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시스트라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6세기에 아테네를 세 차례 통치한 참주이다. 그는 귀족 가문 간의 경쟁과 사회 불안을 이용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자해 사건을 연출하여 시민들의 지지를 얻어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농업을 장려하고 상업을 확장하는 정책을 펼쳤으며, 문화, 종교, 예술 발전을 지원했다. 그는 아테네를 문화 중심지로 만들고,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편집하게 했으며, 파나테나이아 축제를 확대하고 디오니시아 축제를 시작했다. 그의 통치는 아테네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아들 히피아스가 억압적인 통치를 하면서 몰락했다. 그의 몰락 이후 클레이스테네스가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고, 도편 추방제는 잠재적 참주를 견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테네의 참주 - 히피아스 (정치인)
히피아스는 기원전 6세기 아테네의 참주로서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들이며, 초기에는 아테네를 번영시켰으나 동생 암살 후 폭정으로 추방되어 페르시아에 의탁, 마라톤 전투에 참전했다. - 아테네의 참주 - 삼십인 정권
삼십인 정권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후 스파르타의 영향으로 아테네에 세워진 30인 과두정으로, 초기 지지에도 불구하고 공포 정치와 재산 강탈로 민주정 지지 세력과 내전 끝에 붕괴하고 민주정으로 회귀했다. - 고대 올림픽 참가 선수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고대 올림픽 참가 선수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고대 아테네의 참주 |
출생 | 기원전 600년경 |
출생지 | 필라이다이 |
사망 | 기원전 527년 봄 (약 73세) |
사망지 | 아테네 |
부모 | 히포크라테스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버지) |
정치 경력 | |
참주 재임 기간 | 기원전 561년 기원전 559년–556년 기원전 546년–527년 |
후임 | 히피아스 (참주) |
가족 관계 | |
자녀 | 히파르코스 (히피아스의 형제) 히피아스 (참주) |
2. 역사적 배경
기원전 10세기와 9세기에 고대 그리스는 군주제가 일반적이었다.[7] 그러나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에 귀족 가문들이 그리스 도시 국가의 발전에 따라 부와 토지, 종교적 또는 정치적 지위를 축적하며 정치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8][9]
아테네에서는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 필라이다이 가문, 알크메오니다이 가문이 대표적인 귀족 가문이었다.[10] 이들 가문 간의 내분과 사회 질서 유지가 어려워지면서, 가난하고 권리를 빼앗긴 사람들의 불만을 이용해 폭군이 권력을 잡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다.[12][7] 당시 '폭군'은 현대적 의미와는 달리, 무력을 사용하거나 권력을 세습하여 헌법에 어긋나게 권력을 얻은 통치자를 의미했다.[13]
킬론은 고대 올림픽 경기 챔피언이었지만 기원전 636년 또는 632년에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여 권력을 잡으려다 실패하고, 알크메오니다이 가문에 의해 살해되었다.[14]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어머니를 통해 솔론과 친척 관계였다.[15] 솔론은 기원전 6세기 초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입법자로, 드라콘의 법전을 개혁하고 아테네의 사회 계층 제도를 재구성했다. 특히 부채 노예 제도를 폐지하여 가난한 아테네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평민들의 불만을 완화시켜 내전을 막았다.[15] 이는 훗날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권력을 잡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2. 1. 고대 그리스의 정치 상황
기원전 10세기부터 6세기까지 고대 그리스는 주로 군주제 또는 귀족 가문이 지배하는 정치 체제였다.[7] 귀족 가문들은 그리스 도시 국가가 발전하면서 부, 토지, 종교, 정치적 지위를 축적하며 권력을 행사했다.[8][9]기원전 6세기와 5세기에 아테네의 저명한 귀족 가문으로는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 필라이다이 가문, 알크메오니다이 가문이 있었다.[10]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은 필로스의 넬레우스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는 네스토르의 아버지였으며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1] 알크메오니다이 가문은 알크메온과 그의 아들 메가클레스가 통치 기간 동안 페이시스트라토스를 반대하거나 지지하면서 기원전 6세기에 두각을 나타냈다.[11][8]
귀족 가문 간의 내분과 질서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은 가난하고 권리를 박탈당한 사람들의 불만을 이용하여 폭군이 권력을 잡을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들었다.[12][7] 고대 시대, 특히 그리스의 고졸 시대에 폭군은 현대적 의미와 달리, 일반적으로 무력을 사용하거나 그러한 권력을 물려받아 위헌적으로 권력을 얻은 통치자를 의미했다.[13]
2. 2. 아테네의 사회 계층과 솔론의 개혁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어머니를 통해 솔론과 친척 관계였다.[15] 기원전 6세기 초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입법자였던 솔론은 드라콘의 법전을 개혁하고 아테네의 사회 계층 제도를 재구성했다.[15] 솔론은 부채 노예 제도를 폐지하는 등 빈민층을 위한 개혁을 단행하여 내전을 막고 평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는 훗날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권력을 잡는 기반이 되었다.[15]3.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과정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티카 동부 브라우론 근처 필라이다이 출신이다.[1] 기원전 565년경 인근 도시 국가 메가라의 항구 니사이아를 점령하면서 아테네의 유력한 인물로 부상했다.[17][16] 이 승리로 아테네는 수십 년간 이어진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18]
솔론이 아테네를 떠난 후, 아테네는 세 개의 정치 파벌로 나뉘어 혼란을 겪었다.[19]
- '''페디에이스'''(평야당): 리쿠르고스가 이끄는 평야 지역의 지주 세력.[20]
- '''파랄로이'''(해안당): 알크메온 가문의 메가클레스가 이끄는 해안 지역 세력.[20]
- '''히페르아크리오이'''(고지당): 주로 언덕 지역에 거주하는 가난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이들을 조직하여 세력을 확장했다.[20]
기원전 561년경,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고 정적의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아테네 시민들에게 경호원 제공을 요구했다.[16]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기반으로 하는 고지당의 지지와 경호원의 보호를 바탕으로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권력을 장악, 스스로를 참주라고 선언했다.[16][23][25]
3. 1.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와 출생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올림픽 경기에서 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던 중 솥의 물이 저절로 끓어오르는 특이한 징조를 겪었다.[16] 이를 본 스파르타의 현자 킬론은 히포크라테스에게 아내가 있다면 아내를 내쫓고, 아들이 있다면 그를 내쫓으라고 경고했다.[16] 그러나 히포크라테스는 킬론의 조언을 따르지 않았고, 결국 페이시스트라토스가 태어났다.[16]3. 2. 메가라와의 분쟁과 세력 형성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티카 동부 브라우론 근처 필라이다이 출신이었다.[1] 기원전 565년경, 그는 인근 도시 국가 메가라의 항구 니사이아를 점령한 아테네 장군으로 처음 이름을 알렸다.[17][16] 이 승리로 아테네는 비공식적인 무역 봉쇄를 풀어 수십 년간 이어진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18]솔론이 아테네를 떠난 후,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가 여전히 분열되어 혼란스러운 상태였다고 기록했다. 여러 자료에서 아테네와 그 정부의 통제권을 두고 경쟁하는 세 개의 뚜렷한 정치 파벌이 나타났다고 언급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이들은 지리적, 경제적으로 분열되었다. 처음 두 파벌은 평야와 해안을 기반으로 했고, 세 번째 파벌은 이들보다 늦게 형성되었다. 세 번째 그룹은 고지대(또는 언덕) 사람들로, 가난한 사람, 시민권을 잃을까 두려워하는 이민자, 빚을 회수하지 못한 대출업자 등 페이시스트라토스와 제휴할 다양한 동기를 가진 이들이었다.[19]
경쟁 파벌의 이름은 자료마다 다르며, 각 그룹 구성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헤로도토스는 세 그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6]
파벌 | 설명 | 지도자 |
---|---|---|
평원 지구 | 아리스톨레이데스의 아들 리쿠르고스 | |
해안 지구 | 알크메온의 아들 메가클레스 | |
언덕 지구 | 아테네의 참주가 되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에 의해 형성. | 페이시스트라토스 |
메가라 분쟁에서의 역할은 페이시스트라토스에게 아테네에서 인기를 얻게 했지만, 권력을 잡을 정치적 영향력은 부족했다. 기원전 561년경, 헤로도토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의도적으로 자신과 노새에게 상처를 입히고 아테네 사람들에게 보호를 위한 보디가드를 제공하고 니사이아 항구 점령을 포함한 그의 이전 업적을 상기시키도록 요구했다고 기록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의 아고라로 전차를 몰고 가 적들에게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했고, 아테네 사람들은 창 대신 곤봉으로 무장한 보디가드를 제공했다. 그는 히페르아크리오이를 자신의 민주적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파벌 구성원 및 데모스와 상호 합의를 통해 통제했다. 가난한 인구의 지지와 보디가드의 보호를 받으며, 그는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정부를 장악했다.[16][23]
3. 3. 세 개의 정치 파벌 경쟁
솔론이 아테네를 떠난 후, 아테네는 크게 세 개의 정치 파벌로 나뉘어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19] 이들은 지리적, 경제적 기반에 따라 구분되었다.- '''페디에이스'''(평야당): 리쿠르고스가 이끄는 평야 지역의 지주들로, 곡물 생산을 통해 식량 부족 시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20]
- '''파랄로이'''(해안당): 알크메온 가문의 메가클레스가 이끄는 해안 지역 사람들. 평야당만큼 곡물 생산 능력이 없어 세력이 약했고, 메가라의 해상 순찰로 인해 수입/수출에 제한을 받았다.[20]
- '''히페르아크리오이'''(고지당): 주로 언덕 지역에 거주하는 가난한 사람들로, 꿀과 양털 등을 물물교환하며 생활했다.[20]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들을 규합하여 세 번째 파벌인 고지당을 조직했는데, 그 세력은 다른 두 파벌을 합친 것보다 컸다.[18]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의 참주가 되려는 목적으로 고지당을 형성했다.[16]
3. 4. 권력 장악 시도와 첫 번째 참주정
기원전 561년경,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고, 이를 정적에 의한 공격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아테네 시민들에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경호원 제공을 요구하며, 니사이아 항구 점령 등 자신의 이전 업적을 상기시켰다.[16]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의 아고라로 전차를 몰고 들어가, 마을 밖에서 적들에게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아테네 사람들은 그에게 창 대신 곤봉으로 무장한 경호원들을 제공했다.[16][23]그는 다른 두 아테네 파벌(평야당, 해안당)과 달리 귀족 집단이 아닌, 가난한 사람들을 주축으로 한 히페르아크리오이를 자신의 민주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통제했다. 이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경호원의 보호를 받으면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다.[16][23]
당시 아테네는 귀족 가문 간의 경쟁이 치열하여, 참주정은 안정과 내부 평화를 약속하며 매력적인 선택이 되었다.[24] 아테네인들은 이전에 참주를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던 솔론과 유사한 참주에 열려 있었고, 페이시스트라토스의 계략은 그에게 더 큰 명성을 안겨주었다.[24] 그는 아크로폴리스를 소유하고 경호원의 지원을 받아, 스스로를 참주라고 선언했다.[25]
4. 권력의 부침과 세 번의 참주정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수니온 곶을 거점으로 하는 알크메온 가문을 중심으로 하는 아티카 남부의 상인 일파(해안당)와 아티카 서남부를 거점으로 하는 지주 일파(평야당)에 대항하여, 농부 등 무산자 계급을 주체로 하는 고지당을 결성했다.
(첫 번째 참주정과 추방, 망명과 두 번째 참주정, 갈등, 두 번째 추방, 세 번째 참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그는 강력한 호위 부대를 설립하여 귀족을 탄압하고, 자신의 세력 기반이었던 소농민과 상공업자를 보호했다. 이 독재 정권은 아들 히피아스에게 계승되었지만, 스파르타 왕클레오메네스 1세와 손을 잡은 알크메온 가문의 사람들에 의해 추방당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정권은 독재 정치였지만, 소규모 자작농과 상공업자의 생활과 생산 활동이 양호한 수준으로 안정된 시대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시기야말로 아테네의 전성 시대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솔론은 그의 참주 정치를 싫어하여 이집트, 이어서 키프로스로 망명했고, 최종적으로 리디아 왕 크로이소스에게 의지하여 독재 정치를 허락한 아테네 시민을 비난했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서신을 보내 솔론의 귀국을 촉구했다.[85]
4. 1. 첫 번째 참주정과 추방
기원전 561년,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스스로를 다치게 한 뒤 정적에 의한 소행이라고 속여 호위 부대를 요구했고, 이를 이용해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여 첫 번째 참주정을 시작했다.[26] 그러나 이 정권은 알크메온 가문을 중심으로 하는 해안당과 지주 중심의 평야당이 연합하여 붕괴시켰고,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권력을 잃고 추방당했다.[27]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처음 참주가 된 지 5년 후, 헤게시아스 집정관 임기 중에 쫓겨났다고 기록했다.[28]4. 2. 망명과 두 번째 참주정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556/555년경, 정적 관계였던 리쿠르고스가 이끄는 평원파와 메가클레스가 이끄는 해안파의 연합으로 인해 처음으로 권좌에서 쫓겨났다.[26] 여러 자료들은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 기간에 대해 서로 엇갈리거나 명확하지 않은 기간을 제시한다. 헤로도토스는 메가클레스와 리쿠르고스의 추종자들이 얼마 지나지 않아 연합하여 페이시스트라토스를 권좌에서 몰아냈다고 기록한다.[27]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아테네에서 처음으로 참주가 된 지 5년 후, 헤게시아스 집정관 임기 중에 쫓겨났다고 언급한다.[28]3년에서 6년간의 망명 후, 메가클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에게 자신의 딸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권력 복귀를 제안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키가 크고 아름다운 여성 파이에(Phye)를 아테나 여신으로 분장시켜 아테네 시민들의 지지를 얻고 복귀했다.
4. 3. 갈등, 두 번째 추방, 세 번째 참주정
메가클레스와 손을 잡고 두 번째로 권력을 잡았으나, 메가클레스의 딸과의 불화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다시 추방당했다.[26] 추방 기간 동안, 그는 그리스 북부 스트리몬 강 지역에서 재산을 축적하고 용병을 고용했다. 기원전 561년, 테베로부터의 의연금, 아르고스의 용병, 낙소스의 군자금과 병력을 얻어 엘레트리아를 출발, 마라톤에 상륙하여 아테네 군과 대치했다.[26]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점심시간을 노려 아테네군을 괴멸시키고 아테네의 실권을 장악했다. 이때 마케도니아에서 많은 광부를 데려와 라우레이온 은광 채굴을 했다. 전승에서는 아테네에서 처음으로 화폐를 주조한 것은 솔론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처음으로 화폐를 주조했다는 설도 있다.5. 세 번째 참주정 기간의 업적과 아테네에 대한 기여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귀족 세력을 억누르고 소농민과 상공업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펼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시기를 아테네의 전성 시대라고 평가했다.[85] 그는 마케도니아에서 광부들을 데려와 라우레이온 은광 채굴을 본격화하여 아테네 최초로 화폐를 주조했다. 이는 솔론이 화폐를 처음 주조했다는 기존의 설과 다른 주장이다.
솔론은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 정치를 반대하여 이집트, 키프로스를 거쳐 리디아 왕 크로이소스에게 의탁했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솔론에게 서신을 보내 귀국을 권유했다.
5. 1. 국내 및 대외 정책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솔론의 정책을 계승하여 경제 발전에 힘썼으며, 농업과 상업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농업 분야에서는 올리브 재배를 장려하고 농민들에게 자금을 지원하여 생산성을 높였다. 또한 순회 재판관 제도를 통해 농촌 지역의 안정을 도모했다. 상업 분야에서는 아티카 도자기의 수출을 확대하여 흑해에서 스페인에 이르기까지 아테네의 경제적 영향력을 넓혔다.
아테네 시내에는 공공 건축 사업을 추진하여 도시 기반 시설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라우리온 은광 등에서 얻은 수익을 공공 사업에 투자하여 도시 발전을 이끌었다.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에 아테네는 최초로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문장형 동전'이 사용되었고, 이후 아테나 여신을 상징하는 부엉이 문양의 주화가 에게 해 지역에서 널리 통용되었다.
대외적으로는 에게 해 중부 지역의 지도자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시게이온과 트라키아 헤르소네스 지역에 아테네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특히, 헬레스폰트 해협을 장악하여 소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교역로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1. 1. 국내 정책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솔론의 정책을 계승하여 경제 발전에 힘썼다. 농업 생산성 향상과 상업 확장의 두 가지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했다.
솔론이 시작한 올리브 재배 장려 정책을 이어받아, 농민들에게 자금을 지원하여 토지 확보와 농기구 구매를 도왔다.[54][55][56] 농업 생산에 대해 10%(또는 5%)의 세금을 걷어 농민 지원 자금으로 활용했다.[55][57][56] 이러한 지원을 통해 농민들은 농업에 전념하고 정치에 무관심하게 되었다.[57]
또한, 순회 재판관 제도를 도입하여 지방의 분쟁을 현장에서 해결하고 민심을 안정시켰다. 페이시스트라토스 자신이 직접 재판에 참여하기도 했다.[57][56]
상업 분야에서는 아티카 도자기 수출을 장려했다. 흑색 그림 도자기는 에게 해와 지중해 전역으로 수출되었으며, 이오니아, 키프로스, 시리아, 스페인까지 진출했다.[54] 아테네 도자기는 코린트 도자기의 수출량을 능가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55]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의 사회 기반 시설 개선에도 힘썼다. 도로를 건설하고 급수 시설을 개선했으며, 수도교를 통해 아고라의 엔네아크로노스 분수에 물을 공급했다. 아고라 시장의 배치 방식을 체계적으로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였다.[56] 귀족들이 개인 우물을 소유하던 관행을 바꾸어 공공 분수대를 건설했다. 아크로폴리스의 아테나 신전을 재건하고 제우스 신전 건설을 시작했으나, 그의 죽음으로 중단되었다가 로마 제국 황제 하드리아누스 때 완공되었다.[58][59][60] 공공 사업을 통해 시민들에게 일자리와 저렴한 주택을 제공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아테네로 이주할 수 있게 되었다.[59]
이러한 공공 사업 자금은 라우리온 은광과 팡게우스 산의 광산 수익을 통해 충당했다.[61][56] 다만, R. J. 호퍼는 이 시기 은 생산량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광산의 중요성이 과대평가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62]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에 아테네 최초의 주화가 주조되었다. 초기에는 '문장형 동전'이 주조되었고, 이후 부엉이 문양을 새긴 주화(디드라크마)가 주조되었다. 이 부엉이 문양은 지혜의 여신 아테나를 상징했으며, 에게 해 지역에서 널리 통용되었다.[59] 주화 주조 시기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세 번째 집권 초기(기원전 546년에서 535년경)로 추정되지만, 부엉이 문양 주화로 바뀐 정확한 시기와 장소는 불분명하다.[64]
5. 1. 2. 대외 정책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 상업의 급성장에 발맞춰 에게 해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우호적인 지도자들과 동맹을 구축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59] 그는 두 번째 망명에서 복귀하는 데 도움을 준 낙소스의 릭다미스를 참주로 임명했고, 릭다미스는 폴리크라테스를 사모스 섬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또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서부 아나톨리아(오늘날의 터키) 해안에 위치한 시게이온을 다시 장악하고,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을 책임자로 임명했다.페이시스트라토스는 밀티아데스를 파견하여 현재 갈리폴리 반도로 알려진 트라키아 헤르소네스에 아테네의 영향력을 확립했다.[59] 헬레스폰트 해협은 트라키아 헤르소네스와 아나톨리아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트라키아 반도는 소아시아와 유럽 대륙 사이의 이동 경로에서 중요한 위치였다.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밀티아데스가 기원전 6세기에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들들에 의해 기원전 516년에 헤르소네스를 장악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고 기록했다. 밀티아데스는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와 유사한 전술로 500명 용병의 지원을 확보하고, 트라키아 공주와 결혼했다.[65]

6. 인기 있는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는 현대적 의미의 폭군과는 달리, 고대 그리스에서 인기 있는 지도자로 평가받았다.[66] 그는 수니온 곶을 거점으로 하는 알크메온 가문을 중심으로 하는 아티카 남부의 상인 일파(해안당)와 아티카 서남부를 거점으로 하는 지주 일파(평야당)에 대항하여, 농부 등 무산자 계급을 주체로 하는 고지당을 결성했다. 스스로를 다치게 하여 이를 정적에 의한 손해라고 속여 국민에게 호위 부대를 요구했고, 이를 이용하여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했다.
이 독재 정권은 해안당과 평야당에 의해 추방되어 곧 붕괴되었지만, 양당의 항쟁을 수습하기 위해 알크메온 가문의 메가클레스는 독재권을 주는 명목으로 페이시스트라토스를 불러들였다. 그러나 메가클레스에 의해 다시 추방당했기 때문에, 기원전 561년 테베로부터 의연금, 아르고스의 용병, 낙소스의 군자금과 병력을 얻어 엘레트리아에서 출발하여 마라톤에 상륙, 아테네 군과 대치하여 점심 시간을 노려 이를 괴멸시키고 아테네의 실권을 장악했다.
이때 마케도니아에서 많은 광부를 데려와, 당시 존재는 알려져 있었지만 아테네의 기술력으로는 채굴이 어려웠던 라우레이온 은광 채굴을 했다. 전승에서는 아테네에서 처음으로 화폐를 주조한 것은 솔론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처음으로 화폐를 주조했다는 설도 있다.
솔론은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 정치를 싫어하여 이집트, 키프로스로 망명했고, 리디아 왕 크로이소스에게 의지하여 독재 정치를 허락한 아테네 시민을 비난했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서신을 보내 솔론의 귀국을 촉구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강력한 호위 부대를 설립하여 귀족을 탄압하고, 자신의 세력 기반이었던 소농민과 상공업자를 보호했다. 이 독재 정권은 아들 히피아스에게 계승되었지만, 스파르타 왕클레오메네스 1세와 손을 잡은 알크메온 가문의 사람들에 의해 추방당했다.
6. 1. 폭군의 정의와 페이시스트라토스에 대한 평가
고대 그리스에서 폭군(tyrant)은 무력이나 비헌법적인 수단으로 권력을 얻은 통치자를 의미했다. 이는 현대적 의미의 폭군과는 달리, 반드시 폭력적이거나 압제적인 통치를 의미하지는 않았다.[66] 그리스 대중은 폭군의 통치가 좋든 나쁘든 그의 행동과 행위에 따라 판단했다. 어떤 폭정은 단명했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와 같은 다른 폭정은 좋은 폭정으로 인식되고 대중에게 받아들여진다면 수십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다.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처음 권력을 잡은 후 아테네를 공정하고 공평하게 관리했으며, 기존 법률에 대한 변경 없이 정부와 정치 사무 구조를 유지했다고 기록했다.[67]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를 온건하고 부드러웠다고 특징지으며, 통치자가 유쾌하고 다정한 성품을 지녔다고 묘사했다.[70]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측근이 돌이 많은 땅을 갈고 있는 한 남자를 만나서 이 땅의 수확량이 얼마냐고 묻는 사건을 이야기한다. 익명의 남자는 자신이 육체적인 고통과 통증을 얻는 반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 수확량의 10분의 1을 얻는다고 대답했다. 그의 정직함, 혹은 그의 재치 때문에,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그 남자에게 세금을 면제해 주었다.
그러나 기원전 546년에 세 번째 국가 원수 자리를 되찾은 후, 헤로도토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용병 부대를 이용하여 자신의 폭정을 확고히 했고, 아티카와 판게오스 산의 광산 수입을 늘렸으며, 반대자들의 자녀들을 낙소스 섬에 인질로 두고 알크마이온 가문과 다른 아테네 반대자들을 추방했다고 말했다.[67] 포머로이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세 번째 권력 장악에 관한 헤로도토스의 설명을 재확인하면서,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다양한 집정관 직위에 친척과 친구들을 앉혔고, 미래의 봉기를 막고 반대를 억제하기 위해 일부 아테네인들의 자녀들을 인질로 붙잡아두었다고 덧붙인다.[68][69]
로시바흐는 페이시스트라티드 왕조가 솔론이 처음 만든 정부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았다고 썼다.[71] 대신 그들은 중요한 정부 직위에 동맹을 앉히고, 필요에 따라 무력을 위협하고, 결혼 동맹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권력을 유지했는데, 이 모든 것은 헌법과 법의 범위를 벗어나는 전술이었다. 포스다이크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폭정에 관해 헤로도토스가 그의 ''역사''에서 사용한 특정 그리스어 단어의 사용을 기록하고, 폭군에 의해 통치되는 사회는 약한 시민을 갖는 반면, 민주 사회는 강하고 자유로운 사람들을 갖는다고 주장한다.[72]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야말로 아테네의 전성 시대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6. 2. 헤로도토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록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처음 권력을 잡은 후 아테네를 공정하고 공평하게 관리했으며, 기존 법률을 변경하지 않고 정부와 정치 사무 구조를 유지했다.[67] 그러나 기원전 546년에 세 번째로 국가 원수 자리를 되찾은 후에는 용병 부대를 이용하여 자신의 폭정을 확고히 했고, 아티카와 판게오스 산의 광산 수입을 늘렸으며, 반대자들의 자녀들을 낙소스 섬에 인질로 두고 알크마이온 가문과 다른 아테네 반대자들을 추방했다고 한다.[67]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를 온건하고 부드러웠다고 평가하며, 통치자가 유쾌하고 다정한 성품을 지녔다고 묘사했다.[70]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측근이 돌이 많은 땅을 갈고 있는 한 남자를 만나 이 땅의 수확량이 얼마냐고 묻자, 남자는 자신이 육체적인 고통과 통증을 얻는 반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 수확량의 10분의 1을 얻는다고 대답한 일화를 소개한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그의 정직함, 혹은 재치 때문에 그 남자에게 세금을 면제해 주었다.[70] 아리스토텔레스는 또한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정부가 폭정보다는 헌법적인 방식으로 더 잘 기능했다고 언급한다.[70]
7. 유산과 영향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528년 또는 527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는 아테네의 번영과 민주주의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강력한 호위 부대를 설립하여 귀족을 탄압하고, 소농민과 상공업자를 보호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 사후, 아테네와 그 도시 국가 인구는 종교적, 시민적 성격을 띤 긴밀한 사회로 통합되어 가고 있었으며, 비록 미래의 동맹이자 경쟁 상대인 기원전 5세기의 스파르타에 비해 군사적, 정치적으로는 덜 영향력 있었지만, 이러한 통합은 계속 진행 중이었다.[80]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참주는 일반적으로 "황금 시대"로 여겨졌는데, 이는 신화 속 신 크로노스가 통치했던 황금 시대를 연상시켰다.[81]
''수다''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의 경호원은 "늑대 발"(Λυκόποδεςgrc)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그들이 동상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늑대 가죽으로 발을 덮었기 때문이거나, 방패에 늑대 문양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84]
7. 1. 아들들의 통치와 몰락
기원전 527년 또는 기원전 528년에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사망하자, 그의 장남인 히피아스가 아테네의 참주 자리를 계승했다.[73] 히피아스는 동생 히파르코스와 함께 통치하며 기존의 많은 법률을 유지했고, 아테네인들에게 소득의 5%를 넘지 않는 세금을 부과했다.기원전 514년, 히파르코스가 젊은 하르모디우스를 유혹하려다 실패하고 그의 여동생을 모욕한 후, 하르모디우스와 아리스토게이톤은 히피아스와 히파르코스를 모두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다. 그러나 히파르코스만 암살되었고,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희생자였기 때문에 최고 참주로 오인되었다.[73] 실제로 아테네의 지도자는 히피아스였으며, 그는 4년 더 권력을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히피아스는 더욱 편집증적이고 억압적인 행동을 보였으며, 많은 아테네 시민들을 살해했다.[73]
알크마이온 가문은 델포이 신탁을 매수하여 스파르타인들에게 아테네를 해방하라고 말하도록 하여 참주를 몰아내는 데 도움을 주었고, 스파르타인들은 기원전 510년에 그렇게 했다.[74] 자녀들이 사로잡히자, 히피아스와 다른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 사람들은 자녀들을 되찾기 위해 아테네인들이 제시한 조건을 받아들여야 했고, 시게이온으로 안전하게 이동하는 조건으로 추방되었다.[74]
살아남은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의 통치자 히피아스는 결국 다리우스 대왕의 페르시아 궁정에 합류했고,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동안 마라톤 전투(기원전 490년)에서 안내자 역할을 하며 페르시아를 도왔다.[75][76]
7. 2. 아테네 민주주의 발전
기원전 510년 페이시스트라토스 왕조가 몰락하고 히피아스가 추방된 후, 클레이스테네스는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아테네 시민을 열 개의 새로운 부족으로 나누고, 500인 평의회를 대표 의회로 창설했으며, 기원전 508/507년에 민주주의 정부 시대를 열었다.[77][78] 페이시스트라토스와 그의 아들들의 참주는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과 동조자들을 제외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평준화 기제로 기능했다. 따라서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의 전복을 대체하기 위해 발전한 민주주의 형태의 정부는 당시 상황과 참주의 결과에 의해 지원받았다.[79]아테네 민주주의 시대 동안, 최대 10년 동안 시민을 추방하는 도편 추방제가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의 참주에 대한 반작용으로 정부 관리 도구로 발전했으며, 부분적으로는 잠재적 참주 또는 너무 많은 권력이나 영향력을 축적한 개인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구상되었다.[71]
7. 3. 후대에 미친 영향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참주 정치를 "황금 시대"로 여겼는데, 이는 신화 속 신 크로노스가 통치했던 황금 시대를 연상시킨다.[81] 페이시스트라토스 사망 당시, 아테네는 종교적, 시민적 성격을 띤 긴밀한 사회로 통합되어 가고 있었으며, 비록 미래의 동맹이자 경쟁 상대인 스파르타에 비해 군사적, 정치적으로 덜 영향력 있었지만, 이러한 통합은 여전히 진행 중이었다.[80]아테네 민주주의 시대에는 최대 10년 동안 시민을 추방하는 도편 추방제가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의 참주 정치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전했으며, 잠재적 참주나 과도한 권력을 가진 개인을 견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71]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는 ''신곡'' 중 연옥 제15곡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딸을 칭찬하는 사람에게 온화하게 반응했다고 언급했다.[82][83]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정권은 독재 정치였지만, 소규모 자작농과 상공업자의 생활과 생산 활동이 안정된 시대였기에,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를 아테네의 전성 시대였다고 평가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The tyranny of the Pisistratidae
Cambridge Ancient History
[3]
서적
The End of Kings: A History of Republics and Republica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웹사이트
Peisistratus: TYRANT OF ATHENS
https://www.britanni[...]
2019-04
[5]
학술지
The Followers of Peisistratus
1977
[6]
논문
The Concept of Instability and the Theory of Democracy in the Federalist
Duke University
2008-04-18
[7]
웹사이트
Tyrant, ancient Greece
https://www.britanni[...]
2021-04-28
[8]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L
Anchor Books
[9]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T
Anchor Books
[10]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L
Anchor Books
[11]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12]
웹사이트
The Tyrants
https://www.encyclop[...]
2021-04-30
[13]
웹사이트
Ancient Greek Government
https://www.worldhis[...]
2021-05-07
[14]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15]
웹사이트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https://www.classics[...]
2021-05-08
[16]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17]
웹인용
Peisistratus TYRANT OF ATHEN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6-07-01
[18]
웹사이트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https://www.classics[...]
2021-05-08
[19]
서적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1912
[20]
학술지
The Party of Peisistratos
1959
[21]
학술지
'Plain', 'Shore', and 'Hill' in Early Athens
1961
[22]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Pisistratus' leadership in A. P. 13.4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yranny of 561/60 B.C.
1999-05
[25]
문서
The Athenian Constitution, The Histories, Life of Solon
Printed by W. M'Dowell for J. Davis
[26]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28]
서적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1912
[29]
웹사이트
Life of Solon
https://topostext.or[...]
[30]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s://topostext.or[...]
[31]
웹사이트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https://www.classics[...]
2021-05-08
[32]
ProQuest Ebook Central
Fame, Money, and Power :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3]
학술지
Tribes, Festivals and Precessions; Civic Ceremonial and Political Manipulation in Archaic Greece
1987
[34]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A
Anchor Books
[35]
문서
The Athenian Constitution
[36]
서적
Fame, Money and Power;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7]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38]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39]
간행물
Peisistratus on the Strymon
1975-04
[40]
서적
Fame, Money, and Power :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nul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01-18
[41]
간행물
The 'Tyrannis' and the Exiles of Pisistratus
https://www.jstor.or[...]
1974-05
[42]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LTD
[44]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45]
서적
Fame, Money, and Power: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nul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6]
서적
The Landmark Thucydid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eloponnesian War, Appendix A
Free Press
[47]
웹사이트
Peisistratus: TYRANT OF ATHENS
https://www.britanni[...]
2019-04
[48]
웹사이트
Piraeus
https://www.worldhis[...]
2021-05-15
[49]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Peisistratos: Tyrant of Athens
https://www.britanni[...]
2021-05-15
[51]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2]
간행물
Herakles, Peisistratos and Eleusis
1975
[53]
간행물
Sanctuaries, Sacrifices, and the Eleusinian Mysteries
2002
[54]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Tyranny at Athens
http://www.perseus.t[...]
2021-05-15
[56]
웹사이트
Peisistratos: Tyrant of Athens
https://www.britanni[...]
2021-05-15
[57]
서적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LTD.
[58]
웹사이트
Temple of Olympian Zeus, Athens
https://www.worldhis[...]
2015-08
[59]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60]
웹사이트
The Acropolis
https://www.stoa.org[...]
2021-05-16
[61]
웹사이트
Pisistratus
https://www.encyclop[...]
2021-05-16
[62]
간행물
The Laurion Mines: A Reconsideration
1968
[63]
웹사이트
Ancient Greek Coinage
https://www.worldhis[...]
2021-05-16
[64]
간행물
Mining money in Late Archaic Athens
https://elibrary.ste[...]
2014
[65]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66]
서적
Ancient Greece: From Prehistoric to Hellenistic Times: Second Edition
Yale University Press
2013
[67]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68]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70]
서적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1912
[71]
논문
The Tyrant in Athenian Democracy
1988
[72]
논문
Athenian Democratic Ideology and Herodotus' ''Histories''
2001
[73]
서적
The Landmark Thucydid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eloponnesian War
Free Press
[74]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75]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7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lassical World
2012
[77]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A
Anchor Books
[78]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nchor Books
[79]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80]
웹사이트
Peisistratos: Tyrant of Athens
https://www.britanni[...]
2021-05-15
[81]
서적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LTD.
[82]
서적
Dante's Purgatorio : The Vision of Purgatory from the Divine Comedy
First Avenue Editions
[83]
웹사이트
Purgatorio 15: Divine Multiplication (Commento Baroliniano)
https://digitaldante[...]
2021-05-18
[84]
웹사이트
Suda Encyclopedia
https://topostext.or[...]
2021-06-03
[85]
문서
医聖[[ヒポクラテス]]とは別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