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저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빙저호는 남극과 그린란드 등지에서 발견되는, 빙하 아래에 존재하는 호수이다. 19세기 말 표트르 크로포트킨에 의해 처음 가설이 제시되었으며, 지열이나 압력으로 인해 얼음 아래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1950년대부터 무선 반사 음향 측심법 등 다양한 탐사 기술을 통해 빙저호가 확인되었으며, 위성 탐사 및 시료 채취를 통해 그 분포, 물리적 특성, 생태, 그리고 외계 생명체와의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다. 빙저호는 얼음으로 격리된 환경에서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며,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탐색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빙저호 - 그림스뵈튼 화산
 아이슬란드 남동부 바트나예쿨 빙하 내에 있는 그림스뵈튼 화산은 활화산으로, 빙하호 붕괴 홍수를 일으키며 7600년 전부터 활동적인 화산 시스템의 일부이고 2011년 대규모 분화로 유럽 항공 교통에 혼란을 야기했다.
- 빙저호 - 보스토크호
 보스토크호는 남극 보스토크 기지 부근 빙상 아래 4km 지점에 있는 빙저호로,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탐사 및 물 샘플 분석이 진행 중이며, 높은 압력으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 남극의 호수 - 반다호
 반다 호는 뉴질랜드 반다 기지 근처에 위치했던 호수로, 1995년 기지 철거 후 반다 호 오두막이 그 역할을 대신하며, 여름철 해자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었다.
| 빙저호 | |
|---|---|
| 개요 | |
| 설명 | 빙저호는 빙하나 빙상 아래에 갇힌 호수를 말한다. | 
| 특징 | |
| 형태 | 크기는 작을 수도 있고, 수백 제곱킬로미터에 달할 수도 있다. | 
| 깊이 | 평균 깊이는 약 10m이다. | 
| 존재 위치 | 빙상 바닥과 지열 활동으로 녹은 얼음 사이, 또는 액체 상태의 물의 두꺼운 층 사이에 존재한다. | 
| 수압 | 덮고 있는 얼음의 무게 때문에 엄청난 수압을 받는다. | 
| 빛 |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다. | 
| 분포 | |
| 위치 | 남극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러시아 캐나다 | 
| 남극 빙저호 | |
| 개수 | 400개 이상 | 
| 면적 | 총 면적은 20,000 제곱킬로미터가 넘는다. | 
| 대표적인 호수 | 보스토크 호 본 호 메르세르 호 | 
| 그린란드 빙저호 | |
| 개수 | 60개 이상 | 
| 연구 | |
| 중요성 | 빙상 역학 연구 미생물 생태계 연구 고대 기후 기록 연구 | 
| 탐사 방법 | 레이더 지진파 시추공 | 
| 생명체 존재 가능성 | 극한 환경에 적응한 독특한 미생물 생태계 존재 가능성이 있다. | 
| 기타 | |
| 용어 | 빙저수라고도 한다. | 
2. 역사 및 탐사
남극에는 2019년 현재 400개가 넘는 빙저호가 있으며,[7] 더 많은 호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 그린란드,[6] 아이슬란드, 캐나다 북부에서도 빙저호가 발견되었다.[17]
2. 1. 초기 탐사
표트르 A. 크로포트킨은 19세기 말에 남극 빙상 아래에 액체 상태의 담수가 존재한다는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한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과학자였다.[2][16] 그는 빙상 바닥의 지열 때문에 얼음 아래 온도가 0도 미만인 얼음의 녹는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러시아 빙하학자 이고르 A. 조티코프는 빙상 아래 담수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5]
1882-1883년, 1932-1933년, 1957-1958년, 2007-2008년의 4차례 국제 극지 연도와 같은 여러 주요 협력 및 공조 기간에 남극에서의 과학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1957-1958년 국제 극지 연도의 성공은 남극 연구 과학 위원회(SCAR)와 남극 조약 시스템의 설립으로 이어져, 빙저호 관찰을 위한 더 나은 방법론과 절차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1959년과 1964년, 4차례의 소비에트 남극 탐험 중 두 차례에 걸쳐 러시아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인 안드레이 P. 카피차는 지진 음향 측심법을 사용하여 남극 보스토크 기지 아래 지질층의 층서 프로파일을 준비했다. 이 자료는 30년 후 보스토크 호가 빙저호로 발견되는 데 기여했다.[18]
1950년대 후반부터 영국의 물리학자 스탠 에반스와 고든 로빈은 빙상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전파 빙하학 기술인 무선 반사 음향 측심법(RES)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9] 1960년대 후반, 그들은 항공기에 RES 장비를 장착하여 남극 대륙 빙상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1971년과 1979년 사이에 RES 장비를 사용하여 남극 대륙 빙상에 대한 광범위한 프로파일링이 이루어졌다.[20] RES 기록은 다음 세 가지 특성을 통해 빙저호를 식별할 수 있다. 1) 인접한 얼음-기반암 반사보다 강한, 빙상 기저부에서 특히 강한 반사, 2) 트랙을 따라 일정한 강도로 발생하는 에코, 3) 1% 미만의 기울기를 가진 매우 평평하고 수평적인 특성.[21][22] 카피차와 그의 팀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17개의 빙저호를 기록했다.[23] RES는 또한 그린란드에서 최초의 빙저호 발견으로 이어졌으며[1] 이 호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3]
1971년에서 1979년 사이에 미국-영국-덴마크 협력은 동남극의 약 40%와 서남극의 80%를 조사하여 빙하 하부의 지형과 호수 위 얼음 흐름의 행동을 더욱 자세히 정의할 수 있었다.[4]
2. 2. 위성 탐사
1990년대 초, 유럽 원격 감지 위성(ERS-1)의 레이더 고도계 데이터는 남위 82도까지 남극 대륙의 상세한 지도를 제공했다.[24] 이 이미징은 보스토크 호 북쪽 경계 주변의 평평한 표면을 보여주었고, ERS-1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남극 빙저호의 지리적 분포를 더욱 구축했다.2005년, 로렌스 그레이(Laurence Gray)와 빙하학자 팀은 RADARSAT 데이터를 통해 표면 얼음의 침하와 융기를 해석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물의 이동이 일어나는 수문학적으로 "활성"적인 빙저호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25]
2003년에서 2009년 사이에, NASA의 지구 관측 시스템의 일부로 ICESat 위성을 사용하여 얼음 표면 고도를 측정한 장거리 트랙 조사는 남극 대륙의 활성 빙저호에 대한 최초의 대륙 규모 지도를 제작했다.[25] 2009년에는 쿡 호수가 남극 대륙에서 수문학적으로 가장 활성적인 빙저호로 밝혀졌다. ICESat, CryoSat-2, 고급 우주 궤도 열 방출 및 반사 라디오미터, SPOT5를 포함한 다른 위성 영상을 사용하여 이 호수를 감시하고 조사했다.[26][27]
그레이 등(2005)은 RADARSAT 데이터로부터 얼음 표면의 침하와 융기를 빙저호의 채워짐과 비워짐의 증거로 해석했는데, 이를 "활성" 호수라고 칭했다.[28] 윙엄 등(2006)은 레이더 고도계(ERS-1)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시적인 융기와 침강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호수 사이의 배수를 의미했다.[29] NASA의 ICESat 위성은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후속 연구에서 이 현상의 광범위성을 입증했다.[30][31] ICESat은 2007년에 측정을 중단했고, 감지된 "활성" 호수는 스미스 등(2009)에 의해 정리되었으며, 이들은 124개의 호수를 확인했다. 호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은 호수를 굴착하려는 계획에 새로운 오염 우려를 낳았다.
몇몇 호수들은 1970년대 중반까지 수행된 SPRI-NSF-TUD 조사를 통해 규명되었다. 이 최초의 정리 이후, 몇 차례의 소규모 조사를 통해 남극 대륙 전역에서 훨씬 더 많은 빙저호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카터 등(2007)은 (RES) 데이터 세트의 특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빙저호를 식별했다.
2. 3. 시료 채취 탐사
2010년 3월, 미국 지구물리학 연합 채프먼 컨퍼런스에서 제6차 빙저호에 관한 국제 학술 회의가 볼티모어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은 얼음 시추 프로젝트에 사용된 장비와 전략(온수 드릴 설계, 물 측정 및 샘플링, 퇴적물 회수 장비, 실험 청결 및 환경 관리 프로토콜 등)에 대해 논의했다.[20] 이후 SCAR는 얼음 시추 탐험과 빙저호의 현장 측정 및 샘플링에 대한 행동 강령을 작성했고, 이는 2011년 남극 조약 협의 당사국 회의 (ATCM)에서 비준되었다. 2011년 말까지 세 개의 별도 빙저호 시추 탐사 임무가 진행될 예정이었다.2012년 2월, 러시아는 보스토크 호에서 얼음 코어 시추를 통해 처음으로 빙저호에 접근했다.[32] 시추공으로 쏟아져 들어온 호수 물은 겨울 동안 얼어붙었고, 2013년 여름에 재냉동된 호수 물 샘플(부착 얼음)이 회수되었다. 2012년 12월, 영국 과학자들은 청정 접근 온수 드릴을 사용하여 엘스워스 호 접근을 시도했으나,[33] 장비 고장으로 임무가 취소되었다.[34] 2013년 1월, 미국 주도의 [http://www.wissard.org/ 윌란스 빙하류 빙하 하 접근 연구 시추] (WISSARD) 탐험대는 서남극 윌란스 호에서 미생물 생명체를 측정하고 샘플링했다.[35][36] 2018년 12월 28일, [https://salsa-antarctica.org/ 빙하 하 남극 호수 과학 접근] (SALSA) 팀은 고압 온수 드릴을 사용하여 1067m 얼음을 녹인 후 머서 호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9] 이 팀은 최대 6m 깊이의 물 샘플과 바닥 퇴적물 샘플을 수집했다.
3. 분포
빙저호는 남극,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캐나다 등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빙저호(Subglacial lake)는 일 년 내내 녹지 않는 얼음으로 덮여 있는 것이 아니라, 녹을 때도 있는 얼음으로 덮여 있어도 그것이 빙하이면 빙저호이다. 빙하(Glacier)의 기준은 흐르고 있는지 여부이며, 얼음은 두께가 약 30미터 이상이 되어야 흐른다. 따라서, 전면 결빙된 호수가 빙저호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유로파에도 빙저호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3. 1. 남극
남극에 있는 400여 개의 빙저호 대부분은 거대한 빙저 배수 분지가 빙상으로 덮여 있는 빙하 분할 부근에 있다. 가장 큰 호수는 보스토크 호이며, 콩코디아 호와 오로라 호도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동남극 빙상을 공전하는 ERS-2 위성의 고도계 조사 결과 빙상 고도의 덩어리진 이상 현상이 나타났으며,[37] 이는 동남극 호수가 빙저 하천을 통해 기저부 융해수를 운반하는 빙저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가장 큰 남극 빙저호는 두꺼운 단열 빙상과 울퉁불퉁한 구조적으로 영향을 받은 빙저 지형 때문에 동남극의 돔 C-보스토크 지역에 모여 있다. 서남극의 엘즈워스 호는 엘즈워스 산맥 내에 위치해 있으며 비교적 작고 얕다.[38] 또한 서남극에 있는 시플 해안 빙하류는 윌런스 호, 엥겔하트 빙저호, 머서 빙저호, 컨웨이 빙저호를 포함한 수많은 작은 빙저호 위에 위치해 있으며,[38][39] 하위 호수인 하부 컨웨이 빙저호 (LSLC)와 하부 머서 빙저호 (LSLM)도 함께 위치해 있다.[39]
남극 대륙 빙상 가장자리에서 일어나는 빙하 후퇴로 인해 동남극의 프로그레스 호수와 알렉산더 섬 남부, 남극 반도 근처에 있는 호지슨 호수를 포함한 여러 개의 이전 빙저호가 드러났다.[40] 2009년, 124개의 빙저호를 담은 지도가 출판되었다. 124개 중 대부분은 NASA의 인공위성인 ICESat에 의해 새롭게 발견된 것이다. 내륙의 호수는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반면, 해안 근처의 호수 중 다수는 상당히 변화한다. 몇몇 호수는 수백 킬로미터 길이의 운하와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빙하 아래에 있는 물은 윤활제 역할을 하여 얼음이 바다로 흘러가는 속도를 가속화하고, 결과적으로 해수면 상승도 초래한다.[100]
얼음의 존재로 인해 지상의 환경과 수만 년 단위로 격리된 환경에 놓여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빙저호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오래된 시대의 생물군 탐색이 활발해졌으며, 2012년에는 러시아 연구자 그룹이 보스토크 호를, 2013년에는 서구 연구자 그룹이 윌런스 호를 향해 굴착을 진행하여 각각 매우 많은 수의 신종 박테리아를 발견했다.[101]
3. 2. 그린란드
그린란드 빙상 아래의 빙저호는 지난 10년 동안에야 알려지게 되었다. 전파 반사 음향 측정 결과, 빙상의 북서부 지역에서 두 개의 빙저호가 발견되었다.[1] 이 호수들은 기저 얼음이 녹는 것보다는 인근 표빙호의 배수로 물이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41] 또 다른 잠재적인 빙저호가 빙상의 남서쪽 가장자리 근처에서 확인되었는데, 이는 기후 온난화로 인한 호수의 최근 배수를 증명하는 빙상 아래의 원형 함몰을 통해 드러났다.[42] 이러한 배수는 표빙의 용융수 저장소를 통한 빙상 기저부로의 열 전달과 함께, 그린란드 빙상의 유속과 전반적인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41]3. 3.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는 대부분 화산 활동이 활발하여 두 개의 빙상 아래에서 상당한 양의 용수가 생성된다. 이 용수는 분지 및 빙하 용융 지점에 축적되어 빙저호를 형성한다.[7] 이 호수들은 지열 통풍구에서 빙상의 바닥까지 열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역할을 하며, 이는 종종 배수 과정에서 손실된 물을 보충하는 기저 얼음의 용융을 초래한다.[43] 아이슬란드의 대부분의 빙저호는 바트나외쿠틀과 미르달스외쿠틀 빙상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수열 활동으로 인한 용융이 용수로 채워지는 영구적인 함몰 지형을 생성한다.[7] 빙저호에서 발생하는 재앙적인 배수는 아이슬란드에서 알려진 위험 요소로, 화산 활동은 얼음 댐과 호수 봉인을 압도할 만큼 충분한 용수를 생성하여 빙하호 돌발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44]그림스뵈튼은 바트나외쿠틀 빙상 아래에 있는 가장 잘 알려진 빙저호이다. 빙상 아래의 다른 호수들은 스카트파, 파울스피알, 케르크피외틀 용융 지점에 위치해 있다.[7] 특히, 그림스뵈튼 빙저호의 수압 봉인은 1996년까지 유지되었으나, 이 때 걀프 화산 폭발로 인한 상당한 양의 용수 생성으로 그림스뵈튼의 얼음 댐이 융기되었다.[45]
미르달스외쿠틀 빙상은 또 다른 주요 빙저호 위치로, 카틀라 화산 시스템의 최남단에 있는 활성 화산 칼데라 시스템 위에 위치해 있다.[44] 미르달스외쿠틀 빙상 아래의 수열 활동은 세 개의 주요 빙하 배수 분지에 의해 제한된 지역 내에 최소 12개의 작은 함몰 지형을 생성한 것으로 여겨진다.[7] 이 함몰 지형 중 다수는 화산 폭발로 인한 대규모의 재앙적인 배수 현상이 발생하여 인근 인구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빙저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3. 4. 캐나다
극히 최근까지, 캐나다에서는 마지막 빙하기 시대의 과거 빙저호만이 확인되었다.[46] 이 고(古) 빙저호들은 아마도 최후 빙기 동안 로렌타이드 빙상이 확장하기 이전에 생성된 계곡을 차지했을 것이다.[47] 그러나 캐나다 누나부트의 데본 빙상 아래 암반 골짜기에서 RES를 통해 두 개의 빙저호가 확인되었다.[48] 이 호수들은 밑에 있는 염분을 함유한 암반과의 상호 작용으로 고염호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남극에서 확인된 몇 안 되는 염수 빙저호보다 훨씬 더 고립되어 있다.[48]4. 물리적 특성
빙저호의 물은 지열에 의한 가열이 얼음 표면에서의 열 손실과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위에 있는 빙하의 압력은 물의 압력 녹는점을 0°C 이하로 낮춘다. 빙저호의 천장은 물의 압력 녹는점과 온도 구배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가장 큰 남극 빙저호인 보스토크 호에서는 호수 위의 얼음이 주변의 빙상보다 훨씬 두껍다.[5] 고염 빙저호는 염분 함량 때문에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5]
영구적으로 얼음으로 덮인 모든 호수를 빙저호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호수는 일반적인 호수 얼음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영구적으로 얼음으로 덮인 호수의 예로는 남극 맥머도 드라이 밸리의 보니 호와 호어 호, 그리고 이전의 빙저호였던 호지슨 호가 있다.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유로파에도 빙저호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일 년 내내 녹지 않는 얼음으로 덮여 있는 것이 빙저호라는 것은 아니며, 녹을 때도 있는 얼음으로 덮여 있어도 그것이 빙하이면 빙저호이다. 빙하의 기준은 흐르고 있는지 여부이며, 얼음은 두께가 약 30미터 이상이 되어야 흐른다. 따라서, 전면 결빙된 호수가 빙저호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
4. 1. 수압 밀봉
빙저호의 물은 지표면 임계값보다 훨씬 높은 부유 수위(floating level)를 가질 수 있다. 이론적으로 빙저호는 그 위의 얼음이 필요한 수압 밀봉(hydrostatic seal)을 형성할 만큼 충분히 얇다면 언덕 꼭대기에도 존재할 수 있다. 부유 수위는 얼음을 관통하여 호수로 뚫린 구멍의 수위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위의 얼음 조각이 일반적인 빙붕과 같다면 떠 있을 수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천장은 전체 둘레를 따라 접지된 빙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이를 포획된 빙붕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설명한다. 호수 위를 이동하면서 부유선에서 호수로 들어가고 접지선에서 호수를 벗어난다.수압 밀봉은 얼음이 호수 주변보다 훨씬 높아서 등전위 면이 불투수 지면으로 내려갈 때 생성된다. 이 얼음 가장자리 아래의 물은 수압 밀봉에 의해 호수로 다시 밀려 들어간다. 보스토크 호의 얼음 가장자리는 불과 7미터로 추정되는 반면, 부유 수위는 호수 천장보다 약 3킬로미터 위에 있다.[5] 부유 수위가 높을 때 수압 밀봉이 관통되면 물이 요쿨라우프로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채널의 융해로 인해 다른 프로세스가 방출을 더 빠르게 증가시킬 수 없는 한 방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7]
만약 부유 수위가 높은 상황에서 수압 밀봉을 뚫고 나간다면, 물이 흐르기 시작하여 요쿨라우프가 된다. 다른 과정에 의한 유출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융해에 의해 유량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한다.[102]
4. 2. 빙하 이동에 미치는 영향
빙저호의 물은 지표면 임계값보다 훨씬 높은 부유 수위를 가질 수 있다. 이론적으로 빙저호는 그 위의 얼음이 수압 밀봉을 형성할 만큼 충분히 얇다면 언덕 꼭대기에도 존재할 수 있다. 부유 수위는 얼음을 관통하여 호수로 뚫린 구멍의 수위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위의 얼음 조각이 일반적인 빙붕과 같다면 떠 있을 수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천장은 전체 둘레를 따라 접지된 빙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를 '포획된 빙붕'이라고 부른다. 호수 위를 이동하면서 부유선에서 호수로 들어가고 접지선에서 호수를 벗어난다.수압 밀봉은 얼음이 호수 주변보다 훨씬 높아서 등전위 면이 불투수 지면으로 내려갈 때 생성된다. 이 얼음 가장자리 아래의 물은 수압 밀봉에 의해 호수로 다시 밀려 들어간다. 보스토크 호의 얼음 가장자리는 불과 7미터로 추정되는 반면, 부유 수위는 호수 천장보다 약 3킬로미터 위에 있다.[5] 부유 수위가 높을 때 수압 밀봉이 관통되면 물이 요쿨라우프로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채널의 융해로 인해 다른 프로세스가 방출을 더 빠르게 증가시킬 수 없는 한 방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일부 빙저호에서 달성할 수 있는 높은 수압으로 인해 요쿨라우프는 매우 높은 방류율에 도달할 수 있다.[7] 빙저호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배수는 아이슬란드에서 알려진 위험 요소이며, 화산 활동은 얼음 댐과 호수 밀봉을 압도하고 빙하 범람을 일으킬 만큼 충분한 융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12]
빙저호가 얼음 역학에 미치는 역할은 불분명하지만, 그린란드 빙상에서 빙저수는 복잡한 방식으로 기저 얼음의 움직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13] 남극 리커버리 빙하 아래에 있는 "리커버리 호"는 주요 빙류의 시작점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역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4] 동남극의 버드 빙하의 속도가 10% 정도 증가한 것은 빙저 배수 사건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빙류가 이동, 가속 또는 정체되는 것으로 알려진 하류 지역에서 빙저수의 흐름이 수백 년의 시간 규모로 알려져 있으며, 빙저수가 빙상 접지선 위로 방출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15]
빙하 아래에 있는 물은 윤활제 역할을 하여 얼음이 바다로 흘러가는 속도를 가속화하고, 결과적으로 해수면 상승도 초래한다.[100]
5. 생태
빙저호는 지구 대기와 격리되어 햇빛을 받지 못하는 극한 환경이다. 물은 극도로 빈영양 상태로, 생명체에 필요한 영양소 농도가 매우 낮다. 그러나 낮은 온도, 낮은 영양분, 높은 압력, 완전한 어둠 속에서도 수천 종의 미생물과 일부 고등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9][36][49] 존 프리스쿠 교수는 남극의 빙저 생태계를 "우리 행성에서 가장 큰 습지"라고 불렀다.[50]
미생물과 풍화 작용은 독특한 먹이 그물을 형성하고, 영양 순환과 에너지를 순환시킨다. 광합성이 불가능하므로, 화학 합성과 빙하 작용 이전에 퇴적된 고대 유기 탄소의 소비가 먹이 사슬을 이끈다.[36] 영양분은 빙하 얼음-호수 수계 경계면, 수문학적 연결, 빙하 하부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풍화를 통해 유입된다.[9][51]
빙저호는 원래 멸균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75] 미생물 생명체와 고등 생명체의 흔적이 발견되었다.[9][61] 세균, 고세균, 진핵생물 등 다양한 극호성 생물들이 극한 환경에 적응해 서식한다.[9][61] 이는 우주생물학과 지구 생명체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빙저호의 영구적인 어둠 속에서는 광합성이 불가능하므로, 화학 독립 영양 미생물에 의한 화학 합성이 먹이 그물의 기초를 형성한다.[36][76][63][77] 이들은 탄소 고정을 통해 이산화탄소(CO2)를 유기 탄소로 전환하며, 지각의 무기물질이 산화 환원되는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주요 원소로는 황화물, 철, 탄산염 등이 있다.[9]
화학 독립 영양 생물은 종속 영양 세균을 지원하며,[36][63] 종속 영양 세균은 유기물을 소비한다.[12][53] 다만, 빙저호 세균은 성장이 매우 느리다.[63] 미생물 대사 전략에는 메탄 생성 작용, 메탄 영양, 화학 독립 종속 영양 등이 있다.[72][79][36] 제한적인 증거지만, 미생물 진핵 생물과 다세포 동물의 존재 가능성도 제시된다.[49][80]
빙저호의 물은 초빈영양 상태로, 질소와 인 등 영양 염류 농도가 낮다.[51][81] 윌런스 호 연구에서는 질소가 제한 영양 염류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6]
빙하를 뚫는 어려움으로 인해, 윌런스 호와 머서 호, 아이슬란드 바트나외쿨 빙하 아래 화산 빙저호에서만 직접 시료 채취가 이루어졌다.
일부 빙저호는 수백만 년 동안 격리되어 화석수를 품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진화적으로 독특한 미생물 군집을 가질 수 있다.[86] 남극 빙상 아래 호수 간 상호 연결된 빙하 배수 시스템은 격리되지 않은 호수도 있음을 시사한다.[12]
눈덩이 지구 시대와 제4기 빙하기 동안 빙저호는 생명체의 피난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지구 역사 이해에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91][92]
5. 1. 생지화학적 순환

빙저호의 생지화학은 직접적인 샘플링이 어려워 주로 남극에서 채취한 소수의 샘플과, 덮고 있는 빙하 기저부에서 채취한 부착 얼음(재결빙된 호수 물) 분석을 통해 연구된다.[52][53] 부착 얼음은 이를 형성한 호수 물과 유사한 화학적 지표를 가질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다.
빙저호는 산소 과포화 상태의 상층부에서부터 무산소 수역이며 황이 풍부한 하층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화학적 조건이 나타난다.[54] 일반적으로 빈영양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빙저호와 퇴적물은 지역적 및 세계적으로 상당한 양의 영양분, 특히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55][12][56][57][58]
빙저호의 용질 농도는 일반적인 표면 호수에 비해 주요 이온 및 영양염 (예: 나트륨, 황산염, 탄산염)을 포함하여 낮다.[51] 이러한 용질은 빙하 얼음 용융과 퇴적물 풍화로부터 수주로 유입된다.[51][58] 용질 농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빙저호의 큰 부피는 주변 해양에 용질, 특히 철의 중요한 공급원이 된다.[64][58][65] 남극 대륙 빙상에서 빙저호를 포함한 빙하 하부 유출은 남극해에 세계 최대 강 중 일부와 유사한 양의 용질을 추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8]
빙저호 수주는 빙하 하부 배수 시스템을 통해 호수와 하천 간의 물 교환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생지화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51][61] 특히 산소 및 영양염 농도와 관련하여 미생물 서식지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빙저호의 수문학적 연결성은 물의 호수 체류 시간을 변경시킨다. 내륙 남극 빙상 아래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이 체류 시간이 길수록 물과 용질 공급원 간의 접촉 시간이 길어져 체류 시간이 짧은 호수보다 용질이 더 많이 축적될 수 있다.[58][57] 현재 연구된 빙저호의 추정 체류 시간은 보스토크 호의 약 13,000년에서 윌런스 호수의 수십 년에 이른다.[66][67]
빙저호의 지형은 수문학과 순환 패턴을 변경시킬 가능성이 있다. 상부 얼음이 가장 두꺼운 지역에서는 용융률이 더 높고, 빙상이 가장 얇은 지역에서는 재결빙이 일어날 수 있다.[22] 이러한 용융 및 결빙 속도의 공간적 변화는 빙저호 전체에서 물의 내부 대류와 용질, 열 및 미생물 군집의 순환을 초래하며, 이는 서로 다른 지역의 빙저호 간에 다를 것이다.[51][61]
빙하저 퇴적 분지는 남극 빙상 아래에 약 21,000 페타그램의 유기 탄소를 축적했는데, 대부분 고대 해양 퇴적물에서 유래한다.[56] 이는 북극 영구 동토에 포함된 유기 탄소량의 10배 이상이며,[68] 현대 해양 퇴적물에 존재하는 반응성 탄소량과 경쟁할 수 있다.[69] 따라서 빙하저 퇴적물은 전 지구적 탄소 순환의 중요하지만 연구가 부족한 구성 요소로 볼 수 있다.[57] 빙상 붕괴 시, 빙하저 유기 탄소는 더 쉽게 호흡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온난화 피드백을 생성하여 기후 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70][56][57]
빙저호의 미생물은 퇴적 유기 탄소의 형태와 운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무산소 빙저호 생태계의 퇴적물에서 유기 탄소는 고세균이 메탄 생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빙상 붕괴 또는 호수 물이 빙상 가장자리로 배수될 때 방출될 수 있는 메탄 클라트레이트의 대규모 풀을 퇴적물에 생성할 수 있다.[71] 메탄은 빙하저 윌런스 호수에서 검출되었으며,[72] 실험을 통해 메탄 생성 고세균이 남극 및 북극 빙하 아래의 퇴적물에서 활성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73]
빙저호 퇴적물에 저장되지 않고 빠져나가는 메탄의 대부분은 산소가 풍부한 상층 수역의 메탄 영양 세균에 의해 소비되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자들은 빙저호 윌런스 호수에서 세균 산화가 사용 가능한 메탄의 99%를 소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72] 그린란드 빙상 아래에서 활발한 메탄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증거도 있다.[74]
남극 빙저 수역은 또한 용존 유기 탄소와 세균 생물체의 형태로 상당량의 유기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2] 약 1.03 x 10−2 페타그램으로 추정되는 빙저호 수역의 유기 탄소량은 남극 빙저 퇴적물에 포함된 양보다 훨씬 적지만, 모든 표면 담수 (5.10 x 10−1 페타그램)에 존재하는 유기 탄소량보다 한 자릿수 작을 뿐이다.[12] 이 비교적 작지만 잠재적으로 더 반응성이 높은 빙저호 유기 탄소 저장소는 과학자들이 전 지구적 탄소 순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또 다른 틈새를 나타낼 수 있다.[12]
5. 1. 1. 호수-얼음 경계면
빙하 얼음에 갇힌 클라트레이트는 밀폐된 빙저호 시스템에 들어가는 산소의 주요 공급원이다. 호수 위의 얼음 바닥층이 녹으면서 클라트레이트가 얼음의 결정 구조에서 해리되고 산소와 같은 기체가 호기성 호흡과 같은 과정을 위해 미생물에 제공된다.[59] 일부 빙저호에서는 호수-얼음 경계면에서의 얼음-용융 순환이 상부 호수 물을 일반적인 표면 수보다 50배 더 높은 산소 농도로 풍부하게 할 수 있다.[60]빙저호 위의 빙하 얼음층이 녹으면 용존 유기 탄소와 박테리아 세포 외에 철, 질소, 인을 함유하는 광물도 하부 물에 공급된다.[9][12][51] 지열에 의한 가열과 얼음 표면에서의 열 손실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얼음 아래의 물은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얼음의 압력이 물의 융점을 0°C 이하로 낮추며, 빙저호의 천장은 정확히 물의 압력 융해점과 온도 기울기가 교차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보스토크 호에서는 호수 위의 얼음이 주변의 빙상보다 훨씬 두껍다.
호수 물의 수위는 지면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훨씬 높다. 만약 그 위의 얼음이 얇다면, 빙저호는 언덕 꼭대기에 있어도 좋다. 이 수위는 얼음을 뚫고 호수까지 구멍을 팠을 때의 수위와 같으며, 위에 있는 얼음이 일반적인 선반 빙하로 떠 있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높이와 같다. 따라서 빙저호의 천장은 주변 전부가 육지인 선반 빙하, 즉 포획된 선반 빙하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만약 수위가 지면의 가장자리보다 높다면, 호수가 존재하려면 주변 전체에 걸쳐 물이 새지 않도록 막는 hydrostatic seal이 있어야 한다. 이는 호수 주변의 얼음 높이가 상당히 높고, 물이 흐르지 못할 때 생긴다. hydrostatic seal이 생길 때, 얼음의 윗면은 아랫면보다 10배 중요하다. 즉, 가장자리에 있는 얼음 윗면이 1미터 올라가는 것은, 그 얼음 아랫면이 10미터 올라가는 것과 같다. 보스토크 호에서는 얼음 가장자리의 높이가 불과 7미터밖에 안 된다고 추정되는 반면, 수위는 천장보다 약 3킬로미터 높다.[102]
만약 수위가 높은 상황에서 hydrostatic seal을 뚫고 나간다면, 물이 흐르기 시작하여 요쿨라우프가 된다. 다른 과정에 의한 유출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융해에 의해 유량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한다.[102]
5. 1. 2. 수주 내
빙하 얼음이 녹아 생성된 공기 클라트레이트가 빙저호 수역에 산소를 공급하는 주요 원천이기 때문에, 물의 순환이 느리면 수주 내에서 산소 농도는 일반적으로 깊이에 따라 감소한다.[61] 산소가 풍부하거나 산소 농도가 약간 낮은 물은 종종 빙하-호수 경계면에 위치하는 반면, 무산소 환경은 미생물의 호흡으로 인해 호수 내부와 퇴적물에서 지배적이다.[62] 일부 빙저호에서는 미생물 호흡이 호수 내의 모든 산소를 소비하여 새로운 산소가 풍부한 물이 연결된 빙하 하부 환경에서 유입될 때까지 완전히 무산소 환경을 만들 수 있다.[63] 얼음 용융으로 인한 산소 공급과 미생물에 의한 산소 소비는 빙저호 수주에서 산화 환원 기울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층에서는 질산화와 같은 호기성 미생물 매개 과정이, 무산소 바닥에서는 혐기성 과정이 발생한다.[51]5. 1. 3. 퇴적물 내
빙하 퇴적물은 주로 빙하 아래 암반의 물리적 풍화 과정에서 형성된 빙퇴석으로 구성된다.[51] 미생물에 의한 산소 소비, 특히 황화물 산화 과정으로 인해 이러한 퇴적물 내에서는 무산소 상태가 지배적이다.[51][17][58] 황화물 광물은 상부 빙하에 의해 암반이 풍화되면서 생성되며, 이후 이러한 황화물은 호기성 또는 혐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황산염으로 산화된다. 혐기성 박테리아는 산소가 없는 경우 호흡을 위해 철을 사용할 수 있다.[59]황화물 산화의 생성물은 특히 체류 시간이 긴 호수에서 빙하 퇴적물 내의 탄산염 광물 및 규산염 광물의 화학적 풍화를 촉진할 수 있다.[51][58] 호수 퇴적물에서 탄산염 및 규산염 광물의 풍화는 칼륨(K+), 마그네슘(Mg2+), 나트륨(Na+), 칼슘(Ca2+)을 포함한 다른 이온들을 호수 물로 방출한다.[58]
무산소 빙하 퇴적물 내의 다른 생지화학적 과정에는 탈질화, 철 환원, 황산염 환원, 메탄 생성이 포함된다.[51]
5. 2. 유기 탄소 저장소
남극 빙상 아래의 빙하저 퇴적 분지에는 약 21,000 페타그램의 유기 탄소가 축적되어 있으며, 이는 대부분 고대 해양 퇴적물에서 유래한다.[56] 이 양은 북극 영구 동토에 포함된 유기 탄소량의 10배 이상이며,[68] 현대 해양 퇴적물에 존재하는 반응성 탄소량과 경쟁할 수 있다.[69] 따라서 빙하저 퇴적물은 전 지구적 탄소 순환에서 중요하지만 연구가 부족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57] 빙상 붕괴가 발생하면, 빙하저 유기 탄소가 호흡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온난화 피드백을 생성하고 기후 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70][56][57]빙하저 호수의 미생물은 퇴적 유기 탄소의 형태와 운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무산소 빙하저 호수 생태계의 퇴적물에서 유기 탄소는 고세균이 메탄 생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빙상 붕괴 또는 호수 물이 빙상 가장자리로 배수될 때 방출될 수 있는 메탄 클라트레이트의 대규모 풀을 퇴적물에 생성할 수 있다.[71] 메탄은 빙하저 윌런스 호수(Lake Whillans)에서 검출되었으며,[72] 실험을 통해 메탄 생성 고세균이 남극 및 북극 빙하 아래의 퇴적물에서 활성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73]
빙하저 호수 퇴적물에 저장되지 않고 빠져나가는 메탄의 대부분은 산소가 풍부한 상층 수역의 메탄 영양 세균에 의해 소비되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자들은 빙하저 윌런스 호수에서 세균 산화가 사용 가능한 메탄의 99%를 소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72] 그린란드 빙상 아래에서도 활발한 메탄 생산 및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74]
남극 빙하저 수역은 또한 용존 유기 탄소와 세균 생물체의 형태로 상당량의 유기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2] 빙하저 호수 수역의 유기 탄소량은 약 1.03 x 10−2 페타그램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남극 빙하저 퇴적물에 포함된 양보다 훨씬 적지만, 모든 표면 담수 (5.10 x 10−1 페타그램)에 존재하는 유기 탄소량보다 한 자릿수 작을 뿐이다.[12] 이 비교적 작지만 잠재적으로 더 반응성이 높은 빙하저 유기 탄소 저장소는 과학자들이 전 지구적 탄소 순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2]
5. 3. 생물 다양성
표면 호수와 달리, 빙저호는 지구 대기에서 격리되어 햇빛을 받지 못한다. 빙저호의 물은 극도로 빈영양 상태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생명체에 필요한 영양소 농도가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낮은 온도, 낮은 영양분, 높은 압력, 그리고 완전한 어둠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생태계는 수천 가지의 서로 다른 미생물 종과 일부 고등 생물의 징후를 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36][49] 극지 호수를 연구하는 저명한 과학자인 존 프리스쿠 교수는 남극의 빙저 생태계를 "우리 행성에서 가장 큰 습지"라고 불렀다.[50]미생물과 풍화 작용은 독특한 먹이 그물을 형성하고, 빙저 호수 생태계를 통해 영양 순환과 에너지를 순환시키는 다양한 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빙저 호수의 어둠 속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날 수 없으므로, 이들의 먹이 사슬은 대신 화학 합성과 빙하 작용 이전에 퇴적된 고대 유기 탄소의 소비에 의해 구동된다.[36] 영양분은 빙하 얼음-호수 수계의 경계면, 수문학적 연결, 그리고 빙하 하부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풍화를 통해 빙저 호수로 들어갈 수 있다.[9][51]
빙저호는 원래 멸균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75] 지난 30년 동안, 빙저호의 물, 퇴적물, 그리고 부착된 얼음에서 활발한 미생물 생명체와 고등 생명체의 흔적이 발견되었다.[9][61] 현재 빙저호에는 수천 종의 미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세균, 고세균, 그리고 잠재적으로 일부 진핵생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극호성 생물들은 영하의 온도, 높은 압력, 낮은 영양분, 그리고 특이한 화학적 조건에 적응되어 있다.[9][61] 빙저호의 미생물 다양성과 적응을 연구하는 것은 우주생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생명체의 역사와 한계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도 특별한 관심사이다.
빙저호의 생물학적 탐사는 남극에 집중되어 왔지만, 시료 채취를 위해 남극 빙상을 뚫는 데 드는 재정적, 물류적 어려움으로 인해 남극 빙저호의 물을 직접 채취하는 데 성공한 곳은 윌런스 호와 머서 호뿐이다. 아이슬란드 바트나외쿨 빙하 아래의 화산 빙저호도 시료 채취가 이루어졌다.
일부 경우, 빙저호의 물은 수백만 년 동안 격리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화석수"는 진화적으로 독특한 미생물 군집을 품고 있을 수 있다.[86] 동남극의 일부 빙저호는 약 2천만 년 동안 존재해 왔지만, 남극 빙상 아래의 호수 사이의 상호 연결된 빙하 배수 시스템은 호수 물이 호수의 전체 수명 동안 격리되지 않았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2]
제안된 눈덩이 지구 시대인 원생대 후기에 광범위한 빙하는 1천만 년 동안 지구 표면을 얼음으로 완전히 덮었을 수 있다.[91] 생명체는 주로 빙하 및 빙저 환경에서 생존했을 것이며, 현대의 빙저호는 지구 역사의 이 시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시스템이 된다. 더 최근에는 아이슬란드의 빙저호가 제4기 빙하기 동안 지하 단각류의 피난처를 제공했을 수 있다.[92]
6. 외계 생명체와의 관련성
빙저호는 외계의 얼음으로 덮인 물체에 대한 유사 환경이므로, 우주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시스템이다. 우주생물학은 지구 밖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구의 빙저호에서 생존하는 극호성 미생물의 발견은 외계 천체에서도 유사한 환경에서 생명체가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11][10] 빙저호는 또한 생물학적 오염에 민감하고 물류적으로 어려운 원격 지역에서의 연구 노력을 계획하기 위한 연구 시스템을 제공한다.[93][94]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는 외계 생명체 탐색에서 유망한 대상이다. 유로파는 얼음 껍질로 덮인 광대한 바다를 포함하고 있으며, 엔셀라두스 역시 빙하 아래 바다를 품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95][96] 엔셀라두스 표면의 균열에서 탈출하는 얼음 수증기 기둥에 대한 위성 분석은 수소의 상당한 지하 생산을 보여주는데, 이는 철 함유 광물과 유기물질의 환원을 나타낼 수 있다.[97]
2018년, 화성 익스프레스 우주선의 RES를 사용하여 화성의 빙저호가 발견되었다.[98] 이 물 덩어리는 화성 남극 층상 퇴적물 아래에서 발견되었으며, 지열 가열로 인해 얼음 덮개 아래에서 용융이 발생한 결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99]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유로파에도 빙저호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참조
[1] 
논문
 
Greenland subglacial lakes detected by radar: GREENLAND SUBGLACIAL LAKES DISCOVERED
 
2013-12-16
 
[2] 
논문
 
Governance of the Exploration of Subglacial Antarctica
 
2018-09-12
 
[3] 
논문
 
Evidence from ice shelves for channelized meltwater flow beneath the Antarctic Ice Sheet
 
2013
 
[4] 
논문
 
Antarctica: Glaciological and Geophysical Folio
 
1983
 
[5] 
웹사이트
 
Antarctic Glaciers
 
http://www.antarctic[...] 
2019-12-16
 
[6] 
논문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Greenland subglacial lakes
 
2019-06-26
 
[7] 
논문
 
Subglacial lakes and jökulhlaups in Iceland
 
2003-02-01
 
[8] 
논문
 
The physiography of modern Antarctic subglacial lakes
 
2003-02
 
[9] 
서적
 
Bacteria in Subglacial Environments
 
Springer-Verlag
 
2008
 
[10] 
논문
 
Lake Vostok, Antarctica: Exploring a Subglacial Lake and Searching for Life in an Extreme Environment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5
 
[11] 
논문
 
Resistance of Microorganisms to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ts Contribution to Astrobiology
 
2010
 
[12] 
서적
 
Antarctic subglacial water: origin, evolution, and ecology
 
https://www.oxfordsc[...]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11
 
[13] 
논문
 
Surface Melt-Induced Acceleration of Greenland Ice-Sheet Flow
 
2002-07-12
 
[14] 
논문
 
Large subglacial lakes in East Antarctica at the onset of fast-flowing ice streams
 
2007-02
 
[15] 
논문
 
Connected subglacial lake activity on lower Mercer and Whillans Ice Streams, West Antarctica, 2003–2008
 
2009
 
[16] 
논문
 
Research on the Ice Age
 
1876
 
[17] 
논문
 
Discovery of a hypersaline subglacial lake complex beneath Devon Ice Cap, Canadian Arctic
 
2018-04-01
 
[18] 
논문
 
A large deep freshwater lake beneath the ice of central East Antarctica
 
1996
 
[19] 
논문
 
Glaciological Research by the Norwegian-British-Swedish Antarctic Expedition: Review
 
1959
 
[20] 
논문
 
A 60-year international history of Antarctic subglacial lake exploration
 
https://sp.lyellcoll[...] 
2018-01-01
 
[21] 
웹사이트
 
Antarctic subglacial lakes
 
http://www.antarctic[...] 
2019-11-13
 
[22] 
논문
 
Antarctic subglacial lakes
 
https://www.research[...] 
2000
 
[23] 
논문
 
Lakes Beneath the Antarctic Ice Sheet
 
1973
 
[24] 
논문
 
Identification of subglacial lakes using ERS-1 radar altimeter
 
1993
 
[25] 
논문
 
An inventory of active subglacial lakes in Antarctica detected by ICESat (2003–2008)
 
2009
 
[26] 
논문
 
Three-dimensional mapping by CryoSat-2 of subglacial lake volume changes
 
http://eprints.white[...] 
2013
 
[27] 
논문
 
Cascading water underneath Wilkes Land, East Antarctic ice sheet, observed using altimetry and digital elevation models
 
2014
 
[28] 
논문
 
Evidence for subglacial water transport in the West Antarctic Ice Sheet through three-dimensional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2005
 
[29] 
논문
 
Rapid discharge connects Antarctic subglacial lakes
 
2006-04
 
[30] 
논문
 
An Active Subglacial Water System in West Antarctica Mapped from Space
 
2007-03-16
 
[31] 
논문
 
Synthesizing multiple remote-sensing techniques for subglacial hydrologic mapping: application to a lake system beneath MacAyeal Ice Stream, West Antarctica
 
2010
 
[32] 
논문
 
Technological aspects of the final phase of drilling borehole 5G and unsealing Vostok Subglacial Lake, East Antarctica
 
2014
 
[33] 
논문
 
Clean access, measurement, and sampling of Ellsworth Subglacial Lake: A method for exploring deep Antarctic subglacial lake environments
 
https://www.pure.ed.[...] 
2012-01-07
 
[34] 
논문
 
An assessment of deep hot-water drilling as a means to undertake direct measurement and sampling of Antarctic subglacial lakes: experience and lessons learned from the Lake Ellsworth field season 2012/13
 
2014
 
[35] 
논문
 
Antarctic subglacial lake exploration: first results and future plans
 
2016-01-28
 
[36] 
논문
 
A microbial ecosystem beneath the West Antarctic ice sheet
 
https://scholarworks[...] 
2014
 
[37] 
논문
 
Rapid discharge connects Antarctic subglacial lakes
 
2006
 
[38] 
서적
 
Antarctic Lakes
 
2014
 
[39] 
웹사이트
 
Illuminating active subglacial lake processes with ICESat-2 laser altimetry; NASA Mission Uncovers Hidden Meltwater Lakes Under Antarctica's Ice
 
"https://agupubs.onl[...] 
2021-07-12
 
[40] 
논문
 
Exploring former subglacial Hodgson Lake, Antarctica Paper I: site description, geomorphology and limnology
 
https://biblio.ugent[...] 
2009
 
[41] 
논문
 
Recharge of a subglacial lake by surface meltwater in northeast Greenland
 
2015
 
[42] 
논문
 
Brief Communication: Sudden drainage of a subglacial lake beneath the Greenland Ice Sheet
 
2015-01-15
 
[43] 
논문
 
Circulation and thermodynamics in a subglacial geothermal lake under the Western Skaftá cauldron of the Vatnajökull ice cap, Iceland
 
2007-10-02
 
[44] 
논문
 
Surface and bedrock topography of the Mýrdalsjökull ice cap, Iceland: The Katla caldera, eruption sites and routes of jökulhlaups
 
2000
 
[45] 
논문
 
Reduced glacier sliding caused by persistent drainage from a subglacial lake
 
2010
 
[46] 
논문
 
Discovery of relict subglacial lakes and their geometry and mechanism of drainage
 
2016
 
[47] 
논문
 
Subglacial Lake McGregor, south-central Alberta, Canada
 
2003
 
[48] 
논문
 
Discovery of a hypersaline subglacial lake complex beneath Devon Ice Cap, Canadian Arctic
 
2018
 
[49] 
논문
 
EXCLUSIVE: Tiny animal carcasses found in buried Antarctic lake
 
2019-01-18
 
[50] 
잡지
 
The World's Largest Wetland Is Not Where You'd Expect
 
https://www.wired.co[...] 
2012-10-31
 
[51] 
서적
 
Antarctic Lakes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8-14
 
[52] 
논문
 
Geomicrobiology of Subglacial Ice Above Lake Vostok, Antarctica
 
1999-12-10
 
[53] 
논문
 
Limnological conditions in Subglacial Lake Vostok, Antarctica
 
2006
 
[54] 
논문
 
Clathrate formation and the fate of noble and biologically useful gases in Lake Vostok, Antarctica
 
2003
 
[55] 
논문
 
Microbial Diversity and Bioprospecting
 
American Society of Microbiology
 
2004
 
[56] 
논문
 
Potential methane reservoirs beneath Antarctica
 
2012
 
[57] 
논문
 
The potential role of the Antarctic Ice Sheet in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2013
 
[58] 
논문
 
Biogeochemical weathering under ice: Size matters
 
2010
 
[59] 
논문
 
Sulphide oxidation under partially anoxic conditions at the bed of the Haut Glacier d'Arolla, Switzerland
 
2002
 
[60] 
논문
 
Clathrate formation and the fate of noble and biologically useful gases in Lake Vostok, Antarctica
 
2003
 
[61] 
논문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Lake Vostok and other Antarctic subglacial lakes
 
2001
 
[62] 
논문
 
Solute sources and geochemical processes in Subglacial Lake Whillans, West Antarctica
 
2016-03-30
 
[63] 
논문
 
Physiological Ecology of Microorganisms in Subglacial Lake Whillans
 
2016-10-27
 
[64] 
논문
 
Antarctic ice sheet fertilises the Southern Ocean
 
2014-05-19
 
[65] 
논문
 
Contributions from glacially derived sediment to the global iron (oxyhydr)oxide cycle: Implications for iron delivery to the oceans
 
https://epic.awi.de/[...] 
2006
 
[66] 
논문
 
Origin and fate of Lake Vostok water frozen to the base of the East Antarctic ice sheet
 
2002-03-21
 
[67] 
논문
 
An Active Subglacial Water System in West Antarctica Mapped from Space
 
2007-03-16
 
[68] 
논문
 
Soil organic carbon pools in the northern circumpolar permafrost region
 
2009
 
[69] 
논문
 
Balancing the Global Carbon Budget
 
2007
 
[70] 
논문
 
Subglacial methanogenesis: A potential climatic amplifier?
 
2008
 
[71] 
논문
 
Accumulation and release of methane from clathrates below the Laurentide and Cordilleran ice sheets
 
2006-09-01
 
[72] 
논문
 
Microbial oxidation as a methane sink beneath the West Antarctic Ice Sheet
 
https://scholarworks[...] 
2017
 
[73] 
논문
 
Methanogenic potential of Arctic and Antarctic subglacial environments with contrasting organic carbon sources
 
2012
 
[74] 
논문
 
Molecular and biogeochemical evidence for methane cycling beneath the western margin of the Greenland Ice Sheet
 
2014
 
[75] 
논문
 
Chemical Models of Solute Acquisition in Glacial Melt Waters
 
1984
 
[76] 
논문
 
Chemolithotrophic Primary Production in a Subglacial Ecosystem
 
2014-10-01
 
[77] 
PhD dissertation
 
Structure and Functional Potential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ubglacial Lake Whillans and at the Ross Ice Shelf Grounding Zone, West Antarctica
 
https://digitalcommo[...] 
Louisiana State University
 
2016
 
[78] 
논문
 
Temperature dependence of metabolic rates for microbial growth, maintenance, and survival
 
2004-03-30
 
[79] 
논문
 
Microbial sulfur transformations in sediments from Subglacial Lake Whillans
 
2014
 
[80] 
논문
 
Subglacial Lake Vostok (Antarctica) Accretion Ice Contains a Diverse Set of Sequences from Aquatic, Marine and Sediment-Inhabiting Bacteria and Eukarya
 
2013-07-03
 
[81] 
논문
 
An oligarchic microbial assemblage in the anoxic bottom waters of a volcanic subglacial lake
 
2009
 
[82] 
논문
 
On the Phosphorus Limitation Paradigm for Lakes
 
2008
 
[83] 
논문
 
Global analysis of nitrogen and phosphorus limitation of primary producers in freshwater, marine and terrestrial ecosystems
 
2007
 
[84] 
논문
 
Microorganisms in the Accreted Ice of Lake Vostok, Antarctica
 
1999-12-10
 
[85] 
논문
 
Microbiology of the subglacial Lake Vostok: first results of borehole-frozen lake water analysis and prospects for searching for lake inhabitants
 
2016-01-28
 
[86] 
논문
 
A Contemporary Microbially Maintained Subglacial Ferrous "Ocean"
 
2009-04-17
 
[87] 
논문
 
Phylogenetic and Physiological Diversity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a Deep Greenland Glacier Ice Core
 
2004-01-01
 
[88] 
논문
 
Volatile fluxes integrated over four decades at Grímsvötn volcano, Iceland
 
1994
 
[89] 
논문
 
A Viable Microbial Community in a Subglacial Volcanic Crater Lake, Iceland
 
2004-09-01
 
[90] 
논문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subglacial waters of the Vatnajökull ice cap, Iceland
 
2013
 
[91] 
논문
 
A Neoproterozoic Snowball Earth
 
https://semanticscho[...] 
1998-08-28
 
[92] 
논문
 
Subglacial Refugia in Iceland Enabled Groundwater Amphipods to Survive Glaciations.
 
2007-08-01
 
[93] 
논문
 
Searching for traces of life in subglacial Lake Vostok (Antarctica) in terms of forward contamination: the lessons for exploration of icy environments on Mars
 
2004
 
[94] 
논문
 
Research planning for subglacial lakes: Lessons learned from Astrobiology and planetary protection
 
2003
 
[95] 
논문
 
Subglacial Environments and the Search for Life Beyond the Earth
 
https://www.research[...] 
2019-11-13
 
[96] 
논문
 
A lander mission to probe subglacial water on Saturn׳s moon Enceladus for life
 
2015-01-01
 
[97] 
논문
 
Cassini finds molecular hydrogen in the Enceladus plume: Evidence for hydrothermal processes
 
2017-04-14
 
[98] 
논문
 
Radar evidence of subglacial liquid water on Mars
 
2018-07-25
 
[99] 
논문
 
Modeled Subglacial Water Flow Routing Supports Localized Intrusive Heating as a Possible Cause of Basal Melting of Mars' South Polar Ice Cap
 
http://eprints.white[...] 
2019
 
[100] 
잡지
 
Antarctica's hidden plumbing revealed
 
http://www.newscient[...] 
2010-10-14
 
[101] 
뉴스
 
남극의 빙하 아래서 암석을 먹는 박테리아를 미국의 연구팀이 확인
 
https://www.47news.j[...] 
2021-09-03
 
[102] 
논문
 
Lake Vostok behaves like a ‘captured lake’ and may be near to creating an Antarctic jökulhlaup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