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20년은 남송 가정 13년, 금 흥정 4년, 일본 조큐 2년 등에 해당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스웨덴의 리훌라 전투 패배, 칭기즈 칸의 부하라 점령, 헨리 7세의 독일 왕 선출, 프리드리히 2세의 신성 로마 황제 즉위 등이 있었다. 또한, 몽펠리에 대학교 의과대학 최초의 규약 부여, 샤르트르 대성당 재건 완료, 아미앵 대성당 재건 시작 등 문화적 사건도 있었다.
남송 가정 13년
2. 연호
금 흥정 4년
일본 조큐(承久일본어) 2년
서하 광정 10년
리 왕조 建嘉중국어 10년
불멸기원 1762년 - 1763년
히즈라력 616년 - 617년
유대력 4980년 - 4981년
2. 1. 동아시아
지역 | 연호 |
---|---|
간지 | 경진 |
일본 | |
조큐 2년 | |
황기 1880년 | |
중국 | |
남송 가정 13년 | |
금 흥정 4년 | |
대진국 천태 6년 | |
중국 주변 | |
서하 광정 10년 | |
몽골 제국 태조(칭기즈 칸) 15년 | |
대리국 천개 16년 | |
조선 | |
고려 고종 7년 | |
단기 3553년 | |
베트남 | |
리 왕조 견가 10년 |
2. 2. 일본
- 조큐(承久) 2년
- 황기 1880년
3. 기년
- 간지: 경진
- 남송: 영종 26년
- 금: 선종 8년
- 고려: 고종 7년
- 몽골 제국: 칭기즈 칸 15년
- 서하: 신종 10년
- 리 왕조: 혜종 10년
- 불멸기원: 1762년 - 1763년
- 히즈라력: 616년 - 617년
- 유대력: 4980년 - 4981년
3. 1. 동아시아
4. 정치 및 사회
4. 1. 유럽
- 4월 26일 - 프리드리히 2세는 9살 된 아들 헨리 7세를 독일 왕으로 선출하기 위해 독일 주교들에게 독립 권리를 확인해 주었다. (''Confoederatio cum principibus ecclesiasticis'')[9]
- 11월 22일 - 프리드리히 2세는 로마에서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 의해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는 시칠리아 왕국을 절대 군주제로 만들고 팔레르모를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
- 8월 8일 - 스웨덴은 리훌라 전투에서 에스토니아에 패배하였다.
4. 1. 1. 제5차 십자군
7월, 구호기사단이 이끄는 십자군은 이집트 나일 삼각주에 위치한 부룰루스를 습격했다. 마을은 약탈당했지만, 기사들은 돌아오는 길에 매복 공격을 받아 구호기사단장 귀랭 드 몽테귀를 포함한 여러 구호기사단원들이 포로로 잡혔다. 한편, 술탄 알 카밀은 나일강의 로제타 지류를 따라 이집트 함대를 파견했다. 함대는 키프로스로 항해하여 리마솔에 정박해 있는 십자군 함대를 발견했다. 공격 과정에서 모든 배를 침몰시키고 포획하여 수천 명의 포로를 잡았다.[1]여름, 십자군 군대는 다미에타에서 나일강의 범람으로 갇혔다. 추기경 펠라기우스는 베네치아 함대를 보내 이집트 함대를 요격하고 로제타와 알렉산드리아의 항구를 공격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펠라기우스는 자금 부족으로 충분한 수의 배를 건조할 수 없었고, 교황청 금고도 더 이상 그를 지원할 수 없었다. 9월에 더 많은 십자군들이 집으로 돌아갔다.[2]
4. 1. 2. 신성 로마 제국
- 4월 26일 - 프리드리히 2세는 9살 된 아들 헨리 7세를 독일 왕으로 선출하기 위해 독일 주교들에게 독립 권리를 확인해 주었다. (''Confoederatio cum principibus ecclesiasticis'')[9]
- 11월 22일 - 프리드리히 2세는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 의해 로마에서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는 시칠리아 왕국을 절대 군주제로 만들고 팔레르모를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
4. 2. 아시아
4. 2. 1. 몽골 제국
- 봄 –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군대(약 10만 명)가 약 450km에 달하는 얼어붙은 모래와 풀이 우거진 황무지인 키질쿰 사막을 건너 부하라로 향했다. 2월, 칭기즈 칸은 약 2만 명의 수비대가 방어하고 있는 부하라에 접근하여 부하라 포위전을 시작했다. 도시 지도자들은 몽골군에게 성문을 열었지만, 도시의 요새를 방어하는 투르크군은 12일 동안 저항했다.[3] 칭기즈 칸은 도시의 금요 모스크에서 연설하면서 "나는 신의 징벌이다."라고 선언했다.[4]
- 3월 –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군은 사마르칸트를 포위했다. 이 도시는 20마리의 전쟁 코끼리를 포함한 약 4만 명의 병력이 방어하고 있었다. 3일째, 수비대는 반격을 시작했고, 코끼리를 내보냈지만, 코끼리는 공황 상태에 빠져 도망가기 전에 자기 군대를 짓밟았다. 무함마드 2세는 사마르칸트를 두 번 구원하려 했지만 격퇴당했다. 일주일 후, 남은 수비대는 항복했다. 약 10만 명의 도시 거주민들은 노예가 되거나 학살되었다.[5]
- 여름 – 호라즘 제국의 통치자인 무함마드 2세는 북부 이란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도망쳐 카스피 해 남쪽 해안의 험준하고 외딴 지역인 마잔다란 주에서 안전을 찾고자 했다. 그는 수부타이와 제베 ('''화살''')가 이끄는 2만 명의 몽골군에게 추격당했다. 공황 상태에 빠진 그의 군대가 흩어지자, 무함마드는 아스타라 근처 작은 섬에서 피신처를 찾았다. 그곳에서 그는 몇 주 후 흉막염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잘랄 앗딘 밍구브르누가 뒤를 이었으며, 그는 몽골의 침략 이후 인도로 도망가야 했다.[6]
- 가을 – 칭기즈 칸은 부유한 도시 콘예-우르겐치를 공격했다. 그는 여섯 개의 작은 도시를 정복한 그의 장남 조치와 합류하여 북쪽에서 공격했다. 완강한 방어에도 불구하고, 도시는 5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다. 몽골군은 우르겐치를 거리마다 싸워야 했고, 많은 집들을 파괴했다. 조치는 도시를 약탈할 권한을 부여받았지만, 재산 피해를 피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 협상하는 것을 선호했다. 칭기즈 칸은 이를 거부하고 조치를 지휘에서 물러나게 하고 대신 오고타이 칸을 임명했다.[7]
- 11월 – 칭기즈 칸은 그의 막내아들 툴루이를 군대(약 5만 명)의 선두에 세워 대호라산의 호라즘 지방으로 보냈다. 그의 군대에는 300개의 투석기, 나프타로 채워진 냄비를 발사하는 700개의 망고넬, 4,000개의 공성 사다리, 그리고 해자를 채우기 위한 2,500개의 흙 자루가 포함되어 있었다. 처음 함락된 도시 중에는 테르메즈 (이틀간의 포위 공격 후 함락)와 나중에는 발흐가 있었다.[8]
- 구처기가 칭기즈 칸을 알현하기 위한 여정에 나섰다 (『장춘진인서유기』).
4. 2. 2.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레이몽-루팽 안티오크 공국의 왕자는 어머니 아르메니아의 앨리스와 함께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침공하여 타르수스에 자리를 잡았다. 그는 구호기사단의 도움을 기다렸다. 강력한 아르메니아 귀족이자 여왕 이사벨의 섭정인 바베론의 콘스탄틴은 군대를 이끌고 타르수스 요새로 진격했다.[10]5. 문화
고딕 건축 양식이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다. 1194년 화재로 파괴된 샤르트르 대성당 재건이 완료되었고, 툴루즈 대성당의 초기 부분이 완성되었다. 아미앵 대성당[11], 옥스퍼드 대성당, 솔즈베리 대성당[11], 요크 민스터 재건이 시작되었다. 몽펠리에 대학교 의과대학이 독일 추기경 주교 우라흐의 콘라트에 의해 최초의 규약을 부여받았다.[1]
5. 1. 종교
고딕 건축이 유럽에서 점점 인기를 얻었다. 1194년 화재로 파괴된 샤르트르 대성당의 재건이 완료되었고, 툴루즈 대성당 초창기 부분이 완성되었다. 아미앵 대성당[11], 옥스퍼드 대성당, 솔즈베리 대성당[11], 요크 민스터 재건이 시작되었다.5. 2. 교육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교의 의과대학이 독일 추기경 주교 우라흐의 콘라트에 의해 최초의 규약을 부여받았다.[1]6. 기타 기년법
7. 탄생
1220년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인물 | 직업 | 비고 |
---|---|---|---|
3월 7일 | 자코모 비안코니 | 이탈리아 사제 | |
4월 1일 | 고사가 천황 | 일본 천황 | |
4월 16일 | 시에나의 앰브로스 | 이탈리아 선교사 | |
11월 11일 | 알퐁스 2세 | 푸아티에 백작 | |
아돌프 7세 | 독일 귀족, 기사 | ||
레겐스부르크의 베르톨트 | 독일 설교자 | ||
보나기운타 오르비치아니 | 이탈리아 판사, 시인 | ||
브루네토 라티니 | 이탈리아 공증인, 철학자 | ||
노바라의 캄파누스 | 이탈리아 천문학자 | ||
엘리센다 데 산 클리멘트 | 카탈루냐 노예 | ||
프리드리히 3세 | 뉘른베르크의 영주 | ||
아베빌의 제라르 | 프랑스 신학자 | ||
귀도 게라 5세 | 이탈리아 기사, 정치인 | ||
힐렐 벤 사무엘 | 이탈리아 철학자 | ||
위 3세 | 프랑스 귀족, 기사 | ||
제임스 오들리 | 잉글랜드 최고 총독 | ||
조앤 | 프랑스 귀족, 공동 통치자 | ||
담마르탱의 조앤 | 프랑스 귀족 | ||
바르의 마가렛, 룩셈부르크 백작부인 | |||
미에슈코 2세 | 칼리시-비엘룬 공작 | 비만(the Fat) | |
모하마드 로하니 | 아프가니스탄 종교 지도자 | ||
로버트 드 베레 | 잉글랜드 귀족, 기사 | ||
로저 베이컨 | 잉글랜드 철학자, 작가 | ||
예루살렘의 탄훔 | 이스라엘 사전 편찬자 | ||
발람 2세 | 독일 귀족, 기사 | ||
월터 브랜스콤, 엑서터 주교 |
7. 1. 황족 및 귀족
- 3월 7일 - 자코모 비안코니, 이탈리아 사제 (1301년 사망)
- 4월 1일 - 고사가 천황, 일본 천황 (1272년 사망)
- 4월 16일 - 시에나의 앰브로스, 이탈리아 선교사 (1286년 사망)
- 11월 11일 - 알퐁스 2세, 푸아티에 백작 (1271년 사망)
- 아돌프 7세, 독일 귀족이자 기사 (1259년 사망)
- 레겐스부르크의 베르톨트, 독일 설교자 (1272년 사망)
- 보나기운타 오르비치아니, 이탈리아 판사이자 시인 (1290년 사망)
- 브루네토 라티니, 이탈리아 공증인이자 철학자 (1294년 사망)
- 노바라의 캄파누스, 이탈리아 천문학자 (1296년 사망)
- 엘리센다 데 산 클리멘트, 카탈루냐 노예 (1275년 사망)
- 프리드리히 3세, 뉘른베르크의 영주 (1297년 사망)
- 아베빌의 제라르, 프랑스 신학자 (1272년 사망)
- 귀도 게라 5세, 이탈리아 기사이자 정치인 (1272년 사망)
- 힐렐 벤 사무엘, 이탈리아 철학자 (1295년 사망)
- 위 3세,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1266년 사망)
- 제임스 오들리, 잉글랜드 최고 총독 (1272년 사망)
- 조앤, 프랑스 귀족이자 공동 통치자 (1271년 사망)
- 담마르탱의 조앤, 프랑스 귀족 (1279년 사망)
- 바르의 마가렛, 룩셈부르크 백작부인 (1275년 사망)
- 미에슈코 2세 ('''비만'''(the Fat)), 칼리시-비엘룬 공작 (1246년 사망)
- 모하마드 로하니, 아프가니스탄 종교 지도자 (1305년 사망)
- 로버트 드 베레,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1296년 사망)
- 로저 베이컨, 잉글랜드 철학자이자 작가 (1292년 사망)
- 예루살렘의 탄훔, 이스라엘 사전 편찬자 (1291년 사망)
- 발람 2세, 독일 귀족이자 기사 (1276년 사망)
- 월터 브랜스콤, 엑서터 주교 (1280년 사망)
7. 2. 종교 및 학자
- 3월 7일 - 자코모 비안코니, 이탈리아 사제 (1301년 사망)
- 4월 16일 - 시에나의 앰브로스, 이탈리아 선교사 (1286년 사망)
- 레겐스부르크의 베르톨트, 독일 설교자 (1272년 사망)
- 브루네토 라티니, 이탈리아 공증인이자 철학자 (1294년 사망)
- 노바라의 캄파누스, 이탈리아 천문학자 (1296년 사망)
- 아베빌의 제라르, 프랑스 신학자 (1272년 사망)
- 힐렐 벤 사무엘, 이탈리아 철학자 (1295년 사망)
- 로저 베이컨, 잉글랜드 철학자이자 작가 (1292년 사망)
- 예루살렘의 탄훔, 이스라엘 사전 편찬자 (1291년 사망)
- 월터 브랜스콤, 엑서터 주교 (1280년 사망)
7. 3. 그 외
'''1220년에 태어난 사람'''- 3월 7일 - 자코모 비안코니, 이탈리아 사제 (1301년 사망)
- 4월 1일 - 고사가 천황, 일본 천황 (1272년 사망)
- 4월 16일 - 시에나의 앰브로스, 이탈리아 선교사 (1286년 사망)
- 11월 11일 - 알퐁스 2세, 푸아티에 백작 (1271년 사망)
- 아돌프 7세, 독일 귀족이자 기사 (1259년 사망)
- 레겐스부르크의 베르톨트, 독일 설교자 (1272년 사망)
- 보나기운타 오르비치아니, 이탈리아 판사이자 시인 (1290년 사망)
- 브루네토 라티니, 이탈리아 공증인이자 철학자 (1294년 사망)
- 노바라의 캄파누스, 이탈리아 천문학자 (1296년 사망)
- 엘리센다 데 산 클리멘트, 카탈루냐 노예 (1275년 사망)
- 프리드리히 3세, 뉘른베르크의 영주 (1297년 사망)
- 아베빌의 제라르, 프랑스 신학자 (1272년 사망)
- 귀도 게라 5세, 이탈리아 기사이자 정치인 (1272년 사망)
- 힐렐 벤 사무엘, 이탈리아 철학자 (1295년 사망)
- 위 3세,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1266년 사망)
- 제임스 오들리, 잉글랜드 최고 총독 (1272년 사망)
- 조앤, 프랑스 귀족이자 공동 통치자 (1271년 사망)
- 담마르탱의 조앤, 프랑스 귀족 (1279년 사망)
- 바르의 마가렛, 룩셈부르크 백작부인 (1275년 사망)
- 미에슈코 2세 ('''비만'''(the Fat)), 칼리시-비엘룬 공작 (1246년 사망)
- 모하마드 로하니, 아프가니스탄 종교 지도자 (1305년 사망)
- 로버트 드 베레,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1296년 사망)
- 로저 베이컨, 잉글랜드 철학자이자 작가 (1292년 사망)
- 예루살렘의 탄훔, 이스라엘 사전 편찬자 (1291년 사망)
- 발람 2세, 독일 귀족이자 기사 (1276년 사망)
- 월터 브랜스콤, 엑서터 주교 (1280년 사망)
'''1220년에 사망한 사람'''
- 4월 1일 (조큐 2년 2월 26일) - 고사가 천황, 제88대 천황 (+ 1272년)
- 5월 30일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블라디미르 대공 (+ 1263년)
- 캄파누스, 이탈리아의 점성술사, 천문학자, 수학자 (+ 1296년)
- 우골리노 델라 게랄데스카, 이탈리아의 귀족 (+ 1289년)
- 사이온지 킨모토,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75년)
- 사사키 우지노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95년)
- 잔 드 툴루즈, 툴루즈 여백작, 프로방스 여후작 (+ 1271년)
- 나카하라 모로츠라, 가마쿠라 시대의 관료 (+ 1283년)
- 니카이도 유키아리, 가마쿠라 시대의 관료 (+ 1292년)
8. 사망
- 1월 23일 - 보기슬라프 2세, 폼머른 공작 (1177년 출생)
- 2월 17일 - 테오발트 1세, 독일 귀족 (1191년 출생)
- 2월 25일 - 알브레히트 2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177년 출생)
- 3월 11일 - 이사벨 드 클레어, 영국 귀족 여성 (1172년 출생)
- 5월 8일 - 리키사, 스웨덴 여왕 (1180년 출생)
- 6월 1일 - 헨리 드 보훈, 초대 헤리퍼드 백작 (1176년 출생)
- 8월 8일 - 카를 데아프, 스웨덴 귀족
- 11월 3일 - 프랑스의 알리스 (또는 '''앨리스'''), 루이 7세의 딸 (1160년 출생)
- 아타르, 페르시아 시인이자 이론가 (1145년 출생)
- 위그 4세 드 베르제, 프랑스 기사이자 시인 (1155년 출생)
- 이븐 알 투와이르, 이집트 관료이자 역사가 (1130년 출생)
- 장 드 기소르,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 (1133년 출생)
- 필립, 영국 귀족이자 관료
- 랄프 (또는 '''티베리아스'''), 갈릴리 공
- 로버트 드 버클리, 영국 귀족이자 기사
- 로버트 오브 버게이트, 영국 지주이자 기사
- 7월 5일 (겐큐 2년 6月4日|6월 4일일본어) - 후지와라노 나리이에,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155년 출생)
- 삭소 그라마티쿠스, 덴마크의 역사가 (1150년 출생)
8. 1. 정치 및 군사
- 趙淳|조순중국어, 중국 송나라 황족이자 서예가 (1192年|1192년중국어 출생)
- 耶律留哥|야율유가일본어, 東遼|동요일본어의 건국자 (1165年|1165년일본어 출생)
- 알라웃딘 무함마드, 호라즘 제국의 제7대 술탄
- 카이쿠스 1세, 룸 술탄국의 술탄
- 다이라 야스요리,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1146年|1146년일본어?)
8. 2. 종교
- 4월 15일 - 아돌프, 쾰른 대주교 (1157년 출생)
- 5월 5일 - 안젤루스, 이스라엘 사제 (1185년 출생)
- 11월 2일 - 라돌프 2세, 스코틀랜드 수도사이자 수도원장
- 11월 3일 - 아델라이드 2세, 독일 귀족 여성이자 수녀원장
- 미하일 코니아테스, 비잔틴 성직자이자 작가 (1140년 출생)
- 2월 19일 (겐큐 2년 1월 14일) - 료엔,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고후쿠지 승려 (1179년 출생)
- 미하일 코니아테스, 동로마 제국, 니케아 제국의 신학자, 시인 (1138년 출생)
8. 3. 왕족
- 11월 3일
- * 아델라이드 2세, 독일 귀족 여성이자 수녀원장
- * 우라카, 포르투갈 여왕 (1186년 출생)
- * 프랑스의 아네스 (또는 '''안나'''), 비잔틴 제국 황후 (1171년 출생)
- * 우라카 데 카스티야, 포르투갈 왕 아폰수 2세의 왕비 (1186년)
- * 스테파니 (또는 '''리타'''), 아르메니아 공주
- * 베라 발랄라 2세, 호이살라 제국의 인도 통치자
- * 조순, 중국 황족이자 서예가 (1192년 출생)
8. 4. 그 외
- 1월 23일 – 보기슬라프 2세, 폼머른 공작 (1177년 출생)
- 2월 17일 – 테오발트 1세, 독일 귀족 (1191년 출생)
- 2월 19일 (겐큐 2년 1월 14일) - 료엔,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고후쿠지 승려 (1179년 출생)
- 2월 25일 – 알브레히트 2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177년 출생)
- 3월 11일 – 이사벨 드 클레어, 영국 귀족 여성 (1172년 출생)
- 4월 15일 – 아돌프, 쾰른 대주교 (1157년 출생)
- 5월 5일 – 안젤루스, 이스라엘 사제 (1185년 출생)
- 5월 8일 – 리키사, 스웨덴 여왕 (1180년 출생)
- 6월 1일 – 헨리 드 보훈, 초대 헤리퍼드 백작 (1176년 출생)
- 7월 5일 (겐큐 2년 6월 4일) - 후지와라노 나리이에,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155년 출생)
- 8월 8일 – 카를 데아프, 스웨덴 귀족
- 11월 2일 – 라돌프 2세, 스코틀랜드 수도사이자 수도원장
- 11월 3일
- * 아델라이드 2세, 독일 귀족 여성이자 수녀원장
- * 우라카, 포르투갈 여왕 (1186년 출생)
- 프랑스의 아네스 (또는 '''안나'''), 비잔틴 제국 황후 (1171년 출생)
- 프랑스의 알리스 (또는 '''앨리스'''), 루이 7세의 딸 (1160년 출생)
- 아타르, 페르시아 시인이자 이론가 (1145년 출생)
- 위그 4세 드 베르제, 프랑스 기사이자 시인 (1155년 출생)
- 이븐 알 투와이르, 이집트 관료이자 역사가 (1130년 출생)
- 장 드 기소르,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 (1133년 출생)
- 미하일 코니아테스, 비잔틴 성직자이자 작가 (1140년 출생)
- 무함마드 2세, 호라즘 총독이자 통치자 (1169년 출생)
- 필립, 영국 귀족이자 관료
- 랄프 (또는 '''티베리아스'''), 갈릴리 공
- 로버트 드 버클리, 영국 귀족이자 기사
- 로버트 오브 버게이트, 영국 지주이자 기사
- 스테파니 (또는 '''리타'''), 아르메니아 공주
- 베라 발랄라 2세, 호이살라 제국의 인도 통치자
- 조순, 중국 황족이자 서예가 (1192년 출생)
- 알라웃딘 무함마드, 호라즘 제국의 제7대 술탄 (생년 미상)
- 우라카 데 카스티야, 포르투갈 왕 아폰수 2세의 왕비 (1186년 출생)
- 카이쿠스 1세, 룸 술탄국의 술탄 (생년 미상)
- 삭소 그라마티쿠스, 덴마크의 역사가 (1150년 출생)
- 다이라 야스요리,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1146년?)
- 미하일 코니아테스, 동로마 제국, 니케아 제국의 신학자, 시인 (1138년 출생)
- 야율유가, 동요의 건국자 (1165년 출생)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3]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4]
서적
Tarikh-i Jahangushay
1260
[5]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6]
서적
Kalka River 1223: Genghis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8]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9]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10]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11]
서적
Architecture, from Ancient Greece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