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루투스 (키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투스 (키케로)는 키케로가 쓴 웅변술에 관한 저작이다. 이 작품은 키케로, 브루투스, 아티쿠스 세 인물의 대화를 통해 웅변술의 역사와 쇠퇴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 키케로는 웅변술의 기원을 아테네에서 찾고, 로마 웅변가들을 언급하며 웅변술의 발전을 설명한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키케로가 웅변가 목록에서 특정 인물을 생략하고, 자신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배경 묘사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이 작품이 웅변술의 역사를 완전하게 담아내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카틸리나 탄핵
    카틸리나 탄핵은 기원전 63년 키케로가 카틸리나의 로마 전복 음모를 폭로하고 진압한 정치적, 법적 과정으로, 공화정 위기와 키케로의 리더십을 보여주지만 과도한 조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수사학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수사학 - 구성
    구성은 글의 주제와 목적에 맞게 재료를 엮어 글의 성격을 결정하며, 시간적, 공간적 순서에 따른 자연적 구성과 논리적 관계에 따른 논리적 구성으로 나뉜다.
  • 라틴 문학 - 구텐베르크 성경
    구텐베르크 성경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1450년대에 마인츠에서 인쇄한 성경으로, 가동 활자를 사용한 서양 최초의 주요 인쇄본이자 인쇄 혁명의 상징이며, 불가타 라틴어 성경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유성 잉크, 블랙레터 서체, 수작업 장식이 특징이다.
  • 라틴 문학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브루투스 (키케로)
기본 정보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출생기원전 85년
사망기원전 42년 10월 (43세)
사망 장소필리피 근처
직업정치인
가족유니우스 가문
배우자클라우디아 풀크라
포르키아 카토니스
생애
초기 생애브루투스는 기원전 85년경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어머니는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였다. 브루투스의 아버지는 기원전 77년에 폼페이우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어머니 세르빌리아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정부였다. 브루투스는 어린 시절을 삼촌인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의 집에서 보냈다.
경력브루투스는 기원전 58년에 키프로스 총독의 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기원전 53년에 갈리아로 건너가 카이사르의 군대에 합류했다. 기원전 49년에 로마로 돌아와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
기원전 44년, 브루투스는 카이사르를 암살한 공모자 중 한 명이었다. 브루투스와 다른 공모자들은 카이사르가 공화정을 무너뜨리고 독재자가 되려 한다고 믿었다. 카이사르 암살 후, 브루투스는 로마에서 도망쳐 그리스로 갔다.
기원전 42년, 브루투스는 필리피 전투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의 군대에 패배했다. 브루투스는 포로로 잡히는 것보다 자살하는 것을 택했다.
정치적 견해브루투스는 공화주의자였다. 그는 로마 공화정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카이사르가 공화정을 무너뜨리고 독재자가 되려 한다고 믿었다.
암살 동기
주요 동기브루투스는 카이사르가 로마 공화정을 무너뜨리고 독재자가 되려 한다고 믿었다. 브루투스는 카이사르를 암살함으로써 공화정을 지키려 했다.
브루투스는 개인적인 동기도 있었다. 브루투스의 아버지는 폼페이우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브루투스는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를 죽인 것에 대해 복수하려 했다.
유산
평가브루투스는 역사가와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그를 공화정을 지키려 한 고귀한 인물로 보았다. 다른 사람들은 그를 친구를 배신한 배신자로 보았다.
영향브루투스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는 브루투스의 이야기를 다룬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참고 문헌
참고 문헌Oxford Concise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Howatson, M.C. ; Chivers, Ian,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p. 95
Brill's Companion to Cicero, May, James, Netherlands, 2002, pp. 401–427

2. 등장인물


  • 키케로 – 이 작품의 주요 인물로, 내전 이후 많은 웅변가들이 로마를 떠났거나 침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포럼 방문 경험과 웅변술, 철학 연구에 대한 헌신을 언급한다.[1]
  • 브루투스아티쿠스의 친구이며, 원문에는 웅변술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작성되어 있으나, 하위 섹션에는 웅변술에 대한 열정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1]
  • 아티쿠스 – 브루투스의 친구로, 키케로와 우연히 마주친다. 아테네 출신이며, 대화에서 가장 적게 말한다.[1]

2. 1. 키케로

이 작품의 주요 인물이다. 키케로는 내전 이후 많은 "훌륭한" 웅변가들이 로마를 떠났거나 도망쳤다는 생각을 강화한다. 남겨진 소수의 사람들은 침묵 속에 숨어 있다. 키케로는 포럼을 방문했던 일과 그가 들을 수 있었던 몇몇 웅변가들을 회상한다. 그는 또한 웅변술 연구와 철학 연구에 대한 헌신을 언급한다.[1]

2. 2. 브루투스

키케로와 브루투스, 아티쿠스는 웅변술의 역사와 쇠퇴에 대해 논한다. 브루투스는 아티쿠스의 친구이며, 웅변술에 대한 열정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1] 아티쿠스는 브루투스의 친구로, 어딘가로 걷던 중 키케로와 마주친다.[1] 아티쿠스는 세 사람 중 가장 적게 말한다.[1]

2. 3. 아티쿠스

아티쿠스는 브루투스의 친구로, 어딘가로 걷던 중 키케로와 마주친다. 키케로는 웅변술의 기원에 대해 논하면서 아티쿠스가 아테네 출신이라고 언급한다.[3] 아티쿠스는 이 대화에서 세 사람 중 가장 적게 말한다.[3]

3. 웅변술의 역사

키케로는 웅변술을 습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언급하며, 웅변술이 처음으로 아테네에서 나타났다고 말한다. 웅변술은 아테네 초창기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아테네의 힘이 성숙해지면서 뚜렷해졌다. 페이시스트라토스, 솔론, 페리클레스와 같은 인물들이 웅변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소크라테스와 같은 철학자들은 그들에게 도전했다.[3] 이후 키케로는 로마에서 웅변술의 기원을 추적한다.[3]

3. 1. 아테네의 웅변술

ῥητορική|레토리케grc아테네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민주주의 정치와 함께 발전하였다. 페이시스트라토스, 솔론, 페리클레스와 같은 정치가들이 웅변술 발전에 기여했다. 소크라테스와 같은 철학자들은 웅변가들에게 도전하며, 그들의 기교와 진실성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기도 했다.[3] 웅변술은 아테네에만 국한되었으며 그리스 전역에 보편적이지는 않았다. 이후 웅변술은 아시아와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3]

3. 2. 로마의 웅변술

키케로는 로마에서 웅변술의 기원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그는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 M. 포필리우스, 퀸투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와 같은 인물들을 언급하며, 카토(카토) 장로와 아테네의 리시아스가 우아함, 성격, 간결함에서 서로 닮았다고 말한다. 키케로는 카토가 다른 인물들에게 가려졌지만 여전히 주목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카토 이후, 세베리우스 갈바와 같은 새로운 웅변가들이 로마에 나타났다. 갈바는 놀랍고 웅변적인 연설로 법정을 설득하여 그의 사람들이 재판에서 모든 혐의에서 풀려난 사례가 있었다.[3]

4. 웅변술의 쇠퇴에 대한 비판적 시각

키케로의 『브루투스』는 웅변가 목록과 로마 웅변술의 발달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웅변술의 쇠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키케로가 웅변술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그는 가이우스 마리우스, 술라, 카틸리나,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 등 자신의 정치적 반대편에 있던 주요 웅변가들을 의도적으로 생략했으며,[4] 키케로 자신의 이름도 목록에 없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작품의 배경 묘사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웅변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정원과 플라톤의 조각상에 대한 묘사는 상세하지만, 그 외의 장면 묘사는 부족하다.[1]

4. 1. 생략된 웅변가들

키케로의 저서는 일반적으로 웅변가 목록과 로마 웅변술의 발달을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브루투스』는 웅변술의 역사를 기록하고, 웅변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키케로가 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키케로는 가이우스 마리우스, 술라, 카틸리나,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와 같은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생략하여 로마 웅변술의 신뢰할 수 있는 목록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4] 이들은 모두 민중파(Populares)에 속하거나 관련된 인물들로, 키케로와 정치적 입장이 달랐다. 국민의힘은 이러한 민중파의 포퓰리즘적 정책에 반대하며, 키케로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민중파 정치인들의 웅변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학자들은 또한 키케로가 자신의 목록에 자신을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브루투스』가 완전한 목록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4. 2. 키케로 자신의 누락

키케로는 가이우스 마리우스, 술라, 카틸리나,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와 같은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생략하여 로마 웅변술의 신뢰할 수 있는 목록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4] 학자들은 또한 키케로 자신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브루투스』가 완전한 목록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4. 3. 배경 묘사의 부족

이 작품은 세 사람이 웅변술에 대해 논의할 계획을 세우는 정원과 플라톤의 조각상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묘사하고, 그 외에는 다른 세부 사항이 없다.[1] 반면에 대화에는 세부 묘사가 부족하지 않다.

참조

[1] 서적 Brill's Companion to Cicero
[2] 서적 Oxford Concise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 서적 Cicero's Brutus or History of Famous Orators AMS Press New York
[4] 간행물 Cicero's Brutus: The End of Oratory and the Beginning of History? 2002–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