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인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인방은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 공산당 내에서 권력을 장악했던 장칭,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을 지칭한다. 이들은 린뱌오 사건 이후 권력을 확대하여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등 정적을 숙청하고, 문화 대혁명 노선을 따랐다. 마오쩌둥 사후, 1976년 화궈펑에 의해 체포되었으며, 반혁명 혐의로 재판을 받고 처벌받았다. 사인방의 몰락은 문화 대혁명의 종식과 개혁개방의 시작을 의미하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인방 - 야오원위안
    야오원위안은 중국의 문학 평론가이자 정치인으로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4인방 중 한 명이며, 희곡 비판을 통해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을 만들고 권력을 행사하다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징역형을 살고 석방 후 사망했다.
  • 사인방 - 왕훙원
    왕훙원은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으로 부상하여 중국공산당 부주석까지 올랐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몰락한 정치인으로, 급격한 권력 상승과 몰락은 권력 남용과 개인숭배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냉전사 - 중소 국경 분쟁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불평등 조약으로 시작되어 1969년 군사적 충돌로 심화되었고, 1990년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으며,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냉전사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문화 대혁명 - 동방홍
    동방홍은 중국 섬서성 북부 민요 가락에 리유위안이 가사를 붙여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노래로, 마오쩌둥 시대에 사실상 국가 역할을 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 개인 숭배에 이용되었고, 덩샤오핑 시대 이후 공식적인 사용은 줄었으나 중국인들에게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 뮤지컬, 기관차, 역, 광장 등의 명칭에 사용되었다.
  • 문화 대혁명 - 붉은 8월
    붉은 8월은 1966년 중국 문화대혁명 초기에 마오쩌둥의 지지를 받은 홍위병들이 베이징에서 일으킨 대규모 학살 사태로, 수천 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잔혹한 방법으로 지식인과 시민들을 박해하고 영유아까지 희생시킨 끔찍한 사건이다.
사인방
개요
장칭
장칭
장춘차오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야오원위안
왕훙원
왕훙원
다른 이름사인방 (四人幫)
구성원장칭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
배경
형성 시기문화대혁명 시기
주요 활동권력 장악 시도 및 극좌 정책 추진
몰락
체포 시기마오쩌둥 사후
몰락 원인권력 투쟁 실패 및 화궈펑 등의 반격
재판특별 재판소에서 반혁명 죄로 유죄 판결
평가
공식 평가중국 공산당에 의해 '반혁명 집단'으로 규정
비판문화대혁명을 주도하여 중국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음
기타
관련 사건문화대혁명, 린뱌오 사건

2. 문화대혁명과 4인방

마오쩌둥의 부인이었던 장칭을 비롯하여 정치국 위원이었던 야오원위안,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왕훙원, 정치국 상임위원 겸 국무원 부총리 장춘차오를 가리킨다. 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한 지 한 달 만에 이들 사인방이 체포되면서, 문화대혁명은 막을 내렸다.[4]

이 그룹은 장칭이 이끌었으며, 그녀의 측근인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으로 구성되었다. 캉성셰푸즈도 "사인방"의 일원으로 언급되었고, 천보다와 마오쩌둥의 조카인 마오위안신도 사인방의 측근으로 여겨졌다.

야오원위안은 1965년 11월 10일, 연극 해서 파관을 비판하는 기사를 ''문회보''에 게재하여 문화대혁명의 불씨를 당겼다.[1] 이 기사는 이 연극이 군 영웅 펑더화이의 개혁 노력을 동정적으로 묘사한 것이며, 따라서 마오쩌둥 주석의 대약진 운동에 대한 공격이라고 주장했다. 마오쩌둥은 이어서 펑더화이를 권력에서 축출했다.[5][6][7]

장칭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혁명 가극을 무대에 올렸고 홍위병과 만났다.[8][9]

1971년 린뱌오의 사망 무렵, 문화 대혁명은 추진력을 잃기 시작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새로운 사령관들은 소련과의 국경에서 위험한 상황을 고려하여 질서를 회복할 것을 요구했다(참조: 중소 분열). 문화 대혁명을 수용했지만 완전히 지지하지는 않았던 저우언라이 총리는 권한을 되찾았고, 이를 사용하여 1973년 덩샤오핑을 당 지도부로 복귀시켰다. 류샤오치는 1969년 감옥에서 사망했다.

마오쩌둥의 말년에, 4인방과 덩샤오핑, 저우언라이, 예젠잉의 연합 세력 간에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10]

2. 1. 문화대혁명의 발발과 권력 장악

1960년대 중반, 마오쩌둥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권력 기반 강화를 위해 문화대혁명을 일으켰다. 장칭중앙문화혁명소조 부조장으로서 문화예술계를 장악했다.[8][9] 야오원위안은 1965년 11월 10일 ''문회보''에 연극 해서 파관을 비판하는 글을 기고하여, 이 연극이 펑더화이의 개혁 노력을 옹호하고 대약진 운동을 공격한다고 주장하며 문화대혁명의 발판을 마련했다.[1][5][6][7] 장춘차오왕훙원은 상하이를 거점으로 급진 좌파 세력을 규합하여 홍위병을 조직, 반대파를 공격하고 사회 혼란을 야기했다.

1971년 린뱌오 사건 이후, 4인방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 내에서 핵심적인 권력을 장악했다. 1973년 8월 제10차 당 대회에서 네 명 모두 중앙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2. 2. 권력 투쟁과 반대파 숙청

1960년대 중반부터 약 10년 동안 이어진 문화 대혁명(문혁)에서,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 中央文化革命小组|중앙 문화 혁명 소조중국어 부조장), 장춘차오(국무원 부총리, 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 야오원위안(당 중앙 정치국 위원), 왕훙원(당 부주석) 등은 세력을 확장하여, 1971년 9월 린뱌오 추락사 이후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서 큰 권력을 잡게 되었다. 1973년 8월 제10차 당 대회에서 네 명 모두 중앙 정치국 위원이 되면서, 국내에 사인방이 결성되었다.

사인방은 기존의 문혁 노선을 따라 능력 급여제나 잉여 생산물의 개인 매매를 인정하는 정책을 격렬하게 비판하고, 정적을 박해·추방했다. 이 권력 투쟁은 "당내의 대유학자"로서 국무원 총리인 저우언라이를 암묵적으로 비판하는 批林批孔运动|비림비공운동중국어이나, 부활했던 덩샤오핑 부총리의 타도로 이어졌다. 그러나 마오쩌둥1974년 7월 중앙 정치국 회의에서 "네 사람이 작은 파벌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장칭, 장춘차오 등을 비판했다.[10] 또한 1974년 10월에는 왕훙원덩샤오핑을 비판하여 그의 수석 부총리 취임을 저지하려 했지만, 오히려 마오쩌둥에게 질책을 받는 등, 반드시 전권을 쥐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3. 4인방의 몰락

1976년 10월 6일, 화궈펑왕둥싱과 8341 부대의 도움을 받아 장칭, 장춘차오, 왕훙원, 야오원위안과 그들의 하급 관련자들을 체포했다.[15] 이 작전은 거의 무혈로 진행되었으나, 왕훙원은 체포 과정에서 경비병 두 명을 죽이고 자신도 부상을 입었다.[16]

체포 작전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소조담당조장대원
제1행동소조왕훙원리광인우싱루, 훠지룽, 왕즈민
제2행동소조장춘차오지허푸장팅구이, 쉬진성, 런쯔차오
제3행동소조장칭가오윈장황제위안, 마판추, 마샤오셴
제4행동소조야오원위안텅허쑹캉하이췬, 장윈성, 가오펑리
제5행동소조마오위안신리롄칭



10월 21일부터 4인방에 대한 전국적인 비난이 시작되었고, 12월에는 그들의 범죄 혐의와 관련된 파일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7][18] 당은 4인방을 "형식적으로는 좌익, 본질적으로는 우익"이라고 비난했다. 정부 언론은 문화 대혁명의 과도한 행위를 4인방과 린뱌오의 탓으로 돌렸다. 전국적인 "폭로, 비판, 조사 운동(揭批查运动)" 동안 수백만 명의 이전 "반란파" 홍위병이 4인방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져 공개적으로 비판받았다.

3. 1. 마오쩌둥 사후 권력 공백

1976년 1월, 저우언라이 총리가 사망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최고 권력층에 공백이 생겼다. 이 틈을 타 사인방은 권력 장악을 시도했다. 이들은 개혁파 덩샤오핑을 다시 실각시키고, 제1차 천안문 사건을 이용하여 민중의 반대 시위를 억압했다.[11][12]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사인방은 자신들의 지배 체제를 확립하려 했다. 이들은 마오쩌둥의 유지, 즉 "규정된 원칙"을 따르라고 주장하며 언론을 장악했다.[11][12] 그러나 화궈펑을 중심으로 한 세력이 군부의 지지를 얻어 사인방을 체포하면서, 사인방의 권력 장악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15]

3. 2. 체포와 문화대혁명의 종식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된 화궈펑은 국방부장 예젠잉 등과 협력하여 4인방 체포를 계획했다. 1976년 10월 6일, 왕둥싱이 지휘하는 8341 부대는 4인방을 전격 체포했다. 이 사건은 10년간 지속된 문화대혁명의 종식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15]

1976년 1월 저우언라이가 사망한 후, 몇 달 동안 당 최고위층에서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덩샤오핑은 임시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4인방은 신문을 이용하여 덩샤오핑을 비판하고 도시 민병대 조직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군대와 당의 안보 대부분은 중앙위원회의 당 원로들의 통제하에 있었으며, 그들은 개혁주의자 덩샤오핑과 급진파 4인방 사이에서 신중한 역할을 했다. 그들은 4월 톈안먼 사건 이후 덩샤오핑을 해임하는 데는 동의했지만, 그 과정에서 덩샤오핑과 그의 동맹이 개인적으로 해를 입지 않도록 조치를 취했다.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 주석이 사망했다. 그 후 몇 주 동안 4인방은 정부 언론을 계속 장악했고, 마오쩌둥이 임종 시에 "규정된 원칙" (또는 "확립된")이라는 주제의 많은 기사가 등장했다.[11][12] ("규정된 원칙"이라는 단어는 마오쩌둥의 인용문이라고 추정되었지만, 그 진위는 논란의 대상이었다.[11]) 급진 그룹 지지자들이 지휘하는 도시 민병대 부대는 최고 수준의 경계 상태에 놓였다.[13][12]

화궈펑 총리는 9월 말 정치국 회의에서 급진파의 언론 노선을 공격했지만,[14] 장칭은 화궈펑에게 강력하게 반대했고, 자신이 새로운 당 주석으로 임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회의는 결론 없이 끝났다.[14] 10월 4일 급진 그룹은 ''광명일보'' 기사를 통해 확립된 원칙을 방해하는 수정주의자는 "좋은 결말을 맞이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2]

급진파는 핵심 군사 지도자 왕둥싱과 천시롄이 그들을 지지하기를 희망했지만, 대신 화궈펑이 군대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다.

예젠잉은 10월 4일 <광명일보> 1면에 발표된 글을 보고 그들이 최고 권력을 찬탈하려는 신호로 여겨 더 이상 일을 늦추어서는 안되겠다고 생각하여 결단을 내린다. 그날 저녁, 그는 화궈펑 주석이 머물던 조어대로 찾아가서 긴급하게 협의한다.

예젠잉은 "현재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때가 되었다. 그들이 곧 손을 쓰려고 하니 더 이상 기다릴 수가 없다."라고 말하며, 원래 국경절 이후에 10일을 준비하고 상황을 봐서 손을 쓰기로 하였던 것을 앞당겨 행동에 들어가기로 결정한다. 화궈펑은 "늦어도 모래 손을 쓴다"고 결정하고, 예젠잉에게 왕둥싱과 행동 계획을 추진하라고 한다. 예젠잉은 왕둥싱의 집으로 가서 모든 것을 상세히 협의한다. 왕둥싱은 긴급하게 행동에 들어가고, 각종 '임전' 조치를 취한다.

왕둥싱은 중앙판공청 부주임, 중앙경위국 부국장 등과 상의하여, 중앙경위국 기관과 중앙경위부대(8341부대) 간부 중에서 정치 자질, 군사 기술, 신체가 모두 좋고, 상황을 잘 아는 인원을 뽑아서 이 특수임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집행임무를 맡은 인원은 5개의 행동 소조로 나누어서 업무를 분담했다.

소조담당조장대원
제1행동소조왕훙원리광인우싱루, 훠지룽, 왕즈민
제2행동소조장춘차오지허푸장팅구이, 쉬진성, 런쯔차오
제3행동소조장칭가오윈장황제위안, 마판추, 마샤오셴
제4행동소조야오원위안텅허쑹캉하이췬, 장윈성, 가오펑리
제5행동소조마오위안신리롄칭



현장경계인원은 딩즈유, 둥팡, 예구이신, 자오루신이다. 행동에 참가한 기타 인원은 황창타이, 캉제, 쑨훙치, 쑨전파, 차오즈슈, 리타이였다. 그리고 6명의 운전 기사(스유링, 위구이싱, 상잔량, 왕밍천, 우쩡빈, 장중천)가 있었다. 그들은 중남해에서 가까운 곳에 격리실을 만들었다.

10월 3일 밤, 왕둥싱은 리신을 중남해의 자신의 집으로 불러 "사인방"에 대하여 격리심사를 실행하기로 결정했다고 알려주며 그에게 당중앙의 문건을 초안하도록 지시한다. 왕둥싱은 화궈펑에게 보고하여 동의를 받은 후, 리신에게 그의 집에 있는 작은 방에 머물도록 하며, 밖에서 자물쇠를 잠가 버린다. 4일부터 6일까지, 3건의 문건작성에 집중했다.

왕둥싱은 리신, 우젠화와 함께 구체적인 행동 방안을 상의한다. 리신은 현재 장춘차오, 야오원위안은 <모택동선집>을 장악하려고 하고, <모택동선집> 5권의 자료를 급히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당중앙상위에서 <모택동선집> 5권에 관하여 토론한다는 명목으로 중남해 회인당에서 회의를 소집하고, 그들에게 회의에 참석하라고 하면, 그들은 반드시 올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 행동 방안은 화궈펑, 예젠잉에게 보고되었고, 비준을 받는다.

이와 동시에, 화궈펑은 우더와 수도의 안전, 안정을 확보하는 일을 추가로 협의한다.

이 일촉즉발의 긴장된 순간에, 쌍방은 모두 밀접하게 상대방의 일거일동을 주시하고 있었다. 10월 4일, 장칭은 돌연 석가장으로 가겠다고 한다. 왕둥싱은 화궈펑에게 그녀가 가도록 해도 되겠는지 물어본다. 화궈펑은 즉시 왕둥싱에게 회답한다: 그녀가 가는데 동의한다.

10월 4일, 오후 5시경, 우더는 화궈펑의 집에서 막 자기의 집으로 돌아왔는데, 화궈펑이 우더에게 즉시 그의 집으로 오라는 전화였다. 우더는 급히 갔더니, 왕둥싱이 이미 그 곳에 와 있었다. 세 사람은 그 자리에서 상의하여 다음 사항을 결정한다.


  • 첫째, 화궈펑, 예젠잉, 왕둥싱이 이미 상의하여 결정한 방안에 따라, "사인방"을 체포하는 것은 왕둥싱이 책임진다.
  • 둘째, 츠췬, 셰징이, 진쭈민 등의 격리 심사는 우더와 북경 위수구 우중이 책임지고 해결한다.
  • 셋째, 중남해내에 만일 생각하지 못한 문제가 벌어지면, 우더가 위수구의 부대를 조직하여 지원한다.
  • 넷째, 북경위수구는 인민일보, 신화사, 방송국, 중앙기관 및 청화, 북대등 단위를 경계한다.


10월 5일 당일, 화궈펑은 겅뱌오를 자신의 집에 불러, 얘기를 나누고 배치를 한다.

겅뱌오는 <광명일보> 10월 4일자 긴 문장에 대한 견해를 얘기한다: 그들이 이미 싸우겠다는 글을 실었다. 이 선언서식의 문장은 '사인방'이 최고권력을 찬탈하는데 손을 쓰기 시작했다는 신호탄이다.

화궈펑은 고개를 끄덕여 동의를 표한다. 그리고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마오쩌둥이 친히 써서 그에게 준 쪽지를 겅뱌오에게 보여준다. 겅뱌오에게 이 몇 장의 쪽지의 내력을 얘기해준다.

1976년 10월 6일 저녁 6시 40분 특무부대장인 왕둥싱은 중남해의 회의실인 회인당 각부를 접수했다. 이어 저녁 7시 화궈펑 국가주석과 예젠잉 국방부장이 회인당에 도착했다. 이들은 4인방을 회인당에 한 명씩 불러들여 체포할 계획이었다.

7시 55분 장춘차오가 가장 먼저 회인당에 도착했다. 장춘차오가 회인당에 들어서자마자 제1행동소조(경비병)가 공손히 맞았다. 행동소조 경비병대가 장춘차오가 데려온 경호원들의 진입을 제지했다. 장춘차오는 평소와 다른 상황을 인식했지만 왕둥싱의 설명을 듣고 어찌할 수 없었다. 장춘차오가 회의실에 들어서자마자 화궈펑은 체포 결정문을 읽었다. 결정문은 "마오쩌둥 사망 이후에 4인방이 서로 결탁하여 당권을 빼앗을 음모를 획책해 반당, 반사회주의의 죄를 저질렀으며, 중공 중앙은 장춘차오, 황훙원, 장칭, 야오원위안 등에 대해 격리 심사를 진행할 것이다"였다. 화궈펑이 결정을 읽은 후 장춘차오의 손에 수갑이 채워졌고 압송되어 갔다.

뒤이어 왕훙원이 도착했다. 왕훙위안은 체포될 때 "나는 회의 참석하러 왔다. 너희들 뭐하는 것이냐!"고 외치며 극렬히 저항했다. 제압된 이후 화궈펑은 결정문을 다시 읽었다. 왕훙위안은 화궈펑이 다 읽기 전에 예젠잉을 향해 달려들었지만 이내 곧 경비병에게 저지됐다. 이미 두 명이 체포된 이상 지체할 필요가 없었다. 야오원위안은 회의실로 들어서는 복도에서 체포됐다. 경비병단 부단장이 중앙결정을 읽자 야오원위안은 고개를 떨군 채 별다른 반항을 하지 않았다.

체포조는 이날 저녁 8시 30분 장칭의 숙소를 찾았다. 장칭 체포조는 왕둥싱의 조수였던 장야오츠가 이끌었다. 그는 오랜 기간 중난하이 경비를 맡았던 인물이다. 장칭의 거주지에 진입해 그를 체포하려 하자 장칭은 "누가 시켰나?"라고 분노했지만 화장실을 가게 해달라고 부탁해 15분 후에 순순히 체포됐다.

역사학자 이매뉴얼 C.Y. 쉬에 따르면, 이 작전은 완전히 무혈은 아니었다. 왕훙원은 그를 체포하려는 경비병 두 명을 죽였고, 제압되기 전에 자신도 부상을 입었다.[16]

10월 6일 저녁 9시경 4인방이 모두 체포된 후 화궈펑과 예젠잉은 겅뱌오, 츠하오톈 등 군부 인사를 화이런탕으로 소집했으며, 그들에게 CCTV, 인민일보, 신화사, 광명일보 등을 넘겨받으라 명했다. 이로써 10년 동안 중국 대륙을 피바람으로 물들게 한 문화대혁명은 막을 내렸다.

1976년 1월 저우언라이의 사망을 계기로, 제1차 천안문 사건 등으로 민중의 반 사인방 감정이 고조되었으나, 사인방은 권력 투쟁을 계속하여 덩샤오핑을 다시 실각시켰다. 이어진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의 죽음으로 사인방은 그 상징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 대혁명 노선의 유지를 주장하며 지배를 확립하려 했으나, 정권은 화궈펑에게 인계되었다.

국방부장 (국방부 장관)이자 반 문화 대혁명파인 예젠잉 (원수)의 지지를 받은 화궈펑 총리 등과 문화 대혁명 유지를 주장하는 사인방의 대립은 마오쩌둥의 죽음 직후부터 급격히 표면화되었고, 상하이의 문화 대혁명파 민병에 의한 포대 인도 요구를 계기로 반 문화 대혁명파는 사인방의 체포를 결단한다. 1976년 10월 6일, 사인방은 왕둥싱이 이끄는 8341 부대에 의해 베이징에서 체포되었다.

사인방은 1977년 7월의 제10기 3중전회에서 당적을 영구 박탈당했다. 이어 8월의 제11차 당대회에서는 1966년 이래 11년간 지속된 문화 대혁명의 종결과 사인방의 범죄가 인정되었으며, 또한 실권파로서 박해·추방되었던 당원은 명예를 회복하고 복직했다.

3. 3. 재판과 처벌

1981년에 열린 재판에서 장칭장춘차오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왕훙원은 종신형, 야오원위안은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다.[22] 사인방 외에도 천보다마오위안신에게도 각각 18년형과 17년형이 선고되었다.[24][25]

이 재판은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법원 특별 법정에서 진행되었으며, 장화가 재판장을 맡았다. 사인방에게는 쿠데타 계획, 간부 및 대중 박해 등 4건의 죄상이 적용되었다.[23] 검찰은 정치적 오류와 실제 범죄를 분리했는데, 실제 범죄에는 국가 권력 및 당 지도부 찬탈,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약 75만 명의 박해, 그 중 34,375명이 사망한 사건 등이 포함되었다.[23]

재판 과정은 매일 텔레비전으로 방송되었고, 재판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도 널리 배포되었다.[21] 재판 개회에는 각 성과 자치구에서 선발된 인민 대표와 류사오치, 허룽, 뤄루이칭의 미망인을 포함한 피해자 가족이 방청객으로 참석했다.[21]

재판 과정에서 장칭은 매우 반항적이었으며, 큰 소리로 항의하고 때로는 눈물을 터뜨렸다. 그녀는 사인방 구성원 중 유일하게 스스로를 변호하며, 항상 마오쩌둥 주석의 명령에 따랐다고 주장했다. 장춘차오는 어떠한 잘못도 인정하지 않았고, 야오원위안왕훙원은 뉘우침을 표명하고 그들이 저질렀다고 하는 범죄를 자백했다.[22]

사인방은 모두 사망했다. 장칭1991년에 자살했고, 왕훙원1992년에 사망했으며, 야오원위안장춘차오는 각각 1996년과 1998년에 석방된 후 2005년에 사망했다.

이름형량최후
장칭사형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1991년 자살
왕훙원종신형1992년 병사
장춘차오사형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2005년 위암으로 사망
야오원위안징역 20년형2005년 당뇨병으로 사망


4. 4인방 사건의 역사적 의의와 영향

체포 직후, 화궈펑 총리, 예젠잉 원수, 천윈, 리셴녠 등이 차기 당 지도부의 핵심을 형성했다.[19] 이들은 덩샤오핑 복권 이후 왕둥싱과 함께 1977년 8월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 대회에서 당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20] 국가 안보에 대한 깊은 우려로, 정치국에는 생존한 4명의 원수를 포함한 7명의 장군과 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5명 이상이 참여했다.

4. 1. 극좌 노선의 종식과 개혁개방의 시작

화궈펑 총리, 예젠잉 원수, 천윈, 리셴녠 경제 사령관이 차기 당 지도부의 핵심을 형성했다.[19] 이들은 복권된 덩샤오핑, 왕둥싱과 함께 1977년 8월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 대회에서 당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20] 정치국에는 생존해 있는 4명의 원수를 포함한 7명의 다른 장군과 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5명 이상이 참여했는데, 이는 국가 안보에 대한 깊은 우려를 반영한 결과였다.

4. 2. 중국 사회에 미친 영향

화궈펑, 예젠잉, 천윈, 리셴녠 등이 차기 당 지도부의 핵심을 형성했다.[19] 이들은 복권된 덩샤오핑, 왕둥싱과 함께 1977년 8월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 대회에서 당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20]

4. 3. 한국과의 관계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Yao Wenyuan http://www.economist[...] 2016-05-22
[2] 뉴스 1977: Deng Xiaoping back in power http://news.bbc.co.u[...] 1977-07-22
[3] 웹사이트 Hua Guofeng, Transitional Leader of China After Mao, Is Dead at 87 https://www.nytimes.[...] 2008-08-21
[4]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Politics of China: The Eras of Mao and De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Peng Te-huai: The Man and the Image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
[7]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Post-Mao Reforms: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Turbulent Decade: A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0] 웹사이트 What Was the Gang of Four and Their Connection to Mao Zedong? https://www.thoughtc[...]
[11] 서적 China Without Mao: the Search for a New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Burying Mao: Chinese Politics in the Age of Deng Xiaoping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서적 China Without Mao: the Search for a New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China Without Mao: the Search for a New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Eldest Son: Zhou Enlai and the Making of Modern China
[16] 서적 China Without Mao: the Search for a New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A Letter to the League of Revolutionary Struggle https://www.marxists[...]
[18] 저널 The Current Political Scene in China https://www.jstor.or[...] 1979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Political Leaders: China https://web.archive.[...] Terra.es
[21] 서적 Revolutionary Becomings: Documentary Media in Twentieth-Century China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4
[22] 웹사이트 The Gang of Four Trial http://law2.umkc.edu[...]
[23] 웹사이트 China the Four Modernizations, 1979–82 http://www.country-s[...] Country-studies.com
[24] 서적 China's Gang of Four Trial: The Law v. The Laws of Histor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25] 뉴스 Chen Boda, 85, Leader of Chinese Purges in 60's https://www.nytimes.[...] 1989-09-30
[26] 서적 China's second revolution: Reform after Mao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7] 저널 China's Coup of October 1976 https://www.jstor.or[...] 1992-07
[28] 뉴스 What's Chan up to?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3-04-26
[29] 서적 Underground front :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Hong Kong https://www.worldcat[...] 2018
[30] 뉴스 Hong Kong's 'Gang of Four' hits back at Beijing https://www.ft.com/c[...] FT 2019-08-22
[31] 뉴스 China Compares Hong Kong Democrats to Mao-Era 'Gang of Four'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9-08-19
[32] 웹사이트 公审林彪、江青反革命集团 http://www.people.co[...]
[33] 서적 龍のかぎ爪 康生 (上) https://www.iwanami.[...] 岩波書店
[34] 문서 矢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