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브라더 (198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 브라더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로, 전체주의 사회에서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권력을 상징한다. 빅 브라더의 기원은 여러 가지 설이 있으며, 스탈린, 히틀러와 같은 독재자, 또는 영국의 정보부 장관 브렌던 브래큰, H. G. 웰스의 소설 《별의 아이》 등이 영감의 원천으로 거론된다. 소설 속에서 빅 브라더는 실존 인물인지, 당이 만들어낸 허상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으며,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을 통해 묘사된다. 소설 출판 이후, 빅 브라더는 과도한 감시와 통제를 비판하는 은유로 사용되었으며, 애플의 광고, 리얼리티 프로그램, 중국의 사회 신용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 사회에서는 과거 군사독재 시절 정보기관의 감시, 현대 사회의 디지털 감시 사회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마 영화 등장인물 - 제이 개츠비
제이 개츠비는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의 등장인물로, 데이지 부캐넌의 마음을 얻기 위해 부를 쌓았지만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며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드라마 영화 등장인물 - 스칼렛 오하라
스칼렛 오하라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인공으로, 남북 전쟁과 혼란 속에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며 강인하고 자기중심적인 성격, 물질주의적인 면모, 세 번의 결혼, 렛 버틀러와의 파국, 애슐리 윌크스에 대한 헛된 사랑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1984 (소설) - 오세아니아 (1984)
오세아니아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에 등장하는 가상의 전체주의 국가이며, 빅 브라더를 최고 지도자로 하여 이중사고와 신어 등의 수단을 통해 사회를 통제하고, 유라시아와 지속적인 전쟁을 벌인다. - 1984 (소설) - 메모리 홀
빅 브라더 (1984) | |
---|---|
일반 정보 | |
![]() | |
창조자 | 조지 오웰 |
성별 | 남성 |
직업 | 오세아니아의 지도자 |
소설 속 역할 | |
첫 등장 | 《1984년》 (1949년) |
상징 | 권위주의적인 감시 체계 |
모토 | 빅 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
특징 | |
묘사 | 소설 속에서 직접적인 묘사는 거의 없으며,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을 통해 이미지만 제시됨 |
사상 | 잉소크 (영국 사회주의)의 핵심 이념을 대변하는 존재 |
영향력 |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전체주의 국가의 상징으로 널리 인식됨 |
관련 용어 | |
빅 브라더 | 감시 사회, 개인 정보 침해 등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
텔레스크린 | 소설 속에서 감시를 위해 사용되는 양방향 통신 장치 |
사상 경찰 | 개인의 사상과 행동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조직 |
2. 기원
빅 브라더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 베넷 광고: 앤서니 버지스는 자신의 소설 ''1985''에서 조지 오웰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Bennett's라는 회사의 교육 통신 강좌 광고 빌보드에서 빅 브라더의 이름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주장한다.[3]
- 브렌던 브래큰: 빅 브라더가 정보부 장관 브렌던 브래큰에게서 영감을 받았다는 이론이 있다.[3]
- H. G. 웰스의 소설: 1937년 H. G. 웰스의 소설 ''별의 아이''에서 빅 브라더의 아이디어를 차용했을 수 있다는 이론이 있다.[6]
- 소련의 영향: 소련의 "형제 국가" 이데올로기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는 이론이 있다.[7]
-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1922)에서 예언자 엘리야가 신을 "저 위에 계신 빅 브라더, 대통령 각하"라고 부른 것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는 이론이 있다.[8]
2. 1. 스탈린과 히틀러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의 더글러스 켈너는 빅 브라더가 요제프 스탈린, 스탈린주의, 아돌프 히틀러, 나치즘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4][5]작중 전체주의 국가 오세아니아에서 1984년 시점에 군림하는 독재자는 검은 머리에 검은 콧수염을 기른 인물로 묘사되는데, 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서기장이자 소련의 최고 권력자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을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브렌던 브래큰
또 다른 이론은 빅 브라더가 정보부 장관 브렌던 브래큰에게서 영감을 받았다는 것이다. 조지 오웰은 BBC에서 브래큰 밑에서 일하면서 전시 검열과 정보 조작에 불만을 품었다.[3] 브래큰은 그의 직원들에게 관례적으로 그의 이니셜인 B.B.로 불렸는데, 이는 빅 브라더 캐릭터와 동일한 이니셜이다.2. 3. 베넷 광고
앤서니 버지스는 자신의 소설 ''1985''의 에세이에서 조지 오웰이 빅 브라더의 이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Bennett's라는 회사에서 교육 통신 강좌를 광고하는 빌보드에서 얻었다고 주장한다. 원래 포스터에는 J. M. 베넷 자신이 등장하여 "내가 당신의 아버지가 되겠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학생 지망생들에게 안내와 지원을 제공하는 자상한 노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버지스에 따르면 베넷 사후 그의 아들이 회사를 물려받았고, 포스터는 (아버지의 자상한 모습과 대조적으로 위압적이고 엄격해 보이는) 아들의 사진과 "내가 당신의 빅 브라더가 되겠습니다"라는 문구로 대체되었다.[3]2. 4. H. G. 웰스의 소설
빅 브라더의 아이디어는 1937년 H. G. 웰스의 소설 《별의 아이》에서 차용되었을 수도 있는데, 이 소설에서 "빅 브라더"는 평범한 사람들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신비한 의인화"의 가상적인 예시로 언급된다.[6]2. 5. 소련의 영향
소련은 "형제 국가" 또는 "형제 국가"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있었는데, 여기서도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러시아는 어린 형제들(다른 국가)을 지켜보는 빅 브라더로 자처했다. "빅 브라더" 또는 "큰 형"이라는 이데올로기적 단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 소련 공화국에서 매우 잘 알려지고 사용되었다.[7]2. 6.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1922) "키르케" 에피소드에서 예언자 엘리야는 신을 "저 위에 계신 빅 브라더, 대통령 각하"라고 부른다.[8]3. 소설 속 묘사
빅 브라더는 소설 속에서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을 통해 끊임없이 그 존재를 드러낸다. 작중 전체주의 국가 오세아니아에서 빅 브라더는 1984년 시점에 군림하는 독재자로 묘사된다. 오세아니아를 지배하는 엘리트(당내국원)들은 권력 유지를 위해 국민(당외국원 및 프롤레)에게 독재 권력을 행사하며, 빅 브라더는 이 엘리트들의 정점에 있는 존재로 여겨진다.
오세아니아 주민들은 텔레스크린을 비롯한 여러 수단을 통해 당국의 철저한 감시를 받는다. 이들은 곳곳에 붙어 있는 포스터 속 빅 브라더의 모습과 "위대한 형제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Big Brother is watching you|빅 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영어)"[22]라는 슬로건을 통해 끊임없이 감시받고 있음을 인지한다. 포스터와 텔레스크린 속 빅 브라더는 검은 머리에 검은 콧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서기장이자 소련의 최고 권력자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을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빅 브라더는 45세 정도의 남성으로 포스터 등에 등장하지만, 그의 본명이나 실존 여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당의 선전에 따르면 빅 브라더는 실존 인물이며, 이매뉴얼 골드스타인과 함께 당을 창설하고 1950년대 핵전쟁 이후 사회주의 혁명을 이끌었다고 한다. 그러나 관련 기록은 모두 당에 의해 조작되어 진실을 알 수 없다.[23]
1960년대 중반, 혁명 초기 지도자들은 빅 브라더를 제외하고 모두 반혁명 혐의로 체포, 숙청되었다. 이매뉴얼 골드스타인의 저서 『과두제집산주의의 이론과 실제』에 따르면, 빅 브라더는 국민의 사랑, 공포, 존경을 받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이다.[24] 실제로는 빅 브라더와 같은 독재자가 아닌, 무명의 당 엘리트(당내국원)들이 오세아니아를 소수 독재 체제로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이나 집단보다 개인에게 감정이 더 쉽게 집중되기 때문에 빅 브라더라는 존재가 만들어졌으며, 그는 무오류하고 전능한 존재로 묘사된다.
매일 텔레스크린을 통해 방송되는 "2분 혐오"는 빅 브라더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하는 시간이다. 2분 혐오에는 매번 골드스타인이 등장하며, 혐오, 복수심, 공포, 열광이 극에 달했을 때 빅 브라더의 얼굴이 화면에 나타나고, 사람들은 안도감을 느끼며 "B-B!‥‥B-B!‥‥B-B!"를 외친다.[25]
오세아니아 정부에는 전쟁을 담당하는 "평화성", 물자 배급을 담당하는 "풍요성", 선전을 담당하는 "진리성"이 있으며, 이들의 이름은 실제 업무와 정반대이다. "애정성" 역시 이름과 달리 체포와 고문을 담당하지만, 최종 목표는 용의자를 101호실에서의 고문과 심문을 통해 재교육하여 빅 브라더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만드는 것이다.
3. 1. 외양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에서 '빅 브라더'는 검은 머리에 검은 콧수염을 기른 인물로 묘사된다.[22] 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서기장이자 소련의 최고 권력자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을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설에서 "빅 브라더"의 묘사된 포스터와 "빅 브라더"가 나오는 텔레스크린은 묘사되지만, 빅 브라더 본인은 등장하지 않는다. "빅 브라더"는 45세 정도의 인물로 포스터 등에 등장한다.[23]
3. 2. 실존 여부
소설에서 빅 브라더가 실제 인물이었는지, 아니면 가상의 의인화인지, 혹은 당의 의인화인지, 브리타니아나 엉클 샘과 유사한 존재인지는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다. 빅 브라더는 40대 중반의 남자로,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에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된다. 당의 선전물에서 빅 브라더는 당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윈스턴 스미스는 "빅 브라더에 대해 처음 들었던 해가 언제였는지 기억하려고 노력했다. 60년대였던 것 같지만 확실할 수는 없었다. 당의 역사에서 빅 브라더는 혁명의 가장 초창기부터 지도자이자 수호자였다."라고 회상한다. 그의 업적은 점차 시간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40년대와 30년대의 놀라운 세계까지 확장되었다고 묘사된다.[23]
윈스턴이 읽은 에마누엘 골드스타인의 저서 ''과두적 집산주의의 이론과 실제''에서 빅 브라더는 무결하고 전능한 존재로 언급된다.[24] 아무도 그를 본 적이 없으며, 그는 결코 죽지 않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확신이 있다. 그는 단지 "당이 자신을 세상에 드러내기로 선택한 모습"일 뿐이다. 사랑, 두려움, 경외심과 같은 감정은 조직보다는 개인에게 더 쉽게 집중되기 때문이다.[24]
오브라이언은 빅 브라더가 결코 죽지 않을 것이라고 반복해서 말한다. 스미스가 빅 브라더가 존재하는지 묻자, 오브라이언은 그를 "당의 화신"이라고 묘사하며 당이 존재하는 한 그는 존재할 것이라고 말한다. 윈스턴이 "빅 브라더가 나처럼 존재합니까?"라고 묻자, 오브라이언은 "당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대답한다.[22]
작중 전체주의 국가 오세아니아에서, 빅 브라더는 엘리트들의 정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오세아니아 주민들은 텔레스크린 등을 통해 당국의 완전한 감시를 받는다. 주민들은 곳곳에 붙은 포스터의 "위대한 형제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Big Brother is watching you|빅 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영어)"라는 슬로건에 의해 감시를 인지한다.[22]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에서 빅 브라더는 검은 머리에 검은 콧수염을 기른 인물로 묘사된다. 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서기장이자 소련의 최고 권력자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을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의 선전에 따르면, 빅 브라더는 실존 인물이며, 이매뉴얼 골드스타인 등과 함께 당을 결성하여 1950년대 핵전쟁 이후 사회주의 혁명을 주도했다고 한다. 그러나 빅 브라더에 대한 보도는 항상 당에 의해 조작되었고, 이를 반박할 증거가 없어서 진실을 파악하기 어렵다.
3. 3. 역할
빅 브라더는 작중 전체주의 국가 오세아니아를 1984년 시점에 군림하는 독재자이다. 오세아니아에서 사회를 지배하는 엘리트(당내국원)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국민(당외국원 및 프로레)에게 독재 권력을 휘두르지만, '빅 브라더'는 엘리트들의 정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오세아니아 주민은 텔레스크린을 비롯한 수단을 통해 당국의 완전한 감시를 받는다. 주민들은 곳곳에 붙은 포스터에 "보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시선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주는 그림"으로 묘사된 '빅 브라더'의 모습과 그 아래 슬로건 "위대한 형제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Big Brother is watching you영어)"[22]에 의해 끊임없이 이를 인지한다.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에서 '빅 브라더'는 검은 머리에 검은 콧수염을 기른 인물로 묘사된다. 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서기장이자 소련의 최고 권력자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을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소설에서 "빅 브라더"의 묘사된 포스터와 "빅 브라더"가 나오는 텔레스크린은 묘사되지만, 본인 자신은 등장하지 않는다. "빅 브라더"는 45세 정도의 인물로 포스터 등에 등장하지만 본명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실존 인물인지 당이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인지 명확하지 않다.
당의 선전에 따르면, "빅 브라더"는 분명한 실존 인물이며, 이매뉴얼 골드스타인(후에 "인민의 적"이 됨) 등과 함께 "당"을 결성하여 1950년대 핵전쟁 이후 사회주의 혁명을 주도했다고 한다.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빅 브라더"가 언제 등장했는지, 과거에 그에 대해 어떻게 보도되었는지 기억을 더듬으려 하지만, "빅 브라더"에 대한 보도는 항상 당에 의해 조작되었고, 이를 반박할 증거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아서 도저히 기억해낼 수 없다.[23]
혁명 초기의 지도자들은 1984년 시점에서는 "빅 브라더"만 남아 있었고, 지하에 잠복한 것으로 알려진 골드스타인을 제외하고, 1960년대 중반에 반혁명의 죄로 모두 체포, 숙청되었다. 이매뉴얼 골드스타인이 쓴 금서(『과두제집산주의의 이론과 실제』)에 따르면[24], "빅 브라더"는 국민의 사랑과 공포와 존경을 한몸에 받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이다. 실제로는 "빅 브라더"와 같은 독재자가 오세아니아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무명의 당 엘리트(당내국원)들에 의한 소수 독재제로 오세아니아가 지배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공포나 존경과 같은 감정은, 조직이나 집단보다는 개인에게 더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빅 브라더"와 같은 존재가 만들어졌다고 설명된다. "빅 브라더"는 무오류하고 전능한 존재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람들은 포스터와 텔레스크린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다.[24]
텔레스크린을 통해 매일 방송되는 "2분 혐오"는 "빅 브라더"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는 장이 된다. "2분 혐오"에는 매번 골드스타인이 등장하며, 국민들은 그에 대한 혐오를 열광적으로 자극받아 스크린을 향해 고함을 지른다.[25] 혐오, 복수심, 공포, 열광이 고조된 곳에서 화면에는 크게 "빅 브라더"가 등장한다. 사람들은 안도하고, 안심감을 느끼며, 그의 얼굴이 스크린에서 사라진 후에는 "B-B!‥‥B-B!‥‥B-B!"라는 합창이 일어난다.
오세아니아 정부에는 전쟁을 관장하는 "평화성", 물자 배급을 관장하는 "풍요성", 선전을 하는 "진리성"이 있으며, 모두 실제 업무 내용과 성의 이름이 정반대이다. 남은 "애정성"도 이름과 달리 체포와 고문을 행하지만, 최종적인 목적은 이름과 같다. 즉, 용의자를 "101호실"에서의 고문과 심문 등을 통해 재교육하고, 애정성을 나올 때까지 모두가 "빅 브라더"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3. 4. 개인 숭배
빅 브라더는 개인 숭배의 대상이다. "BB"에 대한 자발적인 헌신 의식은 의무적인 증오의 2분의 마지막 부분에서 묘사된다.[9]매일 텔레스크린을 통해 방송되는 "2분 혐오"는 "빅 브라더"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는 시간이다. "2분 혐오"에는 매번 이매뉴얼 골드스타인이 등장하며, 국민들은 그에게 혐오를 느끼며 스크린을 향해 고함을 지른다.[25] 혐오, 복수심, 공포, 열광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화면에는 "빅 브라더"가 등장한다. 사람들은 안도하며, 그의 얼굴이 스크린에서 사라진 후에는 "B-B!‥‥B-B!‥‥B-B!"라고 외친다.
4. 영화에서의 묘사
1954년 BBC 각색 작품, 1956년 영화, 존 허트 주연의 1984년 영화에서 빅 브라더는 각기 다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
4. 1. 1954년 BBC 각색
1954년 BBC 각색 작품에서 빅 브라더는 프로덕션 디자이너 로이 옥슬리가 맡은 단 하나의 정지 사진으로 표현되었다.[1] 1956년 영화 각색에서는 빅 브라더가 엄격한 표정의 머리 없는 두상 그림으로 묘사되었다.[1]4. 2. 1956년 영화
1956년 영화에서 빅 브라더는 엄격한 표정의 머리 없는 두상 그림으로 묘사되었다.[1]4. 3. 1984년 영화
1984년 영화에서 빅 브라더 사진은 배우 밥 플래그(Bob Flag)의 모습이었다.[1] 로이 옥슬리(Roy Oxley)와 플래그는 모두 작은 콧수염을 하고 있었다.[1]5. 은유로서의 사용
《1984》 출판 이후, "빅 브라더"라는 용어는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는 권력, 정부, 기술 등을 비판하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빅 브라더와 다른 오웰주의 이미지는 종종 러시아식 반전 농담에서 언급된다.[10][11]
Iain Moncreiffe와 Don Pottinger는 1956년 저서 《Blood Royal》에서 "리틀 파더가 빅 브라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라는 문구를 농담으로 언급하며 러시아 혁명과 소련을 언급했다.[12]
잡지 《Book》은 빅 브라더를 "1900년 이후 최고의 소설 등장인물 100명" 목록에서 59위로 선정했다.[14] 잡지 《Wizard》는 그를 역대 가장 위대한 악당 75위로 평가했다.[15]
음악가 히라사와 스스무는 2004년 핵P-MODEL 명의로 "Big Brother"라는 전체주의에 의한 탄압과 감시, 강제적 복종을 풍자하는 곡을 제작했다. 이 곡은 같은 해 발표한 앨범 "비스트론"에 수록되었으며, 히라사와 스스무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29]
에드워드 스노든이 내부 고발한 미국 국가 안보국의 통신 감시 시스템 "PRISM"의 존재에 대해, 2013년 기자에게 질문을 받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우리는 '빅 브라더' 같은 짓은 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5. 1. 현실 TV 프로그램
전 세계 리얼리티 TV 쇼 《빅 브라더》는 소설 속의 끊임없는 감시를 받는 사람들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13] 2000년, 미국 버전의 CBS 프로그램 《빅 브라더》가 초연된 후, 조지 오웰의 유산은 저작권 및 상표권 침해로 시카고 연방 법원에 CBS 및 제작 회사 Orwell Productions, Inc.를 고소했다. 이 사건은 《Estate of Orwell v. CBS》, 00-c-5034 (ND Ill)이었다. 재판 직전에 이 사건은 당사자들의 "상호 만족"으로 전 세계적으로 합의되었지만 CBS가 오웰 유산에 지불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CBS는 유산에 허가를 요청하지 않았다. 현행법에 따라, 이 소설은 저작권 보호를 2044년까지 미국에서 유지하며, 2020년에는 유럽 연합 내에서 퍼블릭 도메인에 진입했다.[13]리얼리티 프로그램 "빅 브라더"는 모든 곳에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집에 몇 명의 남녀를 가두는 내용으로, 『1984년』에서 발상되었다.
5. 2. 애플의 광고
애플의 1984 텔레비전 광고는 IBM을 빅 브라더에 비유하며 매킨토시를 자유의 상징으로 묘사했다.[16][17] 이 광고는 당시 Apple III를 능가했던 IBM PC 제조사이자 "빅 블루"라는 별명을 가진 IBM을 빅 브라더로 묘사했다. 또한, 영국의 배우 데이비드 그레이엄이 연기한 "빅 브라더"는 소설 속 묘사와는 다르게 수염이 없었다.오웰 유산은 애플 광고를 저작권 침해로 간주하고 애플과 광고 대행사에 중단 및 중지 서한을 보냈다. 광고는 다시 방송되지 않았지만,[18] 광고에 언급된 날짜(1월 24일)는 단 이틀 후였기 때문에 재방송될 가능성은 낮았다. 스티브 잡스가 다양한 제품에 대해 출연하는 후속 광고는 원래 광고 캠페인의 형식과 외관을 모방했으며, 잡스의 외모는 빅 브라더의 외모와 거의 동일했다.[19][20]
5. 3. 중국의 사회 신용 시스템
중국의 사회 신용 시스템은 시민과 기업의 행동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거나 차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이는 시민들을 감시하고 통제한다는 점에서 빅 브라더와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는다.[21]6.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한국 사회에서 '빅 브라더'는 권위주의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나 국군보안사령부(현 국군방첩사령부) 같은 정보기관의 사찰과 민간인 감시를 비판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CCTV, 스마트폰, 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개인 정보 수집 및 감시 문제를 비판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6. 1. 권위주의 정권 시절
과거 군사독재 시절, 중앙정보부나 국군보안사령부(현 국군방첩사령부)와 같은 정보기관은 국민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빅 브라더'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소설 속 "사상경찰", "빅 브라더"는 과도하게 국민을 탐색하고 관리를 강화하는 정부나, 감시를 강화하려는 정부의 정책을 풍자할 때 사용되게 되었다.[26][27]6. 2. 디지털 감시 사회
현대 사회에서 감시 카메라는 흔하게 찾아볼 수 있으며, 소설 속 '빅 브라더'의 감시 체제를 연상시킨다. 바르셀로나시 고딕 지구에는 George Orwell|조지 오웰영어 광장이 있는데, 여기에도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간판이 있다. George Orwell|조지 오웰영어의 소설 『1984년』이 출판된 후, "사상경찰", "빅 브라더"는 국민을 지나치게 감시하고 통제하는 정부나 그러한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1984년에 애플이 발표한 매킨토시 광고는 소설 『1984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당시 IBM PC를 생산하던 IBM을 "빅 브라더"로 묘사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 "빅 브라더"는 집안 곳곳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출연자들을 가두는 내용으로, 『1984년』에서 영감을 받았다.
음악가 히라사와 스스무는 2004년 핵P-MODEL 명의로 "Big Brother"라는 곡을 발표했는데, 이 곡은 전체주의의 감시와 억압을 풍자한다.[29]
에드워드 스노든의 내부 고발로 알려진 미국 국가안보국의 통신 감시 시스템 "PRISM"에 대해 2013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우리는 '빅 브라더' 같은 짓은 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참조
[1]
간행물
prole
2009
[2]
서적
The literature teacher's book of lists
https://books.google[...]
Jossey-Bass
2005
[3]
서적
1985
1978
[4]
웹사이트
Douglas Kellner, George F. Kneller Philosophy of Education Chair, UCLA
http://gseis.ucla.ed[...]
[5]
웹사이트
From 1984 to One-Dimensional Man: Critical Reflections on Orwell and Marcuse
http://gseis.ucla.ed[...]
[6]
서적
Star Begotten
Sphere Books
1937
[7]
서적
The sacred in twentieth-century politics : essays in honour of Professor Stanley G. Payne
https://www.worldcat[...]
Palgrave Macmillan
2008
[8]
문서
Ulysses
https://en.wikisourc[...]
[9]
서적
Nineteen Eighty-Four
1949
[10]
뉴스
Big Data's Influence On College Admission Is Growing
https://www.forbes.c[...]
2017-12-27
[11]
학술지
Laughter in the dark: Humour under Stalin
https://www.research[...]
2010
[12]
서적
Blood Royal
Thomas Nelson and Sons
1956
[13]
PDF
New Media, New Options, New Communities?
http://www.nordicom.[...]
Nordicom
2014-05-23
[14]
웹사이트
100 Best Fictional Characters Since 1900
https://www.npr.org/[...]
NPR
2002-03-19
[15]
문서
Wizard
[16]
뉴스
Remembering the '1984' Super Bowl Mac ad
https://www.zdnet.co[...]
ZDNet
2009-01-23
[17]
뉴스
Apple's 'Big Brother' sequel
https://www.bbc.co.u[...]
BBC News
2009-09-30
[18]
학술지
'Big Brother' is watching Apple: The truth about the Super Bowl's most famous ad
http://www.dartmouth[...]
The Dartmouth Law Journal
2009-06-25
[19]
웹사이트
Steven Jobs is the new Big Brother
http://www.theinquir[...]
the Inquirer
2009-10-09
[20]
잡지
Steve Jobs (once again) cast as Big Brother
http://www.adweek.co[...]
2010-12-16
[21]
뉴스
Big brother: China's data-driven Social Credit system sounds like a sci-fi dystopia
https://www.thenatio[...]
2018-09-26
[22]
문서
新庄哲夫訳版p8
[23]
서적
'1984年'
ハヤカワ文庫
1972
[24]
문서
'1984年'
[25]
문서
'1984年'
[26]
웹사이트
100 Best Characters in Fiction Since 1900
http://www.npr.org/p[...]
[27]
웹사이트
The 101 Most Influential People Who Never Lived
http://www.101influe[...]
[28]
문서
Wizard
[29]
웹사이트
平沢進公式サイト「ダウンロード作品」ページ
https://susumuhira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