큰날다람쥐들이다.[30][32]
포르모사큰날다람쥐는 머리를 포함한 등 쪽이 어두운 적갈색이며, 목을 포함한 하체는 오렌지색 황토색이다. 꼬리는 적갈색 기저부를 제외하고 검은색이다. 크기는 비교적 작으며, 붉은큰날다람쥐에 대해 보고된 측정 범위에서 낮은 쪽에 속한다.[33]
1950년대 이후, ''grandis''는 인도큰날다람쥐의 아종으로 가장 자주 포함되었으며, 때로는 붉은큰날다람쥐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했다.[4] 2006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붉은큰날다람쥐와는 상당히 가깝지만, 다른 큰날다람쥐와는 상당히 먼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15] 이는 다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으며,[17] 최근 학계에서는 붉은큰날다람쥐의 아종으로 분류하거나 포르모사큰날다람쥐 (''P. grandis'')라는 자체 종으로 인정하고 있다.[4]
5. 생태 및 습성
붉은날다람쥐는 주로 야행성이며, 해 질 녘 직전에 활동을 시작하여 동틀 무렵에 잠자리에 든다. 때때로 오전 중반까지 활동하기도 한다.[10] 낮에는 보통 지상 10m 이상 높이에 있는 나무 구멍에서 시간을 보내지만,[10] 바위 틈새나 나무에 있는 나뭇잎 둥지에서 지내기도 한다.[5] 인도 남다파 국립공원에서 7개의 둥지를 연구한 결과, 한 나무 구멍은 지상 35m 높이에 있었고, 나머지 구멍들은 지상 15m에서 21m 사이에 있었다.[34] 붉은날다람쥐와 코뿔새는 때때로 같은 나무 구멍을 놓고 경쟁하기도 한다.[23]
먹이는 주로 침엽수 구과와 잎, 가지 등이며 계절에 따라 열매와 견과, 곤충을 먹기도 한다. 긴 거리를 활강할 수 있는데, 최대 450m까지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다.[23] 보통 나무 사이를 100m에서 150m까지 활공하며,[3][35] 대부분의 활공 거리는 50m를 넘지 않는다. 활공은 대부분 상층 수관에서 시작되며, 중간 또는 하층 수관에서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다. 활공 각도는 보통 14–22°이므로 출발 높이보다 훨씬 낮은 지점에 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지 높이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3m 이상이며, 대개는 훨씬 더 높다.[35]
일 년에 두 번 짝짓기를 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암컷은 보통 일 년에 한 번 번식을 한다. 2월과 8월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47]
6.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붉은날다람쥐를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40] 넓은 분포 지역과 비교적 흔한 개체수를 가지고 있으며, 알맞은 서식지 파괴가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위협 요인이 없기 때문이다.[40]
참조
[1]
iucn
Petaurista petaurista
https://www.iucnredl[...]
2020-02-14
[2]
iucn
Petaurista petaurista
https://www.iucnredl[...]
2020-02-14
[3]
book
Gliding Mammals of the World
CSIRO Publishing
[4]
journal
Gliding Mammals – Taxonomy of Living and Extinct Species
https://figshare.com[...]
[5]
book
Squirre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journal
Glide angle in the genus Petaurus and a review of gliding in mammals
[7]
journal
Reproductive Biology of the Red-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in Taiwan
http://ntur.lib.ntu.[...]
[8]
journal
A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he red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Sciuridae, Sciurinae, Pteromyini), in mainland Southeast Asia with the first record from Lao PDR
[9]
웹사이트
Red Giant Flying Squirrel
https://www.ecologya[...]
ecologyasia.com
2020-02-14
[10]
book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The Sabah Society
[11]
book
A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Flying Squirrels in the Eastern and Western Trans-Himalayas
University of Florida
[13]
journal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woolly flying squirrel (Rodentia: Sciur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14]
journal
A Preliminary Study on Molecular Phylogeny of Giant Flying Squirrels, Genus Petaurista (Rodentia, Sciura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15]
journal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he Petaurista philippensis complex (Rodentia: Sciuridae), inter- and intraspecific relationships inferred from molecular and morphometric analysis
[16]
journal
Phylogenetics of Petaurista in light of specimens collected from northern Vietnam
[17]
journal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Petaurista Inferred from the Cytochrome b Gene, with Implications for the Taxonomic Status of P. caniceps, P. marica and P. sybilla
[18]
journal
First Record of Red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from Sakaerat Biosphere Reserve, Thailand
[19]
journal
Why the Red Giant Glid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is often mistaken for the Namdapha Gliding Squirrel Biswamoyopterus biswasi (Mammalia: Rodentia: Sciuridae) in Namdapha National Park, Arunachal Pradesh, India
[20]
journal
First camera-trap record of Small-toothed Palm Civet Arctogalida trivirgata from India
[21]
journal
Occurrence of the red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etarista: Sciuridae) in Bangladesh
[22]
Sciuridae
[23]
book
Mammals of South Asia
Universities Press, India
[24]
journal
Geographic Variation of the Large Red Flying Squirrel, Petaurista albiventer (Gray, 1834) (Rodentia: Sciuridae),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in Southwestern China
[25]
book
Sciuridae (Order: Rodentia) in Nepal
Small Mammals Conservation and Research Foundation, Kathmandu, Nepal
[26]
journal
The correct spelling of the nomen of the Yunnan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yunanensis Anderson, 1875 (Rodentia, Sciuridae)
[27]
journal
Diversity, Distribution and Status of Gliding Squirrels in Protected and Non-protected Areas of the Eastern Himalayas in India
[28]
journal
A new flying squirrel of the genus Petaurista from Arunachal Pradesh in north-east India
[29]
Sciuridae
[30]
book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journal
Cranial morphometric study of four giant flying squirrels (Petaurista) (Rodentia: Sciuridae) from China
http://www.bioline.o[...]
[32]
journal
Phylogeography of two sympatric giant flying squirrel subspecies, Petaurista alborufus lena and P. philippensis grandis (Rodentia: Sciuridae), in Taiwan
[33]
journal
Body Size Comparison of Two Giant Flying Squirrel Species in Taiwan
[34]
journal
Nesting trees of the Red Giant Glid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Mammalia: Rodentia: Sciuridae) in a tropical forest of Namdapha National Park, India
[35]
journal
Gliding performance of the red giant glid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in the tropical rainforest of Indian eastern Himalaya
[36]
논문
Behaviour of Yunnan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yunnanensis) at a mineral lick in Yunnan, China
[37]
논문
Food Availability and Food Habits of Indian Giant Flying Squirrels (Petaurista philippensis) in Taiwan
[38]
논문
A New Pollination Syndrome - Squirrel Pollination in a Tropical Rainforest in Lambir Hills National Park, Sarawak, Malaysia
[39]
논문
Home range and activity of the Indian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hilippensis) in Taiwan: influence of diet, temperature, and rainfall
http://ntur.lib.ntu.[...]
[40]
간행물
Petaurista petaurista
[41]
문서
MSW3 Sciuridae
[42]
서적
A field guide to mammals of Borneo.
The Sabah Society and World Wild Fund, Kota Kinabalu
[43]
서적
Mamalia Semenanjung Malaysia
Department of Wildlife and National Parks, Kuala Lumpur
[44]
서적
A field guide to mammals of Borneo
The Sabah Society and World Wild Fund, Kota Kinabalu
[45]
서적
Mammals Species of The World: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Lawrence, Kansas:Allen Press, Inc. and The Assoc. of Systematic Collection
[46]
논문
The behaviour and activity pattern of giant squirrels(Petaurista p.grandis')
[47]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the Red-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in Taiw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